고대 프로이센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대 프로이센어는 발트어파에 속하는 인도유럽어의 일종으로, 서부 발트어에 속하며 수도비아어, 갈린디아어와 관련이 있다. 13세기 튜턴 기사단의 정복 이후 쇠퇴하여 18세기 초에 사멸되었지만, 20세기 후반부터 언어학자들에 의해 부활 운동이 시작되어 현재 웹사이트, 온라인 사전, 학습 앱 등이 제작되었다. 고대 프로이센어는 명사, 형용사, 동사의 문법 체계를 갖추었으며, 1545년, 1545년, 1561년에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출판된 세 권의 교리문답서가 주요 문헌으로 남아있다. 저지 독일어와 폴란드어에 영향을 미쳤으며, 포메자니아 방언과 삼비아 방언의 차이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발트어군 - 갈린디아어
갈린디아어는 과거 갈린디아인들이 사용했던 사멸된 발트어의 일종으로, 서갈린디아어와 동갈린디아어로 나뉘며, 어원에 대해서는 외부인, 수계 지명, 강력한 자들이라는 세 가지 가설이 있다. - 서발트어군 - 수도비아어
수도비아어는 발트어파에 속하는 사멸된 언어로, 요트빙기아어라고도 불리며 수도비아인들이 사용했으나 튜턴 기사단 정복 이후 다른 언어에 흡수되어 소멸되었고, 제한적인 자료로 인해 연구가 어렵지만 어휘집과 지명을 통해 그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 - 언어 되살리기 - 현대 히브리어
현대 히브리어는 히브리어의 현대적인 형태로, 닿소리는 여러 음운으로 분류되고, 홀소리는 전설, 중설, 후설 모음으로 분류되며, 외래어에서만 나타나는 음운과 다양한 발음 변화를 보인다. - 언어 되살리기 - 카타레부사 그리스어
카타레부사 그리스어는 니케포로스 테오토키스가 처음 사용한 고대 그리스어 형태의 인공 문어체로, 공문서와 학술 분야에서 사용되다가 1976년 민중 그리스어 공용화 이후 쇠퇴하였으나 현재까지 일부 분야에서 사용되며 현대 그리스어에 영향을 주었다. - 프로이센의 문화 - 성모 승천 대성당
성모 승천 대성당은 폴란드 그단스크에 있는 벽돌 고딕 양식의 가톨릭 공동 대성당이자 바실리카로, 15세기 완공 후 종교 개혁 시기에는 루터교 교회로 사용되다가 2차 세계대전 후 재건되어 현재는 가톨릭 대성당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고딕, 르네상스, 바로크 양식의 예술품과 역사적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 프로이센의 문화 - 베를린 국립 오페라
베를린 국립 오페라는 1742년 개관하여 프로이센 국립 오페라, 독일 국립 오페라 등으로 불리며 독일 대표 오페라단으로 자리매김한 베를린 운터 덴 린덴의 유서 깊은 오페라 극장이다.
고대 프로이센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고대 프로이센어 |
부활된 원어 이름 | (부활) |
지역 | 프로이센 |
민족 | 발트 프로이센인 |
사멸 시기 | 18세기 초 |
부활 | 2명의 L1 화자 (2021년) 50명의 L2 화자 (날짜 미상) |
언어학적 분류 |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발트-슬라브어 |
어군 | 발트어 |
하위 어군 | 서발트어 |
문자 체계 | |
문자 | 로마자 |
언어 코드 | |
ISO 639-3 | prg |
Glottolog | prus1238 |
Lingua Libre | 54-AAC-a |
기타 | |
![]() |
2. 분류
고대 프로이센어는 발트어파에 속하는 인도유럽어이다. 서발트어군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고대 프로이센어는 발트어파의 서발트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리투아니아어와 라트비아어와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고대 프로이센어의 "zeme"는 '흙' 또는 '토지'를 의미하며, 이는 라트비아어의 "zeme", 리투아니아어의 "žemė", 러시아어의 "земля(zemljá)", 폴란드어의 "ziemia"와 유사하다.[18]
고대 프로이센어는 수도비아어, 갈린디아어, 스칼비아어, 쿠로니아어 등 다른 사멸된 서발트어군 언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7][8] 몇몇 언어학자들은 서부 갈린디아어와 스칼비아어를 프로이센어 방언으로 간주하기도 한다.[9]
동발트어군에 속하는 리투아니아어, 라트비아어와 관련이 있으며, 슬라브어파와도 연관되어 있다. '땅'을 뜻하는 단어를 비교하면, 고대 프로이센어 ''semmē|제메prg'', 라트비아어 ''zeme|제메lv'', 리투아니아어 ''žemė|제메lt'', 러시아어 ''земля́|젬랴ru'', 폴란드어 ''ziemia|지에미아pl''가 있다.
고대 프로이센어는 슬라브어에서 온 차용어 (예: 고대 프로이센어 ''curtis|쿠르티스prg'' '사냥개', 리투아니아어 ''kùrtas|쿠르타스lt'', 라트비아어 ''kur̃ts|쿠르츠lv''와 유사, 슬라브어 хорт|호르트uk, chart|하르트pl, chrt|흐르트cs와 동계어)와 게르만어파에서 온 차용어 (예: 고트어에서 온 ''ylo|일로prg'' '송곳', 리투아니아어 ''ýla|일라lt'', 라트비아어 ''īlens|일렌스lv''와 같음), 스칸디나비아어파에서 온 차용어를 가지고 있었다.[10]
3. 역사
구(舊) 프로이센의 원래 영토는 프로이센 본토 외에 포메라니아 동부(비스와 강 동쪽 일부)를 포함했을 수 있다. 이 언어는 10세기부터 루스인과 폴란드인의 정복, 12세기부터 독일의 식민지화가 시작되기 전까지 폴레시아와 포들라시에의 일부가 된 지역에서도 사용되었을 수 있다.[18]
13세기경부터 라틴 문자로 기록되기 시작했지만, 남아있는 문헌은 극소수이다. 튜턴 기사단의 역사가인 시몬 그루나우(Simon Grunau)가 쓴 100여 개의 단어를 나열한 어휘집과, 1400년 전후쯤에 작성된 "엘빙 어휘집"에는 802개의 단어와 독일어 번역이 실려 있다. 1545년과 1561년에는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출판된 세 권의 교리문답서가 남아있는데, 엘빙 어휘집과 교리문답서는 음운, 어휘, 문법에서 차이를 보여 서로 다른 방언을 반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종교 개혁 이후 독일, 폴란드, 리투아니아, 영국 등에서 많은 이민이 유입되었고, 프로이센인은 점차 소수파가 되어 독일어를 사용하게 되면서 동화되었다. 고대 프로이센어는 18세기 초에 소멸한 것으로 보인다.
저지 독일어 계열의 동저지 독일어에 속하는 저지 프로이센어에는 고대 프로이센어에서 유래한 "kurp"(신발, 표준 독일어로는 Schuh)와 같은 단어가 몇 개 있다. 고대 프로이센어에서 유래한 지명도 많이 남아있었으나, 나치 시대에 지명의 독일어화가 진행되었고, 소련에 병합되면서 옛 지명이 폐지되어 사라졌다.
3. 1. 초기 역사
타키투스가 저술한 『게르마니아』에는 '아에스티족(Æsti)'이 언급되어 있는데, 이들이 고대 프로이센어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타키투스는 아에스티족을 "수에비족 (게르만족의 일부 부족)과 유사하지만 브리타니아풍의 언어(즉, 켈트어)를 사용한다"고 기록했다.
3. 2. 쇠퇴와 소멸
13세기에 튜턴 기사단이 고대 프로이센 영토를 정복하면서 폴란드어, 리투아니아어, 특히 독일어 사용자들이 유입되었다. 이로 인해 고대 프로이센어는 "억압받는 민족의 억압받는 언어"로서 400년 동안 쇠퇴했다.[19] 종교 개혁 기간과 그 이후, 독일, 폴란드,[20] 리투아니아, 스코틀랜드 왕국,[21] 잉글랜드 왕국,[22]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개신교도 참조) 등지에서 온 사람들이 프로이센에서 피난처를 찾았다.[23] 1709년부터 1711년까지 동프로이센의 시골과 도시를 휩쓴 기근과 대북방 전쟁 동안 발생한 흑사병으로 인해 남아있던 고대 프로이센어 사용자들이 많이 사망하면서, 18세기 초 무렵에는 사용이 중단되었을 가능성이 높다.[4][24]
3. 3. 부활 운동
1980년대에 언어학자 블라디미르 토포로프와 비타우타스 마지울리스는 프로이센어를 과학적 프로젝트이자 인도주의적 제스처로 재구성하기 시작했다. 그 후 일부 열성가들은 그들의 재구성에 기초하여 언어를 부활시키기 시작했다.[25]
현재 대부분의 화자는 독일, 폴란드, 리투아니아 및 칼리닌그라드(러시아)에 거주한다. 또한 부활한 프로이센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어린이가 몇 명 있다.[25]
오늘날 부활한 프로이센어에 대한 웹사이트, 온라인 사전, 학습 앱 및 게임이 있으며,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의 ''어린 왕자''가 피오트르 샤트코프스키(Pīteris Šātkis)에 의해 부활한 프로이센어로 번역되어 2015년 Prusaspirā 협회에서 출판되었다. 또한 로모웨 리코이토,[26] 켈란,[27] Āustras Laīwan과 같은 칼리닌그라드주 밴드와 Kūlgrinda(2005년 앨범 Prūsų Giesmės|프로이센 찬송가lt[28]), 라트비아의 Rasa 앙상블(1988년)[29], 발디스 묵투파벨스(2005년 오라토리오 "Pārcēlātājs Pontifex") 등 일부 밴드에서 부활한 프로이센어를 사용했다.[30]
4. 음운
고대 프로이센어의 음운 체계는 자음, 모음, 이중모음으로 구성된다.
4. 1. 자음
고대 프로이센어는 다음과 같은 자음을 가지고 있었다고 설명된다.[32]colspan="2" rowspan="2" | | 입술소리 | 치음/ 잇몸소리 | 뒤잇몸소리 | 여린입천장소리 | 목청소리 | |||||
---|---|---|---|---|---|---|---|---|---|---|
평음 | 입천장소리화 | 평음 | 입천장소리화 | 평음 | 입천장소리화 | 평음 | 입천장소리화 | |||
파열음 | 안울림소리 | |||||||||
울림소리 | ||||||||||
마찰음 | 안울림소리 | colspan="2"| | ||||||||
울림소리 | ||||||||||
콧소리 | ||||||||||
떨림소리 | ||||||||||
반모음 | colspan="2" | |
거의 모든 자음에서 입천장소리화(예: , )가 존재했다고 하며, 와 및 는 예외였을 수 있다. 구개음화가 음소적인지 여부는 불분명하게 남아있다.
구개음화를 제외하고는, 원시 발트어 자음이 거의 완전히 보존되었다. 가설로 제기된 유일한 변화는 원시 발트어 가 프로이센어 로 바뀌고, 이어서 원시 발트어 가 로 바뀐 것이다.
4. 2. 모음
다음은 스말스티그(Schmalstieg)의 음운론적 분석에 근거한다.[33]colspan="2" rowspan="2" | | 전설 | 중설 | 후설 | ||||
---|---|---|---|---|---|---|---|
단모음 | 장모음 | 단모음 | 장모음 | 단모음 | 장모음 | ||
고모음 | align="center" | | align="center" | | align="center" | | align="center" | | |||
중모음 | |||||||
저모음 |
4. 3. 이중모음
슐말슈티크는 다음 세 개의 고유 이중모음을 제안한다.[1]- au|auprg는 또한 구개음화 자음 뒤에서 중설 후설 이중 모음 eu|euprg로 실현되었을 수 있다.
- ui|uiprg는 차용어로 여겨지는 단어 cuylis|cuylisprg에 나타난다.
5. 문법
고대 프로이센어는 발트어파에 속하는 인도유럽어족 언어이다. 서부 발트어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수도비아어, 갈린디아어 등 다른 사멸된 서부 발트어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7] 리투아니아어, 라트비아어와 같은 동부 발트어와도 관련이 있으며, 슬라브어파와도 더 멀리 관련되어 있다.
고대 프로이센어는 슬라브어, 게르만어파, 고트어, 스칸디나비아어파에서 온 차용어를 가지고 있었다.[10] 예를 들어 고대 프로이센어 'curtisprg'(사냥개)는 슬라브어에서, 'yloprg'(송곳)는 고트어에서 차용되었다.
고대 프로이센어의 문법은 주로 세 개의 교리 문답서를 토대로 재구성된다.[35]
5. 1. 명사
고대 프로이센어의 문법은 주로 세 권의 교리문답서를 기반으로 재구성된다. 고대 프로이센어는 발트조어의 중성을 보존했으며, 따라서 성에는 남성, 중성, 여성의 세 가지가 있었다. 수의 경우 대부분의 학자들은 고대 프로이센어에 단수와 복수가 있었음에 동의하나 일부 학자들은 쌍수의 흔적도 식별된다고 주장한다.고대 프로이센어는 원시 발트어 중성을 보존했다. 따라서 세 개의 성(남성, 여성, 중성)을 가지고 있었다.[36]
대부분의 학자들은 고대 프로이센어에 단수와 복수, 두 개의 수가 존재한다고 보지만, 일부는 현존하는 자료에서 양수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고 간주한다.[38][39]
고대 프로이센어는 몇 개의 격을 가졌는지에 대한 합의는 없지만, 최소한 주격, 속격, 대격, 여격의 4가지 격은 서로 다른 접미사를 통해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오 주여'라는 뜻의 구절인 ''O Deiwe Rikijs|오 데이웨 리키스prg''에서 보듯이 호격의 흔적이 있다는 데 동의하며, 이는 o-어간 명사에서 주격 형태와 구별되는 상속된 원시 인도유럽어 호격 어미를 반영한다.
일부 학자들은 도구격 형태를 발견하지만, 전통적인 견해는 고대 프로이센어에 도구격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bītai|비타이prg ('저녁에')와 같은 장소격 형태가 있을 수 있다.[40]
명사 어미 변화 종류는 a-어간(o-어간이라고도 함), (i)ja-어간((i)jo-어간이라고도 함), ā-어간(여성형), ē-어간(여성형), i-어간, u-어간, 자음 어간이 있었다. 어떤 학자들은 ī/jā-어간을 별도의 어간으로 분류하기도 하고, jā-어간을 ā-어간에 포함시키고 ī-어간을 언급하지 않기도 한다.
5. 2. 형용사
고대 프로이센어의 형용사 어간에는 a-어간, i-어간, u-어간의 세 가지가 있었으며, 이 중 a-어간만이 명사의 성과 일치했다.[1][2]비교급과 최상급 형태도 존재했다.[2][3]
5. 3. 동사
고대 프로이센어의 동사 형태론에서는 현재, 미래, 과거 시제가 확인되며, 선택법 형태(동사의 명령형 또는 허용형과 함께 사용), 부정사, 그리고 네 개의 분사 (능동/수동 현재/과거)가 확인된다.[1]6. 기록 및 문헌
고대 프로이센어는 13세기경부터 라틴 문자로 기록되기 시작했지만, 남아있는 문헌은 극소수이며, 그 외 독일어 문헌 속에 기록된 단어가 남아있다. 현존하는 주요 기록 및 문헌은 다음과 같다:
- 어휘집:
- 튜튼 기사단의 역사가 시몬 그루나우가 쓴 100여 개의 단어를 나열한 어휘집.
- 1400년 전후쯤에 작성된 "엘빙 어휘집"으로, 802개의 단어와 독일어 번역을 싣고 있다.
- 단편 텍스트: 여러 문헌 출처에서 단편적인 텍스트나 여러 완성된 문장을 찾을 수 있다.
- 주님의 기도(Pater Noster|la) 첫 구절 필사본 조각: 15세기 초 작성.
-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옵소서prg''
- 바젤 에피그램: 1369년 작성된 가장 오래된 프로이센어 문장.
- Kayle rekyse\\thoneaw labonache thewelyse\\Eg koyte poyte\\nykoyte pênega doyte|안녕, 선생님!\\당신은 더 이상 좋은 어린 동지가 아닙니다.\\만약 당신이 마시길 원한다면\\(그러나) 한 푼도 주고 싶어하지 않는다면!prg
- 교리문답서: 1545년, 1545년, 1561년에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출판된 세 권의 교리문답서가 가장 완성된 텍스트이다.

엘빙 어휘집과 교리문답은 음운, 어휘, 문법 측면에서 체계적인 차이점을 보이는데, 일부 학자들은 이것이 서로 다른 방언을 반영한 기록이기 때문이라고 추정한다. 철자법은 저자에 따라 다르다. 많은 자료의 저자들은 고대 프로이센어를 능숙하게 구사하지 못했기 때문에, 모국어의 철자법 관례를 사용하여 들리는 대로 단어를 적었다. 예를 들어, 를 와 둘 다에 사용하는 것은 독일어 철자법에 근거한다. 게다가, 필자들은 몇몇 음소를 오해했고, 필사본을 복사할 때 추가적인 실수를 덧붙였다.[4]
6. 1. 지명
동프로이센 지역에는 사멸 이후에도 고대 프로이센어에서 유래한 지명이 다수 남아있었다. 그러나 1938년 나치 정부에 의해 지명이 변경되어 대부분 사라졌으며,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소련이 이 지역을 점령한 이후에는 역사와 무관한 새로운 러시아어 지명이 붙여지며 완전히 잊혔다. 나치 시대에는 지명의 독일어화가 진행되었고, 소련에 병합되면서 옛 지명이 폐지되어 사라진 지명도 있다.[1]6. 2. 어휘집
튜턴 기사단의 역사가 시몬 그루나우가 기록한 100개 단어 분량의 어휘집과, 802개의 주제별 분류된 단어와 그에 상응하는 독일어 단어로 구성된 엘빙 어휘집이 현존하는 고대 프로이센어 어휘 자료이다.[42] 시몬 그루나우의 어휘집은 년에 쓰여진 ''프러시아 연대기de''의 일부이며, sta nossen rickie, nossen rickieprg ('이것은 우리의 주님, 우리의 주님이다')라는 표현도 기록되어 있다. 엘빙 어휘집은 마리엔부르크 출신의 페터 홀크베서가 1400년경에 필사했으며, 원본은 14세기 초 또는 13세기 말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1825년 엘빙 상인 A. 그뤼브나우의 유산에서 발견되어 ''코덱스 노이마니우스la''라고 명명되었다.6. 3. 단편 텍스트
다양한 역사적 문서에서 개별 단어들이 발견되었다.[4]다음의 단편들은 일반적으로 프로이센어로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리투아니아어일 가능성이 높다(최소한 격언은 그렇지 않더라도 서 발트어 방언으로 주장되어 왔으며, 다른 곳에서는 언급되지 않은 방언이다[43]).
- 1583년의 격언, ''Dewes does dantes, Dewes does geitkabat'': 두 번째 구절의 ''doesprg''는 리투아니아어 미래 시제 ''duoslt'' ('줄 것이다')에 해당한다.
- ''Trencke, trencke!bat'' ('쳐라! 쳐라!')
15세기 초에 작성된 프로이센어 주님의 기도(Pater Noster) 첫 구절의 필사본 조각도 있다.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n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옵소서prg''
비타우타스 마주울리스는 16세기 중반 히에로니무스 말레티우스가 수도비안 서적에 여러 버전으로 기록한 몇 개의 단편 텍스트를 더 나열했다. 팔마이티스는 이를 수도비아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한다.[4]
- ''Beigeite beygeyte peckolleprg'' ('뛰어라, 뛰어라, 악마들아!')
- ''Kails naussen gnigetheprg'' ('안녕, 우리 친구!')
- ''Kails poskails ains par antresprg'' - 건배사로, ''Kaīls pas kaīls, aīns per āntranprg'' ('건배에 건배, 앙갚음에 앙갚음', 직역: '건강한 다음 건강한 것, 하나 다음에 다른 하나!')으로 재구성됨
- ''Kellewesze perioth, Kellewesze periothprg'' ('마부가 여기 운전해 오네, 마부가 여기 운전해 오네!')
- ''Ocho moy myle schwante panickeprg'' - ''O hoho Moi mile swente Pannikeprg'', ''O ho hu Mey mile swenthe panikoprg'', ''O mues miles schwante Panickprg'' ('오, 나의 사랑스러운 성스러운 불이여!')로도 기록됨
6. 4. 완성된 텍스트
사멸 이후에도 동프로이센 지역에는 고대 프로이센어로 된 지명이 다수 남아있었으나, 1938년 나치 독일 정부의 지명 변경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의 점령으로 대부분 사라졌다.프로이센어 어휘집은 크게 두 가지가 알려져 있다. 하나는 튜튼 기사단의 역사가인 시몬 그루나우(Simon Grunau)가 쓴 100여 개의 단어를 나열한 어휘집이고, 다른 하나는 1400년 전후쯤에 작성된 "엘빙 어휘집"으로 802개의 단어와 독일어 번역을 싣고 있다.
이외에 여러 문헌에서 단편적인 텍스트나 문장을 찾을 수 있으나, 가장 완성된 텍스트는 1545년, 1545년, 1561년에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출판된 세 권의 교리문답서이다. 엘빙 어휘집과 교리문답서는 음운, 어휘, 문법에서 차이를 보이는데, 일부 학자들은 이것이 서로 다른 방언을 반영한 것이라고 추정한다.
15세기 초에 작성된 프로이센어 주님의 기도(Pater Noster|la) 첫 구절의 필사본 조각이 있다.[44]
: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옵소서prg''
리투아니아 대공 부타우타스 켕스투타이티스의 궁정과 프라하에서 활동한 프로이센 필경사들이 작성한 여러 발문도 있다.
소위 바젤 에피그램은 가장 오래된 필사된 프로이센 문장이다(1369년).[44] 내용은 다음과 같다.
: Kayle rekyse\\thoneaw labonache thewelyse\\Eg koyte poyte\\nykoyte pênega doyte|
안녕, 선생님!\\
당신은 더 이상 좋은 어린 동지가 아닙니다.\\
만약 당신이 마시길 원한다면\\
(그러나) 한 푼도 주고 싶어하지 않는다면!prg
이 익살스러운 비문은 프라하 (카렐 대학교)에서 공부하던 프로이센 학생이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바젤 대학교 도서관에 보관된 필사본에서 발견되었다.
고대 프로이센어로 보존된 가장 긴 텍스트는 1545년, 1545년, 1561년에 쾨니히스베르크|de에서 인쇄된 세 개의 교리 문답서이다. 처음 두 개는 6페이지 분량의 텍스트이고, 두 번째는 첫 번째의 수정본이다. 세 번째 교리 문답서, 즉 ''Enchiridion''은 132페이지 분량의 텍스트로, 독일 성직자 아벨 빌(Abel Will)과 그의 프로이센 조력자 파울 메고트(Paul Megott)가 루터의 소 교리문답을 번역한 것이다. 빌 자신은 고대 프로이센어를 거의 알지 못했고, 그의 프로이센 통역가는 문맹이었지만 고대 프로이센어를 꽤 잘 구사했다고 한다. 텍스트 자체는 주로 단어 대 단어 번역이며, 빌은 메고트의 구두 번역을 음성적으로 기록했다. 이 때문에 ''Enchiridion''은 관사와 명사가 포함된 구절에서 격 일치 부족과 같은 많은 불규칙성을 보인다.[45]
"크레테의 흔적"은 파울루스 베네투스의 ''소 논리학'' 필사본에 발트족 작가가 하니아에서 추가한 짧은 시이다.[45]
: Atonayge maian meilan am ne wede maianwargan\\Taure ne stonais po pies piebsenabdolenai garai ragai\\Stonais po re পেন zaidant acha peda bete mede|
기꺼이/사랑하는 5월의 나무 아래에 서 있으라 – 5월의 나무는 너를 불행하게 하지 않는다\\
오록스, 소나무 아래에 서 있지 마라 – 뿔은 죽음을 가져온다.\\
피어있는 보리수 나무 아래에 서 있으라 – 벌이 여기에 꿀을 가져온다.prg
7. 다른 언어에 미친 영향
고대 프로이센어는 저지 독일어와 폴란드어 등에 영향을 주었다.
저지 독일어 방언인 저지 프로이센어에는 고대 프로이센어에서 유래한 단어가 몇 개 남아있다. 예를 들어 "kurp"(신발)는 고대 프로이센어의 "kurpi"에서 유래했다.
폴란드어의 경우, 마주제니에 기원에 대한 가설 중 하나는 폴란드화된 프로이센인들이 마주리아에서 특징적인 치경음과 후치경음 마찰음의 음운 합류를 시작했고, 이것이 퍼져나갔다는 것이다.
7. 1. 저지 독일어
저지 프로이센어(저지 독일어의 방언)에는 고대 프로이센어에서 유래한 단어들이 남아 있었다. 예를 들어 '신발'을 뜻하는 고대 프로이센어 kurpe|쿠르페prg에서 유래한 Kurp|쿠르프nds가 있는데, 이는 표준 독일어 Schuh|슈de와는 다른 단어였다.[12]7. 2. 폴란드어
마주제니에pl의 기원에 대한 가설 중 하나는 – 많은 폴란드 방언에서 치경음과 후치경음 마찰음의 음운 합류 – 폴란드화된 프로이센인들이 마주리아에서 (마주리아 방언 참조) 특징으로 시작되어 그곳에서 퍼져나갔다는 것이다.[17]8. 방언
엘빙 어휘집과 교리 문답서에는 음운론, 어휘, 문법에서 체계적인 차이점이 나타난다. 일부 학자들은 이것이 서로 다른 방언, 즉 포메자니아 방언[31]과 삼비아 방언[31]의 기록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음성학적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포메자니아 방언의 ''ē''는 삼비아 방언의 ''ī''와 같다(''sweta-|세계prg: swīta-|세계prg'').
- 포메자니아 방언의 ''ō''는 순음 뒤에서 삼비아 방언의 ''ū''와 같다(''mōthe|모테prg: mūti|무티prg'' '어머니').
- 포메자니아 방언의 ''ō''는 삼비아 방언의 ''ā''와 같다(''tōwis|토위스prg: tāws|타우쓰prg'' '아버지', ''brōte|브로테prg: brāti|브라티prg'' '형제'). 이는 여성 ā 어간의 주격 접미사에 영향을 미친다(''crauyō|크라우요prg: krawia|크라비아prg'' '피').
- 남성 o 어간의 주격 접미사는 포메자니아 방언에서 ''-is''로 약화되며, 삼비아 방언에서는 생략된다(''deywis|데위스prg: deiws|데우쓰prg'' '신').
어휘 차이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포메자니아 방언의 ''smoy|즈모이prg'' (리투아니아어 ''žmuo''와 비교), 삼비아 방언의 ''wijrs|위르스prg'' '남자'.
- 포메자니아 방언의 ''wayklis|와이클리스prg'', 삼비아 방언의 ''soūns|소운스prg'' '아들'.
- 포메자니아 방언의 ''samien|사미엔prg'', 삼비아 방언의 ''laucks|라우크스prg'' '들'.
중성 명사는 삼비아 방언보다 포메자니아 방언에서 더 자주 발견된다.
다른 사람들은 교리 문답서가 야트빙/수도비아어의 영향을 받은 프로이센어로 작성되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차이점은 다른 서부 발트어인 야트빙/수도비아어의 특징으로 설명될 수 있다.[31]
9. 예문
한국어 번역 | 구 |
---|---|
고대 프로이센어 | Prūsiskan|프로이시스칸prg |
안녕하세요? | Kaīls|카일스prg |
아침인사 | Kaīls Anksteīnai|카일스 앙크스테이나이prg |
안녕히 가세요 | Ērdiw|에르디우prg |
고맙습니다 | Dīnka|딘카prg |
얼마에요? | Kelli?|켈리prg |
네 | Jā|야prg |
아니오 | Ni|니prg |
화장실은 어디에 있습니까? | Kwēi ast Spaktāstuba?|크웨이 아스트 스팍타스투바prg |
(일반적인 건배사) | Kaīls pas kaīls aīns per āntran|카일스 파스 카일스 아인스 페르 안트란prg |
영어할 줄 알아요? | Bilāi tū Ēngliskan?|빌라이 투 엥글리스칸prg |
'''고대 프로이센어 주기도문''' (소위 "제1 교리 문답서"에서 발췌)[46]
Thawe nuson kas tu asse andangon.
Swintits wirst twais emmens.
Pergeis twais laeims.
Twais quaits audasseisin na semmey, key audangon.
Nusan deininan geittin deis numons schindeinan.
Bha atwerpeis numans nuson auschantins, kay mas atwerpimay nuson auschautenikamans.
Bha ny wedais mans enperbandan.
Sclait is rankeis mans assa wargan. Amen|타웨 누손 카스 투 아세 안당온.
스윈팃츠 위르스트 트와이스 엠멘스.
페르게이스 트와이스 라에임스.
트와이스 콰이츠 아우다세이신 나 셈메이, 케이 아우당온.
누산 데이니난 게이틴 데이스 누몬스 스친데이난.
바 아트웨르페이스 누만스 누손 아우스찬틴스, 카이 마스 아트웨르피마이 누손 아우스차우테니카만스.
바 니 웨다이스 만스 엔페르반단.
스클라이트 이스 란케이스 만스 아사 와르간. 아멘prg
참조
[1]
서적
Prūsų kalbos etimologijos žodynas
http://www.prusistik[...]
Mokslo ir enciklopedijų leidykla
[2]
서적
Old Prussian Written Monuments: Text and Comments
http://donelaitis.vd[...]
Lithuanian's World Center for Advancement of Culture, Science and Education
[3]
웹사이트
Prūsiska bilā
https://awizi.twanks[...]
2016-05-31
[4]
서적
The Indo-European Languages
Routledge
[5]
문서
e22
[6]
학술지
The Balts in the migration period
https://www.academia[...]
2017-01
[7]
서적
The Balts
Thames and Hudson
1963
[8]
서적
The History of the Lithuanian Language
Mokslo ir enciklopedijų leidykla
1996
[9]
서적
Prūsistikos pagrindai
Vilniaus universitetas
2015
[10]
백과사전
Baltic languages
http://www.britannic[...]
2022-11-09
[11]
학술지
Niederpreuſsisch
Franz Steiner Verlag
1921
[12]
서적
Annaberger Annalen
http://www.annaberge[...]
2005
[13]
학술지
Beobachtungen zur Wortgeographie Ostpreuſsens
Franz Steiner Verlag
1923
[14]
서적
Die altpreußischen Ortsnamen
https://klc.vdu.lt/p[...]
Vereinigung wissenschaftlicher Verleger
1922
[15]
서적
Stielers Hand-Atlas
Justus Perthes
1930
[16]
학술지
'Grenzlandpolitik' und Ostforschung an der Peripherie des Reiches. Das ostpreußische Masuren 1919–1945
[17]
서적
O tzw. mazurzeniu w języku polskim
[18]
서적
Foundations of Baltic languages
Vilniaus universitetas
2014
[19]
서적
Die altpreußischen Sprachdenkmäler
Vandenhoek & Ruprecht
1910
[20]
서적
A Short History of Austria-Hungary and Poland
http://historicaltex[...]
Encyclopaedia Britannica Company
1914
[21]
웹사이트
Scots in Eastern and Western Prussia, Part III – Documents (3)
http://www.electrics[...]
2007-02-18
[22]
웹사이트
Elbing als ehemaliger englischer Handelsplatz
http://www.elbing.de[...]
Magistrat der Stadt Elbing
1977
[23]
학술지
Language practices in a family of Prussian language revivalists: Conclusions based on short-term participant observation
Institute of Slavic Studies, Polish Academy of Sciences
2021
[24]
서적
Dictionary of Revived Prussian
http://donelaitis.vd[...]
2018-03-02
[25]
웹사이트
Little Prince Published in Prussian
http://culture.pl/en[...]
Adam Mickiewicz Institute
2015-02-17
[26]
웹사이트
ROMOWE RIKOITO – Undēina
http://www.dangus.ne[...]
Dangus
2014-08-29
[27]
웹사이트
Илья Левашов: То, что мы поем — это о нашей земле
https://day-off39.ru[...]
2020-10-11
[28]
웹사이트
Senoji prūsų kalba atgimsta naujausioje grupės KŪLGRINDA plokštelėje
http://www.dangus.ne[...]
Dangus
2014-08-29
[29]
서적
The Power of Song: Nonviolent National Culture in the Baltic Singing Revolu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30]
웹사이트
Oratorio "Pārcēlātājs Pontifex"
http://donelaitis.vd[...]
2022-11-15
[31]
간행물
Grammatical Incompatibility of 2 Main Prussian "Dialects" as Implication of Different Phonological Systems
https://klc.vdu.lt/p[...]
2001
[32]
서적
An Old Prussian grammar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991
[33]
학술지
Vytautas Mažiulis. Prūsų kalbos istorinė gramatika: recenzija
Latvijas Universitāte
2005
[34]
학술지
Dynamic Linguistics and Baltic Historical Phonology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35]
서적
Die preußische Sprache
De Gruyter Mouton
2019
[36]
서적
Die Sprache der alten Preußen an ihren Überresten erklärt
De Gruyter Mouton
2018
[37]
서적
Historical grammar of Old Prussian
Vilniaus universiteto leidykla
[38]
서적
Senprūšu valoda: Ievads, gramatika un leksika
Universitātes apgāds
1943
[39]
간행물
-ja stems and -e stems in the Elbing Vocabulary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Baltic Studies
[40]
서적
Prūsų kalbos etimologijos žodynas
Mokslas
1988
[41]
서적
Die altpreußischen Personennamen
Vandenhoeck & Ruprecht
1974
[42]
논문
Altpreußisches
Vandenhoeck & Ruprecht
1924
[43]
논문
Die sigmatischen Modus-Bildungen der indogermanischen Sprachen. Erste Abhandlung: Das baltische Futur und seine Verwandten
https://www.academia[...]
2014-08-29
[44]
웹사이트
The Old Prussian Basel Epigram
http://www.schaeken.[...]
[45]
논문
Ein Fund aus dem Jahre 1440: Ein bisher unbekannter Text in einer baltischen Sprache
https://www.academia[...]
[46]
논문
Zu Simon Grunaus Vaterunser
[47]
서적
Mithridates oder Allgemeine Sprachenkunde, mit dem Vater Unser als Sprachprobe in bey nahe fünfhundert Sprachen und Mundarten
Christian Friedrich Voß
2022-1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