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티앵 기욤 드 라무아뇽 드 말제르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레티앵 기욤 드 라무아뇽 드 말제르브는 18세기 프랑스의 법복 귀족 출신으로, 출판 통제국 국장, 루이 16세의 변호인, 국무 대신 등을 역임했다. 그는 계몽주의 사상의 영향을 받아 언론의 자유를 옹호하고, 루이 16세의 변호를 맡았으나 프랑스 혁명 이후 처형되었다. 말제르브는 언론 검열관으로서 디드로, 루소 등 계몽주의 사상가들의 저서 출판을 지원하는 등 진보적인 면모를 보였으며, 그의 사상은 증손자인 알렉시스 드 토크빌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드니 디드로 - 디드로 효과
디드로 효과는 특정 물건 구매 후 그와 어울리는 다른 물건을 계속 사게 되는 현상으로, 소비 습관, 사회적 과시, 마케팅 활용, 환경 문제 등과 관련되어 가치관 재정립과 소비 통제가 요구된다. - 프랑스의 법률가 - 시몬 베유 (정치인)
시몬 베유는 유대계 가정 출신으로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에서 생존한 프랑스의 정치인으로, 여성 권리 신장과 유럽 통합에 기여했으며, 보건부 장관 시절 낙태 합법화를 이끌었고 유럽 의회 의장을 역임하며 유럽 통합을 추진하여 프랑스 학사원 회원으로 선출, 팡테옹에 합장되었다. - 프랑스의 법률가 - 막시밀리앵 드 로베스피에르
막시밀리앵 드 로베스피에르는 프랑스 혁명 시기 공안위원회 위원으로 공포 정치를 주도한 변호사이자 정치가로, 계몽주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사회 개혁을 주장하며 자코뱅 클럽 지도자로서 급진적인 혁명 운동을 이끌었으나 테르미도르 반동으로 실각하여 처형당했다. - 1721년 출생 - 윌리엄 로버트슨
윌리엄 로버트슨은 스코틀랜드의 역사가이자 에든버러 대학교 총장으로, 스코틀랜드 역사, 카를 5세 황제 통치 시대 역사, 아메리카 역사 등의 저서를 통해 유럽 사회 발전에 대한 분석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에든버러 대학교 발전과 학계에도 기여했다. - 1721년 출생 - 임윤지당
임윤지당은 조선 후기 여성 성리학자로, 불우한 환경 속에서도 학문에 정진하여 독자적인 학문 세계를 구축하고 여성의 교육과 철학 접근 권리를 옹호했으며, 사후 《윤지당유고》를 통해 학문적 업적이 전해져 한국 여성 지성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크레티앵 기욤 드 라무아뇽 드 말제르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직함 | |
직함 | 국립 인쇄소 소장 |
임기 시작 | 1750년 |
임기 종료 | 1763년 |
직함2 | 세금 법원 의장 |
임기 시작2 | 1750년 |
임기 종료2 | 1775년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721년 12월 6일 |
출생지 | 프랑스 왕국, 파리 |
사망일 | 1794년 4월 22일 |
사망지 | 프랑스 제1공화국, 파리 |
직업 | 정치가, 정치인, 변호사 |
2. 생애
1721년 법복 귀족 가문인 라무아뇽 가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기욤 드 라무아뇽 드 블랑메닐은 훗날 재상이 되었다. 말제르브는 법률을 공부하여 1744년 파리 고등 법원의 평정관이 되었다. 1750년 아버지의 뒤를 이어 조세 법원장이 되었고, 동시에 출판 통제국 국장을 겸임했다.[3][4]
말제르브는 출판 통제국 국장으로 재직하며 디드로, 달랑베르의 《백과전서》, 콩디야크의 《감각론》, 루소의 《인간 불평등 기원론》, 《신 엘로이즈》, 《에밀》, 엘베시우스의 《정신론》, 볼테르의 《캉디드》 등 프랑스 18세기 사상을 대표하는 서적들이 순조롭게 간행될 수 있도록 도왔다. 프리드리히 멜키오르는 '말제르브의 도움이 없었다면 《앙시클로페디(Encyclopédie)》는 출판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하였다.[6] 그러나 1758년 《정신론》의 출판 허가가 취소되고, 1759년 《백과전서》가 간행 중단되는 등 어려움도 있었다.
1763년 아버지 기욤 드 라무아뇽 드 브랑메니가 루이 15세에게 미움을 사 추방되자 출판 통제국 국장을 사임했고, 1771년 조세 법원 폐지에 따라 조세 법원장에서도 물러났다. 이후 르네 니콜라 드 모푸가 제시한 새로운 사법부 방식에 반대하여 로아레주 말제르브의 영지로 좌천되기도 하였다.[10][11]
1775년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같은 해 루이 16세의 궁내 대신으로 임명되었으나, 이듬해 튀르고와 함께 사임했다. 1787년 국무 대신에 다시 임명되었지만, 그의 의견은 거의 반영되지 않았다. 두 번째 대신직을 사임할 무렵 《출판 자유론》을 집필하여, 진실 발견을 위한 국민의 자유로운 토론과 출판의 자유를 주장했다.
1789년 프랑스 혁명이 발발하자, 1792년 루이 16세의 변호인을 맡았다. 루이 16세는 말제르브에게 감사를 표했지만, 1793년 1월 처형되었다. 말제르브는 시골에 은거했으나, 1793년 12월 체포되어 1794년 4월 22일 가족과 함께 처형되었다.
2. 1. 초년과 초기 활동
1721년 12월 6일 파리에서 유명한 법률가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법복 귀족 가문으로, 아버지 기욤 드 라무아뇽 드 블랑메닐은 1750년에 재상으로 임명되었다.[25][3][4] 말제르브는 법률 공부를 하였고, 1744년 파리 고등법원 고문이 되었다.[3]1750년 아버지 기욤 드 라무아뇽 드 블랑메닐이 대법관으로 승진하자 말제르브는 조세법원 원장과 출판총감이 되었다.[3] 대법관의 임무 중 하나는 언론을 제어하는 것이었고, 말제르브의 아버지는 이 일을 말제르브에게 맡겼다. 그는 이 직무를 수행하면서 디드로와 루소를 포함한 파리의 문학 지도자들과 소통했다.[5]
18년의 재임기간 동안 말제르브는 법률가로서보다는 공직생활에 더 많이 연관되었다. 효율성을 위해서 그는 파리의 문학 지도자들과 교류하였으며, 특히 드니 디드로와 많은 교류를 나누었다. 그림 남작 프리드리히 멜키오르는 '말제르브의 도움이 없었다면 《앙시클로페디(Encyclopédie)》는 출판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하였다. 검열에 대한 그의 견해에 따라, 말제르브는 진정으로 "음란한" 책은 압수하고 단지 "방탕한" 책은 무시하도록 명령했다. 이는 그러한 구분이 없으면 경찰이 많은 상점 주인의 재고의 상당 부분을 압수하게 될 수도 있다는 믿음에서 비롯된 것이다.[6] 그는 백과전서의 출판에 기여했으며, 이는 교회, 특히 예수회에게 큰 놀라움을 안겨주었다.[7]
말제르브의 출판 통제국 국장 시대에는, 디드로, 달랑베르가 편집한 《백과전서》의 간행 시작(1751년), 콩디야크의 《감각론》(1754년), 루소의 《인간 불평등 기원론》(1755년) 《신 엘로이즈》(1761년) 《에밀》(1762년), 엘베시우스의 《정신론》(1758년), 볼테르의 《캉디드》(1759년) 등, 프랑스 18세기 사상을 대표하는 서적들이 잇따라 출판되었는데, 기독교 세력을 억누르면서, 그것들이 순조롭게 간행될 수 있도록 배려했다. 그러나 말제르브의 배려에도 불구하고, 1758년 《정신론》의 출판 허가가 취소되었고, 1759년 《백과전서》가 간행 중단에 몰렸다.
1763년, 아버지 기욤 드 라무아뇽 드 브랑메니가 루이 15세의 미움을 사서 추방되었기 때문에, 출판 통제국 국장을 사임했다. 1771년, 조세 법원 폐지에 따라 동 법원장을 사임했다.
2. 2. 공직 생활과 정치 개입
1771년 말제르브는 르네 니콜라 드 모푸가 제시한 새로운 사법부 일처리 방식에 대해 반대하며 정치에 개입하기 시작했다. 모푸의 방법은 사법부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했으나, 지나친 중앙집권화와 법관직 세습을 통한 법복 귀족 제도 폐지 시도로 인해 비판받았다.[10] 말제르브는 이에 강력히 반대하여 항의서를 발표했고, 그 결과 로아레주 말제르브의 영지로 좌천되었다.[11]루이 16세 즉위와 함께 의회가 복구되면서 말제르브는 다시 불려왔고, 1775년 국무장관이 되었다.[16] 그는 단 9달 동안 장관직을 유지하면서 치안에 힘쓰고, 국왕의 뜻대로 국민을 체포할 수 있는 봉인장(Lettre de cachet프랑스어) 남발을 막고자 했다.[18]
1776년 튀르고 내각에서 퇴임한 후, 말제르브는 지방에서 스위스, 독일, 네덜란드 등을 여행하며 평화로운 삶을 보냈다.[12] 1787년에는 개신교도 결혼에 대한 수필을 저술하여 세간의 관심을 끌었다. 또한, 그는 식물학 연구에도 매진하여 조르주루이 르클레르 드 부퐁을 비판하고 칼 린네의 식물 분류 체계를 옹호하는 글을 썼으며, 1750년부터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었다.[15][42] 프랑스 학사원 회원이기도 했던 말제르브는 과학과 문학에 심취하여 가족과 평화롭게 남은 일생을 보낼 듯 보였다.
그러나 1787년 말제르브는 국왕의 부름을 받고 잠시 공직을 맡았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전원생활로 돌아갔다. 이후 프랑스 상황이 악화되자 스위스로 이주하였다.
2. 3. 루이 16세 변호와 처형
1792년 12월, 말제르브는 이미 고령에 은퇴한 지 오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프랑수아 드니 트롱셰, 레이몽 드세즈 등과 함께 루이 16세를 변호하기 위해 프랑스로 돌아왔다.[17] 그는 국민공회 앞에서 국왕의 생명을 위해 변론했으며, 국왕에게 유죄 판결을 알리는 고통스러운 임무를 수행했다.[23] 그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루이 16세는 처형되었다.이후 시골로 돌아갔던 말제르브는 1793년 12월 딸, 사위 로상보 씨, 손자, 손녀와 함께 체포되었다.[42] 그는 파리로 다시 끌려와 가족과 함께 "망명자들과의 음모" 혐의로 포르-리브르 감옥에 수감되었고, 1794년 4월 23일 단두대에서 처형되었다.[24]
처형 당시, 말제르브는 감옥을 나서면서 발이 돌에 걸려 넘어졌다. 그는 슬픈 미소를 지으며 "이것은 나쁜 징조입니다. 로마인이었다면 돌아갔을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그의 사위 루이 르 펠르티에 드 로상보는 1794년 4월 21일에, 그의 딸 앙투아네트, 손녀 알린과 그의 남편 장 밥티스트 드 샤토브리앙은 4월 22일에 처형되었다.
3. 사상
말제르브는 평생 왕당파였지만, 프랑스를 변화시킨 급진적인 계몽주의 사조의 영향을 받았다.[25] 페넬롱과 몽테스키외의 저서를 읽고, 루소 및 튀르고와 친분을 맺으면서 영향을 받았다.[25][26] 그는 불공정하고 임의적인 과세 정책과 사치스러운 지출에 대해 군주제를 비판하며, 훗날 혁명가들이 인용한 불만을 인지했다.[27][28] 위계질서가 자연스럽고 바람직하다고 믿었지만, 그것이 행정과 사법에 미치는 왜곡된 영향에 대해 우려했다.[25] 귀족의 특권은 출생이 아닌 프랑스에 대한 봉사를 통해 얻어야 한다고 주장했다.[29] 또한 통치에 있어서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국왕이 여론과 불만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믿었다.[25]
3. 1. 검열관으로서의 활동
말제르브는 파리 법복 귀족 가문의 유명한 법조인 집안에서 태어나 법조인으로 교육받았다.[25][3] 1750년 그의 아버지 기욤 드 라무아뇽 드 블랑메닐이 재상으로 임명되면서, 말제르브는 쿠르 데 자이드의 의장 겸 서적 담당 국장으로 임명되었다.[4] 이 직책은 프랑스의 모든 검열을 감독하는 자리였으며, 이 직무를 수행하면서 디드로, 루소 등 파리의 문학 지도자들과 교류했다.[5]말제르브는 검열에 대한 자신의 견해에 따라, 진정으로 "음란한" 책은 압수하고 단지 "방탕한" 책은 무시하도록 명령했다. 이는 그러한 구분이 없으면 경찰이 많은 상점 주인의 재고 상당 부분을 압수하게 될 수도 있다는 믿음에서 비롯되었다.[6] 그는 백과전서 출판에 기여했으며, 이는 교회, 특히 예수회에게 큰 놀라움을 안겨주었다.[7]
말제르브의 온건하고 개혁적인 성향은 도서관 재임 기간 동안 여실히 드러났다. 그가 직에서 물러났을 때, 볼테르는 "M. 드 말제르브는 언론에 그 어느 때보다 더 많은 자유를 부여함으로써 끊임없이 인간 정신에 봉사했다"라고 썼다.[30] 실제로 당시 검열은 계몽주의에 자동적으로 적대적인 것으로 인식되지 않았다. 디드로와 달랑베르를 포함한 몇몇 주요 철학자들이 검열관으로 고용되었다.[31] 그는 정부의 권위와 종교를 공격하는 서적은 억압해야 한다고 믿었지만, 위험한 것으로 분류된 철학적 저술의 출판을 허용하기 위해 자주 검열관의 결정을 뒤집었다.[32]
한 유명한 사례로, 말제르브는 엘베시우스의 급진적인 저서에 왕실 특권을 부여했는데, 이로 인해 출간 당시 공론의 물의를 일으켰다. 결국 궁정은 왕실 특권을 철회했고, 의회는 그 책을 불태우라고 명령했다.[33] 또 다른 경우, 루소의 ''에밀''에 감명을 받은 말제르브는 자신의 권한을 넘어 이 책의 은밀한 출판을 조율했다.[34]
말제르브는 정부의 비효율성과 특권에 대한 광범위한 비판을 검열 관행에도 적용했다. 그는 너무 많은 책을 금지하는 것이 서적 거래를 억제하고 시행을 불가능하게 만들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더욱 관대한 검열 체제를 옹호했다.[35][36] 더욱이 그는 특정 책의 출판 또는 금지를 요청한 귀족에게 특혜를 거부함으로써 도서관의 전통을 깨뜨렸다.[37]
도서관에서 은퇴한 지 수십 년 후인 1788년, 말제르브는 자신의 저서 ''언론의 자유에 관한 회고록''을 출판했는데, 여기에서 그는 자신이 시행을 담당했던 검열 시스템을 비판했다. 프랑스 혁명 직전에, 그는 공론의 장려를 근거로 언론의 자유를 옹호했다. 검열 체제 하에서는 극단적인 저자만이 민감한 주제에 대해 출판할 위험을 감수할 것이고, 대중은 "공공에 가장 유용할" "온건하고 합리적인 저자"의 견해를 접하지 못할 것이라는 것이다.[38] 실제로 말제르브는 이제 "국민"이라는 혁명적 언어를 채택하여, 국가는 자유로운 토론을 통해서만 진실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오류"의 확산을 막는 데 검열보다 더 효과적이라고 주장했다.[39] 그러나 그는 검열의 개념을 버린 것은 아니었다. 대신 그는 자발적인 검열 제도를 구상했는데, 이는 출판 전에 공식적인 승인을 받으면 저자들이 아이디어에 대해 사후의 사법적 기소로부터 면제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었다.[40]
말제르브의 출판 통제국 국장 시대에는, 디드로, 달랑베르가 편집한 《백과전서》의 간행 시작(1751년), 콩디야크의 《감각론》(1754년), 루소의 《인간 불평등 기원론》(1755년) 《신 엘로이즈》(1761년) 《에밀》(1762년), 엘베시우스의 《정신론》(1758년), 볼테르의 《캉디드》(1759년) 등, 프랑스 18세기 사상을 대표하는 서적들이 잇따라 출판되었는데, 기독교 세력을 억누르면서, 그것들이 순조롭게 간행될 수 있도록 배려했다. 그러나 말제르브의 배려에도 불구하고, 1758년 《정신론》의 출판 허가가 취소되었고, 1759년 《백과전서》가 간행 중단에 몰렸다.
3. 2. 언론 자유 옹호
말제르브는 죽을 때까지 왕당파였지만, 계몽주의 사조의 영향을 받았다.[25] 페넬롱, 몽테스키외의 책을 읽고 루소, 튀르고와 교류하며 영향을 받았다.[25][26] 그는 불공정한 과세 정책과 사치스러운 지출에 대해 군주제를 비판하며 혁명가들이 পরবর্তীতে 제기할 불만을 인지했다.[27][28] 귀족의 특권은 출생이 아닌 프랑스에 대한 봉사를 통해 얻어야 한다고 주장했다.[29] 또한 통치에 있어서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국왕이 여론과 불만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믿었다.[25]말제르브의 온건하고 개혁적인 성향은 도서관장 재임 기간에 잘 드러났다. 볼테르는 그가 직에서 물러났을 때, "말제르브는 언론에 그 어느 때보다 더 많은 자유를 부여함으로써 끊임없이 인간 정신에 봉사했다"라고 썼다.[30] 당시 검열은 계몽주의에 자동적으로 적대적인 것으로 인식되지 않았고, 디드로, 달랑베르를 포함한 몇몇 주요 철학자들이 검열관으로 고용되었다.[31] 그는 정부 권위와 종교를 공격하는 서적은 억압해야 한다고 믿었지만, 위험한 것으로 분류된 철학 서적의 출판을 허용하기 위해 검열관의 결정을 자주 뒤집었다.[32] 엘베시우스의 급진적인 저서에 왕실 특권을 부여하여 논란을 일으켰고, 궁정은 왕실 특권을 철회했으며, 의회는 그 책을 불태우라고 명령했다.[33] 루소의 ''에밀, 또는 교육론''에 감명을 받은 말제르브는 자신의 권한을 넘어 이 책의 은밀한 출판을 돕기도 했다.[34]
말제르브는 정부의 비효율성과 특권에 대한 비판을 검열 관행에도 적용했다. 그는 너무 많은 책을 금지하는 것이 서적 거래를 억제하고 시행을 불가능하게 만든다고 주장하며, 더욱 관대한 검열 체제를 옹호했다.[35][36] 또한 특정 책의 출판 또는 금지를 요청한 귀족에게 특혜를 거부함으로써 도서관의 전통을 깨뜨렸다.[37]
1788년, 말제르브는 ''언론의 자유에 관한 회고록''을 출판하여 자신이 시행했던 검열 시스템을 비판했다. 프랑스 혁명 직전에, 그는 공론의 장려를 근거로 언론의 자유를 옹호했다. 검열 체제에서는 극단적인 저자만이 민감한 주제에 대해 출판할 위험을 감수할 것이고, 대중은 "공공에 가장 유용할" "온건하고 합리적인 저자"의 견해를 접하지 못할 것이라고 주장했다.[38] 그는 "국민"이라는 혁명적 언어를 채택하여, 국가는 자유로운 토론을 통해서만 진실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오류"의 확산을 막는 데 검열보다 더 효과적이라고 주장했다.[39] 그는 자발적인 검열 제도를 구상했는데, 이는 출판 전에 공식적인 승인을 받으면 저자들이 아이디어에 대해 사후의 사법적 기소로부터 면제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었다.[40]
4. 평가와 유산
말제르브는 사망 직후부터 전기 작가들에 의해 테러의 희생자로 묘사되며 낭만적인 인물로 그려졌다.[41] 1911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그를 "18세기의 가장 훌륭한 인물 중 한 명"으로 칭하며, "자신을 위해 아무것도 하지 않은 국왕을 위해 자신을 희생한 것은 진정한 자기 헌신"이라고 평가했다.[42]
그러나 최근 프랑스 학자 프랑수아 무로는 이러한 "성인전"적 전통을 비판하며, 말제르브의 경력에 나타난 모순, 즉 계몽주의 사상에 대한 개방성과 앙시앵 레짐 하에서 공직자로서의 헌신 사이의 갈등을 강조했다.[41] 조지 켈리는 그를 "야누스적인" 인물로 묘사하기도 했다.[25]
말제르브는 증손자 알렉시스 드 토크빌에게 존경받았으며, 역사가 로저 윌리엄스는 이를 "자유주의의 유산"이라 칭했다.[43]
파리의 말제르브 대로와 지하철 말제르브 역은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뤽 랑메스터의 가상 회고록 《나는 당신의 말을 얼마나 안 들었는가!》(Que ne vous-ai je écouté !)가 출판되었으며, 시계꽃과의 Malesherbia|마레셸비아속영어(구 마레셸비아과) 또한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4. 1. 현대의 재조명
말제르브는 죽을 때까지 왕당파였지만, 프랑스를 변화시킨 급진적인 계몽주의 사조의 영향을 받았다.[25] 페넬롱과 몽테스키외의 저서를 읽고, 루소와 튀르고와 친분을 맺으면서 영향을 받았다.[25][26] 그는 불공정하고 임의적인 과세 정책과 사치스러운 지출에 대해 군주제를 비판하며, 혁명가들이 인용한 불만을 인지했다.[27][28] 귀족의 특권은 출생이 아닌 프랑스에 대한 봉사를 통해 얻어야 한다고 주장했다.[29] 또한 통치에 있어서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국왕이 여론과 불만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믿었다.[25]말제르브의 온건하고 개혁적인 성향은 도서관 재임 기간 동안 여실히 드러났다. 볼테르는 "말제르브는 언론에 그 어느 때보다 더 많은 자유를 부여함으로써 끊임없이 인간 정신에 봉사했다"라고 썼다.[30] 그는 정부의 권위와 종교를 공격하는 서적은 억압해야 한다고 믿었지만, 위험한 것으로 분류된 철학적 저술의 출판을 허용하기 위해 자주 검열관의 결정을 뒤집었다.[32] 엘베시우스의 급진적인 저서에 왕실 특권을 부여했는데, 이로 인해 출간 당시 공론의 물의를 일으켰다.[33] 루소의 ''에밀, 또는 교육론''에 감명을 받은 말제르브는 자신의 권한을 넘어 이 책의 은밀한 출판을 조율했다.[34]
말제르브는 정부의 비효율성과 특권에 대한 광범위한 비판을 검열 관행에도 적용했다. 그는 너무 많은 책을 금지하는 것이 서적 거래를 억제하고 시행을 불가능하게 만들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더욱 관대한 검열 체제를 옹호했다.[35][36] 귀족에게 특혜를 거부함으로써 도서관의 전통을 깨뜨렸다.[37]
1788년, 말제르브는 ''언론의 자유에 관한 회고록''을 출판했는데, 여기에서 그는 자신이 시행을 담당했던 검열 시스템을 비판했다. 프랑스 혁명 직전에, 그는 공론의 장려를 근거로 언론의 자유를 옹호했다.[38] 그는 자발적인 검열 제도를 구상했는데, 이는 출판 전에 공식적인 승인을 받으면 저자들이 아이디어에 대해 사후의 사법적 기소로부터 면제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었다.[40]
말제르브가 사망한 지 몇 년 후부터 전기 작가들은 말제르브를 테러의 희생자 중 한 명인 낭만적인 인물로 묘사했다.[41] 1911년의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그를 "18세기의 가장 훌륭한 인물 중 한 명"으로 묘사했다.[42]
최근 프랑스 학자 프랑수아 무로는 이러한 "성인전"적 전통을 비판하며, 말제르브 경력의 모순점을 강조했다. 그는 새로운 계몽주의 사상에 대한 개방성과 앙시앵 레짐 내에서 공무원으로서의 역할을 다하려는 헌신에 의해 형성되었다.[41]
말제르브는 그의 증손자 알렉시스 드 토크빌에 의해 존경받으며 기억되었다. 역사가 로저 윌리엄스는 이러한 연결을 "자유주의의 유산"이라고 지적했다.[43]
파리의 말제르브 대로 및 지하철의 말제르브 역 명칭은 그를 기리고 있다.
뤽 랑메스터가 저술한 가상의 회고록 《나는 당신의 말을 얼마나 안 들었는가!》(Que ne vous-ai je écouté !)가 출판되었다.
시계꽃과의 Malesherbia|마레셸비아속영어(구 마레셸비아과)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5. 저서
말제르브의 과학 관련 논문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Obsurvations sur Buffon et Daubenton''이다. 이 논문은 말제르브가 젊은 시절에 적었다가 1798년 출판되었다. 그 외 분야의 논문에는 1809년에 출판된 ''Mémoire pour Louis XVI'', ''Mémoire sur la liberté de la presse''가 있다.[1]
참조
[1]
논문
The Political Thought of Lamoignon de Malesherbes
1979
[2]
서적
Diderot and the Art of Thinking Freely
Other Press
[3]
서적
Lamoignon de Malesherbes: Defender and Reformer of the French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4]
서적
Lamoignon de Malesherbes: Defender and Reformer of the French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5]
서적
Lamoignon de Malesherbes: Defender and Reformer of the French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6]
서적
The Forbidden Best-Sellers of Pre-Revolutionary France
https://www.worldcat[...]
Fontana Press
1997
[7]
서적
Malesherbes, Gentilhomme des Lumières
Editions de Fallois
[8]
서적
The French Monarchy(1483–1789)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서적
Lamoignon de Malesherbes: Defender and Reformer of the French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10]
서적
Lamoignon de Malesherbes: Defender and Reformer of the French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11]
서적
[12]
서적
Malesherbes (1721–1794): biographie d'un homme dans sa lignée
Editions Michel de Maule
[13]
서적
[14]
논문
Malesherbes: Botanist, Arborist, Agronome
2007-06
[15]
웹사이트
Les membres du passé dont le nom commence par M {{!}} Liste des membres depuis la création de l'Académie des sciences {{!}} Membres {{!}} Nous connaître
http://www.academie-[...]
2018-11-25
[16]
서적
Lamoignon de Malesherbes: Defender and Reformer of the French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17]
웹사이트
Guillaume-Chrétien de LAMOIGNON de MALESHERBES {{!}} Académie française
http://www.academie-[...]
2018-11-25
[18]
서적
Lamoignon De Malesherbes, Defender and Reformer of the French Monarchy, 1721–1794
Yale University Press
[19]
논문
The Political Thought of Lamoignon de Malesherbes
1979
[20]
서적
Lamoignon de Malesherbes: Defender and Reformer of the French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21]
서적
Lamoignon De Malesherbes, Defender and Reformer of the French Monarchy, 1721–1794
Yale University Press
[22]
서적
The Great French Revolution, 1789–1793
http://www.revoltlib[...]
New York: Vanguard Printings
[23]
서적
Lamoignon De Malesherbes, Defender and Reformer of the French Monarchy, 1721–1794
Yale University Press
[24]
서적
Lamoignon De Malesherbes, Defender and Reformer of the French Monarchy, 1721–1794
Yale University Press
[25]
논문
The Political Thought of Lamoignon de Malesherbes
1979
[26]
서적
Lamoignon de Malesherbes: Defender and Reformer of the French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27]
논문
The Political Thought of Lamoignon de Malesherbes
1979
[28]
서적
Lamoignon de Malesherbes: Defender and Reformer of the French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29]
서적
Lamoignon de Malesherbes: Defender and Reformer of the French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30]
서적
Malesherbes, Gentilhomme des Lumières
Editions de Fallois
[31]
서적
Malesherbes : la sagesse des Lumières
J. Picollec
1995
[32]
서적
Malesherbes : la sagesse des Lumières
J. Picollec
1995
[33]
서적
Malesherbes : la sagesse des Lumières
J. Picollec
1995
[34]
서적
Malesherbes, Gentilhomme des Lumières
Editions de Fallois
[35]
서적
Lamoignon de Malesherbes: Defender and Reformer of the French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36]
서적
Malesherbes : la sagesse des Lumières
J. Picollec
1995
[37]
서적
Malesherbes : la sagesse des Lumières
J. Picollec
1995
[38]
서적
Mémoires sur la librairie et sur la liberté de la presse
Paris
1809
[39]
서적
Malesherbes : la sagesse des Lumières
J. Picollec
1995
[40]
서적
Mémoires sur la librairie et sur la liberté de la presse
Paris
1809
[41]
간행물
Malesherbes et la censure : une histoire à relire ?
2018
[42]
문서
Chisholm
1911
[43]
간행물
From Malesherbes to Tocqueville: The Legacy of Liberalism
2006
[44]
서적
『マルゼルブ フランス一八世紀の一貴族の肖像』
[45]
서적
『マルゼルブ フランス一八世紀の一貴族の肖像』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