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로아티아-헝가리 타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로아티아-헝가리 타협은 1868년 크로아티아와 헝가리 간에 체결된 협정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이중 군주국 내에서 크로아티아의 지위를 규정했다. 타협을 통해 크로아티아는 내정, 종교, 교육 분야에서 자치권을 얻었지만, 군사, 재정, 외교 등 주요 분야는 헝가리의 통제를 받았다. 크로아티아 의회는 헝가리 의회에 대표를 파견하고 자치 정부를 구성했지만, 헝가리 총리가 추천하고 국왕이 임명하는 총독이 크로아티아를 통치했다. 타협 이후 크로아티아는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으로 불렸으며, 리예카 항구 문제는 타협으로 명확히 해결되지 않아 헝가리와 크로아티아 간의 갈등 요인으로 남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크로아티아-헝가리 타협
개요
리예카 관련 조항이
리예카 관련 조항이 "덧붙여진" 합의서
명칭크로아티아-헝가리 합의
원어 명칭 (크로아티아어)Hrvatsko-ugarska nagodba 흐르바츠코-우가르스카 나고드바
원어 명칭 (헝가리어)magyar–horvát kiegyezés 머저르-호르바트 키예제제시
원어 명칭 (독일어)Kroatisch-Ungarischer Ausgleich 크로아티슈-웅가리셔 아우스글라이히
목적오스트리아-헝가리 내 헝가리가 통치하는 지역에서 크로아티아의 정치적 지위를 규정하는 문서
상세 내용
체결 시기1868년

2. 배경

19세기 중반, 합스부르크 지역의 1848년 혁명과 요시프 옐라치치의 활약 이전까지 북부 크로아티아는 크로아티아 왕국과 슬라보니아 왕국으로 나뉘어 헝가리 왕국에 속해 있었지만, 실제로는 빈의 중앙 정부에 종속되어 있었다.[3] 남부 크로아티아의 달마티아 왕국은 1815년 합스부르크 군주국프랑스 제국으로부터 획득한 일리리아 주의 남부 지역으로, 오스트리아의 별도 행정 구역이었다.

186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타협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이중 군주국이 수립되면서 크로아티아와 슬라보니아는 헝가리의 관할 하에 놓이게 되었다. 이후 레빈 라우흐가 임시 크로아티아의 반이 되었고, 새로운 선거법을 통해 사보르에서 연합당이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많은 크로아티아인들은 남슬라브족의 완전한 자치를 추구하며 헝가리에 종속되는 것에 반대했다.[1]

2. 1. 1848년 혁명과 크로아티아

합스부르크 지역의 1848년 혁명과 요시프 옐라치치의 주목할 만한 행동 이전, 북부 크로아티아는 크로아티아 왕국과 슬라보니아 왕국으로 나뉘어 성 이슈트반 왕관령으로 인정받았고 헝가리 왕국의 관할 하에 있었지만, 실제로는 비엔나의 중앙 정부에 종속된 단일 왕국으로 기능했다. 1849년 이후, 슬라보니아와 크로아티아는 동일한 지위로 계속 기능했다.[3] 제국 관리들은 이 왕국을 단순히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이라고 불렀다.[4]

남부 크로아티아 지역인 달마티아 왕국합스부르크 군주국이 1815년 프랑스 제국으로부터 정복한 일리리아 주의 남부 지역으로 형성되었으며, 군주국의 오스트리아 부분의 별도 행정 구역으로 남았다.

2. 2. 186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타협의 영향

186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타협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이중 군주국이 수립되면서, 크로아티아와 슬라보니아의 합스부르크 왕관령은 사실상 통합되어 헝가리의 관할 하에 놓였다. 레빈 라우흐가 요시프 쇼크체비치를 대신하여 임시 크로아티아의 반이 되었다.[1]

반 라우흐는 1867년 10월 20일 국왕이 강제한 새로운 선거법을 준비했는데, 이 법은 선출된 대표 수를 66명으로 줄이고 비선출 대표(소위 "비릴리스트" 구성원)의 수를 늘렸다.[5] 1867년 11월 19일부터 12월 23일까지 치러진 선거에서 인민당은 단 14석을 얻었고, 라우흐의 연합당은 사보르에서 다수를 차지했다.

제국의 남슬라브족의 완전한 자치를 추구했던 많은 크로아티아인들이 이 조항에 반대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의심스러운 사보르 회기는 1868년 9월 24일 ''나고드바''를 수용함으로써 크로아티아의 헝가리 종속을 확인했다.[1]

크로아티아 왕국의 경계(1868년).

3. 주요 내용

헝가리 의회와 크로아티아 의회 간에 헌법 문제를 공동으로 제정하는 것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다. 이 타협안은 황제이자 헝가리의 사도왕인 폐하에 의해 확인, 시행, 승인된 후, 헝가리와 크로아티아, 슬라보니아, 달마티아의 공동 기본법으로 통합되었다.[6]

이 타협으로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이 성립되었으며, 1881년에 크로아티아 군사 변방과 슬라보니아 군사 변방이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에 통합되었다.[8][9]

타협은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17번)와 헝가리 왕국의 나머지 지역 간의 기존 영토 구분을 확인했다. 달마티아(5번)는 오스트리아-헝가리 내의 또 다른 크로아티아 왕국이었다.


크로아티아, 슬라보니아, 달마티아 삼위일체 왕국이라는 이름은 세 개의 크로아티아 왕국 모두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의 문장에 표시되었다.

3. 1. 자치 범위

크로아티아는 내정, 사법, 교육, 종교 분야에서 자치권을 행사했다. 크로아티아어는 공식 언어로 인정받았다. 크로아티아는 자체적인 의회(사보르)를 구성할 수 있었다.[6]

크로아티아에는 단원제 형식을 띤 자치 의회를 설치하고, 공동 업무·자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차원에서 헝가리의 총리가 추천하고 헝가리의 국왕(오스트리아의 황제를 겸임함)이 임명하는 총독을 수반으로 하는 크로아티아 자치 정부를 설치했다.[6]

헝가리 의회에는 크로아티아를 대표하는 의석 29석(1881년 크로아티아 군사 변방 및 슬라보니아 군사 변방의 재통합 후 40석)을 배정하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공통 업무에 관한 회담에서는 헝가리 대표단에 크로아티아를 대표하는 5명을 배정했다.[6] 크로아티아 의회는 하원에 29명(1881년 크로아티아 군사 변방 및 슬라보니아 군사 변방의 재통합 후 40명)의 대표를, 귀족원에는 2명의 의원(1881년 이후 3명)을 선출했다.[7]

군사·재정 관리·사법·행정·해양법·상법·환어음법·광업법, 상업·관세·전신·우편·철도·항만·선박·도로·하천 관련 문제 등 헝가리가 관할하는 분야는 헝가리·크로아티아가 공동으로 담당하는 업무, 크로아티아가 단독으로 담당하는 자치 업무로 나뉘었다. 크로아티아에서 부과되는 세금의 45%는 공동 업무에, 55%는 자치 업무에 충당했다.[6]

3. 2. 헝가리의 통제

군사, 재정, 외교, 통상 등 주요 권한은 헝가리가 장악했다. 크로아티아는 헝가리 의회에 대표를 파견했지만, 그 수는 제한적이었다.[7] 크로아티아 총독(반)은 헝가리 총리의 추천을 받아 헝가리 국왕(오스트리아 황제 겸임)이 임명하는 구조였다.

헝가리는 군사, 금융 시스템, 입법 및 행정, 해상법, 상법, 어음법 및 광산법을 통제하고, 상업, 관세, 전신, 우체국, 철도, 항구, 해운, 헝가리와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에 공동으로 관련된 도로 및 강과 같은 문제를 통제했다.[7]

헝가리 의회에서 크로아티아 대표는 하원에 29명(1881년 크로아티아 군사 변방 및 슬라보니아 군사 변방의 재통합 후 40명), 귀족원에는 2명(1881년 이후 3명)이었다.[7]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공통 업무에 관한 회담에서는 헝가리 대표단에 크로아티아를 대표하는 5명을 배정했다.

크로아티아에서 부과되는 세금의 45%는 헝가리와 크로아티아가 공동으로 담당하는 업무에, 55%는 크로아티아가 단독으로 담당하는 자치 업무에 충당되었다.

3. 3. 리예카(피우메) 문제

리예카 (피우메) 항구 문제는 명확하게 해결되지 않았다. 크로아티아는 리예카를 자국의 영토로 보았지만, 헝가리는 이를 ''별도 자치구''로 보았다.[8]

4. 타협의 결과 및 영향

헝가리-크로아티아 타협은 크로아티아에 제한적인 자치를 허용했지만, 실질적인 권한은 헝가리가 장악하는 구조였다. 이로 인해 크로아티아 내에서는 불만이 지속되었고, 완전한 독립을 요구하는 민족주의 운동이 강화되었다. 헝가리는 타협을 통해 크로아티아를 안정적으로 통제하려 했지만, 장기적으로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해체를 막지 못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되면서 크로아티아는 독립을 이루게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Britannica 2009 Nagodba http://www.britannic[...] Britannica 2009
[2] 웹사이트 Short overview of the political and cultural history of the Republic of Croatia http://www.hr/croati[...] Dragutin Pavličević
[3] 웹사이트 Hrvatska pravna povijest 1790. - 1918. http://www.vsrh.hr/E[...] Library of the Supreme Court of Croatia
[4]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Union between Croatia-Slavonia and Hungary http://www.h-net.org[...]
[5] 서적 Najnovije doba hrvatske povijesti Matica hrvatska
[6] 웹사이트 The Hungaro-Croatian Compromise of 1868 http://www.h-net.org[...]
[7]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Union between Croatia-Slavonia and Hungary http://www.h-net.org[...]
[8] 간행물 Hrvatsko-ugarska nagodba u zrcalu tiska http://hrcak.srce.hr[...] University of Rijeka 2007-12
[9] 간행물 Političko-teritorijalna podjela i opseg civilne Hrvatske u godinama sjedinjenja s vojnom Hrvatskom 1871–1886 http://hrcak.srce.hr[...] University of Zagreb, Faculty of Political Sciences 20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