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아티아 철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로아티아 철도는 1991년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설립되었으며, 자그레브를 중심으로 주요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2004년 기준 2,974km의 철도망을 갖추고 있으며, 일부 구간은 복선 및 전철화되어 있다. 크로아티아는 철도 현대화를 추진하여 노선 개선과 고속철도 확대를 계획하고 있으며, 틸팅 열차 도입을 통해 운행 시간을 단축하고 있다. 현재 최고 영업 속도는 160km/h이며, 시험 운행에서는 185km/h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로아티아의 공기업 - 크로아티아 항공
크로아티아 항공은 1989년 설립되어 1990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크로아티아의 국영 항공사이며, 스타얼라이언스 회원으로 에어버스 A220, A319, A320, 봄바디어 대시 8-Q400 기종을 운용하고 2026년까지 에어버스 A220 기종으로 기단을 현대화할 예정이다. - 크로아티아의 공기업 - HRT
HRT(크로아티아 라디오 텔레비전)는 1926년 라디오 방송을 시작한 크로아티아의 국영 방송사로, 여러 채널을 통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해외 거주 크로아티아인들을 위한 국제 방송 서비스도 운영하는 크로아티아의 대표적인 미디어 기관이다. - 1991년 설립된 철도 기업 - 수도권 신도시 철도
수도권 신도시 철도는 아키하바라역에서 쓰쿠바역까지 쓰쿠바 익스프레스 선을 운영하는 일본의 철도 회사이며, TX-1000계, TX-2000계, TX-3000계 전동차를 사용하고, 저작권 침해 소송에서 패소한 이력이 있다. - 1991년 설립된 철도 기업 - 아제르바이잔 철도
아제르바이잔 철도는 제정 러시아 시대에 시작되어 소련 시대를 거쳐 아제르바이잔 독립 후 재편된 국영 기업으로, 석유 수출 화물 운송과 국제 철도 노선 연결을 통해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크로아티아 철도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흐르바츠케 젤예즈니체 (크로아티아 철도) |
약칭 | HŽ |
형태 | 정부 소유 기업 |
설립 | 1991년 |
본사 위치 | 자그레브 |
국가 | 크로아티아 |
산업 | 철도 운송, 철도 건설, 서비스 |
모기업 | 크로아티아 정부 |
추가 정보 |
2. 역사
크로아티아 철도는 유고슬라비아 철도(JŽ) 자그레브 지부에서 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이후 유고슬라비아 해체로 크로아티아가 독립하면서 설립되었다. 초기에 보유한 차량은 유고슬라비아 해체 당시 물려받은 것이었다.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현대화되었고, 현재 추가적인 현대화가 진행 중이다.[5]
오늘날 크로아티아 공화국의 영토(당시 오스트리아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일부)에 첫 철도 구간이 1860년 메지무르예에 건설되었다. 헝가리의 너지카니저에서 차코베츠와 코토르리바를 거쳐 슬로베니아의 프라게르스키까지 이어지는 철도 노선이었다. 비록 철도의 작은 부분만이 크로아티아 영토를 통과했지만(메지무르예는 철도 건설 당시 크로아티아의 일부였지만, 1861년 1월 비엔나의 결정에 따라 헝가리에 병합되었다), 이는 1825년 영국 스톡턴과 달링턴 사이에 최초의 유럽 철도가 개통된 지 35년 만에 건설되었다.[5] 1873년에는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중요한 항구인 리예카를 트리에스테(그리고 더 나아가 비엔나)와 자그레브(그리고 더 나아가 부다페스트)와 연결하는 철도가 개통되었다.[6]
2006년 회사는 없어지고 그 자산은 새로 설립된 회사인 HŽ Hrvatske Željeznice Holding d.o.o.가 인수했다. 이후 운영은 인프라 관리(HŽ Infrastruktura), 여객 운송 운영(HŽ Putnički prijevoz), 화물 운송 운영(HŽ Cargo) 및 견인/기관차(HŽ Vuča vlakova)를 담당하는 지주의 4개 자회사에서 제공했다.[7]
EU 지침 91/440에 따라[8] EU 회원국은 "철도 운영 및 인프라 관리와 철도 운송 서비스 제공을 분리"해야 하며, 2012년 11월 1일 지주 회사는 해체되었고, 세 개의 운영 회사는 완전히 독립되었다.
- HŽ Cargo d.o.o. (화물 운송 담당)
- HŽ Putnički prijevoz d.o.o. (여객 운송 담당)
- HŽ Infrastruktura d.o.o. (철도 인프라 담당)
같은 날짜부터 HŽ Vuča vlakova는 HŽ Cargo에 통합되었다.[9]
3. 철도망
크로아티아의 철도망은 2004년 기준으로 총 연장 2,974km이며, 이 중 248km가 복선화, 1,228km(41.3%)가 전철화되었다.[1]
전철화 방식은 유고슬라비아 시대에는 직류 3kV였으나, 이후 자그레브 - 베오그라드 간 현대화 과정에서 교류 25kV/50Hz가 사용되었고, 직류 전철화 노선의 교류 전철화로의 변경도 이루어졌다.[1] 그럼에도 직류 전철화 노선이 남아있어, 크로아티아 철도는 교직류 양용 전기 기관차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1]
주요 노선은 수도 자그레브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다.[1]
- M101호선: 자그레브 - 사브스키 마로프 (→류블랴나)
- M102호선, M103호선, M105호선: 자그레브 - 트바르니크 (→베오그라드)
- 자그레브에서 코프리브니차를 경유하여 오시예크로 가는 노선
- 자그레브에서 리에카로 가는 노선
- 자그레브에서 스플리트로 가는 노선
이 외에도 슬로베니아, 헝가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등 인접 국가로 연결되는 노선이 있다.[1]
4. 노선 개선 및 현대화
크로아티아 철도에서 열차의 최고 허용 속도는 160km이다. 인프라 측면에서 볼 때, 지정된 속도는 현재 국제 회랑인 노브스카-토바르니크의 일부 구간, 보다 정확히는 노브스카-오쿠차니와 빈코브치-토바르니크의 비교적 짧은 구간에서 달성할 수 있다. 현재 크로아티아의 철도 최고 속도 기록은 185km이다. 이 기록은 노브스카와 노바 그라디슈카 사이의 선로에서 세워졌다. 이 운행은 라데 콘차르가 제작한 JŽ 442 전기 기관차 클래스(현재 HŽ1142 열차 클래스)가 제공하는 가능성을 보여주기 위해 수행되었다.[1]
4. 1. 현황 및 문제점
크로아티아 철도는 긴급한 현대화가 필요하다. 유고슬라비아 연방 해체 이후 철도 설비에 최소한의 투자만 이루어져 왔다. 주요 간선의 대부분은 단선·비전철화 상태이다. 또한 국토가 평지가 적고 산악 지형이 많아 급경사, 급곡선이 많아 열차 속도가 느리다.최근 10년간 개선이 이루어져 자동차의 편리함에 대항할 수 있는 수준까지 철도를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국내 영업 최고 속도는 160km/h이며, 시험 운전에서는 185km/h이다. 선로 개량으로 자그레브 - 빈코브치 간 노선에서 최고 속도가 80km/h에서 120km/h, 나아가 160km/h로 상향되었다.
최근에는 봄바르디아사에서 제작한 신형 틸팅 레기오스윙어가 도입되어, 2대 도시인 자그레브와 스플리트를 잇는 산악 노선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열차 이름은 ICN (InterCity Nagibni, 틸팅인터시티 특급)이며, 이 구간의 소요 시간은 기존 9시간에서 5시간 30분으로 단축되었고, 차내 설비도 개선되어 쾌적해졌다. 이 차량은 다른 여러 도시로 운행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고속철도를 확대할 계획도 있다. 카를로바츠 - 리예카 간에 신선을 건설하고, 헝가리 국경에서 카를로바츠까지는 기존선을 개량하는 사업이 2007년에 착공되었으며, 전선 전철화, 고속화와 리예카 항만에서 동유럽 내륙부로의 화물 수송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다.
4. 2. 개선 노력
크로아티아 철도는 긴급한 현대화가 필요하다. 유고슬라비아 연방 해체 이후 철도 설비에 최소한의 투자만 이루어져 왔다. 주요 간선의 대부분은 단선·비전철화 상태이다. 또한 국토가 평지가 적고 산악 지형이 많아 급경사, 급곡선이 많아 열차 속도가 느리다.최근 10년간 개선이 이루어져 자동차의 편리함에 대항할 수 있는 수준까지 철도를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국내 영업 최고 속도는 160km/h이며, 시험 운전에서는 185km/h이다. 선로 개량으로 자그레브 - 빈코브치 간 노선에서 최고 속도가 80km/h에서 120km/h, 나아가 160km/h로 상향되었다.
최근에는 봄바르디아사에서 제작한 신형 틸팅 레기오스윙어가 도입되어, 2대 도시인 자그레브와 스플리트를 잇는 산악 노선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열차 이름은 ICN (InterCity Nagibni, 틸팅인터시티 특급)이며, 이 구간의 소요 시간은 기존 9시간에서 5시간 30분으로 단축되었고, 차내 설비도 개선되어 쾌적해졌다. 이 차량은 다른 여러 도시로 운행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고속철도를 확대할 계획도 있다. 카를로바츠 - 리예카 간에 신선을 건설하고, 헝가리 국경에서 카를로바츠까지는 기존선을 개량하는 사업이 2007년에 착공되었으며, 전선 전철화, 고속화와 리예카 항만에서 동유럽 내륙부로의 화물 수송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다.
5. 기관차 및 트레인세트
크로아티아 철도는 전기 기관차, 디젤 기관차, Shunting 디젤 기관차, 전기 트레인세트, 디젤 트레인세트 등 다양한 종류의 기관차와 트레인세트를 운영하고 있다. 각 차량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전기 기관차
- 25 kV 전기 기관차
- * HŽ 1141.0
- * HŽ 1141.1
- * HŽ 1141.2
- * HŽ 1141.3
- * HŽ 1142.0

유고슬라비아 시대에는 직류 3kV 방식이었으나, 이후 자그레브 - 베오그라드 간 현대화 과정에서 교류 25kV/50Hz가 사용되었고, 직류 전철화 노선도 교류로 변경되었다. 그럼에도 직류 전철화 노선이 존재하기 때문에 크로아티아 철도는 교직류 양용 전기 기관차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1]
5. 2. 디젤 기관차

- HŽ 2041
- HŽ 2044
- HŽ 2062.0
- HŽ 2063.0
5. 3. Shunting 디젤 기관차
크로아티아 철도에는 다음과 같은 Shunting 디젤 기관차가 있다.차량 번호 |
---|
HŽ 2132.0 |
HŽ 2132.1 |
HŽ 2132.2 |
HŽ 2132.3 |
5. 4. 전기 트레인세트
- HŽ 6111.0
- HŽ 6112.0
5. 5. 디젤 트레인세트
크로아티아 철도에는 다음과 같은 디젤 트레인세트가 운행 중이다.- HŽ 7022.0
- HŽ 7023.0
- HŽ 7121.0
- HŽ 7121.1
- HŽ 7122.0
- HŽ 7123.0
최근에는 봄바르디아사에서 제작한 신형 틸팅 레기오스윙어가 도입되어, 자그레브와 스플리트를 잇는 산악 노선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열차 이름은 ICN (InterCity Nagibni, 틸팅 인터시티 특급)이며, 이 구간의 소요 시간은 기존 9시간에서 5시간 30분으로 단축되었고, 차내 설비도 개선되어 쾌적해졌다. 이 차량은 다른 여러 도시로 운행을 확대할 계획이다.
6. 기술 정보
크로아티아 철도의 전철화는 초기에 구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결정에 따라 3 kV DC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는 산악 지형인 고르스키 코타르 지역을 통과하는 리예카-자그레브선에서 기존 디젤 열차보다 더 강력한 열차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자그레브-베오그라드 철도 노선 현대화부터 25 kV/50 Hz 전철화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이후 크로아티아의 다른 노선 전철화는 25 kV/50 Hz로만 이루어졌다. 자그레브–리예카 노선의 대부분이 25 kV/50 Hz로 재전철화되었으나, 2012년 12월까지 모라비체에 3 kV DC 구간이 남아있어 전력 시스템 단절이 발생하기도 했다. HŽ는 이중 전압 기관차 구매를 고려했으나, 현재 크로아티아의 모든 전철화 철도가 25 kV/50 Hz를 사용함에 따라 이 계획은 폐기되었다.
크로아티아의 모든 철도 전력 시스템은 가공 전차선 방식이다.
크로아티아 철도에서 열차의 최고 허용 속도는 160km/h이다. 현재 국제 회랑인 노브스카-토바르니크의 일부 구간(노브스카-오쿠차니, 빈코브치-토바르니크)에서 이 속도를 달성할 수 있다. 노브스카와 노바 그라디슈카 사이 선로에서 기록된 최고 속도는 185km/h이다. 이 기록은 라데 콘차르가 제작한 JŽ 442 전기 기관차(현재 HŽ1142 열차)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 세워졌다.
항목 | 내용 |
---|---|
최고 운행 속도 | 160km/h |
열차 방호 장치 | INDUSI (Punktförmige Zugbeeinflussung의 간략화된 파생형) |
신호 시스템 | 현시 신호 방식, 자동 폐색 장치 (간선 및 해당되는 경우) |
참조
[1]
웹사이트
Zakon o podjeli trgovačkog društva HŽ - Hrvatske željeznice d.o.o.
https://www.zakon.hr[...]
2012
[2]
PDF
https://podaci.dzs.h[...]
2024-08
[3]
웹사이트
STATISTIKA ZA 2019
http://www.hzpp.hr/M[...]
2020
[4]
웹사이트
Railway Statistics – 2017 Synopsis
https://uic.org/IMG/[...]
International Union of Railways, IUC
2019-06-11
[5]
문서
Stotinu i pedeset godina željeznice u Hrvatskoj
http://www.szz.hr/wp[...]
2015-02-08
[6]
Webarchive
OBILJEŽENA 140. OBLJETNICA PRUGE KARLOVAC - RIJEKA
http://www.rijeka.hr[...]
2013-10-23
[7]
보고서
Croatia - Railway Policy Note
https://documents.wo[...]
The 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the World Bank Office, Croatia
2024-07-17
[8]
웹사이트
Rail Transport and Interoperability (overview of directive 91/440)
http://ec.europa.eu/[...]
European Union
2007-07-06
[9]
웹사이트
HŽ Cargo - bankrot nebo privatizace
https://www.zelpage.[...]
2024-07-18
[10]
웹인용
STATISTIKA ZA 2019
http://www.hzpp.hr/M[...]
2020
[11]
웹인용
Railway Statistics – 2017 Synopsis
https://uic.org/IMG/[...]
International Union of Railways, IUC
2019-06-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