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터 스텐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리스터 스텐달은 신약성서 연구, 종교 간 대화, 기독교-유대교 화해에 기여한 스웨덴 출신의 신학자이자 스톡홀름 주교였다. 웁살라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하버드 대학교 신학대학원 교수 및 학장, 샬롬 하트만 연구소 종교 다원주의 센터 소장 등을 역임했다. 그는 사도 바울의 신학을 연구하며 서구적 자기 성찰적 양심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스텐달의 종교적 이해에 대한 세 가지 규칙'을 제시하여 종교 간 대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웨덴의 신학자 - 구스타프 아울렌
구스타프 아울렌은 룬드 신학의 주요 인물로서 『그리스도 승리자』를 통해 속죄 이론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스웨덴 교회의 찬송가 곡을 작곡하고 스웨덴 왕립 음악 아카데미의 회장을 역임한 스웨덴의 신학자, 교수, 주교였다. - 20세기 개신교 신학자 - 조지 린드벡
조지 린드벡은 중국과 한국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미국의 루터교 신학자이자 예일 대학교 교수로서, 중세 연구와 교회일치운동에 참여했으며, 특히 포스트리버럴 신학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 《교리의 본질》을 저술하여 종교를 문화-언어적 체계로 이해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 - 20세기 개신교 신학자 - 위르겐 몰트만
위르겐 몰트만은 1926년 독일에서 태어나 2024년 사망한 독일의 개신교 신학자이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기독교 신앙을 갖게 된 후 희망, 십자가, 삼위일체 등에 관한 저술을 통해 20세기 후반 가장 영향력 있는 신학자로 평가받는다. - 2008년 사망 - 찰스 틸리
찰스 틸리는 미국의 사회학자, 정치학자, 역사학자로, 역사 사회학, 사회 운동, 국가 형성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며 관계적, 과정 중심적 접근 방식으로 사회과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2008년 사망 - 에드먼드 힐러리
에드먼드 힐러리는 1953년 텐징 노르가이와 함께 인류 최초로 에베레스트 산 정상에 등정하고, 남극과 북극을 모두 정복했으며, 히말라야 지역 셰르파족을 위한 자선 활동에도 헌신한 뉴질랜드의 등반가, 탐험가, 자선가이다.
크리스터 스텐달 | |
---|---|
기본 정보 | |
이름 | 크리스터 스텐달 |
출생일 | 1921년 4월 21일 |
출생지 | 스웨덴, 할름스타드, 세난 |
사망일 | 2008년 4월 15일 |
사망지 |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
국적 | 스웨덴 |
종교 | 루터교 |
직업 정보 | |
직업 | 신학자 |
소속 교단 | 스웨덴 교회 |
교육 정보 | |
경력 | |
주교 임명 | 1984년 6월 7일 |
교구 | 스톡홀름 |
임기 시작 | 1984년 |
임기 종료 | 1988년 |
이전 | 라스 칼손 |
이후 | 헨리크 스벤눙손 |
서품 | 1944년 12월 17일 |
서품자 | 만프레드 비에르크비스트 |
주교 서임 | 1984년 10월 7일 |
서임자 | 베르틸 베르크스트룀 |
가족 정보 | |
배우자 | 브리타 욘손 |
자녀 | 3명 |
2. 생애
크리스터 스텐달은 웁살라 대학교에서 신약성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고, 하버드 대학교 신학대학원 교수 및 학장, 스톡홀름 주교 등을 역임했다. 예루살렘 샬롬 하트만 연구소의 종교 다원주의 센터 소장으로도 활동했다. 1989년 은퇴 후 미국으로 돌아와 하버드 신학대학원 명예 교수로 재직했고, 브랜다이스 대학교에서도 가르쳤다. 대학원 신학 재단 명예 펠로우였으며, 휘티어 칼리지에서 명예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스텐달은 "사도 바울과 서구의 자기 성찰적 양심"이라는 논문과 "유대인과 이방인 사이의 바울"이라는 책을 통해 바울 연구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 그는 초기 기독교의 유대인 기독교인과 이방인 개종자 간의 긴장을 중심으로, 바울의 주요 관심사가 이방인들을 하나님의 언약에 포함시키는 문제였다고 주장했다. 또한 바울에 대한 과도하게 심리적인 해석을 비판했다.
그는 빌라노바 대학교 신학 연구소에 참여했고, 유대교 연구와 기독교-유대교 화해에도 적극적으로 활동했다.
스텐달은 종교적 이해에 대한 세 가지 규칙을 제시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번호 | 내용 |
---|---|
1 | 다른 종교를 이해하려면 그 종교의 반대자가 아닌 신봉자에게 질문해야 한다. |
2 | 자신의 종교가 가진 최고의 가치를 다른 종교가 가진 최악의 가치와 비교하면 안 된다. |
3 | "거룩한 질투"를 위한 여지를 남겨두어야 한다. (다른 종교에서 존경받는 가치를 자신의 종교에도 반영하려는 노력을 의미한다.) |
2. 1. 초기 생애 및 학문 활동
크리스터 스텐달은 1954년 웁살라 대학교에서 "마태오의 학파와 구약 성서의 사용"이라는 논문으로 신약성서 연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하버드 대학교 신학대학원 교수로 재직하며 학장으로도 활동했으며, 1984년 스톡홀름 주교로 선출되었다. 예루살렘에 있는 샬롬 하트만 연구소의 종교 다원주의 센터의 두 번째 소장이었다. 1989년 은퇴 후 미국으로 돌아와 하버드 신학대학원의 명예 신학 교수였으며, 브랜다이스 대학교에서도 가르쳤다. 대학원 신학 재단의 명예 펠로우였고, 1971년 휘티어 칼리지에서 명예 신학 박사(D.D.) 학위를 받았다."사도 바울과 서구의 자기 성찰적 양심"이라는 논문과 "유대인과 이방인 사이의 바울" 책을 통해, 스텐달은 바울 연구에서 아우구스티누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학문이 바울의 맥락과 주장을 놓쳤을 수 있다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유대인 기독교인과 이방인 개종자 사이의 초기 기독교 긴장을 중심으로, 예수의 역할과 믿음에 의한 구원에 대한 바울의 글의 주요 관심사는 이방인(그리스인) 토라 준수자를 하나님의 언약에 포함시키는 문제라고 주장했다. 특히 바울의 후기 해석자들이 그의 작품을 해석할 때 과도하게 활동적인 양심을 가정하여, 바울 자신은 이해하지 못했을 과도하게 심리적인 해석을 제시했다고 주장했다.
1967년부터 1974년까지 조셉 파핀 교수가 설립한 빌라노바 대학교 신학 연구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연구소를 운영하고 출판물을 편집했다.
신약성서의 유대교적 맥락에 관심을 가지면서 유대교 연구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기독교-유대교 화해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985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기자 회견에서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사찰 건립에 대한 격렬한 반대에 대한 응답으로 제시한 '스텐달의 종교적 이해에 대한 세 가지 규칙'은 다음과 같다.
번호 | 내용 |
---|---|
1 | 다른 종교를 이해하려고 할 때는 그 종교의 적이 아니라 그 종교의 신봉자에게 물어야 한다. |
2 | 당신의 최고를 그들의 최악과 비교하지 말라. |
3 | "거룩한 질투"를 위한 여지를 남겨두라. (스텐달은 이를 통해 다른 종교 전통이나 신앙에서 존경하고 자신의 종교 전통이나 신앙에 어떤 식으로든 반영되기를 바라는 요소를 기꺼이 인식해야 함을 의미했다.) |
2. 2. 스톡홀름 주교 및 종교 간 대화
1984년 스톡홀름 주교로 선출되었다.[1] 예루살렘에 있는 샬롬 하트만 연구소의 종교 다원주의 센터의 두 번째 소장을 역임했다.[1] 1989년 은퇴 후 미국으로 돌아왔다.[1]신약성서의 유대교적 맥락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유대교 연구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기독교-유대교 화해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4]
1985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기자 회견에서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사찰 건립에 대한 격렬한 반대에 대한 응답으로 제시한 '스텐달의 종교적 이해에 대한 세 가지 규칙'을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5] 그의 규칙은 다음과 같다.[5]
# 다른 종교를 이해하려고 할 때는 그 종교의 적이 아니라 그 종교의 신봉자에게 물어야 한다.[5]
# 당신의 최고를 그들의 최악과 비교하지 말라.[5]
# "거룩한 질투"를 위한 여지를 남겨두라.[5] (스텐달은 이를 통해 다른 종교 전통이나 신앙에서 존경하고 자신의 종교 전통이나 신앙에 어떤 식으로든 반영되기를 바라는 요소를 기꺼이 인식해야 함을 의미했다.)[5]
2. 3. 말년
크리스터 스텐달은 1989년 은퇴 후 미국으로 돌아와 하버드 신학대학원 명예 신학 교수로 재직했다. 브랜다이스 대학교에서도 가르쳤으며, 대학원 신학 재단 명예 펠로우였다. 1971년에는 휘티어 칼리지에서 명예 신학 박사(D.D.) 학위를 받았다.[1]신약성서의 유대교적 맥락에 관심을 가지면서 유대교 연구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기독교-유대교 화해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1]
1985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기자 회견에서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사찰 건립에 대한 격렬한 반대에 대한 응답으로 제시한 '스텐달의 종교적 이해에 대한 세 가지 규칙'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규칙은 다음과 같다.[1]
# 다른 종교를 이해하려고 할 때는 그 종교의 적이 아니라 그 종교의 신봉자에게 물어야 한다.
# 당신의 최고를 그들의 최악과 비교하지 말라.
# "거룩한 질투"를 위한 여지를 남겨두라. (스텐달은 이를 통해 다른 종교 전통이나 신앙에서 존경하고 자신의 종교 전통이나 신앙에 어떤 식으로든 반영되기를 바라는 요소를 기꺼이 인식해야 함을 의미했다.)
그는 87번째 생일을 6일 앞두고 사망했다.[1]
3. 신학 및 사상
크리스터 스텐달은 웁살라 대학교에서 신약성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고, 하버드 대학교 신학대학원 교수 및 학장, 스톡홀름 주교 등을 역임했다. 유대교 연구와 기독교-유대교 화해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스텐달은 바울 신학 연구와 종교적 이해에 대한 세 가지 규칙으로 유명하다. 그는 바울 서신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고, 종교 간 이해를 위한 지침을 마련했다.
3. 1. 바울 신학 연구
크리스터 스텐달은 "사도 바울과 서구의 자기 성찰적 양심"이라는 논문을 발표하여 유명해졌다. 이 논문은 후에 출판된 책 "유대인과 이방인 사이의 바울"과 함께 바울 연구에서 아우구스티누스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학문이 바울의 맥락과 주장을 놓쳤을 수 있다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그의 주된 요점은 유대인 기독교인과 이방인 개종자 사이의 초기 기독교 긴장을 중심으로 한다. 스텐달에 따르면, 예수의 역할과 믿음에 의한 구원에 대한 바울의 글의 주요 관심사는 이방인(그리스인) 토라 준수자를 하나님의 언약에 포함시키는 문제이다. 그는 특히 바울의 후기 해석자들이 그의 작품을 해석할 때 과도하게 활동적인 양심을 가정했다고 주장한다. 결과적으로 그들은 사도 바울에 대해 과도하게 심리적인 해석을 제시했는데, 바울 자신은 아마도 전혀 이해하지 못했을 것이다.3. 2. 종교적 이해에 대한 세 가지 규칙
크리스터 스텐달은 1985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기자 회견에서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사찰 건립에 대한 격렬한 반대에 대한 응답으로 '종교적 이해에 대한 세 가지 규칙'을 제시했다.1. 다른 종교를 이해하려고 할 때는 그 종교의 적이 아니라 그 종교의 신봉자에게 물어야 한다.
2. 당신의 최고를 그들의 최악과 비교하지 말라.
3. "거룩한 질투"를 위한 여지를 남겨두라. (스텐달은 이를 통해 다른 종교 전통이나 신앙에서 존경하고 자신의 종교 전통이나 신앙에 어떤 식으로든 반영되기를 바라는 요소를 기꺼이 인식해야 함을 의미했다.)
4. 저서
- 크리스터 스텐달, ''마태오의 학교, 그리고 구약 성서의 사용'' (웁살라: C. W. K. 글레룹, 룬드, 1954; 2판 1968)
- 크리스터 스텐달, ''두루마리와 신약'' (뉴욕: 하퍼, 1967; SCM 프레스, 1958)
- 크리스터 스텐달, ''성서와 여성의 역할'' (필라델피아: 포트리스 프레스, 1966)
- 시어도어 러니언, 크리스터 스텐달, ''성령이 교회에 하시는 말씀: 에세이'' (호손 북스, 1975)
- 크리스터 스텐달, ''유대인과 이방인 사이의 바울과 기타 에세이'' (필라델피아: 포트리스 프레스, 1976)
- 크리스터 스텐달, ''의미: 문서로서 그리고 안내서로서의 성서'' (포트리스 프레스, 1984)
- 크리스터 스텐달, ''성주간 설교'' (필라델피아: 포트리스 프레스, 1985)
- 크리스터 스텐달, ''최종 보고: 로마서에 대한 바울의 편지'' (아우크스부르크 포트리스, 1995)
- 크리스터 스텐달, ''생명을 위한 에너지: "오 성령님, 온 세상을 새롭게 하소서"라는 주제에 대한 성찰'' (파라클리트 프레스, 1999)
- 조지 니켈스버그, 조지 맥레이 편, ''유대인과 이방인 사이의 기독교인: 65번째 생일을 맞이한 크리스터 스텐달을 기리는 에세이'' (포트리스 프레스, 1986)
- 리처드 A. 호슬리 편, ''바울과 정치: 에클레시아, 이스라엘, 임페리움, 해석'' (트리니티 프레스, 2000)
- 크리스터 스텐달, "미래 신학에서의 성서의 역할," ''기독교 사상의 역동성'', 빌라노바 신학 심포지엄, 제1권, 조셉 파핀 편 (빌라노바 대학교 출판, 1970), pp. 44–51.
- 크리스터 스텐달,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 기독교 종말론의 역학," ''The Escaton: 사랑의 공동체'', 빌라노바 신학 심포지엄, 제5권, 조셉 파핀 편 (빌라노바 대학교 출판, 1971), pp. 57–68.
- 크리스터 스텐달, "파핀 박사를 기리는 편지," ''초월과 내재성, 과정적 사고의 빛 안에서의 재구성'', 조셉 아르멘티 편 (애비 프레스: 세인트 메인라드, 1972), p. 5.
참조
[1]
뉴스
Kristen Stendahl, 1921-2008
http://hds.harvard.e[...]
[2]
뉴스
Krister Stendahl, 86, Ecumenical Bishop, Is Dead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2-09-12
[3]
웹사이트
Honorary Degrees
https://www.whittier[...]
2020-02-26
[4]
간행물
The Harvard Theological Review
1963-07
[5]
간행물
The New Perspective on Paul in Review
http://www.direction[...]
2015
[6]
서적
Paul among Jews and Gentiles
Fortress Press
197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