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키 리졸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 리졸브는 유사시 한반도 방어를 위해 미군 증원 전력의 효율적 전개와 통합 작전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연례 한미 연합 군사 훈련이다. 1961년부터 시작된 독수리 연습과 통합되어 실시되며, 북한의 남침 및 비정규군 침투 상황을 상정하여 훈련한다. 주요 훈련으로는 2009년, 2010년, 2011년, 2013년에 실시되었으며, 훈련 기간 동안 북한은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키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8년 도입 - 오언 헌트
    오언 헌트는 드라마 《그레이 아나토미》에 등장하는 가상의 인물로, 시애틀 그레이스 병원 외상외과 과장으로 부임하여 크리스티나 양, 테디 알트만, 아멜리아 셰퍼드 등과 복잡한 관계를 맺고, 십 대 어머니에게 버려진 아기를 입양하며 테디와의 사이에서 딸을 낳았다.
  • 2008년 도입 - 독수리 연습
    독수리 연습은 과거 팀 스피리트 훈련을 대체하여 시작된 한미 연합 군사 훈련으로, RSOI 연습으로 실시되다 키 리졸브 훈련과 함께 진행되었으나 2019년에 종료되고 동맹 연습으로 대체되었다.
  • 미국의 군사 교육 및 훈련 - 팀 스피리트
  • 미국의 군사 교육 및 훈련 - 을지 프리덤 가디언
    을지 프리덤 가디언은 한미 연합 군사 훈련으로, 정부와 군의 위기 대응 능력 향상을 위해 실시되며, 북한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군사 교육 및 훈련 - 호국훈련
    호국훈련은 대한민국 국군이 실시하는 대규모 합동 군사 훈련으로, 1996년부터 한국군 단독으로 실시되다가 2008년부터 육해공 합동 훈련으로 확대되었으며, 북한은 이를 '북침 연습'이라며 비난한다.
  • 대한민국의 군사 교육 및 훈련 - 팀 스피리트
키 리졸브
훈련 정보
명칭키 리졸브 (Key Resolve)
다른 명칭RSOI (Reception, Staging, Onward Movement, Integration, 수용, 준비, 전방 이동, 통합)
팀 스피리트 (Team Spirit)
독수리 훈련 (Foal Eagle)
종류연합 군사 훈련
주최대한민국, 미국
목표한반도 방어 및 연합 작전 수행 능력 향상
참가 병력수만 명 (한국군 및 미군)
기간매년 3월
주요 내용컴퓨터 시뮬레이션 기반 지휘소 훈련 (CPX)
실기동 훈련 (FTX)
한미연합군사령부 작전계획 검증 및 숙달
중단2019년 (동맹 연습으로 대체)
논란 및 비판
북한의 반발훈련의 규모와 성격으로 인해 북한은 키 리졸브 훈련을 북침 연습이라며 강하게 반발해왔음.
군사적 긴장 고조훈련 기간 동안 한반도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는 경향이 있음.
훈련의 성격 변화한국미국 간의 관계 변화 및 북한과의 관계 변화에 따라 훈련의 성격과 규모가 조정되어 왔음.
역사
시작2008년 (키 리졸브)
이전 훈련팀 스피리트 훈련 (Team Spirit), RSOI 훈련
대체 훈련동맹 연습 (Dong Maeng)

2. 목적

키 리졸브는 연례적인 한미 연합 훈련으로 유사시 한반도 방어를 목적으로 미군 증원병력의 효율적 전개와 유기적인 통합작전 능력을 기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독수리 연습1961년부터 매년 가을에 연례적으로 실시해 오다가, 2002년부터 당시 한미 연합전시증원연습에 통합되어 현재까지 키 리졸브와 같이 실시되었다. 이 훈련 역시 한미연합군이 북한의 남침을 상정해 연습하는 것으로, 북한의 특수부대 등 비정규군이 남한 후방지역에 침투하여 남한을 교란할 경우를 대비한 훈련이다.

2. 1. 한반도 방어

키 리졸브는 연례적인 한미 연합 훈련으로 유사시 한반도 방어를 목적으로 미군 증원병력의 효율적 전개와 유기적인 통합작전 능력을 기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독수리 연습1961년부터 매년 가을에 연례적으로 실시해 오다가, 2002년부터 당시 한미 연합전시증원연습에 통합되어 현재까지 키 리졸브와 같이 실시되었다. 이 훈련 역시 한미연합군이 북한의 남침을 상정해 연습하는 것으로, 북한의 특수부대 등 비정규군이 남한 후방지역에 침투하여 남한을 교란할 경우를 대비한 훈련이다.

2. 2. 통합작전 능력 향상

키 리졸브는 연례적인 한미 연합 훈련으로, 유사시 한반도 방어를 목적으로 미군 증원 병력의 효율적 전개와 유기적인 통합 작전 능력을 배양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독수리 연습은 1961년부터 매년 가을에 연례적으로 실시해 오다가, 2002년부터 당시 한미 연합전시증원연습에 통합되어 현재까지 키 리졸브와 같이 실시되었다. 이 훈련은 한미연합군이 북한의 남침을 상정해 연습하는 것으로, 북한의 특수부대 등 비정규군이 남한 후방지역에 침투하여 남한을 교란할 경우를 대비한 훈련이다.

2. 3. 북한 위협 대비

키 리졸브는 한반도 유사시를 대비하여 미군 증원 병력의 효율적인 전개와 통합 작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례적인 한미 연합 훈련이다. 독수리 연습은 1961년부터 매년 가을에 실시되다가 2002년부터 한미 연합전시증원연습에 통합되어 키 리졸브와 함께 실시되고 있다. 이 훈련은 한미연합군이 북한의 남침을 가정하여 진행하며, 북한 특수부대 등 비정규군이 남한 후방 지역에 침투하여 교란하는 상황에 대한 대비 훈련을 포함한다.

3. 주요 훈련

2009년 3월 9일부터 3월 20일까지 훈련이 실시되었다. 주한미군 1만 2천여 명과 해외 주둔 미군 1만 4천여 명 등 2만 6천여 명이 참가하여 대한민국 전역에서 훈련이 진행되었다.[7] 제3함대 소속 항공모함 존 C. 스테니스(CVN-74)호와 주요 함정 10여 척이 참가하여 대규모로 진행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한국군 2만여 명 이상이 참가한 한미 연합 야외 기동연습인 독수리 훈련(FE)도 함께 열렸다.[7] 대한민국과 미국 양국은 이 훈련이 연례적인 방어 훈련임을 강조하며 "여러 차례 북측의 참관을 요청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7]

조선인민군 총참모부는 이 훈련에 대해 "남북간 군통신을 차단하겠다"고 발표하여 군사적 긴장이 강화되기도 했다.[8] 그러나 훈련 기간 동안 북측의 눈에 띄는 움직임은 없었고, 훈련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2010년 3월 8일부터 3월 18일까지 훈련이 실시되었으며, 주한미군 1만여 명과 증원미군 8000여 명 등 1만 8000여 명의 미군을 비롯한 군단급 이상의 한국군 병력이 참가했다.[9] 합동참모본부는 "이번 키 리졸브 연습과 같은 기간에 실시된 한미 연합 야외기동연습인 독수리훈련은 유사시 한국을 방어하기 위한 연합군의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계획됐다"면서 "매년 계속된 연습으로 장비와 병력, 물자 전개능력이 보완 향상되고 있다"고 말했다.[9] 특히 2010년에는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 제거를 전담하는 임무를 맡는 미군 부대가 참가한 사실이 처음 공개되었다.[9] 작년에 이어 두 번째 참가한 이 부대는 메릴랜드주에 위치한 제20CBRNE사령부로 2004년 10월에 창설됐다.[9] 미국 내는 물론 이라크 등 세계 전장 일선에 파견되어 WMD 신속 대응과 탐지, 제거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부대다.[9]

작년에 이어 2010년에도 북한은 훈련을 비난하는 내용을 신문에 담으며 "한국과 미국의 훈련은 핵전쟁 도발을 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9]

2011년 훈련은 2011년 2월 28일에서 3월 10일까지 실시되었으며, 한미 양국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미사일 및 WMD를 제거하는 연습을 공동으로 실시했다. 국외 증원 미군 500여 명을 포함한 미군 2300여 명과 한국군 사단급 이상 일부 부대의 병력이 참가했다. 이 중에는 미국 메릴랜드주에 있는 20지원 사령부 요원들도 참가했는데, 이 부대는 미국을 포함해 이라크 등 세계 전장 일선에서 WMD 신속 대응과 탐지, 제거 등의 임무를 수행해온 부대다.

2013년 훈련은 2013년 3월 11일부터 21일까지 실시되었다. 특히 2015년 12월에 예정된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고려해 한미연합군사령부가 아닌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가 주도적으로 계획을 수립했다는 특징이 있다.[10] 이 훈련에 대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8일에 불가침 합의 전면 폐기와 판문점 직통 연락 단절을 예고하였고, 11일 훈련이 시작된 후 대한민국 통일부는 판문점 연락 사무소 직통 전화가 차단된 것을 확인하였다.[10]

3. 1. 2009년

2009년 3월 9일부터 3월 20일까지 훈련이 실시되었다. 주한미군 1만 2천여 명과 해외 주둔 미군 1만 4천여 명 등 2만 6천여 명이 참가하여 대한민국 전역에서 훈련이 진행되었다.[7] 제3함대 소속 항공모함 존 C. 스테니스(CVN-74)호와 주요 함정 10여 척이 참가하여 대규모로 진행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한국군 2만여 명 이상이 참가한 한미 연합 야외 기동연습인 독수리 훈련(FE)도 함께 열렸다.[7] 대한민국과 미국 양국은 이 훈련이 연례적인 방어 훈련임을 강조하며 "여러 차례 북측의 참관을 요청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7]

조선인민군 총참모부는 이 훈련에 대해 "남북간 군통신을 차단하겠다"고 발표하여 군사적 긴장이 강화되기도 했다.[8] 그러나 훈련 기간 동안 북측의 눈에 띄는 움직임은 없었고, 훈련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3. 2. 2010년

2010년 3월 8일부터 3월 18일까지 훈련이 실시되었으며, 주한미군 1만여 명과 증원미군 8000여 명 등 1만 8000여 명의 미군을 비롯한 군단급 이상의 한국군 병력이 참가했다.[9] 합동참모본부는 "이번 키 리졸브 연습과 같은 기간에 실시된 한미 연합 야외기동연습인 독수리훈련은 유사시 한국을 방어하기 위한 연합군의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계획됐다"면서 "매년 계속된 연습으로 장비와 병력, 물자 전개능력이 보완 향상되고 있다"고 말했다.[9] 특히 2010년에는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 제거를 전담하는 임무를 맡는 미군 부대가 참가한 사실이 처음 공개되었다.[9] 작년에 이어 두 번째 참가한 이 부대는 메릴랜드주에 위치한 제20CBRNE사령부로 2004년 10월에 창설됐다.[9] 미국 내는 물론 이라크 등 세계 전장 일선에 파견되어 WMD 신속 대응과 탐지, 제거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부대다.[9]

작년에 이어 2010년에도 북한은 훈련을 비난하는 내용을 신문에 담으며 "한국과 미국의 훈련은 핵전쟁 도발을 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9]

3. 3. 2011년

2011년 훈련은 2011년 2월 28일에서 3월 10일까지 실시되었으며, 한미 양국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미사일 및 WMD를 제거하는 연습을 공동으로 실시했다. 국외 증원 미군 500여 명을 포함한 미군 2300여 명과 한국군 사단급 이상 일부 부대의 병력이 참가했다. 이 중에는 미국 메릴랜드주에 있는 20지원 사령부 요원들도 참가했는데, 이 부대는 미국을 포함해 이라크 등 세계 전장 일선에서 WMD 신속 대응과 탐지, 제거 등의 임무를 수행해온 부대다.

3. 4. 2013년

2013년 훈련은 2013년 3월 11일부터 21일까지 실시되었다. 특히 2015년 12월에 예정된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고려해 한미연합군사령부가 아닌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가 주도적으로 계획을 수립했다는 특징이 있다.[10] 이 훈련에 대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8일에 불가침 합의 전면 폐기와 판문점 직통 연락 단절을 예고하였고, 11일 훈련이 시작된 후 대한민국 통일부는 판문점 연락 사무소 직통 전화가 차단된 것을 확인하였다.[10]

4. 연도별 훈련 시행 기간

참조

[1] 웹사이트 'Key Resolve' begins in Korea http://www.army.mil/[...] U.S. Army 2009-03-10
[2] 웹사이트 Reception, Staging, Onward movement, and Integration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07-10-23
[3] 웹사이트 North strongly protests new Key Resolve joint exercises http://koreajoongang[...] 2010-03-08
[4] 웹사이트 US-S.Korea joint drills begin https://www3.nhk.or.[...] NHK World – Japan 2018-03-31
[5] 보도자료 Readout of Minister of National Defense Jeong Kyeong-doo's Phone Call With Acting Secretary of Defense Patrick Shanahan https://www.defense.[...] Department of Defense 2019-03-02
[6] 뉴스 South Korea, US to replace massive springtime military drills with 'Dong Maeng' exercise https://www.straitst[...] The Straits Times 2019-03-03
[7] 뉴스인용 한미 `키리졸브'훈련 시작..北 통신선 차단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9-03-09
[8] 뉴스인용 北, 키리졸브기간 "남북 군통신 차단"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9-03-09
[9] 뉴스인용 北신문, 끝난 `키리졸브' 연습 또 비난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03-19
[10] 뉴스인용 한·미 연합훈련 '키리졸브·독수리 연습' 시작 http://mbn.mk.co.kr/[...] 매일경제 2013-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