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량살상무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량살상무기는 1937년 스페인 내전 당시 독일 폭격기를 지칭하는 용어에서 유래했으며, 핵무기, 생물무기, 화학무기를 통칭한다. 핵무기는 핵분열 또는 핵융합을 이용하며, 생물무기는 세균, 바이러스, 독소 등을 활용한다. 화학무기는 독성 화학 물질을 사용한다. 이러한 무기는 국제법에 의해 규제되며, 확산 방지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2023년 기준, 핵무기는 미국, 러시아 등 9개국이 보유하고 있으며, 화학무기와 생물무기는 사용과 개발이 금지되어 있다. 대량살상무기는 윤리적 문제를 야기하며, 대중문화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다루어진다. 위험을 알리는 기호가 국제적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학 무기 - 최루제
최루제는 점막을 자극하여 눈물, 재채기, 기침, 호흡곤란 등을 유발하는 화학 물질로, 폭동 진압 등에 사용되지만 심각한 부상이나 사망을 야기할 수 있으며 윤리적 논쟁이 있다. - 화학 무기 - 백린
백린은 네 개의 인 원자가 정사면체 구조로 결합된 불안정한 분자로, 자연 발화성과 독성을 지니며, 인산 전구체 등으로 사용되지만 백린탄의 성분으로 논란이 된다. - 대량살상무기 - 핵무기
핵무기는 핵분열 또는 핵융합 반응을 이용한 대량파괴 무기로, 냉전 시대 핵무기 경쟁을 거치며 위력이 급증하여 국제 안보 위협 및 윤리적 논란과 환경 피해를 야기하며 핵확산금지조약에도 불구하고 핵무기 폐기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 대량살상무기 - 천연두
천연두는 두창바이러스과에 속하는 천연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치명적인 전염병으로, 발열과 발진 증상을 보이며 예방접종을 통해 예방 가능했으나 현재는 백신 접종이 중단되었다. - 생물 무기 - 천연두
천연두는 두창바이러스과에 속하는 천연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치명적인 전염병으로, 발열과 발진 증상을 보이며 예방접종을 통해 예방 가능했으나 현재는 백신 접종이 중단되었다. - 생물 무기 - 페스트
페스트는 쥐벼룩을 통해 전파되는 예르시니아 페스티스균에 의한 감염병으로, 림프절 부종, 전신 출혈, 폐렴 등 다양한 증상을 보이며, 항생제로 치료 가능하지만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고, 역사적으로 대규모 범유행을 일으켰으며 현재도 일부 지역에서 발생하고 생물무기로 사용될 가능성도 있다.
대량살상무기 | |
---|---|
지도 정보 | |
개요 | |
정의 | 많은 사람을 죽이거나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무기 |
종류 | |
유형별 | 생물학적 화학적 핵 방사선 |
국가별 현황 | |
국가별 목록 | 알바니아 알제리 아르헨티나 오스트레일리아 브라질 불가리아 캐나다 중국 이집트 프랑스 독일 인도 이란 이라크 이스라엘 이탈리아 일본 카자흐스탄 리비아 멕시코 미얀마 네덜란드 북한 파키스탄 필리핀 폴란드 로디지아 루마니아 러시아 (소련) 사우디아라비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한국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시리아 타이완 우크라이나 영국 미국 유고슬라비아 |
확산 | |
확산 | 화학적 핵 미사일 |
관련 조약 | |
조약 목록 | 조약 목록 (조약 당사국) |
2. 용어
'대량살상무기'(WMD, Weapons of mass destruction영어)라는 용어는 1937년 코즈모 고든 랭 캔터베리 대주교가 스페인 내전 중 게르니카 폭격을 언급하면서 처음 사용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2] BBC 뉴스에 따르면 같은 해 런던 타임스에서도 스페인 내전이나 중일전쟁 당시 독일이나 일본의 폭격기를 가리켜 사용된 예가 있다.[155][145]
> 지금 이 순간, 스페인과 중국에 전쟁이 가져온 끔찍한 학살과 고통, 그리고 갖가지 고난을 생각하지 않고서는 마음이 편할 수 있겠습니까? 새로운 대량살상무기로 벌어질 또 다른 광범위한 전쟁이 무엇을 의미할지 생각하지 않고서는 어떻게 공포를 느끼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3][146]
> — 코즈모 고든 랭, 1937년
당시에는 핵무기가 개발되지 않았으며, 화학무기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으나 1925년 제네바 의정서로 사용이 금지된 상태였다.[5] 일본은 731 부대 등에서 생물무기 연구를 진행했고,[4] 이탈리아는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1935-36)에서 겨자 가스를 사용했다.[6] 따라서 초기 '대량살상무기'는 주로 공중 폭격이나 화학무기의 파괴력을 의미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원자폭격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냉전 시대에 접어들면서, 이 용어는 주로 핵무기와 같은 비재래식 무기를 가리키게 되었다. 언론인 윌리엄 세이퍼는 이 용어가 러시아어 구절 'Оружие массового поражения'(대량살상무기)에서 유래하여 특히 핵무기와 방사능 무기를 지칭하게 되었다고 보았다.[7]
영어권에서 현대적인 의미로 사용된 초기 사례는 다음과 같다.
- 1945년 11월 15일 해리 트루먼, 클레멘트 애틀리, 맥켄지 킹의 공동성명에서 언급된 "대량파괴에 적용 가능한 무기"(weapons adaptable to mass destruction영어).[7]
- 1946년 버나드 바루크가 유엔 연설에서 사용한 정확한 문구 "대량살상무기"(weapons of mass destruction영어).[7]
- 1946년 1월 런던에서 채택된 유엔 총회 최초 결의안에 포함된 "원자무기 및 기타 모든 대량파괴용 무기"(atomic weapons and of all other major weapons adaptable to mass destruction영어)의 제거 요구.[8] 이 결의안은 유엔 원자력 위원회(IAEA의 전신) 설립으로 이어졌다.[9]
- 1947년 J. 로버트 오펜하이머의 강연.[10]
- 1950년 미국 정부 문서 NSC 68 서론.[12]
- 1955년 러셀-아인슈타인 선언.
- 1962년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라이스 대학교 연설과 쿠바 미사일 위기 관련 텔레비전 발표.[13][14]
1967년 우주 조약에서도 이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명확한 정의는 제공되지 않았다. 이 조약은 우주 공간에 "핵무기 또는 기타 모든 종류의 대량살상무기를 운반하는 물체"의 배치를 금지했다.[15] 냉전 기간 동안 서구에서는 자국의 핵무기를 "전략핵무기"라는 완곡한 표현으로 부르기도 했지만, '전략적'이라는 범주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없었다.[16]
오늘날에는 1991년 걸프 전쟁 종결 시 채택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687호에 따른 개념을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다.[147] 이 결의는 이라크의 핵, 생물학, 화학 무기 프로그램 해체를 요구하며 이를 대량살상무기의 주요 대상으로 언급했다.[20] 일반적으로 대량살상무기는 핵무기(Nuclear영어, 원자폭탄 및 방사능 무기 포함), 생물학 무기((Biological영어), 화학무기((Chemical영어)의 세 종류, 즉 '''NBC 무기'''를 총칭하는 말로 사용된다.
이 용어는 특정 국가나 조직이 보유한 무기에 대한 비판적 의미를 내포하며 정치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1981년 이스라엘 공군이 이라크의 오시라크 원자로를 파괴한 오페라 작전 이후, 메나헴 베긴 이스라엘 총리는 "이스라엘 국민을 상대로 대량살상무기를 개발하는 적을 어떤 경우에도 허용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며 선제 타격 정책(베긴 독트린)을 정당화했다.[17]
이라크 전쟁을 시작할 때 미국은 "이라크가 대량 살상 무기를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과 "유엔의 무조건적인 사찰을 받아들이지 않았다"는 것을 주요 명분으로 내세웠다. 그러나 전쟁 후 미국이 파견한 조사단은 이라크 내에서 대량살상무기를 발견하지 못했고, 2004년 10월 최종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보고서를 제출했다.[22] 이는 대량살상무기라는 용어가 실제 위협의 증거 없이 정치적 명분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지적된다. (다만, 1991년 걸프 전쟁 이후 유엔이 확보했던 오래된 화학무기 비축량은 2009년 이라크에 의해 신고되었으며, 일부는 사용 가능한 상태였다.[23])
테러리즘 대비 측면에서는 화학(Chemical), 생물학(Biological), 방사능(Radiological), 핵(Nuclear), 고성능 폭약(Explosive)을 포괄하는 '''CBRNE'''로 표기하기도 한다. 2013년 보스턴 마라톤 폭탄 테러에 사용된 압력솥 폭탄도 미국 FBI의 형사 고소장에서 "대량살상무기"로 언급되었다.[26] 또한, 주요 기반 시설을 공격하여 광범위한 파괴를 일으킬 수 있는 사이버 무기를 대량살상무기로 분류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었으나,[27][28][29] 법적, 역사적 정의에 부합하지 않거나 직접적인 인명 살상 능력이 부족하다는 반론도 있다.[30][31]


3. 종류
대량살상무기(WMD)의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정의는 핵무기, 생물무기, 또는 화학무기(NBC)를 포함하는 것이지만, 이를 명확하게 정의하는 국제 조약이나 관습 국제법은 없다. 대신 국제법은 WMD 전체가 아닌 특정 유형의 무기에 적용되어 왔다. 핵, 화학, 생물 무기가 3대 주요 WMD로 간주되지만,[32] 일부 분석가들은 방사능 무기뿐만 아니라 미사일 기술과 항공기 및 탄도 미사일과 같은 운반 시스템도 WMD로 분류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핵무기와 생물무기는 파괴력이 제한적인 화학무기 및 '더티 밤'(방사능 무기)과 같은 범주에 속하지 않는다는 주장도 있다. 핵무기와 생물무기는 소량의 물질로도 다수의 사람을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는 고유한 능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별도의 범주로 분류해야 한다는 것이다.
NBC 정의는 미국 공식 문서에서도 사용되어 왔는데, 미국 대통령,[33][34] 미국 중앙정보국(CIA ),[35] 미국 국방부,[36][37] 그리고 미국 정부감찰청(GAO)에서도 사용되었다.[38]
다른 문서에서는 방사능 무기나 재래식 무기를 포함하도록 WMD의 정의를 확장하기도 한다. 미국 군부는 WMD를 "높은 수준의 파괴력을 가지거나 대량 살상을 야기할 수 있는 화학, 생물학, 방사능 또는 핵무기이며, 운반 또는 추진 수단이 무기와 분리 가능하고 나눌 수 있는 부분인 경우에는 제외한다"고 정의한다.[39] 이는 핵탄두를 장착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도 포함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무기의 분리 가능하고 나눌 수 있는 부분"이라는 단서 조항은, 예를 들어 퍼싱 II나 스커드 미사일과 같은 미사일은 WMD로 간주될 수 있지만, 폭탄을 운반할 수 있는 항공기는 그 자체로 WMD로 간주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2004년 영국의 버틀러 검토는 "'대량살상무기'라는 구절의 적절한 해석에 대한 상당하고 오래된 학술적 논쟁"이 있음을 인정했다. 위원회는 이 용어 사용을 피하려 했으나, 사용할 때는 이라크가 포기해야 할 시스템을 정의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687의 정의를 따랐다. 이 결의안은 다음을 포함한다.[40]
- 핵무기 또는 핵무기 사용 가능 물질 및 관련 하위 시스템, 연구 개발 시설 등
- 화학 및 생물 무기와 모든 관련 하위 시스템, 연구 개발 시설 등
- 사거리가 150km를 초과하는 탄도 미사일 및 관련 주요 부품, 생산 시설 등
화학무기 전문가 게르트 G. 하리겔은 폭발력, 열 방사선, 방사능으로 완전히 무차별적인 것은 핵무기뿐이라며, 핵무기만을 진정한 대량살상무기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민간인을 겨냥한 화학 및 생물 무기는 "테러 무기", 군인을 겨냥한 무기는 "위협 무기"로 부르는 것을 선호했다.[41]
WMD에 암묵적으로 적용되는 또 다른 조건은 무기 사용이 전략적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즉, "무기 자체의 크기와 효과를 훨씬 능가하는 결과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45]
미국 민방위 기관 내에서는 이 범주를 '''화학, 생물학, 방사능, 핵 및 폭발물'''(CBRNE)로 확장하여 정의하기도 한다.[46]
미국 법률은 목적에 따라 WMD를 다양하게 정의한다. 국방 목적[47]을 위한 미국 법전[48]은 WMD를 다음 물질의 방출, 확산, 충격을 통해 상당수에게 사망 또는 심각한 신체 손상을 야기할 목적이 있거나 능력이 있는 무기 또는 장치로 정의한다:
대량살상무기 확산 방지[50]를 위한 미국 법전은 WMD를 "화학무기, 생물무기 및 핵무기, 그리고 이러한 무기 제조에 사용되는 화학물질, 생물학적 물질 및 핵물질"로 정의한다.[51]
미국 테러 관련 형법[52]에 따른 WMD 정의는 다음과 같다.
- 폭발물, 방화물 또는 독가스로 정의되는 모든 "파괴적 장치" (예: 특정 기준 이상의 폭발물을 가진 폭탄, 수류탄, 로켓, 미사일, 지뢰 등)[53]
- 독성 또는 유독성 화학 물질 또는 그 전구체의 방출, 확산 또는 충격을 통해 사망 또는 중상을 유발하도록 설계 또는 의도된 무기
- 생물학적 작용제, 독소 또는 매개체를 포함하는 무기
- 인간 생명에 위험한 수준의 방사선 또는 방사능을 방출하도록 설계된 무기[54]
미국 연방수사국(FBI)의 정의도 이와 유사하다.[55] 실제로 트럭 폭탄,[56] 파이프 폭탄,[57] 신발 폭탄,[58] 독소 코팅 바늘[59] 등 다양한 장치가 미국 법률상 WMD 사용 혐의로 기소된 사례가 있다. 자카리아스 무사위 재판에서는 테러에 사용된 항공기도 WMD로 간주되었으며,[61] 보스턴 마라톤 폭탄 테러[62]에 사용된 압력솥 폭탄 역시 WMD 사용 혐의로 기소되었다.
기록상으로 '대량살상무기'(Weapons of mass destruction)라는 용어는 1937년 런던 타임스에서 스페인 내전이나 중일전쟁 당시 독일이나 일본의 폭격기를 가리켜 사용된 것이 오래된 용례 중 하나이다.[145] 당시에는 핵무기가 개발되지 않았으므로, 이 용어는 주로 재래식 폭격이나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사용된 화학무기를 염두에 둔 표현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핵무기가 실용화되면서, 1948년 국제연합 통상군비위원회는 대량살상무기를 핵·화학·생물무기와 그와 유사한 것으로 규정했다.[147] 이 용어는 1955년 러셀-아인슈타인 선언에서도 사용되었다.
결론적으로 대량살상무기는 일반적으로 핵무기, 생물무기, 화학무기(NBC) 세 종류를 총칭하는 말로 사용되지만, 그 정의는 맥락과 목적에 따라 다양하며 때로는 방사능 무기나 특정 재래식 무기, 운반 수단까지 포함하기도 한다. 각 무기 종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핵무기
핵무기는 원자핵 내부에 저장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매우 강력한 폭발을 일으키는 무기이다. 이 폭발력은 주로 핵분열이나 핵융합 반응을 통해 얻어진다.[72]
핵분열은 무거운 원자핵(예: 우라늄-235, 플루토늄-239)이 중성자와 충돌하여 더 작은 핵들로 쪼개지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막대한 에너지와 함께 추가적인 중성자가 방출되어 연쇄 반응을 일으킨다. 현대 핵무기는 주로 우라늄이나 플루토늄 덩어리 주위에 재래식 폭약을 터뜨려 핵물질을 순간적으로 고밀도로 압축시킨다. 이렇게 압축된 핵물질에 중성자를 주입하면 통제되지 않는 핵분열 연쇄 반응이 일어나며, 이것이 바로 원자폭탄의 원리이다.[72]
핵융합은 핵분열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가벼운 원자핵(예: 수소의 동위원소인 중수소, 삼중수소)들이 극도로 높은 온도와 압력 하에서 서로 합쳐져 더 무거운 핵(예: 헬륨)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도 엄청난 양의 에너지가 방출된다. 핵융합 무기(열핵무기 또는 수소폭탄)는 핵분열 폭탄을 기폭제로 사용하여 핵융합 반응에 필요한 초고온, 초고압 환경을 만든다. 핵융합 반응은 수천만 도에 달하는 화구를 생성하는데, 이는 태양 중심부의 온도와 비슷하며, 태양 역시 핵융합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한다.[72]
역사상 핵무기를 전쟁에서 사용한 유일한 국가는 미국이다. 미국은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인 1945년 8월, 일본의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두 도시에 각각 원자폭탄을 투하했다.

2023년 초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9개 국가가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국가는 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중국, 인도, 파키스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그리고 이스라엘이다. 이들이 보유한 핵무기는 총 약 12,512개로 추정되며, 이 중 약 9,576개가 실제 사용 가능한 상태로 간주된다. 이 가운데 약 3,844개의 핵탄두가 작전 부대에 배치되어 있으며, 약 2,000개는 즉시 발사 가능한 높은 경계 태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이다.[73]
과거 핵무기를 개발했지만 자발적으로 폐기한 사례도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1980년대에 소수의 핵무기를 개발했으나, 1990년대 초 모든 핵무기를 해체하고 핵 개발 프로그램을 완전히 포기했다. 이는 독자적으로 개발한 핵무기를 완전히 폐기한 유일한 사례이다. 한편, 소련 해체 후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우크라이나는 자국 영토 내에 배치되어 있던 핵무기를 물려받았으나, 이후 러시아 연방에 모두 이전했다.[74]
또한, 핵 공유 협정에 따라 자국 영토 내에 다른 나라(주로 미국)의 핵무기를 배치하고 있는 국가들도 있다. 여기에는 벨기에,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터키가 포함된다.[75]
3. 2. 생물무기
생물 무기로는 세균, 리케차, 바이러스 외에 생물이 가진 독액이나 독성물질이 사용된다. 사용되는 세균으로는 티푸스균, 콜레라균, 페스트균, 치명률이 높은 탄저균, 보툴리누스 중독을 일으키는 보툴리누스균 등이 있다. 보툴리누스균은 100℃에서 5시간 이상 가열해야 사멸하는 강한 균으로, 불과 28.4g으로 2억 2천만 명을 중독사시킬 수 있다고 한다.[32] 리케차는 발열을 유발하고 장기간 활동 불능 상태로 만들어 허약한 사람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다. 바이러스로는 성홍열, 인플루엔자, 천연두, 앵무병 등을 유발하는 종류가 있다. 뱀의 독 역시 독성 무기로 연구된 바 있다.생물 무기는 대량 제조가 비교적 용이하며, 사용 여부를 식별하기 어렵고 잠복기가 있는 경우가 많아 사전 탐지가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면역제에 내성을 가진 균주 개발 가능성 때문에 예방이 어려워 치명적이고 비인도적인 무기로 간주된다.
생물학전의 역사는 적어도 1346년 몽골의 카파 포위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고대 그리스인들이 동물의 사체를 이용해 적의 우물을 오염시킨 사례도 전해진다.[77][78][79] 그러나 미생물학의 발전으로 병원체를 대량으로 무기화하는 것은 20세기에 들어 가능해졌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은 연합군 가축에 탄저병을 퍼뜨리려 시도했으며,[79]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은 페스트를 옮기는 벼룩을 이용해 중국을 공습했다.[79]
20세기 동안 공격적인 생물무기 프로그램을 운영한 것으로 알려진 국가는 다음과 같다.
국가 | 운영 기간 | 비고 |
---|---|---|
캐나다 | 1946~1956 | [80] |
프랑스 | 1921~1972 | [81] |
이라크 | 1985~1990년대 | [82] |
일본 | 1930년대~1945년 | 731 부대 운영[83] |
로디지아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1981~1993 | [84] |
소련 | 1920년대~1992년 | 세계 최대 규모[85] |
영국 | 1934~1956 | [86] |
미국 | 1943~1969 | [87] |
특히 일본의 생물무기 프로그램은 중일전쟁(1937~1945) 당시 비밀리에 운영된 일본 제국 육군 731 부대가 악명 높으며, 이들은 포로를 대상으로 치명적인 인체 실험을 자행하고 생물무기를 생산했다.[88] 소련 역시 국제법을 위반하며 세계 최대 규모의 정교한 생물무기 프로그램을 비밀리에 운영했다.[89]
생물학전에 대한 국제적 규제는 1925년 제네바 의정서에서 시작되었다. 이 의정서는 생물무기와 화학무기의 사용을 금지했지만, 소유나 개발까지 금지하지는 않았다.[90][91] 여러 국가가 비준 시 적용 범위나 보복 사용에 대한 유보 조항을 두었기 때문에,[92] 실제로는 '선제 사용 금지'의 성격이 강했다.[93]
1972년 생물무기협약(BWC)은 제네바 의정서를 보완하여 생물무기의 개발, 생산, 획득, 이전, 비축 및 사용을 전면 금지했다.[94] 1975년 3월 26일 발효된 BWC는 대량살상무기 전체 범주의 생산을 금지한 최초의 다자간 군축 조약이다.[94] 2021년 3월 기준으로 183개국이 이 조약의 당사국이다.[95]
3. 3. 화학무기
화학무기는 독성을 가진 화학 물질을 사용하여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무기를 말한다. 여기에는 모든 종류의 독가스와 독약, 화학적 소이제(燒夷劑)가 포함된다.
화학무기의 종류는 다양하다. 최루 가스나 구토 가스는 베트남 전쟁 등에서 사용되었는데, 직접적인 살상 목적보다는 무력화에 중점을 둔 경우였다. 치명적인 화학무기로는 염소를 기반으로 한 질식가스, 청산 계열의 혈액작용제, 그리고 피부, 눈, 호흡기에 심각한 손상을 입히는 미란성 가스 등이 있다. 이 중 가장 위험한 것으로 평가받는 것은 신경가스로, 인체의 신경 전달 기능을 마비시켜 호흡 곤란으로 인한 질식을 유발한다. 신경가스는 공기 1m3당 100g만 섞여 있어도 노출된 사람의 95%가 15분 안에 사망할 수 있다. 특히 색깔과 냄새가 없어 탐지가 어렵고 피부를 통해서도 흡수되기 때문에, 방독면뿐만 아니라 방독복까지 착용해야만 효과적으로 방호할 수 있다.
네이팜탄과 같은 화학적 소이제 역시 화학무기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네이팜탄은 나프타네트, 팜유, 중유 등을 혼합하여 만든 젤리 형태의 소이제로, 한번 불이 붙으면 800도의 고열을 내며 완전히 연소될 때까지 꺼지지 않는다. 황린소이탄도 포탄이나 폭탄 형태로 사용되는데, 파편이 인체에 박히면 근육이나 혈액에 작용하여 사망에 이르거나, 치료가 어려운 약물 중독과 화상을 남긴다. 이러한 화학무기는 핵무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으면서도 대량 살상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일시적으로 사람을 무능력하게 만들거나 정신 착란 상태로 만드는 LSD, 푸시로사이핀 등의 정신착란가스도 존재하는데, 약 0.5kg의 LSD만으로도 수천만 명을 무력화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미국의 법률에서는 국방 목적으로 대량살상무기를 정의할 때, 독성 화학물질이나 그 전구체, 질병을 일으키는 미생물, 방사성 물질 등을 이용하여 다수의 사람에게 사망이나 심각한 신체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무기 또는 장치를 포함한다.[47][48][49] 또한 대량살상무기의 확산 방지를 위한 법률에서는 화학무기, 생물무기, 핵무기 및 이들의 제조에 사용되는 물질들을 대량살상무기로 규정하고 있다.[50][51]
화학무기는 고대부터 사용된 기록이 있다. 기원후 256년 두라-유로포스 공방전에서는 역청과 황을 태워 발생시킨 유독 가스를 이용해 도시를 함락시킨 사례가 보고되었다.[96][97] 산업 시대 이후, 특히 제1차 세계 대전에서는 양측 모두 화학무기를 광범위하게 사용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추축국이 전투뿐만 아니라 수용소의 가스실에서도 화학무기를 사용했으며, 연합국 역시 화학무기를 비축하고 있었다.
화학무기 사용을 제한하려는 국제적인 노력은 1899년과 1907년의 헤이그 협약에서 시작되었고, 1925년 제네바 의정서를 통해 국제전에서의 독성 가스 사용 금지가 명문화되었다. 그러나 이들 조약은 화학무기의 개발이나 비축까지는 제한하지 못했다. 1997년 발효된 화학무기금지협약(CWC)은 연구, 의료, 제약, 방호 등 극히 제한적인 목적을 제외한 모든 화학무기의 사용과 개발, 비축을 금지하며 규제를 대폭 강화했다. 2018년 기준으로 일부 국가가 여전히 화학무기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많은 국가들이 보유 화학무기를 안전하게 폐기하는 과정을 진행 중이다.[98]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리아 내전에서 화학무기가 사용되는 등, 전쟁 지역에서의 화학무기 확산과 사용은 여전히 심각한 문제로 남아있다.
국가 | 화학무기 보유 현황 | CWC 서명 | CWC 비준 |
---|---|---|---|
알바니아 | 2007년 제거 | 1993년 1월 14일[99] | 1994년 5월 11일[99] |
중국 | 가능성 있음 | 1993년 1월 13일 | 1997년 4월 4일 |
이집트 | 가능성 있음 | 아니오 | 아니오 |
인도 | 2009년 제거 | 1993년 1월 14일 | 1996년 9월 3일 |
이란 | 가능성 있음 | 1993년 1월 13일 | 1997년 11월 3일 |
이라크 | 2018년 제거 | 2009년 1월 13일 | 2009년 2월 12일 |
이스라엘 | 가능성 있음 | 1993년 1월 13일[100] | 아니오 |
일본 | 가능성 있음 | 1993년 1월 13일 | 1995년 9월 15일 |
리비아 | 2014년 제거 | 아니오 | 2004년 1월 6일 (가입) |
미얀마 (버마) | 가능성 있음 | 1993년 1월 14일[100] | 2015년 7월 8일[10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알려짐 | 아니오 | 아니오 |
파키스탄 | 가능성 있음 | 1993년 1월 13일 | 1997년 11월 27일 |
러시아 | 2017년 제거 | 1993년 1월 13일 | 1997년 11월 5일 |
세르비아 및 몬테네그로 | 가능성 있음 | 아니오 | 2000년 4월 20일 (가입) |
수단 | 가능성 있음 | 아니오 | 1999년 5월 24일 (가입) |
시리아 | 알려짐 | 아니오 | 2013년 9월 14일 (가입) |
타이완 | 가능성 있음 | 해당 없음 | 해당 없음 |
미국 | 2023년 제거[102] | 1993년 1월 13일 | 1997년 4월 25일 |
베트남 | 가능성 있음 | 1993년 1월 13일 | 1998년 9월 30일 |
3. 4. 방사선 무기
방사선 무기는 다량의 방사선을 방출하여 인명 피해를 주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무기이다. 대표적인 예로는 중성자탄과 코발트 폭탄이 있다.중성자탄은 폭발 시 대량의 중성자와 감마선을 발생시킨다. 이 방사선은 미사일의 전자장치나 핵탄두를 무력화하고, 특히 인명 살상에 효과적이다. 일반적인 핵폭탄과 달리 폭풍이나 열선 효과는 크지 않아 건축물 등의 시설 파괴는 적은 편이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적 지역을 점령했을 경우 시설을 즉시 이용할 수 있다는 군사적 이점이 있다. 중성자는 콘크리트나 전차의 장갑판 등도 상당 부분 투과할 수 있어 내부에 있는 사람만을 효과적으로 살상할 수 있으므로 방어가 매우 어려운 무기로 평가받는다.
코발트 폭탄은 수소폭탄의 외피를 코발트 금속으로 감싼 형태의 방사선 강화 무기이다. 폭발 시 발생하는 강렬한 중성자를 코발트가 흡수하여 방사성 동위원소인 코발트-60을 대량으로 생성한다. 이 코발트-60은 방사성 먼지가 되어 넓은 지역으로 퍼져나가 지표면에 떨어진다. 코발트-60은 반감기가 약 5.27년으로 비교적 길기 때문에, 한번 오염된 지역은 오랜 기간 동안 생명체가 살기 어려운 '죽음의 땅'으로 변하게 된다.
4. 역사
"대량살상무기"(Weapons of mass destruction영어, WMD)라는 용어는 1937년 캔터베리 대주교 코즈모 고든 랭이 스페인 내전 중 게르니카 폭격과 중일전쟁의 참상을 언급하며 처음 사용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2][145] 당시 런던 타임스 등에서도 나치 독일이나 일본의 폭격기와 항공 폭격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사용되었다.[155] 랭 대주교는 당시의 참상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지금 이 순간, 스페인과 중국에 전쟁이 가져온 끔찍한 학살과 고통, 그리고 갖가지 고난을 생각하지 않고서는 마음이 편할 수 있겠습니까? 새로운 대량살상무기로 벌어질 또 다른 광범위한 전쟁이 무엇을 의미할지 생각하지 않고서는 어떻게 공포를 느끼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3][146]
당시에는 아직 핵무기가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 초기 용례에는 핵무기가 포함되지 않았다. 이때의 '대량살상무기'는 주로 대규모 공중 폭격 능력을 의미했으며, 이미 제1차 세계 대전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 화학무기와 일본 제국이 731 부대 등에서 연구하던 생물무기 등도 잠재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개념이었다.[4] 화학무기는 1925년 제네바 의정서에 의해 전시 사용이 금지되었으나,[5] 이탈리아는 1935년부터 1936년까지 이어진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에서 겨자 가스를 사용하기도 했다.[6]
제2차 세계 대전 말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로 핵무기가 등장하고 냉전이 시작되면서 '대량살상무기'의 의미는 점차 핵무기, 생물무기, 화학무기(NBC)를 포함하는 비재래식 무기를 중심으로 재편되었다. 1948년 유엔 통상군비위원회(Commission for Conventional Armaments)는 대량살상무기를 "원자폭발 무기, 방사성 물질 무기, 치명적인 화학 및 생물학 무기, 그리고 현재 개발되었거나 미래에 개발될 수 있는, 앞서 언급한 무기들과 유사한 파괴적 효과를 가진 모든 무기"로 정의했다.[147] 이 용어는 핵무기의 가공할 파괴력과 그 위협을 강조하는 맥락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1945년 해리 S. 트루먼, 클레멘트 애틀리, 매켄지 킹의 공동 성명에서는 "대량파괴에 적용 가능한 무기"라는 표현이 등장했고,[7] 1946년 유엔 총회 첫 결의안은 "원자무기 및 기타 모든 대량파괴용 무기의 국가 군비에서 제거"를 언급했으며,[8] 같은 해 버나드 바루크의 유엔 연설,[7] 1947년 J. 로버트 오펜하이머의 강연,[10] 1950년 미국 정부 문서 NSC 68,[12] 1955년 러셀-아인슈타인 선언 등에서도 이 용어가 사용되었다. 윌리엄 세이퍼는 이 용어의 현대적 쓰임이 러시아어 'Оружие массового поражения|oruzhiye massovogo porazheniyaru'(대량살상무기)에서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다.[7]
냉전 기간 동안 "대량살상무기"는 주로 핵무기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며, 서방에서는 때때로 "전략 핵무기"라는 완곡한 표현을 쓰기도 했다.[16] 존 F. 케네디 미국 대통령은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 당시 "갑작스러운 대량파괴 공격 무기"를 언급하며 핵전쟁의 위기를 경고했다.[14] 1967년 우주 조약에서는 우주 공간에 "핵무기 또는 기타 모든 종류의 대량살상무기" 배치를 명시적으로 금지했다.[15] 1981년 이스라엘이 이라크의 오시라크 원자로를 공습한 오페라 작전 이후, 메나헴 베긴 이스라엘 총리는 자국에 대한 위협이 되는 대량살상무기 개발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선제공격 독트린, 이른바 베긴 독트린을 천명했다.[17]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은 1986년 레이캬비크 정상회담에서,[18] 조지 H. W. 부시 대통령은 1989년 유엔 연설에서 주로 화학무기 감축과 관련하여 이 용어를 사용했다.[19]
냉전이 종식되면서 미국의 핵무기 의존도는 줄어들었으나, 1990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과 이듬해 벌어진 걸프 전쟁은 이라크의 잠재적인 핵, 생물학, 화학 무기 프로그램에 대한 국제 사회의 우려를 증폭시켰다.[20] 전쟁 종결 후 1991년 채택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687호는 이라크의 대량살상무기 폐기를 명시적으로 요구했으며, 이후 이 용어는 이라크의 무장 해제 문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사용되었다.[20]
2001년 9·11 테러와 미국 내 탄저균 테러 사건 이후, 비전통적 무기와 비대칭 전쟁에 대한 공포가 확산되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조지 W. 부시 행정부는 이라크가 대량살상무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유엔의 사찰을 거부하고 있다는 점을 명분으로 2003년 이라크 전쟁을 개시했다. 그러나 전쟁 이후 미국 주도의 대규모 수색에도 불구하고 이라크 내에서 활성 상태의 대량살상무기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2004년 조사단은 대량살상무기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최종 보고서를 제출했다. 다만 오래되어 사용 불가능한 상태의 화학무기 포탄 등이 일부 발견되었고,[22] 이라크는 1991년 걸프 전쟁 이후 유엔이 확보했던 화학무기 비축물(주로 전구체 포함)을 2009년에 신고하기도 했다.[23] 이 시기 "대량살상무기"(WMD)라는 용어는 매우 빈번하게 사용되어 2002년 미국 방언 학회(American Dialect Society)에서 '올해의 단어'로 선정되기도 했다.[24]
이후에도 이 용어는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고 있다. 2013년 보스턴 마라톤 폭탄 테러 당시 FBI는 압력솥 폭탄을 기소장에서 "대량살상무기"로 지칭했으며,[26] 주요 사회 기반 시설을 마비시킬 수 있는 파괴력을 가진 사이버 무기 역시 대량살상무기의 범주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27][28][29]
5. 국제법
대량살상무기의 개발 및 사용은 여러 국제 조약에 의해 규율된다.
조약 | 서명일 | 발효일 | 가입국 수 | 목적 |
---|---|---|---|---|
제네바 의정서[63] | 1925년 6월 17일 | 1928년 2월 8일 | 145 | 국제 무력 충돌에서 화학 및 생물학 무기 사용 금지 |
부분적 핵실험 금지 조약[64] | 1963년 8월 5일 | 1963년 10월 10일 | 126 (목록) | 지하에서 실시되는 것을 제외한 모든 핵무기 실험 금지 |
우주 조약[65] | 1967년 1월 27일 | 1967년 10월 10일 | 111 | 우주에서 대량살상무기 배치 금지 |
핵확산금지조약 (NPT)[66] | 1968년 7월 1일 | 1970년 3월 5일 | 190 (목록) | 1. 핵확산 방지; 2. 핵 군축 증진; 3. 핵에너지의 평화적 이용 증진 |
해저 무기 통제 조약[67] | 1971년 2월 11일 | 1972년 5월 18일 | 94 | 해저에서 대량살상무기 배치 금지 |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 (CTBT)[68] | 1996년 9월 10일 | 발효되지 않음 | 176 (목록) | 모든 핵무기 실험 금지 |
생물 및 독소 무기 협약 (BWC)[69] | 1972년 4월 10일 | 1975년 3월 26일 | 184 (목록) | 생물 무기를 포괄적으로 금지 |
화학무기금지협약 (CWC)[70] | 1992년 9월 3일 | 1997년 4월 29일 | 193 (목록) | 화학 무기를 포괄적으로 금지 |
핵무기 금지 조약 (TPNW)[71] | 2017년 9월 20일 | 2021년 1월 22일 | 68 (목록) | 핵무기를 포괄적으로 금지 |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1540호
6. 확산 방지 노력
대량살상무기(WMD)의 확산은 세계 안보에 있어 불안정 요소로 인식된다.[148] 이 때문에, 대량살상무기 운반 수단이 될 수 있는 장거리 미사일과 함께 확산 방지를 위한 국제적 협력이 요구되어 왔다. 2003년에는 확산에 대한 안보 구상(PSI)이 제안되었고,[149] 주요국 정상회의에서는 대량살상무기 불확산 선언이 발표되었다.[150]
2004년에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1540이 채택되어, WMD를 이용한 테러리즘 방지를 위해 각국의 법제도 정비와 협력 체제 구축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관련 물자의 수출 규제와 기술 이전 제한,[151] 해상 차단 작전 검토 등[149]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2017년 4월 6일 당시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는 시리아 대통령 바샤르 알아사드가 시리아 내전에서 화학무기를 사용한 것에 대한 대응으로, 미군이 시리아 공군 기지 등에 총 59발의 토마호크 순항 미사일을 발사하는 군사적 조치를 단행했다.[152][153] 이는 국제 문제에 대한 무력 개입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로 평가된다.
7. 대량살상무기 보유국 및 비축량 (2023년 기준)
2023년 초 기준으로 핵무기를 보유한 국가는 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중국, 인도, 파키스탄, 북한, 이스라엘 등 9개국이다. 이들 국가가 보유한 핵무기는 총 12,512개로 추정되며, 이 중 9,576개가 잠재적으로 작전 가능한 상태로 간주된다. 작전 부대에 배치된 핵탄두는 약 3,844개이며, 약 2,000개는 높은 작전 경계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73] 핵 공유 협정을 통해 핵무기가 배치된 국가로는 벨기에,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터키가 있다.[75]
화학무기의 경우, 1997년 발효된 화학무기금지협약(CWC)에 따라 대부분의 국가가 폐기했거나 폐기 중이다. 미국은 2023년에[102], 러시아는 2017년에 화학무기 전량 폐기를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북한과 시리아는 CWC에 가입하지 않았으며 화학무기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스라엘은 CWC에 서명했지만 비준하지 않았고, 이집트는 서명 및 비준을 하지 않아 보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란 역시 보유 가능성이 있는 국가로 분류된다.
생물무기는 1975년 발효된 생물무기협약(BWC)에 의해 개발, 생산, 보유가 전면 금지되었다.[94]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국가에서 비밀리에 연구 또는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며, 특히 북한과 이란의 생물무기 보유가 의심받고 있다.
아래 표는 각국의 대량살상무기 보유 현황 및 추정치를 나타낸다. (핵무기 관련 수치는 출처 및 시점에 따라 다를 수 있음)
국가 | 화학 작용제 비축량 | 생물 작용제 비축량 | 핵탄두 비축량 (2023년 추정[73]) | 최대 핵 위력 (추정) |
---|---|---|---|---|
미국 | 없음 (2023년 폐기 완료[102]) | 없음 (1969년 프로그램 종료[87]) | 5,244발 | 1.2 Mt (B83) |
러시아 | 없음 (2017년 폐기 완료) | 없음 (1992년 프로그램 종료 선언[85]) | 5,889발 | 20-25 Mt (차르 봄바 실험 시 50Mt) |
중국 | 가능성 있음 | 가능성 있음 | 410발 | 5 Mt |
영국 | 없음 | 없음 (1956년 프로그램 종료[86]) | 225발 | 100 kt |
프랑스 | 없음 | 없음 (1972년 프로그램 종료[81]) | 290발 | 300 kt |
인도 | 없음 (2009년 폐기 완료) | 가능성 있음 | 164발 | 60 kt |
파키스탄 | 가능성 있음 | 가능성 있음 | 170발 | 40 kt |
이스라엘 | 5000000L 비축 (추정) | 가능성 있음 | 90발 (비공식) | 정보 없음 |
북한 | 2140000L 비축 (추정) | 200000L 비축 (추정) | 30발 | 100~300 kt (추정) |
이란 | 2000000L 비축 (추정) | 200발 비축 (추정) | 없음 (개발 의혹) | 해당 없음 |
8. 대한민국 관점
대한민국은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 개발 및 보유를 한반도 평화와 안정에 대한 심각한 위협으로 인식하고 있다. 북한은 국제사회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핵무기와 화학무기 등 대량살상무기 능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으며, 이는 대한민국 안보에 직접적인 도전이 되고 있다.[148]
이에 대한민국은 국제사회의 대량살상무기 비확산 노력에 적극 동참하는 한편, 미국과의 동맹을 통해 확장억제력을 강화하여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고 있다.
8. 1.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개발
북한은 핵무기를 보유한 9개국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2023년 초 기준으로 전 세계 9개국이 보유한 약 12,512개의 핵무기 중 일부를 북한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73]또한 북한은 화학무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화학무기의 개발, 생산, 비축, 사용을 전면 금지하는 화학무기금지협약(CWC)에 가입하지 않은 상태이다.
북한의 이러한 대량살상무기(WMD) 개발 및 보유는 한반도는 물론 국제 사회 전체의 평화와 안정에 심각한 위협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다.[148] 이에 국제 사회는 대량살상무기의 확산 방지를 위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1540 등을 통해 각국의 법제도 정비와 협력 체제 구축을 요구하는 등[150]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8. 2. 대한민국의 대응
대한민국은 국제사회의 대량살상무기 확산 방지 노력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있다. 핵확산금지조약(NPT), 생물무기금지협약(BWC), 화학무기금지협약(CWC) 등 주요 국제 조약의 당사국으로서 비확산 체제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독자적인 핵무기 개발은 추진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으며, 북한의 핵 위협에 대해서는 미국의 확장억제 제공에 의존하여 대응하고 있다.9. 윤리적 문제
일부 해설가들은 전시 중 핵, 화학 또는 생물학 무기의 일부 또는 전부 사용을 전쟁범죄로, 만약 그 피해가 광범위하다면 반인륜 범죄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러한 무기들이 전쟁법에 의해 보호받는 민간인을 무차별적으로 살상하거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욱 포괄적으로 발전해 온 국제 조약에 의해 명시적으로 금지되기 때문이다.[103] 반면, 사용을 옹호하는 측에서는 특정 무기 사용이 방어를 위해 또는 장기전에서 더 많은 사망자를 피하기 위해 불가피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104] 항공기를 이용한 테러 폭격 전술이나 도시를 표적으로 한 지역 폭격, 포화 상태의 카펫 폭격 역시 비슷한 비판과 옹호를 받아왔으며, 조약에 의해 금지되기도 했다. 재래식 포화 폭격의 파괴적인 효과는 핵무기와 유사한 수준에 이를 수 있다.[105][106][107]
대량살상무기(WMD)를 둘러싼 정보 전달 과정에서도 윤리적 문제가 제기된다. 2004년 3월, 메릴랜드 국제안보연구센터(CISSM)는 1998년 인도와 파키스탄의 핵실험, 2002년 미국의 북한 핵 프로그램 증거 발표, 2003년 이란의 핵 프로그램 공개 등 세 시기의 WMD 관련 언론 보도를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했다.[118] 이 보고서는 부정확하거나 편향된 보도가 언론의 정치적 편향성 문제라기보다는 관행적인 저널리즘 방식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지적하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제시했다.
> 1. 대부분의 언론 매체는 WMD를 단일한 위협으로 묘사하여, 무기 프로그램과 실제 무기 간의 차이점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거나 화학, 생물학, 핵, 방사능 무기 간의 실질적인 차이점을 다루지 못했습니다.
> 2. 대부분의 언론인들은 클린턴 시대와 달리 테러 행위와 WMD의 획득 및 사용을 명확히 구분했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부시 행정부의 "테러와의 전쟁"을 WMD에 대한 캠페인으로 받아들였습니다.
> 3. 많은 기사들이 WMD에 대한 현직 행정부의 관점을 속기하듯 보도하여, 관리들이 사건, 문제, 위협 및 정책 옵션을 구성한 방식에 대한 비판적인 검토가 부족했습니다.
> 4. 공식 입장에 대한 대안적인 관점을 제시하는 기사가 너무 적었는데, 이는 속보를 우선시하는 저널리즘과 "역피라미드"식 스토리텔링 때문에 더욱 악화되었습니다.
>
> — Susan D. Moeller, "대량살상무기 보도"
2005년에 발표된 다른 연구[119]는 2003년 이라크 전쟁 중 WMD 탐색에 대한 언론 보도와 이후의 반박 보도가 사람들의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이 연구는 전쟁에 참여한 연합군 국가인 호주와 미국, 그리고 전쟁에 반대한 독일 시민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미국 시민들은 WMD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반박 보도 이후에도 초기의 잘못된 정보를 잘 수정하지 않은 반면, 호주와 독일 시민들은 반박 정보를 비교적 잘 수용했다. 특히 상당수의 미국인들은 초기 정보에 의존하여 실제로는 발견되지 않은 WMD가 발견되었다는 거짓 기억을 형성하기도 했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했다.
1. 나중에 반박되더라도, 잠정적인 뉴스 보도가 반복되면 상당수 사람들에게 거짓 기억을 형성시킬 수 있다.
2. 정보가 일단 공개되면, 해당 사건의 동기에 대한 의심이 없는 한, 후속 정정 보도가 사람들의 믿음을 바꾸기 어렵다.
3. 사람들이 정정 보도를 무시할 때는, 그 정정 보도의 확실성에 대한 인식 정도와 관계없이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2003년 6월부터 9월 사이에 실시된 여론 조사에서는 응답자들에게 전쟁 종료 후 이라크에서 WMD 증거가 발견되었다고 생각하는지, 그리고 어떤 언론 매체를 주로 이용하는지를 물었다. 그 결과, 폭스 뉴스를 주 시청 채널로 삼은 사람들은 PBS나 NPR을 주로 이용하는 사람들보다 WMD 증거가 발견되었다고 믿을 가능성이 세 배나 높았고, CBS 시청자들보다도 세 배 더 높게 나타났다.[120]
2003년 6월~9월에 실시된 일련의 여론 조사를 기반으로 합니다.[121]
2006년, 폭스 뉴스는 국가 지상 정보 센터 보고서의 일부 내용을 근거로 두 공화당 의원이 이라크에서 WMD가 발견되었다고 주장한 내용을 보도했다.[122] 당시 상원의원이었던 릭 산토럼은 해당 보고서를 인용하며 "2003년 이후 연합군이 황색 가스나 사린 신경 작용제가 포함된 약 500개의 무기 탄약을 회수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탄약들은 심하게 부식된 상태였으며, 이에 대해 미 하원 군사위원회에 출석했던 이라크 서베이 그룹(ISG)의 전 책임자 데이비드 케이는 이들이 이라크인들에 의해 부적절하게 보관되거나 파괴된 오래된 잔여물이라고 설명했다.[123] ISG를 이끌었던 찰스 듀엘퍼 역시 NPR과의 인터뷰에서 "제가 이라크 조사단(ISG)을 이끌었을 때, 이러한 탄약이 급조폭발물(IED)로 변형된 몇 가지 사례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들은 지역적 위험일 뿐이며, 주요 대량살상무기는 아닙니다."라고 밝혔다.[124]
이후 위키리크스는 이라크 점령 기간 동안 이러한 종류의 화학무기 잔여물이 계속 발견되었음을 보여주는 문서를 공개하기도 했다.[125]
한편, 폭스 뉴스를 포함한 다수의 언론 기관들은 이라크 조사단의 조사 결과 이라크에서 WMD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CIA의 최종 결론을 보도하기도 했다.[126][127]
10. 대중문화
대량살상무기와 그 영향은 냉전이 시작된 이후 대중문화에서 정치적 풍자나 유머의 소재로 자주 다루어졌다. '대량살상무기'라는 표현은 2003년 이라크 침공을 앞두고 벌어진 이라크 무기 위기 이후, 본래 의미와 비슷하게 사용되거나 어떤 강력한 힘 또는 제품을 묘사하는 방식으로 쓰이기도 한다. 공상과학 장르에서는 현실에 존재하는 무기보다 훨씬 더 큰 파괴력이나 영향력을 가진 가상의 대량살상무기가 등장하기도 한다.
11. 일반적인 위험 기호
기호 유형 (독성, 방사성 또는 생물학적 위험) | 기호 | 유니코드 | 이미지 |
---|---|---|---|
독성 기호 | ☠ | U+2620 | |
방사성 기호 | ☢ | U+2622 | |
생물학적 위험 기호 | ☣ | U+2623 | ![]() |
국제 방사능 기호(삼엽 기호라고도 함)는 1946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 방사선 연구소에서 처음 등장했다.[139] 이 기호는 반지름이 ''R''인 중앙 원을 기준으로, 내부 반지름 1.5''R'', 외부 반지름 5''R''인 날개 세 개가 서로 60° 간격으로 배치된 모양이다.[140] 이는 방사선을 방출하는 원자를 형상화한 것이다.[141]
그러나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이 삼엽 기호가 직관적이지 않고, 의미를 모르는 사람들에게는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발견했다. 특히 비서구권 문화의 사람들과 어린이들에게는 위험 경고로서의 의미가 명확하게 전달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007년에는 두개골과 도망치는 사람 그림을 포함하고 빨간색 배경을 사용하여 위험을 강조하는 새로운 방사능 위험 기호(ISO 21482)가 개발되었다.[142]
이 새로운 기호는 주로 매우 강한 이온화 방사선에 노출될 수 있는 장비를 분해하거나 조작할 때 발견될 수 있도록 부착된다. 일반 대중이 쉽게 볼 수 있는 곳보다는, 장비를 분해하는 과정에서 발견되도록 하여 즉각적인 위험을 알리는 데 목적이 있다. 예를 들어, 고철 처리 작업자 등이 이 기호를 보고 작업을 중단하고 즉시 해당 지역을 벗어나도록 경고하는 역할을 한다.[143]
생물학적 위험 기호는 1960년대 다우 케미컬사에서 자사의 밀폐 제품을 위해 개발했다.[144] 개발에 참여한 환경 보건 기술자 찰스 덜린(Charles Dullin)은 "기억하기는 쉽지만 특별한 의미는 부여되지 않은 기호를 원했으며, 그래야 사람들에게 그 의미를 교육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140]
참조
[1]
웹사이트
Hydrogen Bomb test explosion - Redwing Tewa
https://www.atomcent[...]
2024-08-07
[2]
웹사이트
Weapon of mass destruction - weaponry
https://www.britanni[...]
2019-06-25
[3]
뉴스
Archbishop's Appeal
Times (London)
1937-12-28
[4]
웹사이트
Biological Weapons Program – Japan
https://fas.org/nuke[...]
Fas.org
2010-08-05
[5]
서적
Chemical and Biological Warfare: An Annotated Bibliography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6-01-11
[6]
서적
Is Arsenic an Aphrodisiac?: The Sociochemistry of an Element
https://books.googl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6-01-11
[7]
웹사이트
On Language; Weapons of Mass Destruction
https://www.nytimes.[...]
2019-06-25
[8]
웹사이트
UNODA – Nuclear Weapons Home
https://www.un.org/d[...]
Un.org
2012-05-14
[9]
Resolution
Establishment of a Commission to Deal with the Problems Raised by the Discovery of Atomic Energy
1946-01-24
[10]
서적
The Open Mind
Simon & Schuster
[11]
서적
J. Robert Oppenheimer: A Lif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6-25
[12]
웹사이트
NSC-68 United States Objectives and Programs for National Security
https://fas.org/irp/[...]
Fas.org
2010-08-05
[13]
웹사이트
John F. Kennedy Moon Speech—Rice Stadium
https://web.archive.[...]
nasa.gov
2015-06-30
[14]
문서
Televised remarks to the American people re "the Soviet military buildup on the island of Cuba"
1962-10-22
[15]
조약
Treaty on Principles Governing the Activities of States in the Exploration and Use of Outer Space, including the Moon and Other Celestial Bodies, Art. IV, Jan. 27, 1967, T.I.A.S. No. 6347, 610 U.N.T.S. 205, 18 U.S.T. 2410 (effective Oct. 10, 1967).
[16]
서적
Tactical nuclear weapons : emergent threats in an evolving security environment.
https://books.google[...]
Brassey's
2011-03-22
[17]
웹사이트
Country Profiles -Israel
http://www.nti.org/c[...]
2014-05
[18]
뉴스
CNN Cold War – Historical Documents: Reagan-Gorbachev transcripts
http://www.cnn.com/S[...]
2008-05-18
[19]
뉴스
Excerpts From Bush's Speech at the Opening of the U.N. General Assembly –
https://query.nytime[...]
1989-09-26
[20]
뉴스
Confrontation in the Gulf; U.S. Explores New Strategies to Limit Weapons of Mass Destruction –
https://query.nytime[...]
1990-09-30
[21]
뉴스
Global Nuclear Arsenal Declines, But Future Cuts Uncertain Amid U.S.-Russia Tensions
https://www.rferl.or[...]
2019-06-17
[22]
뉴스
Munitions Found in Iraq Meet WMD Criteria
http://www.military.[...]
2006-06-29
[23]
웹사이트
India Completes Chemical Weapons Disposal; Iraq Declares Stockpile {{!}} Analysis {{!}} NTI
http://www.nti.org/g[...]
2017-12-12
[24]
웹사이트
American Dialect Society
http://www.americand[...]
Americandialect.org
2003-01-13
[25]
웹사이트
Lake Superior State University:: Banished Words List:: 2003
https://web.archive.[...]
Lssu.edu
2010-08-05
[26]
뉴스
Criminal Complaint United States vs Dzhokhar Tsarnaev
https://web.archive.[...]
[27]
학술지
Defining a Class of Offensive Destructive Cyber Weapons As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 Examination of the Merits
https://www.airunive[...]
2017-12
[28]
웹사이트
Cyber Weapons – The New Weapons of Mass Destruction
https://web.archive.[...]
2013-03
[29]
웹사이트
The Pentagon Thinks Cyber Ops Could Be The Next WMDs
https://www.govexec.[...]
2018-12-19
[30]
학술지
The misunderstood acronym: Why cyber weapons aren't WMD
2013-09
[31]
학술지
Future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Their Nature and Role in 2030
https://www.hsdl.org[...]
2014-06
[32]
웹사이트
Weapons of Mass Destruction
https://www.hampshir[...]
2014
[33]
웹사이트
Untitled
https://web.archive.[...]
[34]
웹사이트
Weekly Compilation of Presidential Documents Volume 37, Issue 19 (May 14, 2001)
http://frwebgate.acc[...]
Frwebgate.access.gpo.gov
[35]
웹사이트
CIA Site Redirect{{spaced ndash}}Central Intelligence Agency
http://www.odci.gov/[...]
[36]
웹사이트
Message of the Secretary of Defense
http://www.defenseli[...]
2016-02-06
[3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defenseli[...]
2016-02-06
[38]
웹사이트
Weapons of Mass Destruction: State Department Oversight of Science Centers Program
http://frwebgate.acc[...]
2010-08-05
[39]
웹사이트
Department of Defense Dictionary of Military and Associated Terms
http://www.dtic.mil/[...]
Dtic.mil
2001-04-12
[40]
웹사이트
Review of Intelligence on Weapons of Mass Destruction: Report of a Committee of Privy Counsellors
http://archive.cabin[...]
The Stationery Office
2004
[41]
웹사이트
Chemical and Biological Weapons: Use in Warfare, Impact on Society and Environment
https://www.wagingpe[...]
2001-11-22
[42]
웹사이트
A Soldier's Viewpoint on Surviving Nuclear, Chemical and Biological Attacks
http://www.sightm191[...]
Sightm1911.com
2010-08-05
[43]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Public Health
Academic Press
2016
[44]
웹사이트
Colombia
http://disarmament.u[...]
2007-09-02
[45]
웹사이트
What makes a weapon one of mass destruction?-News-UK-TimesOnline
http://www.timesonli[...]
2007-03-11
[46]
웹사이트
The History and Science of CBRNE Agents, Part I
http://www.theaic.or[...]
American Institute of Chemists
[47]
웹사이트
US CODE: Title 50—War and National Defense
http://www4.law.corn[...]
.law.cornell.edu
2010-03-23
[48]
웹사이트
US CODE: 50, ch. 40—Defense Against Weapons of Mass Destruction
http://www4.law.corn[...]
.law.cornell.edu
2010-03-23
[49]
웹사이트
US CODE: 50, ch. 40, § 2302. Definitions
https://www.law.corn[...]
.law.cornell.edu
2010-03-23
[50]
웹사이트
US CODE: 50, ch. 43—Preventing Weapons of Mass Destruction Proliferation and Terrorism
http://www4.law.corn[...]
.law.cornell.edu
2010-03-23
[51]
웹사이트
US CODE: 50, ch. 43; § 2902. Definitions
https://www.law.corn[...]
.law.cornell.edu
2010-03-23
[52]
웹사이트
US CODE: Chapter 113B—Terrorism
http://www4.law.corn[...]
.law.cornell.edu
2010-06-28
[53]
웹사이트
US CODE: Title 18, § 921. Definitions
https://www.law.corn[...]
.law.cornell.edu
1994-09-13
[54]
웹사이트
US CODE: Title 18, § 2332a. Use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https://www.law.corn[...]
.law.cornell.edu
2010-06-28
[55]
웹사이트
What is A Weapon of Mass Destruction
https://www.fbi.gov/[...]
Fbi.gov
2007-03-30
[56]
웹사이트
United States v. McVeigh
https://scholar.goog[...]
[57]
웹사이트
FindLaw for Legal Professionals – Case Law, Federal and State Resources, Forms, and Code
http://caselaw.lp.fi[...]
Caselaw.lp.findlaw.com
[58]
웹사이트
U.S. v. Richard C. Reid
http://fl1.findlaw.c[...]
[59]
뉴스
The Free Lance-Star – 14 Jul 1998
https://news.google.[...]
[60]
웹사이트
18 U.S. Code § 2332a - Use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https://www.law.corn[...]
[61]
웹사이트
Indictment of ZACARIAS MOUSSAOUI
https://www.justice.[...]
2014-09-09
[62]
뉴스
Injury toll from Marathon bombs reduced to 264
https://www.bostongl[...]
2013-04-24
[63]
웹사이트
Disarmament Treaties Database: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2021-02-10
[64]
웹사이트
Disarmament Treaties Database: Partial Test Ban Treaty
http://disarmament.u[...]
2021-02-10
[65]
웹사이트
Disarmament Treaties Database: Outer Space Treaty
http://disarmament.u[...]
2021-02-10
[66]
웹사이트
Disarmament Treaties Database: Treaty on the Non-Proliferation of Nuclear Weapons (NPT)
http://disarmament.u[...]
2021-02-10
[67]
웹사이트
Disarmament Treaties Database: Sea-bed Treaty
http://disarmament.u[...]
2021-02-10
[68]
웹사이트
Disarmament Treaties Database: Comprehensive Nuclear-Test-Ban Treaty
http://disarmament.u[...]
2021-02-10
[69]
웹사이트
Disarmament Treaties Database: Biological Weapons Convention
http://disarmament.u[...]
2021-02-10
[70]
웹사이트
Disarmament Treaties Database: Chemical Weapons Convention
http://disarmament.u[...]
2021-02-10
[71]
웹사이트
Disarmament Treaties Database: Treaty on the Prohibition of Nuclear Weapons
http://disarmament.u[...]
2021-02-10
[72]
웹사이트
How Nuclear Weapons Work Union of Concerned Scientists
https://www.ucsusa.o[...]
2024-05-16
[73]
논문
World Nuclear Forces 2023
https://www.sipri.or[...]
Oxford University Press
2023
[74]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Public Health
2017
[75]
웹사이트
U.S. Nuclear Weapons in Europe NATO Nuclear Weapons Policy NTI
https://www.nti.org/[...]
2019-03-19
[76]
간행물
Biological Weapons Convention
https://front.un-arm[...]
1972
[77]
학술지
Biological Warfare at the 1346 Siege of Caffa
2002-09
[78]
서적
Greek Fire, Poison Arrows & Scorpion Bombs: Biological and Chemical Warfare in the Ancient World
Abrams Press
2003
[79]
뉴스
The A to Z of international relations
https://www.economis[...]
2023-11-23
[80]
웹사이트
Canada
https://www.nti.org/[...]
2021-03-04
[81]
웹사이트
France
https://www.nti.org/[...]
2021-03-04
[82]
웹사이트
Iraq
https://www.nti.org/[...]
2021-03-04
[83]
웹사이트
Japan
https://www.nti.org/[...]
2021-03-04
[84]
웹사이트
South Africa
https://www.nti.org/[...]
2021-03-04
[85]
웹사이트
Russia
https://www.nti.org/[...]
2021-03-04
[86]
웹사이트
United Kingdom
https://www.nti.org/[...]
2021-03-04
[87]
웹사이트
United States
https://www.nti.org/[...]
2021-03-04
[88]
서적
Chapter 2: Biological warfare before 1945. In Bioterror and Biowarfare: A Beginner's Guide
Oneworld
2006
[89]
서적
The Soviet Biological Weapons Program: A History
Harvard University Press
2012
[90]
학술지
Legal Aspects of the Geneva Protocol of 1925
1970-10
[91]
웹사이트
Text of the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2021-03-02
[92]
웹사이트
Disarmament Treaties Database: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2021-03-02
[93]
학술지
The Shortcomings of Indeterminacy in Arms Control Regimes: The Case of the Biological Weapons Convention
2007-04
[94]
웹사이트
Biological Weapons Convention
https://www.un.org/d[...]
2021-03-02
[95]
웹사이트
Disarmament Treaties Database: Biological Weapons Convention
http://disarmament.u[...]
2021-03-02
[96]
학술지
One hundred and one years after a milestone: Modern chemical weapons and World War I
https://revistas.una[...]
2015-11-15
[97]
웹사이트
Gas Warfare at Dura-Europos
http://www.archaeolo[...]
2021-12-22
[98]
학술지
Advice on chemical weapons sample stability and storage provided by the Scientific Advisory Board of the Organisation for the Prohibition of Chemical Weapons to increase investigative capabilities worldwide
2018-10
[99]
웹사이트
Status of Participation in the Chemical Weapons Convention as at 14 October 2013
http://www.opcw.org/[...]
2013-10-14
[100]
웹사이트
SIGNATORY STATES
https://www.opcw.org[...]
2013-09-02
[101]
뉴스
Myanmar Joins Chemical Weapons Convention
https://www.opcw.org[...]
2015-07-09
[102]
웹사이트
https://www.peoacwa.[...]
[103]
문서
List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treaties
[104]
문서
Debate over the atomic bombings of Hiroshima and Nagasaki, Khabarovsk War Crime Trials, Halabja poison gas attack, Ali Hassan al-Majid
[105]
문서
Aerial bombardment and international law
[106]
뉴스
60 Years after the Bombing of Dresden: A War of Words
http://www.spiegel.d[...]
Der Spiegel
2005-02-02
[107]
웹사이트
Carpet or Area Bombing
https://web.archive.[...]
2015-12-08
[108]
웹사이트
Weapons of mass distraction
https://web.archive.[...]
The Last Ditch
2003-06-11
[109]
웹사이트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re Overrated as a Threat to America
http://www.independe[...]
The Independent Institute
2004-01-28
[110]
간행물
Term Limits
https://web.archive.[...]
[111]
웹사이트
'Daisy Girl' political ad still haunting 50 years later
https://www.azcentra[...]
2014-09-06
[112]
웹사이트
War Pimps
https://web.archive.[...]
Anderson Valley Advertiser
2003-08-13
[113]
웹사이트
President Bush Meets with Prime Minister Blair
https://web.archive.[...]
2003-01-31
[114]
뉴스
Munitions Found in Iraq Meet WMD Criteria, Official Says
https://web.archive.[...]
2006-06-29
[115]
웹사이트
Weapon of mass destruction
https://web.archive.[...]
[116]
웹사이트
18 U.S.C. 2332a - Use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http://www.gpo.gov/f[...]
[117]
웹사이트
Case 1:13-mj-02106-MBB Document 3
https://www.justice.[...]
2013-04-21
[118]
웹사이트
Media coverage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https://web.archive.[...]
2004-03-09
[119]
웹사이트
Psychological Science – Journal Information
https://web.archive.[...]
Blackwellpublishing.com
[120]
논문
Misperceptions, the Media, and the Iraq War
2003-12
[121]
웹사이트
Misperceptions, the Media and the Iraq War
http://www.pipa.org/[...]
PIPA
2003-10-02
[122]
뉴스
Report: Hundreds of WMDs Found in Iraq
https://www.foxnews.[...]
Fox News
2006-06-22
[123]
문서
House Armed Services Committee Hearing
Kay, David
2006-06-29
[124]
웹사이트
Expert: Iraq WMD Find Did Not Point to Ongoing Program
https://www.npr.org/[...]
NPR
2006-06-22
[125]
웹사이트
WikiLeaks Show WMD Hunt Continued in Iraq – With Surprising Results
https://www.wired.co[...]
2010-10-23
[126]
뉴스
CIA's Final Report: No WMD Found in Iraq
https://www.nbcnews.[...]
NBC News
2005-04-25
[127]
뉴스
Iraq WMD Inspectors End Search, Find Nothing
http://www.foxnews.c[...]
Fox News
2005-04-26
[128]
웹사이트
Welcome – WMD Awareness Programme
http://www.wmdawaren[...]
2009-06-26
[129]
보고서
Mass and Elite Viewson Nuclear Security
https://www.osti.gov[...]
UNM Institute for Public Policy
2000-06
[130]
보고서
Public perspectives on nuclear security. US national security surveys, 1993--1997
https://digital.libr[...]
Office of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 (OSTI)
1998-08-01
[131]
웹사이트
Pakistan's Nuclear Tests Attempt to Restore Mutual Deterrence, Pakistan Tells Disarmament Committee
https://press.un.org[...]
1998-10-20
[132]
웹사이트
Indian Nuclear Escalation
https://www.belferce[...]
1998-05-13
[133]
웹사이트
The Pipa/Knowledge Networks Poll
http://www.pipa.org/[...]
2005-09-29
[134]
웹사이트
Russian public opinion on nuclear weapons – Blog – Russian strategic nuclear forces
https://web.archive.[...]
Russianforces.org
2005-08-05
[135]
웹사이트
Russian public opinion on nuclear weapons – Blog – Russian strategic nuclear forces
https://web.archive.[...]
Russianforces.org
2005-08-05
[136]
웹사이트
Unicode Character 'SKULL AND CROSSBONES' (U+2620)
https://web.archive.[...]
[137]
웹사이트
Unicode Character 'RADIOACTIVE SIGN' (U+2622)
https://web.archive.[...]
[138]
웹사이트
Unicode Character 'BIOHAZARD SIGN' (U+2623)
https://web.archive.[...]
[139]
웹사이트
Origin of the Radiation Warning Symbol (Trefoil)
https://www.orau.org[...]
[140]
웹사이트
Biohazard and radioactive Symbol, design and proportions
https://web.archive.[...]
[141]
웹사이트
Origin of the Radiation Warning Sign (Trefoil)
https://www.orau.org[...]
2021-10-13
[142]
간행물
Drop it and Run! New Symbol Warns of Radiation Dangers and Aims to Save Lives
http://www.iaea.org/[...]
IAEA Bulletin
2007-03
[143]
웹사이트
IAEA news release Feb 2007
http://www.iaea.org/[...]
2016-01-11
[144]
웹사이트
Biohazard Symbol History
http://www.hms.harva[...]
[145]
웹사이트
WMD: Where Did the Phrase Come from?
http://hnn.us/articl[...]
History News Network
2009-12-16
[146]
뉴스
Archbishop's Appeal
Times (London)
1937-12-28
[147]
서적
The Yearbook of the United Nations 1947-1948
https://www.un-ilibr[...]
United Nations
[148]
간행물
2014年版防衛白書 大量破壊兵器の移転・拡散
https://www.mod.go.j[...]
[149]
웹사이트
大量破壊兵器の拡散を阻止するPSIの活動
https://www.mofa.go.[...]
日本外務省
2012-06-13
[150]
웹사이트
大量破壊兵器の不拡散
https://www.mofa.go.[...]
日本外務省
[151]
웹사이트
大量破壊兵器等の不拡散のための補完的輸出規制に係る輸出手続き等について(お知らせ)
https://www.meti.go.[...]
[152]
웹사이트
トランプ政権、シリアにミサイル攻撃 ロシアは侵略行為と非難
http://www.newsweekj[...]
ニューズウィーク日本語版
2017-09-23
[153]
웹사이트
外交・安保、シリア攻撃で明確メッセージ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17-09-23
[154]
웹사이트
イラク大量破壊兵器、開発計画なし…米最終報告
https://web.archive.[...]
YOMIURI ONLINE
2013-10-07
[155]
웹사이트
WMD: Words of mass dissemination
http://news.bbc.co.u[...]
BBC News
2003-0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