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키리노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리노주는 필리핀 카가얀 계곡 지역의 내륙 주이다. 1966년 엘피디오 키리노 전 대통령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누에바 비스카야 주에서 분리되어 정규 주가 되었다. 키리노는 3,323.47km²의 면적에 6개의 지방 자치 단체와 132개의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2020년 인구 조사 기준 203,828명의 인구를 가진다. 주요 산업은 농업으로 쌀과 옥수수, 바나나 등을 생산하며, 로마 가톨릭교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가얀밸리 지방 - 카가얀주
    필리핀 루손섬 북동부에 위치한 카가얀주는 풍부한 선사 시대 문명과 카가얀강을 기반으로 농업이 발달했으며, 스페인 식민 시대와 미국 점령기,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다양한 문화적 영향을 받아 현재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공존하는 지역으로, 2023년 미군 기지 건설 발표로 국제적 주목을 받고 있다.
  • 카가얀밸리 지방 - 이사벨라주
    이사벨라주는 필리핀 루손섬 카가얀 밸리 지방에 위치한 주로, 스페인 왕령에 의해 1856년 설립되었으며 필리핀에서 두 번째로 큰 면적을 자랑하고, 옥수수와 쌀 생산량이 높은 농업이 주요 산업이며, 풍부한 산림 자원과 어장을 보유하고 있고, 일라간 시를 주도로 34개의 지방 자치 단체, 2개의 구성 도시 및 1개의 독립 구성 도시로 나뉜다.
  • 필리핀의 주 - 리살주
    리살주는 1901년에 설립되어 필리핀 역사 속에서 행정 구역 변경을 거쳐 현재 1개의 시와 13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칼라바르존 지역의 주이며, 구릉지대와 산악지형, 라구나 데 바이 호숫가를 포함하고 메트로 마닐라와 인접하여 경제적으로 발전했지만 지역 간 발전 불균형 문제를 가진 곳이다.
  • 필리핀의 주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키리노주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키리노 주 필리핀 지도
필리핀 내 키리노 주의 위치
기본 정보
이름키리노 주
원어 이름 (일로카노어)Probinsia ti Quirino
원어 이름 (타갈로그어)Lalawigan ng Quirino
별칭카가얀 밸리의 숲 중심지
명칭 유래엘피디오 키리노
건립1966년 6월 18일
중심지카바로기스
가장 큰 자치체디푼
행정
국가필리핀
지역카가얀 밸리 지방
주도카바로기스
행정 구역도시: 0개
자치체: 6개
바랑가이: 132개
하원 의원 지역키리노 주 선거구
정부
정치 체제주 정부
주지사다킬라 카를로 에. 쿠아 (PFP)
부지사훌리우스 시저 에스. 바킬라르 (PDP–Laban)
대표미디 엔. 쿠아 (라카스-CMD)
지방 의회키리노 주 지방 의회
지리
면적2,319.66 km²
면적 순위81개 중 54위
최고 고도1,808 m
최고 지점디알라네세 산
인구 통계
총인구 (2020년)203,833명
인구 순위81개 중 73위
인구 밀도자동 계산
인구 밀도 순위81개 중 72위
언어일로카노어
이푸가오어
부칼로트어
팡가시난어
캉카나이어
타갈로그어
영어
경제
시간대PHT (UTC+8)
우편 번호3405
지역 번호78
ISO 코드PH-QUI
기타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카가얀 강
키리노 주의 일부인 카가얀 강
키리노 주 청사
키리노 주 청사
마델라
마델라의 항공 사진
디푼 시청
디푼 시청
카바로기스 시청
카바로기스 시청

2. 역사

누에바비스카야주의 삼림 지역이었던 키리노는 네그리토 부족이 거주했던 곳이다. 그들은 오지를 돌아다니며 정글 중심부에 오두막을 지었다. 네그리토 외에도 이 지역에는 일롱고트도 거주했는데, 이들은 적대 부족과 스페인 통제 정착지에 대한 참수 습격으로 두려움을 샀다.[2]

키리노의 현재 영토를 누에바 비스카야의 일부로 보여주는 옛 지도


스페인 식민지 시대 동안 이 주는 필리핀에서 정복되지 않은 몇 안 되는 지역 중 하나였다. 1848년에 단 한 번의 스페인 군사 원정과 1891년 스페인 선교사의 짧은 주둔만이 있었다.[2]

미국 통치 기간 동안 키리노 주는 누에바비스카야주이사벨라주에 의해 관리되었다. 이후 누에바비스카야 주의 레온 카바로그루이스 하원 의원이 1948년에 법으로 서명된 공화국 법 236호를 제정하여 키리노 주의 누에바비스카야로의 반환을 추진했다.[1]

1966년 6월 18일, 공화국 법 제4734호에 따라 누에바 비즈카야 주에 속했던 디푼, 사구데이, 아글리파이, 마델라 자치시를 묶어 필리핀의 엘피디오 키리노 전 대통령의 이름을 딴 "키리노"라는 새로운 하위 주가 만들어졌다.[3][4] 1969년 6월 21일, 공화국 법 제5554호가 제정되어 카바로기스 (현재 주도) 자치시가 신설되었다.[4][5]

1971년 9월 10일, 누에바 비즈카야-단독 하원 의원 레오나르도 B. 페레즈가 발의한 공화국 법 제6394호가 통과되면서 키리노 하위 주는 누에바 비즈카야에서 분리되어 정규 주가 되었다.[4][6] 키리노 주는 1972년 2월 10일, 디오니시오 사란디 주지사를 필두로 한 최초의 선출된 주 및 자치 시 공무원들이 취임하면서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

1983년 2월 25일, 마델라 자치시의 구역이었던 나그티푸난 자치시가 키리노 주 내에 새롭게 신설되었다.[7]

1970년대 초는 필리핀과 키리노 주에서 격변과 변화의 시기였다. 1972년 2월, 키리노 주는 별도의 주로 설립되었다.[4][6] 마르코스는 1969년 필리핀 국제수지 위기를 초래하여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 불안의 시기를 낳았다.[8][9][10][11][12][13] 그는 1972년 9월 필리핀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14년 더 독재자 자리를 유지했다.[14][15]

키리노 주에서 이 기간 동안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는 시에라 마드레 지역에 다양한 마르코스 측근에게 부여된 벌목 허가였으며, 이는 광범위한 산림 파괴 및 기타 환경 문제의 시작을 알렸다.[16][17][18]

1986년 조기 대선이 다가오자 키리노 주는 정치적 폭력의 현장으로 기록되었다. UNIDO 야당 조직자 프란시스코 로렐라, 페르난도 파스토르 시니어, 파스토르의 아들 페르난도 파스토르 주니어의 살인 사건은 마르코스 측근이자 키리노 주 의원 올랜도 듈레이의 소행으로 밝혀졌다.[19][20][21][22]

2. 1. 초기 역사

키리노는 독립적인 주로 공식적으로 창설되기 훨씬 전부터 누에바 비스카야 주의 삼림 지역이었으며, 네그리토로 알려진 부족 집단이 거주했다. 그들은 오지를 돌아다니며 정글 중심부에 오두막을 지었다. 네그리토 외에도 이 지역에는 적대 부족과 스페인 통제 정착지에 대한 참수 습격으로 두려움을 샀던 일롱고트도 거주했다.[2]

스페인 식민지 시대 동안 이 주는 1848년에 단 한 번의 스페인 군사 원정과 1891년 스페인 선교사의 짧은 주둔을 겪으면서, 필리핀에서 정복되지 않은 몇 안 되는 지역 중 하나였다.[2]

2. 2. 식민지 시대

미국 통치 기간 동안 키리노 주는 누에바비스카야주이사벨라주에 의해 관리되었다. 이후 누에바비스카야 주의 레온 카바로그루이스 하원 의원이 1948년에 법으로 서명된 공화국 법 236호를 제정하여 키리노 주의 누에바비스카야로의 반환을 추진했다.[1]

2. 3. 주로의 성립

1966년 6월 18일, 공화국 법 제4734호에 따라 누에바 비즈카야 주에 속했던 디푼, 사구데이, 아글리파이, 마델라 자치시를 묶어 필리핀의 엘피디오 키리노 전 대통령의 이름을 딴 "키리노"라는 새로운 하위 주가 만들어졌다.[3][4] 이 지역의 일로카노 정착민들과 엘피디오 키리노가 대통령 재임 중이던 1951년에 공화국 법 제648호를 통해 인접한 퀘존 주의 아우로라 하위 주를 만든 것이 키리노 주로 명명된 이유이다.

1969년 6월 21일, 공화국 법 제5554호가 제정되어 RA 4734가 수정되었고, 카바로기스 (현재 주도) 자치시가 신설되었다. 카바로기스는 디푼, 사구데이, 아글리파이의 일부 지역에서 분리되어 만들어졌다.[4][5]

1971년 9월 10일, 당시 레오나르도 B. 페레즈 누에바 비즈카야-단독 하원 의원이 발의한 공화국 법 제6394호가 통과되면서 RA 5554가 다시 수정되었고, 키리노 하위 주는 누에바 비즈카야에서 분리되어 정규 주가 되었다.[4][6]

키리노 주는 1972년 2월 10일, 디오니시오 사란디 주지사를 필두로 한 최초의 선출된 주 및 자치 시 공무원들이 취임하면서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

1983년 2월 25일, 바타스 팜반사 블그. 345호가 제정되어 마델라 자치시의 구역이었던 나그티푸난 자치시가 키리노 주 내에 새롭게 신설되었다.[7]

2. 4. 마르코스 독재 시대

1970년대 초는 필리핀과 후에 키리노 주가 될 지역에서 격변과 변화의 시기를 맞이했다.

1972년 2월, 키리노 주의 입법가들의 노력으로 마침내 별도의 주로 설립되었다.[4][6]

마르코스는 두 번째 임기를 위해 재선된 최초의 필리핀 대통령이 되려는 시도 동안 전례 없는 수의 공공 사업 프로젝트를 시작하여 필리핀 경제가 갑작스럽게 하락하는 현상을 초래했는데, 이는 1969년 필리핀 국제수지 위기로 알려져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 불안의 시기를 낳았다.[8][9][10][11][12][13] 대통령으로서 헌법상 허용된 마지막 임기가 1년 밖에 남지 않은 마르코스는 1972년 9월 필리핀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14년 더 독재자 자리를 유지했다.[14][15]

키리노 주에서 이 기간 동안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는 시에라 마드레 지역에 다양한 마르코스 측근에게 부여된 벌목 허가였으며, 이는 광범위한 산림 파괴 및 기타 환경 문제의 시작을 알렸다.[16][17][18]

1986년 조기 대선이 다가오자 키리노 주는 UNIDO 야당 조직자 프란시스코 로렐라, 페르난도 파스토르 시니어, 파스토르의 아들 페르난도 파스토르 주니어의 살인 사건으로 정치적 폭력의 현장으로 기록되었으며, 이는 나중에 1990년에 세 건의 살인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마르코스 측근이자 키리노 주 의원 올랜도 듈레이의 소행으로 밝혀졌다.[19][20][21][22]

3. 지리

카가얀 강 일부(사진 하단의 강)는 마델라 마을 옆에 있다.


키리노주는 카가얀 계곡 지역의 남동부에 위치하며, 총 면적은 3323.47km2이다.[23] 이사벨라 주와 오로라 주, 누에바 비스카야 주와 접하고 있으며, 카가얀 강 유역 상류에 위치한 내륙 지방이다.

시에라 마드레 산맥은 주의 동쪽과 남쪽 경계에, 나맘파랑 산맥은 서쪽에 위치하여 자연적인 장벽을 형성한다. 키리노 주는 전체 면적의 약 80%가 산과 고원 지대로 덮여 있는 산악 지형이며, 상당 부분이 키리노 보호 구역 안에 위치해 있다.

3. 1. 기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최고 기온 (℃)27.4°C28.4°C29.6°C31.4°C32.2°C32.6°C32°C32.2°C32°C31°C29.6°C27.9°C
최저 기온 (℃)20°C20.3°C21.4°C22.6°C23.5°C23.9°C24°C23.9°C23.5°C23°C22.4°C20.8°C
강수 일수15121291313151416141815



출처: ''Storm247''[23]

키리노주의 연평균 기온은 33.6°C이다. 일반적으로 6월이 가장 더운 달이며, 우기는 3월부터 8월까지이다. 나머지 기간은 지나치게 건조하거나 습하지 않다. 9월부터 11월까지는 지속적인 폭우가 내린다.

3. 2. 행정 구역

키리노 주는 6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두 단일 선거구에 속한다.

scope="col" style="border-width:thin 0 0 thin;" rowspan="2" |지방 자치 단체인구연간 성장률면적인구 밀도바랑가이 수
style="border-width:0 thin thin 0;" colspan="2" |(2020년)(2015년)style="border-top:0;" |km2sq mi/km2/sq mistyle="border-top:0;" |
scope="row" style="border-right:0;background-color:initial;" |아글리파이30,71427,787161.7km2약 161.69km219049025
scope="row" style="border-width:medium 0 medium medium;background-color:initial;" |카바로기스33,53330,582260.2km2약 260.19km213033017
scope="row" style="border-right:0;background-color:initial;" |디푼56,10252,569320.1km2약 320.10km218045033
scope="row" style="border-right:0;background-color:initial;" |마델라40,94338,499918.57km2약 918.56km24512032
scope="row" style="border-right:0;background-color:initial;" |나그티푸난25,39923,4841607.4km2약 1607.39km2164116
scope="row" style="border-right:0;background-color:initial;" |사구데이17,13716,07055.5km2약 55.50km23108009
scope="row" style="border-right:0;" |합계203,828188,9913,323.472319.66km261160132
colspan="2" style="border-width:thin 0 0 thin;" |주도지방 자치 단체



키리노 주에 속한 6개의 자치단체는 총 132개의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있다.

4. 인구

키리노 주 인구 조사[1][2][3]
연도인구
1903
1918
1939
1948
1960
1970
1975
1980
1990
1995
2000
2007
2010
2015
2020203,828



2020년 인구 조사에서 키리노의 인구는 203,828명이었으며, 인구 밀도는 61PD/km2이었다.

주요 언어는 일로카노어와 이푸가오어이다. 다른 언어로는 부갈로트어, 팡가시난어, 칸카나에이어, 타갈로그어, 그리고 영어가 있다. 키리노는 카가얀 계곡의 전신인 카가얀 지방의 일부였기 때문에, 일로카노어가 대체하기 전 카가얀 지방의 공용어였던 이바나그어를 사용하는 주민도 소수 있다.

또한 이 지역은 코르디예라 지역 밖에서 그 모(母) 지방인 누에바 비스카야 다음으로 가장 많은 이고로트족 인구를 보유하고 있다.

5. 종교

키리노는 로마 가톨릭교 신자가 54%로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한다.[24] 복음주의와 연합 감리교회는 최대 20%의 인구를 차지하는 상당한 소수 종교이다.[25] 일부 사람들은 여전히 토착 신앙을 실천하고 있다. Iglesia ni Cristo(9% 이상[26])를 비롯해 주류 개신교, 아글리파얀 등도 상당수를 차지한다. 이슬람교와 같은 다른 종교 단체도 소수의 신자를 보유하고 있다.

6. 경제

농업은 키리노 주의 주요 산업으로, 쌀과 옥수수가 주요 작물이다.[27] 이들은 인근 지방과 메트로 마닐라 등 대도시의 수요를 충족시킨다. 키리노 주는 카가얀밸리 지역의 주요 바나나 생산지이며,[27] 바나나와 바나나 칩은 메트로 마닐라와 팜팡가에서 판매되는 주요 제품이다. 가구 제작, 바구니 세공, 등나무 공예, 드라이 플라워 생산과 같은 소규모 산업도 성행하고 있다.

7. 정치

키리노 주의 2022년부터 2025년까지 선출된 공무원은 다음과 같다.

키리노 주 의회 선출 공무원 (2022–2025)
지역구 대표Midy N. Cua
주지사다킬라 카를로 E. 쿠아
부주지사Julius Caesar S. Vaquilar
주의회
제1지역구Marlo S. GuillermoJovino F. NavaltaMarcelina M. PagbilaoBabylyn G. Reyes
제2지역구Linda G. DacmayRoy A. SaladinoElizabeth B. SaureAlegre M. Ylanan


참조

[1] 웹사이트 List of Provinces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13-12-19
[2] 서적 Cagayan Valley and Easter Cordillera: 1581-1898, Volume II Rex Publishing
[3] 간행물 An Act Creating the Subprovince of Quirino in the Province of Nueva Vizcaya http://www.chanroble[...] 1966-06-18
[4] 웹사이트 Brief History of Quirino http://quirinoprovin[...] 2015-01-13
[5] 간행물 An Act Amending Republic Act Numbered Four Thousand Seven Hundred And Thirty-four, Entitled, "An Act Creating the Subprovince of Quirino in the Province of Nueva Vizcaya," and for Other Similar Purposes http://www.chanroble[...] 1969-06-21
[6] 간행물 An Act to Separate the Subprovince of Quirino from the Province of Nueva Vizcaya and Constitute It into a Regular Province to be Known as the Province of Quirino http://www.chanroble[...] 1971-09-10
[7] 간행물 An Act Creating the Municipality of Nagtipunan, in the Province of Quirino http://www.lgu.ph/li[...] 1983-02-25
[8] 논문 Exchange Rate Movements in the Philippines
[9] 서적 Rebellion and repression in the Philippine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989
[10] 서적 Ferdinand Marcos and the Philippines: The Political Economy of Authoritarianism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7
[11] 서적 The Philippines reader : a history of colonialism, neocolonialism, dictatorship, and resistance https://archive.org/[...] South End Press 1987
[12] 논문 IMF Stabilization Program and Economic Growth: The Case of the Philippines https://dirp4.pids.g[...] 1992
[13] 서적 The Philippine Economy: Development, Policies, and Challeng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14] 서적 Kasaysayan, The Story of the Filipino People Volume 9:A Nation Reborn. Asia Publishing Company Limited
[15] 서적 Marcos Martial Law: Never Again Filipinos for a Better Philippines, Inc.
[16] 서적 The Politics of Logging: Power from the Forest Philippine Center for Investigative Journalism 1993
[17] 서적 Some are smarter than others : the history of Marcos' crony capitalism Aletheia Publications 1991
[18] 뉴스 Marcos cronies and the golden oriole of Isabela https://www.manilati[...] 2016-10-18
[19] 뉴스 Marcos Follower Guilty of 3 Campaign Slayings https://www.latimes.[...] The L.A. Times 1990-01-12
[20] 웹사이트 The Solid North myth: an Investigation on the status of dissent and human rights during the Marcos Regime in Regions 1 and 2, 1969-1986 https://www.ukdr.upl[...] 2021-05
[21] 웹사이트 MARTYRS AND HEROES: LAURELLA, Francisco "Frank" C. http://www.bantayog.[...] 2015-11-15
[22] 뉴스 MARTYRS AND HEROES: PASTOR Sr., Fernando T. – Bantayog ng mga Bayani http://www.bantayog.[...] Bantayog ng mga Bayani 2016-05-03
[23] 웹사이트 Weather forecast for Quirino, Philippines http://uk.storm247.c[...] StormGeo AS 2016-04-21
[24] 웹사이트 MAP: Catholicism in the Philippines https://www.rappler.[...]
[2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philchal.org/[...]
[26] 웹사이트 MAP: Iglesia ni Cristo in the Philippines https://www.rappler.[...]
[27] 웹사이트 The Province of Quirino http://www.region2.d[...]
[28] 웹인용 Weather forecast for Quirino, Philippines http://uk.storm247.c[...] StormGeo AS 2016-04-21
[29]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30] 문서 2000
[31] 문서 2003
[32] 문서 2006
[33] 문서 2012
[34] 문서 2015
[35] 문서 2018
[36] 기타 safesubst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