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구나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구나 주는 필리핀 루손 섬 남부에 위치한 주로, 수도는 산타 크루즈이다. 초기 역사는 라구나 구리판 비문의 발견과 함께 시작되며, 스페인 식민 시대와 필리핀 혁명, 미국 식민 시대를 거치며 발전을 겪었다. 현재는 "필리핀의 디트로이트", "필리핀의 실리콘밸리", "필리핀의 리조트 수도" 등으로 불리며,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다. 주요 농산물로는 벼, 코코넛, 망고 등이 있으며, 관광 산업도 활발하다. 라구나 주는 6개의 도시와 24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구는 타갈로그족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구나주 - 칼람바
    필리핀 라구나 주에 있는 칼람바는 물 항아리를 뜻하는 타갈로그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호세 리잘의 출생지로 알려진, 칼라바르손 지역의 산업 중심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는 도시이다.
  • 필리핀의 행정 구역 - 메트로 마닐라
    메트로 마닐라는 필리핀의 수도권으로, 여러 도시와 자치구로 구성되어 다양한 지형과 역사를 지니고 필리핀 경제의 중심지이자 국제적인 도시이지만, 높은 인구 밀도와 사회적 과제도 안고 있다.
  • 필리핀의 행정 구역 - 리살주
    리살주는 1901년에 설립되어 필리핀 역사 속에서 행정 구역 변경을 거쳐 현재 1개의 시와 13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칼라바르존 지역의 주이며, 구릉지대와 산악지형, 라구나 데 바이 호숫가를 포함하고 메트로 마닐라와 인접하여 경제적으로 발전했지만 지역 간 발전 불균형 문제를 가진 곳이다.
  • 칼라바르손 지방 - 리살주
    리살주는 1901년에 설립되어 필리핀 역사 속에서 행정 구역 변경을 거쳐 현재 1개의 시와 13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칼라바르존 지역의 주이며, 구릉지대와 산악지형, 라구나 데 바이 호숫가를 포함하고 메트로 마닐라와 인접하여 경제적으로 발전했지만 지역 간 발전 불균형 문제를 가진 곳이다.
  • 칼라바르손 지방 - 바탕가스주
    바탕가스주는 필리핀 루손섬 남서부에 위치한 주로, 산악 지대와 평야 지형, 탈 호수, 탈 화산을 포함하며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필리핀 독립 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했고, 현재는 다양한 경제 활동을 통해 필리핀의 부유한 지역 중 하나이다.
라구나주
지도 정보
필리핀 내 라구나 위치
필리핀 내 라구나 위치
라구나 지도
라구나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라구나 주
로마자 표기Laguna
필리핀어 명칭Lalawigan ng Laguna
영어 명칭Province of Laguna
표어"Laban, Laguna!" (라반, 라구나!)
주가산타크루스
가장 큰 도시칼람바
설립일1571년 7월 28일
국가필리핀
지역칼라바르손 지방
면적1,823.6km²
면적 순위81개 주 중 63위
최고 고도2,170m
최고 지점바나하우 산
인구3,382,193명
인구 기준2020년
인구 순위81개 주 중 3위
인구 밀도auto
인구 밀도 순위81개 주 중 3위
주민라구넨세
시간대PHT
UTC 오프셋+8
HDI0.732 (높음)
HDI 순위8위 (2015년)
소득 분류1등급
공식 웹사이트라구나 주 공식 웹사이트
행정 구역
독립시0
구성 시비냔
카부야오
칼람바
산파블로
산페드로
산타로사
자치시알라미노스
바이
칼라우안
카빈티
파미
칼라얀
릴리우
로스바뇨스
루이시아나
룸반
마비탁
막달레나
마하이하이
나그칼란
파에테
파그산한
파킬
팡일
필라
리살
산타크루스
산타마리아
시닐로안
빅토리아
바랑가이681
하원 선거구라구나 입법 지구
비냔 입법 지구
칼람바 입법 지구
산타로사 입법 지구
인구 통계
민족타갈로그족 (85.8%)
비콜라노족 (4.8%)
비사야족 (4.1%)
언어타갈로그어
필리핀 영어
일로카노어
비콜어
정치
주지사라밀 에르난데스 (라카스-CMD)
부지사캐서린 아가파이 (PFP)
입법부라구나 주 의회
기타
라구나 주청사
라구나 주청사
파에테 교회
파에테 교회
파그산한 폭포
파그산한 폭포
리살 신사
리살 신사
사우스우즈 몰
사우스우즈 몰
나그칼란 지하 공동묘지
나그칼란 지하 공동묘지

2. 역사

라구나 주의 역사는 필리핀 역사와 깊이 연결되어 있다.

라구나 지역에는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으며, 필라와 같은 마을 이름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필라필'은 벼 논 경계를 이루는 흙더미를 뜻하는 필리핀어다. 라구나 구리판 비문은 서기 900년에 톤도 왕에게 빚을 탕감받은 사람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어, 당시 라구나 지역이 톤도 왕국의 영향권 아래 있었음을 보여준다.[5] 가트 판길과 같은 원주민 지도자가 바이, 판길, 파킬 등을 통치했다.

1571년 후안 데 살세도가 라구나 지역을 정복하면서 스페인 식민 시대가 시작되었다. '라 라구나'는 라구나 데 바이 호수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현재의 리살주와 께손주 일부를 포함했다.[5] 1578년부터 프란체스코회 선교사들이 복음을 전파하여 바이, 마하이하이, 나카를란 등의 마을이 건설되었다.

스페인 통치 기간 동안 라구나 주는 엔콤미엔다(encomienda) 제도로 분할되어 운영되었다.[6][7][8]

엔콤미엔다관할 지역
미라바고(Mirabago)릴리우, 나카를란 주변
타부코(Tabuco)산 페드로, 비냘, 산타 로사, 카부야오, 칼람바 주변
타이타이(Taitay)타이타이(리살)
바이(Bay)바이(라구나), 로스 바뇨스 주변
필라(Pila)필라, 빅토리아, 필릴라, 리살주 할랄라
마하이하이(Mahaihai)마하이하이, 마그달레나, 루이시안나(Luisiana) 주변
룸방(Lumbang)룸반, 산타 크루스, 파에테, 파킬, 카빈티, 파산잔을 포함하는 가장 큰 엔콤미엔다
타야발(Tayaval)께손주
팡구일(Panguil)팡길
시날로아(Sinaloa)시닐로안, 파미, 마비탁 주변
모롱(Morong)모롱 주변, 산타 마리아 포함
나윤(Nayun)티아옹(께손)



1603년 중국계 필리핀인들의 반란(상레이 반란)이 일어났고,[5] 1670년 룩반, 마하이하이, 카비테 사이의 경계가 확정되었으며, 1688년 주 정부 청사가 파산잔으로 옮겨졌다. 1754년에는 라구나 주와 타야바스 주가 분리되었다.[11]

산 파울로 은둔자 성당 외관, 산 파블로 시티


1678년 프레이 에르난도 카브레라가 산 파블로를 건설하고 나무로 된 교회와 수도원을 건설했다.[11]

칼람바에서 태어난 호세 리살은 소설 '노리 메 탄제레'와 '엘 필리부스테리즘'을 통해 필리핀 혁명에 기여했다.

필리핀 혁명 당시 라구나 주는 스페인에 맞서 봉기한 8개 주 중 하나였다.[5] 파치아노 리살, 세베리노 타이뇨, 아구에다 카하바간 등이 혁명을 이끌었고, 카티푸난의 에밀리오 하신토도 이 지역에서 활동했다. 삼밧 전투(Battle of Sambat)에서 라구나의 카티푸네로들이 패배한 후, 대규모 봉기 대신 게릴라전과 소규모 공격 전술을 사용했다.[16] 비악나바토 조약(Pact of Biak-na-Bato) 이후에도 일부 혁명가들은 무장 투쟁을 계속했다. 에밀리오 아기날도의 명령을 따르지 않은 하신토는 마그달레나에서 전투 중 부상을 입고 체포되었으나, 탈출 후 말라리아로 사망했다.[17] 피오 델 필라르와 파치아노 리살은 칼람바 전투(Battle of Calamba)에서 승리했고, 1898년 8월 31일 산타 크루스에서 라구나 주의 마지막 스페인 주둔군이 항복했다.

삼밧 전투(Battle of Sambat) 기념비, 파산잔(Pagsanjan), 라구나(Laguna)


필리핀-미국 전쟁에서 후안 카예스와 파치아노 리살이 라구나 방어를 이끌었다. 마비탁 전투에서 필리핀군이 승리했으나, 미군은 산타 크루스 전투, 파그산잔 전투, 파에테 전투에서 승리하여 라구나 주를 장악했다.

전쟁 후, 미국은 타프트 위원회를 통해 필리핀을 통치했고, 후안 카예스가 라구나 주지사로 임명되었다. 제83호 법으로 민정이 수립되었고,[18] 도로 건설, 학교 설립, 철도 연장(1917년) 등이 이루어졌다.

1903년 문틴루파가 라구나에 편입되었다가,[19] 1905년 다시 리살 주로 환원되었다.[20][21]

테오도로 아세딜로는 농민들을 조직하여 미국의 식민화에 반대했고,[22] 로빈 후드와 같은 영웅으로 알려졌으나, 1935년 체포 및 처형되었다.[23]

1935년 5월 2일, 사크달리스타당 당원들이 카부야오 등에서 봉기를 일으켜 시청과 교회를 점거했으나,[24] 살루드 알가브레등의 주도로 일어났으나 경찰에 의해 진압되었다.[25]

일본의 필리핀 점령(1942~1945) 동안, 라구나 주는 필리핀 저항 운동의 중심지였다.[11] 1942년 6월, 마킹 게릴라들이 라구나 주 시네 룸반을 급습하여 미국 포로들을 구출하려 했으나, 일부만 구출되었고, 일본군은 보복으로 미국 포로 10명을 처형했다.[26][27]

1942년부터 1946년까지 필리핀 연방군과 필리핀 경찰의 군사 본부와 캠프가 라구나 주에 설립되어 일본군에 대항하는 군사 작전을 지원했다. 1945년부터 필리핀 군인들에 의한 일본군 공격이 증가하여 필리핀 해방을 준비했다.

1960년 카를로스 가르시아 대통령 시절 국제미곡연구소(IRRI)가 로스바뇨스에 설립되었고,[28] 1962년 디오스다도 마카파갈 대통령 시절 IRRI는 '"기적의 벼(IR8)"' 개발 연구를 시작했다.[28]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부채 기반 선거 운동으로 1969년 필리핀 국제수지 위기가 발생하고,[30][31] 사회 불안이 확산되어 업 로스바뇨스 학생들의 시위를 촉발시켰다.[32] 1972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하의 계엄령 선포 후, 마르코스는 비판을 진압하여 많은 라구나 주민들이 체포되었다. 계엄령 기간 체포 및 고문을 경험한 사람 중에는 알로이시우스 바에스 박사, 실종된 사람에는 티쉬 라들라드, 크리스티나 카탈라, 제라르도 "제리" 파우스티노, 리잘리나 이라간, 라몬 하술, 제시카 세일즈 교수, 마누엘 온통, 순교한 사람에는 모데스토 "봉" 시손, 마누엘 바우티스타가 있었다.[32][33][34] 캄프 비센테 림은 마르코스 정권 비판자들을 수용하기 위해 설치된 교도소 중 하나였다.[35]

1977년 파라냐케 방수로 프로젝트 취소로 라구나 호 남쪽과 동쪽 해안에 반복적인 홍수가 발생했다. 이 방수로는 1970년대 메트로 마닐라 호숫가 마을의 홍수를 줄이기 위한 계획의 일부였지만, 경제 위기로 리잘 주 망가한 배수로만 건설되었다.[36][37] 파라냐케 방수로가 취소되어 호수 수위를 줄일 방법이 없었다.[38][39] 1986년 망가한 배수로 완공 후, 라구나는 2개월 동안 지속된 대홍수를 겪었고, 장염 등 수인성 질병으로 높은 사망률과 이환율을 기록했다.[40]

2. 1. 초기 역사

라구나 지역의 초기 정착은 선사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필라필'에서 유래한 필라와 같은 마을 이름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필라필'은 필리핀어로 벼 논 경계를 이루는 곧은 흙더미를 뜻한다. 기록된 역사는 서기 900년, 라구나 구리판 비문의 발견과 함께 시작된다. 이 비문은 톤도 왕에게 빚을 탕감받은 사람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어, 당시 라구나 지역이 톤도 왕국의 영향권 아래 있었음을 보여준다.[5]

이베리아 이전 시대에는 가트 판길과 같은 원주민 지도자가 이 지역을 통치했다. 바이, 판길, 파킬 마을은 한때 그의 영토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2. 스페인 식민 시대

1571년 후안 데 살세도가 라구나 지역을 정복하면서 스페인 식민 시대가 시작되었다. '라 라구나'는 라구나 데 바이 호수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현재의 리살주와 께손주의 일부 지역을 포함했다.[5] 1578년부터 프란체스코회 선교사들이 라구나 지역에 복음을 전파하기 시작했고, 바이, 마하이하이, 나카를란 등 여러 마을이 건설되었다.

스페인 통치 기간 동안 라구나 주는 엔콤미엔다(encomienda) 제도로 분할되어 운영되었다.[6][7][8]

엔콤미엔다관할 지역
미라바고(Mirabago)현재 릴리우와 나카를란 주변 지역
타부코(Tabuco)현재 산 페드로, 비냘, 산타 로사, 카부야오, 칼람바 주변 지역
타이타이(Taitay)현재 타이타이(리살)
바이(Bay)바이(라구나)와 로스 바뇨스 주변 지역
필라(Pila)현재 필라, 빅토리아, 필릴라, 그리고 리살주 할랄라 지역
마하이하이(Mahaihai)현재 마하이하이, 마그달레나, 그리고 루이시안나(Luisiana) 주변 지역
룸방(Lumbang)현재 룸반, 산타 크루스, 파에테, 파킬, 카빈티, 파산잔을 포함하는 가장 큰 엔콤미엔다
타야발(Tayaval)현재 께손주
팡구일(Panguil)현재 팡길
시날로아(Sinaloa)시닐로안, 파미, 마비탁 주변 지역
모롱(Morong)현재 모롱 주변 지역, 과거 카보안(Caboan)으로 알려진 산타 마리아 마을 포함
나윤(Nayun)현재 티아옹(께손)



1603년에는 중국계 필리핀인들의 반란(상레이 반란)이 일어나기도 했다.[5] 1670년 룩반, 마하이하이, 카비테 사이의 경계가 확정되었고, 1688년 주 정부 청사가 파산잔으로 옮겨졌다. 1754년에는 라구나 주와 타야바스 주가 분리되었다.[11]

1678년 프레이 에르난도 카브레라(Fray Hernando Cabrera)가 산 파블로 데 로스 몬테스(San Pablo de los Montes, 현재 산 파블로 시티)를 건설하고 주에서 가장 좋고 훌륭한 것으로 여겨지는 나무로 된 교회와 수도원을 건설했다.[11]

1861년 칼람바에서 호세 리살이 태어났으며, 그는 필리핀 독립 운동의 중요한 인물이 되었다. 리살은 '노리 메 탄제레'와 '엘 필리부스테리즘'이라는 두 편의 소설을 통해 반식민지 정서를 자극하여 필리핀 혁명에 기여했다.

2. 3. 필리핀 혁명

필리핀 혁명 당시 라구나 주는 스페인의 통치에 맞서 봉기한 8개 주 중 하나였다.[5] 칼람바의 파치아노 리살, 파산잔의 세베리노 타이뇨, 칼라우안의 아구에다 카하바간 등의 지도자들이 혁명을 이끌었다. 카티푸난의 핵심 인물이었던 에밀리오 하신토 또한 이 지역에서 군대를 지휘했다.

혁명 초기에 파산잔에서 삼밧 전투(Battle of Sambat)가 벌어졌다. 세베리노 타이뇨가 이끄는 라구나의 카티푸네로들은 파산잔 시를 점령하려 했으나, 바실리오 아우구스틴이 이끄는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다.[16]

삼밧에서의 패배 이후, 라구나에서는 대규모 봉기가 어려워졌고, 카티푸난의 "말루닝깅" 지부는 카비테에서의 성공을 재현하지 못했다. 혁명가들은 1897년 12월 14일부터 15일까지 비악나바토 조약(Pact of Biak-na-Bato)이 체결될 때까지 게릴라전과 소규모 공격 전술을 사용했다.[11]

에밀리오 아기날도의 명령을 따르지 않은 일부 혁명가들은 비악나바토 조약 이후에도 무장 투쟁을 계속했다. 하신토는 1898년 2월 마그달레나에서 스페인군과 전투를 벌였으나, 부상을 입고 후퇴해야 했다. 그는 근처 교회에 피신했지만 체포되어 산타 크루스에 투옥되었다. 하신토는 스페인의 이중간첩인 척하여 탈출했지만, 결국 말라리아에 걸려 1899년 4월 사망했다.[17] 피오 델 필라르와 파치아노 리살은 1898년 5월 칼람바 전투(Battle of Calamba)에서 혁명군을 승리로 이끌었고, 같은 해 8월 31일 산타 크루스에서 라구나 주의 마지막 스페인 주둔군이 항복했다.

2. 4. 미국 식민 시대

필리핀-미국 전쟁이 발발하자 후안 카예스(Juan Cailles) 장군과 파치아노 리살(Paciano Rizal) 장군이 라구나 방어를 이끌었다. 마비탁 전투에서 필리핀군이 승리했으나, 헨리 W. 로턴(Henry W. Lawton)이 이끄는 미군은 산타 크루스 전투, 파그산잔 전투, 파에테 전투에서 승리하여 라구나 주를 장악했다.

전쟁이 끝난 후, 미국은 필리핀을 식민지로 삼았다. 타프트 위원회가 필리핀 통치를 위해 설립되었고, 후안 카예스가 라구나 주지사로 임명되었다. 제83호 법, 즉 지방 정부법은 미국의 점령하에 민정을 수립했다.[18] 이 기간 동안 도로가 건설되고 학교가 설립되었으며, 1917년에는 마닐라 철도 회사가 파그산잔까지 철도를 연장했다.

1903년, 문틴루파 마을이 라구나에 편입되어 비냔 마을에 합병되었으나,[19] 1905년에 다시 리살 주로 환원되었다.[20][21]

테오도로 아세딜로(Teodoro Asedillo)는 칼라얀, 카빈티, 파에테와 케손 주 삼팔록의 농민들을 조직하여 미국의 식민화에 반대했다.[22] 아세딜로는 로빈 후드와 같은 지역 영웅으로 알려졌다. 1935년 11월 아세딜로에 대한 대대적인 수색이 시작되어 결국 체포 및 처형되었다.[23]

1935년 5월 2일, 카부야오와 인근 마을의 사크달리스타당 당원들이 미국으로부터의 즉각적인 독립을 주요 목표로 봉기를 일으켜 시청과 교회를 점거했다.[24] 살루드 알가브레(Salud Algabre)가 이끄는 약 300명의 사크달리스타들이 카부야오의 시청과 교회를 점령했다. 카예스 주지사가 이끄는 필리핀 경찰이 사크달리스타들을 진압하면서 다음 날 봉기는 진압되었다. 사크달리스타 50명이 사망하고 22명이 부상을 입었다.[25]

2. 5. 일본 점령기 (제2차 세계 대전)

일본의 필리핀 점령(1942~1945) 기간 동안, 라구나 주는 마카필리 협력자들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필리핀 저항 운동의 중심지였다.[11]

1942년 6월, 마킹 게릴라들은 라구나 주 시네 룸반을 급습하여 115명의 미국 포로들을 구출하려 했다. 그러나 최고위급 미국 대위의 명령으로 인해, 실제로 구출된 미국인은 3추격대 소속 조지 라이트먼 상병 한 명뿐이었다. 이에 대한 보복으로 일본군은 미국 포로 10명을 처형했다.[26][27]

1942년 1월 3일부터 1946년 6월 30일까지, 필리핀 연방군과 필리핀 경찰의 군사 본부와 군 캠프 기지가 라구나 주에 설립되어 필리핀 연방군 제4 및 제42 보병 사단과 필리핀 경찰 제4 경찰 연대의 현지 정규 군부대를 지원했다. 1942년부터 1945년까지 남루손, 민도로, 팔라완에서 일본군에 대항하는 대일 군사 작전이 시작되었다.

1945년부터 필리핀 연방군 제4, 42, 43, 45, 46, 47 보병 사단, 필리핀 경찰 제4 경찰 연대 및 인정된 게릴라들의 필리핀 군인들에 의한 라구나 주 일본군에 대한 공격이 증가했다. 이는 필리핀과 미국의 연합군에 의한 필리핀 해방을 위한 준비였다.

2. 6. 필리핀 독립 이후

1960년 카를로스 P. 가르시아 대통령 재임 시절 국제미곡연구소(IRRI)가 로스바뇨스에 설립되었다.[28] 1962년 디오스다도 마카파갈 대통령 재임 시절, IRRI는 '"기적의 벼(IR8)"' 개발 연구를 시작했다.[28]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부채 기반 선거 운동 자금으로 1969년 필리핀 국제수지 위기(1969 Philippine balance of payments crisis)가 발생하고,[30][31] 사회적 불안이 수도를 넘어 확산되어 업 로스바뇨스 학생들의 시위를 촉발시켰다.[32] 1972년 계엄령 선포 이후, 마르코스는 비판이나 활동을 단호하게 진압하여 많은 라구나 주민들이 체포되었다. 계엄령 기간 체포 및 고문을 경험한 사람 중에는 알로이시우스 바에스(Aloysius Baes) 박사가 있었고, 실종된 사람에는 티쉬 라들라드(Tish Ladlad), 크리스티나 카탈라(Cristina Catalla), 제라르도 "제리" 파우스티노, 리잘리나 이라간(Rizalina Ilagan), 라몬 하술(Ramon Jasul), 제시카 세일즈(Jessica Sales) 교수, 필리핀 농업 연구 개발 위원회 일러스트레이터 마누엘 온통이 있었다. 신념 때문에 순교한 것으로 확인된 사람에는 모데스토 "봉" 시손과 마누엘 바우티스타(Manuel Bautista)가 있다.[32][33][34] 캄프 비센테 림(Camp Vicente Lim)은 칼람바 칸루방(Canlubang) 지역에 위치한 마르코스 정권을 비판한 수감자들을 수용하기 위해 설치된 많은 교도소 중 하나였다.[35]

1977년 파라냐케 방수로 프로젝트 취소로 라구나 호(Laguna de Bay) 남쪽과 동쪽 해안을 따라 라구나 지역에 반복적인 홍수가 발생했다. 이 방수로는 1970년대 메트로 마닐라 호숫가 마을의 홍수를 줄이기 위한 계획의 두 번째 부분이었지만, 여러 경제 위기로 예산이 부족하여 리잘주 망가한 배수로(Manggahan Floodway)만 건설되었다.[36][37] 이 배수로는 메트로 마닐라 호숫가 마을에서 물을 끌어들였지만, 호수로 흘려보냈다. 파라냐케 방수로가 취소되어 호수 수위를 줄일 방법이 없었다.[38][39] 1986년 망가한 배수로가 완공된 후 1년 이내에 라구나는 2개월 동안 지속된 이례적인 대홍수를 맞았고, 장염(gastroenteritis) 및 기타 수인성 질병으로 인해 높은 사망률과 이환율을 기록했다.[40]

3. 지리

라구나 주는 칼라바르존(Calabarzon) 지역의 북중부에 위치하며, 루손(Luzon) 섬에 자리잡고 있다. 이 주는 메트로 마닐라(Metro Manila)의 남동쪽, 리살 주의 남쪽, 께손주(Quezon)의 서쪽, 바탕가스주(Batangas)의 북쪽, 그리고 카비테주(Cavite)의 동쪽에 위치한다. 라구나 주는 필리핀에서 가장 큰 호수인 라구나 데 바이(Laguna de Bay)의 남쪽 해안에 위치해 있다. 라구나 데 바이 근처의 땅은 좁고 평평하지만, 시에라 마드레 산맥, 마킬링산(Mount Makiling), 바나하우산(Mount Banahaw)의 산악 지대를 향해 내륙으로 들어갈수록 더욱 험준해진다.[41]

바나하우산 항공 사진


라구나 주에는 24개의 산이 있으며, 그 대부분은 휴화산이다. 라구나 주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는 바나하우산(Mt. Banahaw)으로, 높이는 2170m이다. 바나하우 산은 라구나 주의 다른 대부분의 화산과 달리, 1843년에 마지막으로 분화한 활화산인 복합 복합 성층화산(stratovolcano)이다. 바나하우 산은 라구나 주와 께손 주의 경계에 위치하며, 여러 온천이 있다.[42] 라구나 주에는 산파블로 근처에 라구나 화산 지대(Laguna Volcanic Field)도 있다. 라구나 화산 지대는 200개가 넘는 휴화산과 단성 마르(maar), 화산호, 스코리아 콘(scoria cone), 그리고 성층화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 가장 높은 것은 높이가 1090m인 마킬링산(Mount Makiling)이다.

산파블로는 일곱 개의 화산호로 유명하며, 그중 가장 큰 호수는 삼팔록 호(Lake Sampaloc)이다. 라구나 데 바이와 산파블로의 일곱 호수 외에도 라구나 주에는 칼리라야 호(Lake Caliraya)와 루못 호(Lumot Lake)라는 두 개의 저수지 호수가 있다. 이 두 개의 인공 호수는 칼리라야 댐(Caliraya Dam)과 루못 댐(Lumot Dam)의 건설로 형성되었다.

악마의 동굴에서 바라본 파그산잔 폭포


라구나 데 바이와의 근접성으로 인해 라구나 주에는 많은 지류가 있다. 라구나 주에서 가장 유명한 강 중 하나는 파그산잔(Pagsanjan) 마을과 그 폭포의 이름을 딴 붐붕간 강(Bumbungan River)(Pagsanjan River)이다. 카빈티 폭포(Cavinti Falls)(Pagsanjan Falls)는 강 끝에 위치하며, 최대 낙차가 120m인 3단 폭포이다.

라구나 주는 쾨펜 기후 분류에 따라 주로 열대몬순기후로 분류되며, 대부분 칼람바에서 칼라우안(Calauan) 지역을 중심으로 한다. 비냔(Biñan)에서 카부야오(Cabuyao)에 이르는 지역은 열대사바나기후로, 루이시애나(Luisiana)에서 팡길(Pangil)에 이르는 지역은 열대우림기후로 분류된다.[46]

4. 인구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라구나 주의 인구는 3,382,193명이며, 인구 밀도는 1800/km2이다.[53] 칼람바는 라구나 주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로, 주 전체 인구의 16%인 539,671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파미는 16,791명으로 가장 적다. 인구 밀도 측면에서 산 페드로는 14000/km2로 가장 높고, 카빈티는 120/km2로 가장 낮다.[53] 라구나 주 인구의 68.85%는 산 페드로, 비냔, 산타 로사, 카부야오, 칼람바, 산 파블로 등의 도시에 거주하고 있다. 라구나 주는 필리핀에서 세 번째로 인구가 많고 인구 밀도가 높은 주이며, 중앙값 연령은 24.9세이다.[53]

라구나 주 인구의 대부분은 타갈로그족이며, 타갈로그어를 사용한다.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라구나 주민의 85.82%가 타갈로그족이다.[54] 비콜라노족, 비사야족, 일로카노족, 힐리가이논족 등도 소수 존재한다.[54] 인접한 카비테, 바탕가스, 리살, 불라칸에서 사용되는 방언의 영향을 받은 타갈로그어 방언이 사용되며, 각 시마다 여러 변형이 존재한다. 비콜라노어, 힐리가이논어, 카라이어, 일로카노어, 쿠요논어, 팡가시난어, 와라이어를 사용하는 소수 민족도 있다.[55] 라구나 주의 상당수 노동 인구는 영어필리핀어를 읽고 말할 수 있으며,[55] 2015년 라구나 주의 문해율은 99.6%였다.[53]

민족별 인구 (2020)[54]
민족인구비율(%)
타갈로그족2,894,85185.82
비콜라노족162,9614.83
비사야족140,8904.18
일로카노족44,1731.31
힐리가이논족36,6951.09
와라이족24,3360.72
세부아노족10,5080.31
팡가시난족10,3300.31
기타47,9911.42
보고되지 않음410


5. 경제

라구나 주는 "필리핀의 디트로이트", "필리핀의 실리콘밸리", "필리핀의 리조트 수도" 등으로 불리며, 다양한 산업이 발달해 있다.[60][43]

산타 로사 시에는 도요타 자동차 필리핀, 닛산 자동차 필리핀, 혼다 자동차 필리핀, 미쓰비시 자동차 필리핀 등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위치해 있어 "필리핀의 디트로이트"로 불린다. 또한, 라구나 주에는 많은 전자 및 반도체 회사들이 운영되고 있어 "필리핀의 실리콘밸리"로 여겨진다. 칼람바와 로스바뇨스 지역에는 700개가 넘는 온천 리조트가 있어 "필리핀의 리조트 수도"로도 불린다.[60][43]

마비탁의 논


라구나 호와 주변 저지대를 중심으로 농업과 어업이 발달해 있다. 벼, 옥수수, 코코넛, 망고, 바나나 등이 주요 농산물이며,[53] 로부스타 커피[64], 파인애플, 랑사이(Lansium parasiticum), 람부탄[65], 사탕수수[66] 등도 재배된다. 로스바뇨스에는 국제미작연구소(IRRI) 등 벼를 전문으로 연구하는 여러 연구 기관이 있다.[43]

라구나 데 베이 호수와 산파블로의 일곱 개 호수 등에서 양식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잉어와 틸라피아 치어도 내륙 연못과 담수 양식장에서 양식되고 있다.[43]

깔람바 프리미어 인터내셔널 파크, 라구나의 산업 지역 중 하나


라구나 주에는 21개의 경제 특구가 있으며,[67] 산타 로사, 비냔, 깔람바에 위치해 있다. 이 중 가장 큰 경제 특구는 산타 로사와 비냔에 위치한 라구나 테크노파크이다. IBM과 컨버지스와 같은 기업들이 산타 로사에 사무실을 설립하면서 비즈니스 프로세스 아웃소싱 산업도 성장하고 있다.[67]

광업 산업은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로 운영되고 있다.[62]

6. 행정 구역

라구나 주는 6개의 구성 도시와 24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구성되어 있다. 주도는 산타 크루스이다.

라구나 주의 행정 구역
구성 도시
카부야오산페드로
산타로사비냔
칼람바산파블로



지방 자치 단체
팍상한나그칼란로스바뇨스파에테
파킬칼라얀마그달레나파미
카빈티리살루이시아나시닐로안
바이칼라우안릴리우룸방
마비탁마하이하이빅토리아필라


6. 1. 주요 도시


  • 산타 크루스
  • 팍상한(폭포로 유명한 관광지)
  • 나그칼란(지하 묘지로 유명)
  • 로스바뇨스
  • 파에테(목각 공예품점이 많은 곳)
  • 파킬
  • 칼라얀
  • 마그달레나
  • 파미
  • 카빈티
  • 리살 (리살 주와는 무관)
  • 산페드로
  • 카부야오(네슬레 공장이 있는 곳)
  • 산타로사(유원지가 있는 곳)
  • 비냔
  • 루이시아나
  • 시닐로안
  • 바이('베이'라고 읽지 않음)
  • 칼라우안
  • 릴리우(신발 가게가 늘어서 있는 곳)
  • 칼람바(호세 리살의 출생지)
  • 산파블로
  • 룸방
  • 마비탁
  • 마하이하이
  • 빅토리아
  • 필라

7. 문화

산티아고 사도 교구 교회(Paete)의 벽화


라구나 주는 필리핀 예술 발전에 크게 기여한 지역이다. 파에테(Paete)는 산티아고 사도 교구 교회에 있는 벽화로 "필리핀 목각 조각의 수도"로 알려져 있다.[71] 교회에는 루치아노 댄스가 제작한 천국, 지구, 지옥을 묘사한 세 개의 벽화와 성 크리스토퍼의 다른 벽화들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벽화 중 일부는 흰개미의 피해로 복원이 필요하다. 마누엘 발데모르는 파에테 출신의 국제적으로 유명한 목각 조각가이다. 라구나 주의 또 다른 유명한 상징은 파킬에 있는 투룸바의 성모이다.

필리핀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라구나 주는 일 년 내내 여러 축제를 기념한다. 각 바랑가이는 수호 성인에게 경의를 표하는 자체 피에스타를 갖는다. 라구나 주의 유명한 축제로는 파킬의 투룸바 축제, 칼라우안의 피냐 축제, 릴리우의 츠넬라스 축제가 있다.

라구나 주 출신의 예술가들은 다음과 같다.

분야인물출신 지역설명
음악마르셀로 아도나이(Marcelo Adonay)파킬(Pakil)필리핀 개척 시대 교회 작곡가이자 음악 감독
음악호세 마세다(José Maceda)필라음악 부문 필리핀 국가 예술가(National Artist of the Philippines)
극예술토니 마베사(Tony Mabesa)로스 바뇨스극예술 부문 필리핀 국가 예술가(National Artist of the Philippines)
음악조나스 바에스(Jonas Baes)로스 바뇨스필리핀 실험 음악 작곡가
음악앨리스 도리아-가밀라(Alice Doria-Gamilla)나그칼란(Nagcarlan)작곡가
음악세사르 알조나(Cesar Alzona)비냥(Biñan)군악 작곡가이자 군인
음악마리아 카르페나(Maria Carpena)산타 로사필리핀 음악 산업 최초의 녹음 아티스트, 무대 배우, 소프라노 가수, "사르수엘라(Zarzuela)의 나이팅게일"[86][87]
만화제리 알랑기란(Gerry Alanguilan)산 파블로만화가, 작가, 건축가
미술마누엘 발데모르(Manuel Baldemor)파에테(Paete)화가, 조각가, 판화가, 작가, 삽화가
미술네나 사구일(Nena Saguil)산타 크루즈모더니스트이자 추상 미술 화가
미술다닐로 에차바리아 달레나(Danilo Echavaria Dalena)파킬(Pakil)현대 및 현대 화가[88][89]
문학셀소 알. 카루눈간(Celso Al. Carunungan)산 파블로작가, 소설가, 영화 각본가
문학보니파시오 이라간(Bonifacio Ilagan)로스 바뇨스극작가, 각본가, 영화감독, 언론인, 편집자, 활동가
문학프랭크 G. 리베라(Frank G. Rivera)파에테(Paete)극작가, 배우, 무대 디자인
문학에드가르 칼라비아 사마르(Edgar Calabia Samar)산 파블로시인이자 소설가
영화셀소 아드. 카스티요(Celso Ad. Castillo)시닐로안(Siniloan)영화 감독 및 각본가
영화에마누엘 보를라자(Emmanuel Borlaza)릴리우(Liliw)영화 감독 및 각본가
영화제롤드 타로그(Jerrold Tarog)칼람바영화 감독 및 각본가
TV루이 이냐시오(Louie Ignacio)파그산잔(Pagsanjan)TV 감독
언론르네 알비아르(Rene Alviar)산 페드로언론인
언론토니 칼벤토(Tony Calvento)산 페드로언론인
문학HaveYouSeenThisGirl산 파블로못생김 일기(Diary ng Panget), 침묵(Voiceless), 그녀는 죽었다(She Died)의 저자


8. 관광

라구나 주는 풍부한 역사적, 자연적 자원을 바탕으로 관광 산업이 발달해 있다. 필리핀 관광부는 현재 라구나 주에 호텔 2곳, 여관 1곳, 리조트 6곳, 기타 시설 1곳, 레스토랑 1곳, 투어 운영업체 4곳, 투어 가이드 4명, 박물관 2곳을 인증하고 있다.[72] 라구나 주는 총 239곳의 인증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바탕가스 주 다음으로 지역 내에서 두 번째로 많은 수이다. 라구나 주의 관광은 규모가 크지만, 다른 칼라바르존 지역의 주들과는 달리 관광 명소 방문객의 대부분이 외국인이다.[73]

리살 기념관


오랜 역사를 지닌 라구나 주에는 라구나 주의 여러 시대를 보여주는 다양한 유적지가 있다. 칼람바에 있는 리살 기념관은 필리핀의 국민 영웅인 호세 리살의 생가이다. 다른 역사 유적지로는 비냔의 알베르토 하우스, 산타 로사의 산토 도밍고 콰르텔, 파그산잔 시청, 파그산잔 아치, 나그칼란 지하묘지, 필라의 생가와 피나그바야난 화장터, 산타 크루즈의 에밀리오 하신토 기념관, UP 로스바뇨스의 베이커 기념관, 루이시아나의 티파칸 등이 있다.

카빈티의 일본 정원과 로스바뇨스의 혼마-야마시타 신사(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필리핀 점령을 기념하는 곳), 파그산잔의 삼밧 전투 기념지, 마비탁의 마비탁 전투 기념지, 산 파블로의 반타요그 응 카기팅간, 반타요그 응 므가 바야니, 트레세 마르티레스 기념비, 보니파시오 기념비 등도 역사적 기념물이다.[74]

마하이자이의 성 그레고리오 대성당


역사 유적지 외에도 필라의 필라 기념 박물관, 산 페드로의 살바도르 로렐 박물관 및 도서관,[75] 산타 로사의 무세오 데 산타 로사, 파킬의 다닐로 달레냐 회화관, 마그달레나의 바하이 라구나, 나그칼란의 몬테롤라 박물관 등 여러 역사 및 교육 박물관이 라구나 주에 있다.[76] 로스바뇨스에는 IRRI 라이스월드 박물관, 자연사 박물관, 디오스코로 라보르 박사 야생동물 표본 박물관, 곤충학 박물관 등 여러 박물관이 있다.[77]

라구나 주는 16세기 말로 거슬러 올라가는 필리핀에서 가장 오래된 교회 중 일부를 보유하고 있다. 파에테의 성 야고보 사도 교구 성당과 마하이자이의 성 그레고리오 대성당은 각각 1578년과 1571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라구나 주에서 가장 오래된 교회 중 하나로 여겨진다.

라구나 주에 있는 다른 역사적인 교회들로는 산 파블로의 산 파블로 성 바오로 은둔자 대성당(산 파블로 로마 가톨릭 교구 주교의 주교좌 성당), 카빈티의 주님 변모 교구 성당, 마비탁의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칸델라리아 교구 성당, 로스바뇨스의 무염시태 교구 성당, 릴리우의 성 요한 세례자 교구 성당, 리살이 세례를 받았던 칼람바의 성 요한 세례자 교구 성당, 투룸바 성모 그림을 소장하고 있는 파킬의 성 베드로 알칸타라 교구 성당, 산타 크루즈의 무염시태 교구 성당, 카부야오의 성 폴리카르푸스 교회와 산 비센테 페레르 교구 성당, 산타 로사의 산타 로사 데 리마 교구 성당, 산 페드로의 예수 성묘 성당(롤로 우엥)과 산 페드로 사도 교구 성당이 있다. 롤로 우엥 교회는 "키아포 교회의 남쪽"으로 알려져 있었다.[78]

누발리, 칼람바, 라구나의 리퍼블릭 웨이크파크


라구나 주는 지리적 특성과 기후 덕분에 많은 자연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라구나 주에는 200개의 화산과 마르로 이루어진 라구나 화산 지대가 있다. 이 지대의 가장 높은 지형은 마킬링 산이며, 신성한 산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산 파블로의 일곱 개 호수도 이 지대에 속한다. 라구나 주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는 케손 주와 공유하는 바나하우 산이다. 라구나 주에는 파그산잔 폭포, 시닐로안의 부루위산 폭포, 마하이자이의 보토칸과 타이타이 폭포, 루이시아나의 탈롱 응 알리우와 훌루간 폭포 등 여러 폭포가 있다. 이 외에도 카빈티 지하 강과 동굴 단지, 루이시아나의 심바항 바토, 마하이자이의 달리티완 강, 로스바뇨스의 악어 공원 등이 라구나 주의 다른 명소들이다.[79]

라구나 주에는 인공 관광 명소와 공원도 여러 곳 있다. 산타 로사에는 인챈티드 킹덤 테마파크가 있으며, 관광부의 인증을 받았다. 라구나 주의 다른 공원으로는 로스바뇨스에 있는 발레솔 헤이븐, 필리핀 보이스카우트 캠프, 마리아 마킬링 공원, 마킬링 식물원, 파에테의 와와 공원, 산 파블로의 공공 광장 등이 있다.

칼람바와 로스바뇨스는 리조트와 온천으로 유명하며, "필리핀의 리조트 수도"라는 명칭을 가지고 있다. 파킬의 투룸바 수영장, 칼리라야 호, 산 파블로의 다가탄 대로, 삼팔록 호수 계단 등도 명소이다.[80]

9. 교육

라구나 주의 교육 수준은 높다. 2015년 기준으로 3,035,081명 중 약 2,734,045명이 어떤 형태의 교육을 받았다. 같은 해 라구나 주의 문해율은 99.6%였다.[53] 라구나 주 대부분의 사람들은 고등학교 졸업자이며, 라구나 주 출신 해외 근로자 대부분은 대학 학위를 소지하고 있다.

라구나 주에는 458개의 공립 초등학교와 128개의 공립 중고등학교를 포함하여 총 586개의 공립학교가 있다. 산파블로 시에 79개로 가장 많은 공립학교가 있으며, 리살 시에는 4개로 가장 적다.[81]

마푸아 말라얀 칼리지 라구나의 리살 홀


라구나 주는 여러 학교와 대학교의 본거지이다. 이 지역에는 약 18개의 대학교와 37개의 대학이 있다. 라구나 주에는 총 11개의 캠퍼스를 가진 3개의 주립 대학교가 있다: 라구나 주립 공과대학교, 카부야오 대학교, 필리핀 공과대학교, 그리고 필리핀 로스바뇨스 대학교. 필리핀 로스바뇨스 대학교는 1909년에 설립되어 필리핀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 중 하나이기도 하다. 국제 쌀 연구소는 필리핀 로스바뇨스 대학교 캠퍼스 내에 있으며 쌀 기술 개발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명성이 높다.

라구나 주에는 여러 사립 대학도 있다. 메트로 마닐라에 주 캠퍼스를 둔 일부 대학들은 라구나 주에 분교를 설립했는데, 예를 들어 필리핀 리세움 대학교-라구나, 드 라살 대학교 – 라구나 캠퍼스, 콜레지오 산 아구스틴, 라 콘솔라시온 칼리지, 산 세바스티안 칼리지 – 레콜레토스, 산 후안 데 레트란 칼리지, 마푸아 말라얀 칼리지 라구나, 내셔널 대학교 라구나, 그리고 파티마 성모 대학교 – 라구나 캠퍼스 등이 있다. 최근에는 산토 토마스 대학교와 동부 대학교가 산타 로사에 각각 캠퍼스를 설립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라구나 주 대학의 주목할 만한 동문으로는 하원 의원을 역임한 테오도로 카시뇨, 산미구엘 코퍼레이션 회장인 에두아르도 코후앙코 주니어, 그리고 영화 감독 제롤드 타로그가 있다.

10. 저명한 인물


  • 호세 리살 - 필리핀의 작가, 선동가, 국민 영웅 (칼람바)[82]
  • 파치아노 리살 - 군 장군이자 혁명가; 호세 리살의 형 (칼람바)[82]
  • 아구에다 카하바간 - 필리핀 혁명군의 여성 장군 (산타 크루즈)[82]
  • 후안 카예스 - 필리핀-미국 전쟁 당시 필리핀 장군이자 초대 라구나 주지사 (산타 크루즈)[82]
  • 빈센테 림 - 제2차 세계 대전 장군 (칼람바)[82]
  • 엔카르나시온 알조나 - 필리핀 국립 과학자, 필리핀 역사 (비냘)[82]
  • 에두아르도 키숨빙 - 필리핀 국립 과학자, 식물 분류학 (산타 크루즈)[82]
  • 호세 파벨라 - 필리핀 의사이자 공중 보건 운동가 (파그산잔)[82]
  • E.R. 에헤르시토 - 제17대 라구나 주지사, 배우, 전 파그산잔 시장 (파그산잔)[82]

참조

[1] Academia 28 JULY 1571: The Foundation date of the Province of Laguna https://independent.[...]
[2] 뉴스 Young historian finds Laguna birth date http://newsinfo.inqu[...] Inquirer News 2012-10-08
[3] 웹사이트 List of Provinces https://web.archive.[...]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13-11-18
[4] 웹사이트 https://laguna.gov.p[...]
[5] 웹사이트 History of Laguna http://www.calirayal[...] 2016-06-23
[6] 서적 The Philippine Islands, 1493 - 1898, Volume VIII http://www.gutenberg[...] 2017-04-24
[7] 서적 The Philippine Islands, 1493–1898, Volume V http://www.gutenberg[...] 2017-04-24
[8] 학술지 Ano at Saan ang Lumban https://web.archive.[...] 2017-04-24
[9] 서적 History of the Philippine Islands http://www.gutenberg[...] 2017-04-26
[10] 서적 The Philippine Islands, 1493 - 1898 Volume XX http://www.gutenberg[...] 2017-04-26
[11] 웹사이트 History – Laguna, Philippines. http://lagunaphilipp[...]
[12] Academia Eva Maria Mehl: Forced migration in the Spanish pacific world: From Mexico to the Philippines, 1765–1811 https://www.academia[...] 2022-05-16
[13] 서적 ESTADISMO DE LAS ISLAS FILIPINAS TOMO PRIMERO http://www.xeniaedit[...]
[14] 서적 ESTADISMO DE LAS ISLAS FILIPINAS TOMO SEGUNDO https://ia601608.us.[...]
[15] 서적 Conquest and Pestilence in the Early Spanish Philippines
[16] 웹사이트 Why Laguna deserves a ray of sun in the Philippine National Flag https://web.archive.[...] 2017-04-28
[17] 뉴스 'Brains of the Katipunan' honored in Magdalena, Laguna https://lifestyle.in[...] 2019-05-05
[18] 법률 A General Act For The Organization Of Provincial Governments In The Philippine Islands https://thecorpusjur[...] 1901-02-06
[19] 법률 An Act Amending Act Numbered Nine hundred and thirty-nine, entitled "An Act reducing the thirty municipalities of the Province of La Laguna to nineteen," and Act Numbered Nine hundred and forty-two, entitled "An Act reducing the thirty - two municipalities of the Province of Rizal to fifteen," and providing that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Provinces of La Laguna and Rizal be changed so as to include in La Laguna the municipality of Muntinlupa now a part of Rizal. https://elibrary.jud[...] 1903-11-25
[20] 법률 An Act providing for the return of the former municipality of Muntinlupa from the Province of La Laguna to the Province of Rizal, repealing paragraph (e) of section one and sections two and three of Act Numbered One thousand and eight, and changing the name of the municipality of Pateros, of the Province of Rizal, to Taguig. https://elibrary.jud[...] 1905-03-22
[21] 웹사이트 About the City https://web.archive.[...]
[22] 학술지 Ang mga Kilusang radikal 1890-1990: Ilang Mahahalagang Tala https://www.journals[...] 2010-04-23
[23] 서적 A History of the Philippines: From the Spanish Colonization to the Second World War https://books.google[...] Monthly Review Press 1975
[24] 서적 Sakdalistas' struggle for Philippine independence, 1930-1945 Ateneo de Manila University Press 2014
[25] 학술지 Sakdalism and Philippine Radicalism 1962-02
[26] 서적 Angels of the Underground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27] 서적 The Crucible: An Autobiography by Colonel Yay, Filipina American Guerrilla https://archive.org/[...] Rutgers University Press 1950
[28] 웹사이트 The Development of "Miracle Rice" Varieties https://web.archive.[...] Ganzel Group 2007
[29] 뉴스 'Success' of Masagana 99 all in Imee's head – UP researchers https://www.verafile[...] Vera Files 2020-05-24
[30] 학술지 IMF Stabilization Program and Economic Growth: The Case of the Philippines https://web.archive.[...] 1992
[31] 뉴스 Debt, deprivation and spoils of dictatorship https://newslab.phil[...]
[32] 학술지 Experiences of selected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Los Banos (UPLB) community members during Martial Law in the Philippines https://www.ukdr.upl[...] 2020-12-01
[33] 서적 Ang mamatay nang dahil sa 'yo https://www.worldcat[...] National Historical Commission of the Philippines
[34] 웹사이트 ONTONG, Manuel F https://bantayog.fou[...]
[35] 웹사이트 Martyrs and Heroes: MENDOZA, Armando Lano https://bantayog.fou[...] 2022-11-18
[36] 웹사이트 VERA FILES FACT CHECK: Claim on Cory Aquino scrapping Marcos-era floodway NEEDS CONTEXT https://verafiles.or[...] 2020-12-09
[37] 보고서 Republic of The Philippines Follow-Up Study on Parañaque Spillway Project – Final Report https://openjicarepo[...] Department of Public Works and Highways, Republic of The Philippines 2020-10
[38] 웹사이트 Laguna de Bay Masterplan http://www.llda.gov.[...] Laguna Lake Development Authority 2009-07-21
[39] 뉴스 City Sense: 10 reasons why it floods in Manila http://www.philstar.[...] STAR Group of Publications 2013-06-15
[40] 간행물 Guidelines of Lake Management, Volume 1 – Principles of Lake Management http://www.ilec.or.j[...] International Lake Environment Committee
[41] 웹사이트 About Region 4a, The CaLaBaRzon Region http://ati.da.gov.ph[...]
[42] 웹사이트 Banahaw Volcano http://www.phivolcs.[...]
[43] 웹사이트 Province Profile http://laguna.com.ph[...] Provincial Government of Laguna
[44] 웹사이트 Forest Cover in Calabarzon as of CY 2003 (in hectare) http://calabarzon.de[...]
[45] 웹사이트 Physical and Socio-Economic Profile http://calabarzon.de[...]
[46] 웹사이트 CLIMATE: LAGUNA https://en.climate-d[...]
[47] 법률 An act separating the city of Biñan from the first legislative district of the province of Laguna to constitute the Lone legislative district of the city of Biñan https://www.official[...] 2015-03-27
[48] 웹사이트 Resolution No. 9982 – Annex B http://www.comelec.g[...] 2015-08-18
[49] 법률 An act separating the city of Calamba from the second legislative district of the province of Laguna to constitute the lone legislative district of the city of Calamba https://www.official[...] 2018-09-24
[50] 웹사이트 Resolution No. 10434 - IN THE MATTER OF THE IMPLEMENTING RULES AND REGULATIONS OF REPUBLIC ACT NO. 11078 ENTITLED, "AN ACT SEPARATING THE CITY OF CALAMBA FROM THE SECOND LEGISLATIVE DISTRICT OF THE PROVINCE OF LAGUNA TO CONSTITUTE THE LONE LEGISLATIVE DISTRICT OF THE CITY OF CALAMBA" http://comelec.gov.p[...] 2018-10-15
[51] 웹사이트 Los Baños http://www.lagunatra[...] Laguna Travel Guide 2000-09-17
[52] 법률 An Act Separating the City of Santa Rosa from the First Legislative District of the Province of Laguna to Constitute the Lone Legislative District of Santa Rosa https://www.official[...] 2019-08-28
[53] 웹사이트 Laguna Quickstat - June 2018 https://psa.gov.ph/c[...]
[54] 웹사이트 Ethnicity in the Philippines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55] 웹사이트 Philippine Sites – Laguna http://www.tourism.g[...]
[56] 뉴스 Laguna churches are feast for eyes, soul https://newsinfo.inq[...] 2017-04-13
[57] 웹사이트 Religious Affiliation in the Philippines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Republic of the Philippines https://psa.gov.ph/c[...]
[58] 웹사이트 Department Of Tourism DOT Commends PATAS Initiative – Revitalizing Tourism In Laguna — Davao Corporate https://davaocorpora[...] 2023-05-20
[59] 뉴스 Which regions, provinces, cities are Philippines' richest? http://news.abs-cbn.[...]
[60] 웹사이트 Laguna, pangunahing lugar na puntahan, tirahan, at pangalakalan http://www.pia.gov.p[...] Philippine Information Agency
[61] 웹사이트 Proclaimed Watershed Forest Reserve http://calabarzon.de[...]
[62] 웹사이트 Directory of Non-Metallic Mines and Quarries https://drive.google[...]
[63] 웹사이트 Region IV-A Mineral Production by Province, by Mineral 2015 https://drive.google[...]
[64] 웹사이트 Performance of Philippine Agriculture January-March 2012 https://psa.gov.ph/s[...]
[65] 웹사이트 Top Five Permanent Crops in Terms of Number of Trees/Vines/Hills by Province : Calabarzon, 1991 and 2002 https://psa.gov.ph/s[...]
[66] 웹사이트 Region IV-A Profile http://www.dar.gov.p[...]
[67] 웹사이트 List of Economic Zones http://www.peza.gov.[...]
[68] 웹사이트 2015 Road Data http://www.dpwh.gov.[...] Department of Public Works and Highways
[69] 웹사이트 Private-Public Partnership - Laguna de Bay Flood Control Dike Expressway (C-6 Extension) http://www.dpwh.gov.[...] dpwh.gov.ph
[70] 웹사이트 Private-Public Partnership - Calamba–Los Baños Expressway http://www.dpwh.gov.[...] dpwh.gov.ph
[71] 웹사이트 Paete, the Wood Carving Capital of the Philippines https://web.archive.[...] 2017-05-06
[72] 웹사이트 Laguna https://web.archive.[...] 2017-04-29
[73] 논문 Tourism Development in Region IV: Employment Prospects and Opportunities of Tourism Graduates of Lyceum of the Philippines University http://research.lpub[...] 2014
[74] 웹사이트 Laguna: Historical https://web.archive.[...] 2017-04-29
[75] 웹사이트 Salvador H Laurel museum and library http://www.salvadorl[...]
[76] 웹사이트 Museums http://www.lagunatra[...] 2017-04-29
[77] 웹사이트 Laguna: Museums https://web.archive.[...] 2017-04-29
[78] 웹사이트 Lolo Uweng:Quiapo Church of the South http://opinyon.com.p[...] 2015-04-13
[79] 웹사이트 Laguna: Natural https://web.archive.[...] 2017-04-29
[80] 웹사이트 Laguna: Man-Made https://web.archive.[...] 2017-04-29
[81] 웹사이트 DepEd: Datasets https://web.archive.[...]
[82] 웹사이트 PESQUESA, Florencio S. https://www.bantayog[...] 2021-02-24
[83] 웹사이트 Dr. Ricardo M. Lantican: The Filipino whose research changed four industries – FlipScience – Top Philippine science news and features for the inquisitive Filipino https://www.flipscie[...] Flipscience.ph 2021-12-12
[84] 웹사이트 Ben Juliano, cereal chemist second to none – Manila Bulletin https://mb.com.ph/20[...]
[85] 웹사이트 Gelia T. Castillo: Distinguished Rural Sociologist, 89 https://www.nast.ph/[...] Nast.ph 2021-12-12
[86] 뉴스 9 Kickass Women in Philippine History You've Never Heard Of https://filipiknow.n[...] 2021-02-06
[87] 뉴스 Sta. Rosa, Laguna honors 1st Filipino soprano recording artist https://www.pna.gov.[...] 2021-02-06
[88] 웹사이트 Danilo E. Dalena Biography https://www.mutualar[...] 2019-11-08
[89] 뉴스 The art of Danilo Dalena and the Filipino everyman https://web.archive.[...] 2019-11-08
[90] 웹사이트 Blog Archive » Sister Dalisay Lazaga https://catholicsain[...] CatholicSaints.Info 2021-12-12
[91] 뉴스 Pope Francis Names New Auxiliary Bishops of Philadelphia https://www.usccb.or[...] 2023-12-08
[92] 뉴스 LEADER OF THE PACK: 8 STARTER-FACTS ABOUT BINI MEMBER JHOANNA https://zeenmag.com/[...] Zeen Magazine 2024-07-26
[93] 기타
[94]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95] 기타
[96] 기타
[97] 기타
[98] 기타
[99] 기타
[100] 기타
[101]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