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키투스 (황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키투스는 275년에서 276년까지 로마 황제로 재위했다. 그는 로마령 이탈리아의 테르니에서 태어났으며, 275년 암살된 아우렐리아누스의 후계자를 정하는 과정에서 원로원의 선택을 받아 황제가 되었다. 타키투스는 고령에도 불구하고 고트족과의 전투에서 승리했으나, 페르시아 원정을 준비하던 중 소아시아에서 열병으로 사망하거나 암살된 것으로 전해진다. 그는 원로원의 권한을 강화하려 노력했으며, 그의 사후에는 이복 형제 플로리아누스가 황제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76년 사망 - 플로리아누스
    플로리아누스는 276년 로마 황제로 추대되었으나 프로부스와의 내전 중 암살당하며 3개월이 채 되지 않은 짧은 통치를 마감한 비극적인 인물이다.
  • 276년 사망 - 바흐람 1세
    바흐람 1세는 사산 제국의 샤로서 카르티르의 지지를 받아 왕위에 올라 조로아스터교를 옹호하고 마니교를 탄압했으며 팔미라 제국과의 불안정한 외교를 펼쳤다.
  • 200년 출생 - 발레리아누스
    발레리아누스는 3세기 위기 시대에 로마 황제로서 아들 갈리에누스와 공동 통치하며 사산 제국과의 전쟁을 수행했으나, 샤푸르 1세에게 패배하여 포로로 잡히는 치욕을 겪고 기독교 박해 정책을 강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200년 출생 - 키프리아누스
    키프리아누스는 3세기 카르타고의 주교이자 기독교 작가로서, 이교도에서 기독교로 개종 후 주교가 되어 박해 시기에 교회를 지도하고 순교했으며, 그의 사상은 후대 교회에 큰 영향을 미쳤고 저술은 교회 일치와 성례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기여했다.
  • 군인 황제 시대 -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는 268년부터 270년까지 로마 제국을 통치한 황제로, 군대에서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으며 고트족과 알레만니족의 침략을 격퇴하여 칭호를 얻었으나 전염병으로 사망하며 짧지만 중요한 역할을 했다.
  • 군인 황제 시대 - 제노비아
    제노비아는 로마 제국 시대 팔미라의 여왕으로, 남편 오데나투스 사후 아들 바발라투스를 내세워 팔미라 제국의 실질적인 통치자가 되어 이집트와 시리아를 정복하며 세력을 확장했으나 로마 제국에 패배하여 포로로 잡혔고, 역사적으로 다양한 평가를 받으며 시리아에서는 민족주의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타키투스 (황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타키투스 황제의 흉상
루브르 박물관 소장 흉상
이름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타키투스
칭호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타키투스 아우구스투스
재위 기간275년 12월경 – 276년 6월경
선임자아우렐리아누스
후임자플로리아누스
출생200년경
사망276년 6월
사망 장소카파도키아 안토니아나 콜로니아 티아나
로마자 표기Marcus Claudius Tacitus

2. 생애

275년 아우렐리아누스 황제가 암살된 후, 그의 군대는 원로원에 후계자 선출을 요청했다. 원로원은 타키투스를 황제로 선출하였다. 타키투스는 75세의 고령에도 불구하고 소아시아에서 고트족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다. 그러나 페르시아 원정을 떠나던 중, 276년 6월 카파도키아티아나에서 열병으로 사망했다는 기록[21][22]이 있는 반면, 시리아에서 암살되었다는 기록[23]도 전해진다.

2. 1. 초기 생애

로마령 이탈리아인테람나(테르니)에서 태어났다.[20] 그의 초기 생애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타키투스가 오래된 움브리아 가문의 후손이며, 제국에서 의 재산을 가진 가장 부유한 사람 중 한 명이라고 주장하는 출생 이야기가 그가 즉위한 후에 퍼졌다. 그의 세력은 당시 거의 읽히지 않던 역사가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타키투스의 저작물을 배포했는데, 아마도 이로 인해 그의 저작물이 부분적으로나마 보존되었을 것이다. 현대 역사학은 그가 역사가의 후손이라는 주장을 날조된 것으로 간주한다.[2] 그는 아마도 일리리아인 출신의 군인이었을 것이며, 이로 인해 황제 정치에서 군대를 대표하게 되었을 것이다.[3]

그는 오랜 생애 동안 여러 공직을 역임했는데, 여기에는 로마 집정관을 두 번 역임한 것도 포함되며, 한 번은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발레리아누스 치하에서, 또 한 번은 273년에 역임하여 널리 존경을 받았다.[4] 테르니 출신으로, 오랫동안 원로원 의원을 역임했다고 전해지지만, 일리리아 출신의 군인으로, 오랜 군공에 대한 은전으로 원로원에 들어간 인물, 혹은 원로원 의원이 군사직에서 배제되기 전에 동지에서 군무 경험을 가진 평민계 원로원 의원이었다고도 한다. 적어도 생애 두 번 집정관을 역임했다는 점에서, 콘술 격의 원로원 의원이었음은 틀림없다.

자녀가 수 명 있었다고 한다.

2. 2. 황제 즉위

275년 황제 아우렐리아누스가 암살된 후, 후계자가 바로 정해지지 않았다. 아우렐리아누스 휘하의 군대는 존경받는 황제의 죽음에 대한 자신들의 책임에 대해 뉘우치는 모습을 보이며, 원로원에 후계자를 선택할 권리를 넘겼다.[5] 이에 원로원은 군대의 요청에 따라 타키투스를 황제로 선출하였다.

''아우구스타사(Historia Augusta)''에 따르면, 타키투스는 원로원이 자신에게 보내는 진심을 확인한 후 275년 9월 25일에 지명을 받아들였으며,[6] 군대도 이를 승인하였다. 만약 이 기록이 사실이라면, 타키투스는 원로원에 의해 선출된 마지막 황제가 된다.[7] 그러나 조시무스와 조나라스는 타키투스가 실제로는 원로원의 개입 없이 군대에 의해 황제로 추대되었다고 기록하고 있어,[8] ''아우구스타사''의 서술은 허구일 가능성이 있다.[9]

과거에는 아우렐리아누스의 아내 울피아 세베리나가 타키투스가 선출되기 전까지 스스로 통치하여 최대 6개월 동안의 공백기가 있었다고 알려졌으나,[10][11]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아우렐리아누스의 죽음과 타키투스의 즉위 사이에 공백기가 없었을 수도 있다. 타키투스는 황제로 선출되기 전 캄파니아에 살고 있었으며, 로마에서 열린 원로원 회의에 마지못해 돌아와 선출되었다. 그는 즉시 원로원에게 아우렐리아누스를 신격화하도록 요청하고, 아우렐리아누스를 암살한 자들을 체포하여 처형했다.[12]

라틴어 사료에는 공위 기간이 6개월에서 7개월에 달한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최근의 연대기 연구에 따르면 아우렐리아누스 황제가 275년 10월 또는 11월까지 제위에 있었고, 타키투스는 이듬해 정월에 두 번째 집정관에 취임한 것으로 보아, 공위 기간은 2개월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타키투스는 즉위 후 고대 원로원의 권력을 회복하는 데 가장 큰 관심을 기울였다. 그는 원로원에 황제, 집정관, 속주 총독의 임명뿐만 아니라 제국의 모든 법원에서 원로원의 사법 기능에 대한 최종 상소 권한과 오랫동안 유보되었던 행정적 능력으로 특정 세입 부서의 지휘권을 법으로 보장하는 등 상당한 특권을 부여했다.[13] 프로부스는 이러한 변화를 존중했지만, 수십 년 후 디클레티아누스의 개혁 이후에는 그 흔적이 전혀 남지 않았다.

2. 3. 통치와 업적

그는 아우렐리아누스가 동방 원정을 위해 로마군을 보충하고자 모아두었던 야만족 용병들을 공격했다. 이 용병들은 아우렐리아누스가 암살당하고 원정이 취소된 후 동로마 제국 지방의 여러 도시를 약탈했다.[14] 그의 이복 형제이자 프라이토리아니인 플로리아누스와 타키투스는 헤룰리족을 포함한 이 부족들을 상대로 승리하여 황제에게 '고티쿠스 막시무스'(Gothicus Maximus)라는 칭호를 안겨주었다.[12]

2. 4. 죽음

276년 6월 소아시아의 티아나(카파도키아)에서 열병으로 사망했다는 기록이 있다.[21][22] 시리아에서 암살되었다는 기록도 있다.[23] 아우렐리우스 빅토르, 에우트로피우스,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에 따르면 카파도키아티아나에서 열병으로 사망했으며, 재위 기간은 6개월 남짓이었다.[15][16] 반대로 조시무스는 친족 중 한 명을 시리아의 중요한 지휘관으로 임명한 후 암살되었다고 주장한다.[17]

참조

[1] 문서 Jones, pg. 873
[2] 웹사이트 McMahon, Note 3 and accompanying text http://www.roman-emp[...]
[3] 간행물 Hagi 2016
[4] 서적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The Modern Library 1932
[5] 문서 Gibbon, pp. 274–278
[6] 문서 Historia Augusta, Vita Taciti, 3.2
[7] 서적 Tacitus Annals XVI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8] 서적 The Roman Emperors: A Biographical Guide to the Rulers of Imperial Rome, 31 BC–AD 476 https://archive.org/[...] Charles Scribner's Sons
[9] 서적 Aurelian and the Third Centu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10] 서적 Aurelian and the Third Century Routledge
[11] 웹사이트 Aurelian (A.D. 270–275) http://www.roman-emp[...] 2008-12-23
[12] 문서 Southern, p. 127
[13] 문서 Gibbon, p. 279
[14] 문서 Gibbon, p. 280
[15] 문서 Aurelius Victor, 36:1
[16] 문서 Historia Augusta, Vita Taciti, 13:5
[17] 문서 Zosimus, I:63:2
[18] 문서 "In [[고전 라틴어|Classical Latin]], Tacitus' name would be inscribed as MARCVS CLAVDIVS TACITVS AVGVSTVS."
[19] 문서 Jones, pg. 873
[20] 문서 Historia Augusta, Vita Taciti, 15:1
[21] 문서 Aurelius Victor, 36:1
[22] 문서 Historia Augusta, Vita Taciti, 13:5
[23] 문서 Zosimus, I:63: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