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아이오딘화효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탈아이오딘화효소는 티로닌 호르몬에서 아이오딘을 방출하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이다. 아이오도티로닌 탈아이오딘화효소와 아이오도티로신 탈아이오딘화효소의 두 종류가 있으며, 아이오도티로닌 탈아이오딘화효소는 세 가지 동질효소(DIO1, DIO2, DIO3)가 존재한다. 기아 상태에서는 탈아이오딘화효소 I형이 억제되어 기초 대사율이 낮아지지만, 뇌, 심장 등 항상성을 유지해야 하는 기관에서는 탈아이오딘화효소 II형을 발현시켜 이를 보완한다. 탈아이오딘화효소의 셀레늄은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T3)의 수준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화 환원 효소 - 플라빈 모노뉴클레오타이드
플라빈 모노뉴클레오타이드는 식품의 색상을 개선하는 데 사용되는 오렌지-레드색의 식품 첨가 색소로, 아이소알록사진 고리와 인산기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며, 섭취 후 리보플라빈으로 전환되는 나트륨 염은 아기 및 어린이를 위한 식품 등에 사용된다. - 산화 환원 효소 - 니코틴아마이드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 인산
니코틴아마이드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 인산(NADP+)은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와 유사한 조효소로, 광합성 전자 전달에 관여하며 NADPH 형태로 생합성 과정에 환원력을 제공하고 세포를 보호하는 데 기여한다. - 갑상샘 - 맨아래갑상동맥
맨아래갑상동맥은 갑상샘, 기관, 부갑상샘에 혈액을 공급하는 드문 동맥으로, 팔머리동맥에서 주로 시작되며 크기, 기능, 시작 지점 등에서 변이가 많고 수술 시 출혈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 갑상샘 - 칼시토닌
칼시토닌은 갑상선에서 분비되는 32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폴리펩티드 호르몬으로, 뼈의 파골세포 활동을 억제하여 혈중 칼슘 수치를 낮추는 역할을 하며, 갑상선 수질암 진단 및 골다공증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
탈아이오딘화효소 | |
---|---|
효소 정보 | |
이름 | 티로신 5'-탈아이오딘화효소 |
EC 번호 | 1.97.1.10 |
CAS 번호 | 70712-46-8 |
GO 코드 | 0004800 |
다른 이름 | 데아이오디나아제 (deiodinase) 모노데아이오디나아제 (monodeiodinase) |
2. 종류
탈아이오딘화효소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종류 | 보조기 | 유전자 |
---|---|---|
아이오도티로닌 탈아이오딘화효소 | DIO1, DIO2, DIO3 | |
아이오도티로신 탈아이오딘화효소 | 플라빈 모노뉴클레오타이드(FMN) | IYD |
아이오도티로닌 탈아이오딘화효소는 티로닌 호르몬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아이오딘을 방출하는 반응을 촉매한다.[4][1] 이 효소는 퍼옥시레독신(Prx)과 유사한 촉매 도메인을 가지고 있는 셀레노시스테인 의존성 막 단백질이다.[4][1] 아이오도티로닌 탈아이오딘화효소에는 세 가지 관련된 동질효소인 탈아이오딘화효소 I형(DIO1), II형(DIO2), III형(DIO3)이 있으며, 이들은 표적 세포에서 초기에 방출된 호르몬 전구체 T4(티록신)의 T3(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 또는 rT3(리버스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로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에 관여한다.[4][1] 효소는 아이오딘의 환원적 제거를 촉매하고(다른 동질효소들은 티로닌의 서로 다른 위치를 공격함), 퍼옥시레독신과 유사하게 스스로를 산화시키고 효소의 환원적 재활용을 촉진한다.[4][1]
아이오도티로신 탈아이오딘화효소는 갑상샘 호르몬의 분해에 기여한다. 아이오도티로닌의 이화작용으로 아이오딘화 티로신으로부터 아이오딘을 방출하여 이를 새로 사용한다. 아이오도티로신 탈아이오딘화효소는 보조 인자인 플라빈 모노뉴클레오타이드(FMN)를 사용하며, NADH 산화효소/플라빈 환원효소 슈퍼 패밀리에 속한다.[5][2]
2. 1. 아이오도티로닌 탈아이오딘화효소
아이오도티로닌 탈아이오딘화효소는 티로닌 호르몬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아이오딘을 방출하는 반응을 촉매한다.[4][1] 이 효소는 퍼옥시레독신(Prx)과 유사한 촉매 도메인을 가지고 있는 셀레노시스테인 의존성 막 단백질이다.[4] 아이오도티로닌 탈아이오딘화효소에는 세 가지 관련된 동질효소인 탈아이오딘화효소 I형(DIO1), II형(DIO2), III형(DIO3)이 있으며, 이들은 표적 세포에서 초기에 방출된 호르몬 전구체 T4(티록신)의 T3(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 또는 rT3(리버스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로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에 관여한다.[4][1] 효소는 아이오딘의 환원적 제거를 촉매하고(다른 동질효소들은 티로닌의 서로 다른 위치를 공격함), 퍼옥시레독신과 유사하게 스스로를 산화시키고 효소의 환원적 재활용을 촉진한다.[4][1]종류 | 보조기 | 유전자 |
---|---|---|
아이오도티로닌 탈아이오딘화효소 | DIO1, DIO2, DIO3 | |
아이오도티로신 탈아이오딘화효소 | 플라빈 모노뉴클레오티드 (FMN) | IYD |
2. 2. 아이오도티로신 탈아이오딘화효소
아이오도티로신 탈아이오딘화효소(IYD)는 플라빈 모노뉴클레오타이드(FMN)를 보조 인자로 사용하여 아이오도티로닌의 이화작용으로 생성된 아이오딘화 티로신으로부터 아이오딘을 방출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한다.[2][5] 이 효소는 NADH 산화효소/플라빈 환원효소 슈퍼 패밀리에 속한다.[2][5]종류 | 보조기 | 유전자 |
---|---|---|
아이오도티로신 탈아이오딘화효소 | 플라빈 모노뉴클레오타이드 (FMN) | IYD |
기아 상태에서는 탈아이오딘화효소 I 이 저해되어 기초 대사율이 낮아진다.[3] 그러나 뇌, 심장, 골격근 및 갑상샘과 같이 항상성을 유지해야 하는 기관에서는 기초 대사율이 낮아지지 않는데, 이는 탈아이오딘화효소 II 를 발현시켜 달성된다.[3]
3. 기아 반응
기아 상태 또는 심각한 신체적 스트레스가 있는 경우, 탈아이오딘화효소 1형이 억제되어 T3의 혈중 농도가 낮아져 대사율이 감소한다.[3] 직관적으로 T3의 혈장 농도가 감소하면 TSH가 보상적으로 상승해야 하지만, 2형 탈아이오딘화효소가 뇌하수체와 중추신경계 내에서 T4를 T3로 변환하는 것을 매개하고 칼로리 제한이 이 효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뇌하수체 내의 국소 T3 농도는 정상이다.[3] 따라서 뇌하수체의 갑상샘자극세포는 적절한 양의 T3을 계속 가지고 있으며, TSH의 보상적인 상승은 일어나지 않는다.[3]
이러한 칼로리 제한의 효과는 굶주리고 있는 사람에게는 신체의 연료 저장량을 보존하는 경향이 있어 타당하다. 반면에, 이러한 효과는 다이어트를 하는 동안 의도적으로 체중을 감량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든다.[3]
3. 1. 탈아이오딘화효소 I (DIO1) 억제
기아 상태에서는 탈아이오딘화효소 I 이 저해되어 기초 대사율이 낮아진다.[3] 그러나 뇌, 심장, 골격근 및 갑상샘과 같은 기관은 항상성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기초 대사율이 낮아지지 않는다.[3] 이는 대부분의 말초 조직에서와 같이 탈아이오딘화효소 I 보다는 탈아이오딘화효소 II 를 발현시키는 기관에 의해 달성된다.[3]
기아 상태 또는 심각한 신체적 스트레스가 있는 경우, 탈아이오딘화효소 1형이 억제되어 T3의 혈중 농도가 낮아져 대사율이 감소한다.[3] T3의 혈장 농도가 감소하면 TSH 가 보상적으로 상승하는데, TSH 의 분비는 T3에 의해 억제된다.[3] 그러나 2형 탈아이오딘화효소가 뇌하수체와 중추신경계 내에서 T4를 T3로 변환하는 것을 매개하고, 칼로리 제한이 이 효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뇌하수체 내의 국소 T3 농도는 정상이다.[3] 따라서 뇌하수체의 갑상샘자극세포는 적절한 양의 T3을 계속 가지고 있으며, TSH 의 보상적인 상승은 일어나지 않는다.[3]
이러한 칼로리 제한의 효과는 굶주리고 있는 사람에게는 신체의 연료 저장량을 보존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타당하다.[3] 반면에, 이러한 효과는 다이어트를 하는 동안 의도적으로 체중을 감량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든다.[3]
3. 2. 탈아이오딘화효소 II (DIO2) 유지
기아 상태에서는 탈아이오딘화효소 I 이 저해되어 기초 대사율이 낮아진다.[3] 그러나 뇌, 심장, 골격근 및 갑상샘과 같이 항상성을 유지해야 하는 기관에서는 기초 대사율이 낮아지지 않는데, 이는 탈아이오딘화효소 II 를 발현시켜 달성된다.[3]
기아 상태 또는 심각한 신체적 스트레스가 있는 경우, 탈아이오딘화효소 1형이 억제되어 T3의 혈중 농도가 낮아져 대사율이 감소한다.[3] 직관적으로 T3의 혈장 농도가 감소하면 TSH가 보상적으로 상승해야 하지만, 2형 탈아이오딘화효소가 뇌하수체와 중추신경계 내에서 T4를 T3로 변환하는 것을 매개하고 칼로리 제한이 이 효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뇌하수체 내의 국소 T3 농도는 정상이다.[3] 따라서 뇌하수체의 갑상샘자극세포는 적절한 양의 T3을 계속 가지고 있으며, TSH의 보상적인 상승은 일어나지 않는다.[3]
이러한 칼로리 제한의 효과는 굶주리고 있는 사람에게는 신체의 연료 저장량을 보존하는 경향이 있어 타당하다. 반면에, 이러한 효과는 다이어트를 하는 동안 의도적으로 체중을 감량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든다.[3]
4. 셀레늄
아이오도티로닌 탈아이오딘화효소의 셀레늄은 셀레노시스테인으로서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T3)의 자유 순환의 수준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셀레늄 결핍증은 트라이아이오도티로닌(T3) 수준의 하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참조
[1]
논문
Crystal structure of mammalian selenocysteine-dependent iodothyronine deiodinase suggests a peroxiredoxin-like catalytic mechanism
2014-07
[2]
논문
Crystal structure of iodotyrosine deiodinase, a novel flavoprotein responsible for iodide salvage in thyroid glands
2009-07
[3]
논문
Thyroid Allostasis-Adaptive Responses of Thyrotropic Feedback Control to Conditions of Strain, Stress, and Developmental Programming.
2017
[4]
논문
Crystal structure of mammalian selenocysteine-dependent iodothyronine deiodinase suggests a peroxiredoxin-like catalytic mechanism
2014-07
[5]
논문
Crystal structure of iodotyrosine deiodinase, a novel flavoprotein responsible for iodide salvage in thyroid glands
2009-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