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태상 (관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상(太常)은 중국의 관직으로, 종묘와 예악을 관할하는 역할을 했다. 진나라의 봉상(奉常)에서 유래되었으며, 전한 경제 때 태상으로 개칭되었다. 신나라의 왕망은 질종으로 이름을 바꾸기도 했으나, 후한 시대에 다시 태상으로 복귀되었다. 태상은 예의와 제사를 관장하며, 제사 의례를 상주하고 행사를 거행할 때 천자를 보좌했다. 삼국 시대와 서진에서도 이 관직을 계승했으며, 오(吳)에서는 삼공에 준하는 지위로 여겨졌다. 주요 속관으로는 태사령, 박사, 태축령, 태재령 등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관직과 칭호 - 관찰사
    관찰사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지방 행정 감찰관직으로, 당나라 채방처치사에서 시작되어 관찰처치사로 개칭되며 명칭이 유래되었고, 한국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정착하여 각 도에 파견된 종2품 문관직으로 지방 행정 전반에 걸쳐 권한을 행사했다.
  • 중국의 관직과 칭호 - 태위
    태위는 동아시아의 삼공 중 하나로, 주로 군사 지휘를 담당하는 최고위 관직이었으며 시대와 국가에 따라 역할과 권한에 차이가 있었다.
태상 (관직)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개요
유형중국의 행정부
관할의례
전신봉상(奉常)
후신봉상(奉常)
상세 정보
주요 업무의례 관련 업무
책임자태상(太常)
소속 기관황제
관련 인물태사령(太史令)
기타박사(博士)

2. 역사

태상은 시대에 따라 그 명칭과 역할이 변천해 왔다.

진나라는 중앙 관직으로 '''봉상'''(奉常)을 두어 종묘와 예악을 담당하게 하고 승(丞)을 배치했다. 전한은 이를 계승하여 경제 때 태상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신나라왕망은 태상을 '''질종'''(秩宗)으로 개칭했다가 후한에서 다시 태상으로 복귀시켰다.

삼국시대의 여러 나라와 서진에서도 태상 제도를 계승하였다. 특히 오(삼국)에서는 태상을 삼공에 준하는 중요한 직책으로 여겼다.[1][2]

2. 1. 전한의 태상

구경의 하나로, 진나라의 봉상(奉常)을 기원으로 한다. 전한 경제 때 태상으로 개칭되었으며, 종묘와 예악을 관할하고 승(丞)을 배치했다.[1][2][3][4][5] 신나라왕망은 질종(秩宗)으로 개칭했다.

속관은 다음과 같다.[3][5]

속관명역할비고
태악령 - 태악승음악 담당
태주령 - 태주승축사 담당경제 중 6년 (기원전 144년) 이전
사사령 - 사사승축사 담당경제 중 6년 (기원전 144년)부터 무제 태초 원년 (기원전 104년)까지
묘사령 - 묘사승축사 담당무제 태초 원년 (기원전 104년) 이후
태재령 - 태재승제물 준비
태사령 - 태사승천문, 기록 담당
태복령 - 태복승점술 담당무제 태초 원년 (기원전 104년) 이후
태의령 - 태의승의료 담당
균관장 - 균관승물자 조달, 판매 (추정)
도수장 - 도수승능의 배수로 관리 (추정)
묘령 또는 묘장 - 묘승황제와 일부 황족 제사용 묘 관리
침령 또는 침장 - 침승묘의 궁전 역할 건물 관리
원령 또는 원장 - 원승묘 시설 부지 관리
식관령 또는 식관장 - 식관승묘 등 의식 제물 준비
옹태주령 - 옹태주승옹의 오제 제사에서 축사 담당
옹태재령 - 옹태재승옹의 오제 제사에서 제물 준비
오지의 위옹의 오제 제사 담당
능현의 현령 또는 현장 - 현승황제 능 부속 현 관리원제 영광 원년 (기원전 43년) 또는 4년 (기원전 39년) 이전
박사고금(古今)에 통달한 자많을 때는 수십 명[5]


2. 2. 후한의 태상

후한에서는 태상으로 명칭을 복귀시켰다.[5] 정원은 경(卿) 1명, 승(丞) 1명이며, 질록은 경이 중이천석(中二千石), 승이 비천석(比千石)이었다. 태상은 예의와 제사를 관장하며, 제사 때마다 의례의 내용을 상주하였다. 행사를 거행할 때는 천자를 도왔다. 승은 예식과 제사의 사소한 제반 사무를 담당하였다.

후한 시대 태상의 속관은 다음과 같다. (괄호 안은 질록이다. 사람의 수가 써지지 않은 것은 정원이 없다.)

속관명질록담당 업무비고
태사령(太史令) 1명600석천문, 역법(曆法), 길흉, 기록을 관장태사승(太史丞) 1명, 명당승(明堂丞) (200석), 영대승(靈台丞) (200석) 각 1명
박사제주(博士祭酒) 1명600석학문·옛 제도 연구를 관장하며, 제사의 예를 의논함박사(博士) 14명 (500~600석)
태축령(太祝令) 1명600석국가 제사에서 축문을 관장태축승(太祝丞) 1명
태재령(太宰令) 1명600석솥이나 제상 등 제사에 쓰이는 도구 제작을 총괄하고, 제사 때 제물을 담는 식기를 진열태재승(太宰丞) 1명
태악령(大楽令) 1명600석국가의 제사·연회에서 음악 연주를 관장태악승(大楽丞) 1명
고묘령(高廟令) 1명600석전한 고조 유방의 묘를 수호하고, 순찰과 청소를 담당
세조묘령(世祖廟令) 1명600석후한 세조 광무제의 묘를 수호하고, 순찰과 청소를 담당
능원령(陵園令) (황제의 능 수만큼)600석황제 능 관리승(丞), 교장(校長) (능원령의 수만큼)
능식관령(陵食官令) (황제의 능 수만큼)600석황제 능의 음식 관리



삼국 시대의 각국, 서진에서도 계속 태상이 설치되었다. 오(삼국)에서는 삼공에 준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2. 3. 삼국시대 및 서진의 태상

삼국시대의 각국과 서진에서도 이를 계승하여 태상을 설치했다.[1] 오나라에서는 태상이 삼공에 준하는 지위로 여겨졌다.[2]

3. 주요 속관

태상은 구경 중 하나로, 소속된 주요 관직들은 다음과 같다.

관직명주요 업무비고
태악령 - 태악승음악 담당
태축령 - 태축승제사 의례 주관, 축문 작성한무제 태초 원년(기원전 104년)에 묘사(廟祀)로 개칭, 후한에서는 소부로 이동
태재령 - 태재승제물과 제기 준비
태사령 - 태사승천문, 역법, 기록 담당전한 원제 시기 삼보로 이동
태복령 - 태복승점술 담당한무제 태초 원년에 설치, 이후 태사(太史)에 통합
태의령 - 태의승의료 담당후한에서는 소부로 이동
균관장 - 균관승물자 조달 및 판매 (추정)후한에서는 소부로 이동
도수장 - 도수승능의 배수로 관리 (추정)후한에서는 소부로 이동
묘령 또는 묘장 - 묘승황제와 일부 황족 제사 시설 관리
침령 또는 침장 - 침승묘의 궁전 건물 관리
원령 또는 원장 - 원승묘 시설 부지 관리
식관령 또는 식관장 - 식관승묘 등에서 올리는 제물 준비
옹태주령(옹태주령) - 옹태주승옹현의 오제 제사에서 축사 담당후한에서는 우부풍으로 통합
옹태재령(옹태재령) - 옹태재승옹현의 오제 제사에서 제물 준비후한에서는 우부풍으로 통합
오지의 위오제 제사 담당옹현에 위치, 후한에서는 폐지
능현의 현령 또는 현장 - 현승황제 능 관리전한 원제 시기 삼보로 이동
박사고금의 학문 연구전한 선제 시기 12명까지 증원


3. 1. 태사령 (太史令)

태사령(太史令)은 천문, 역법, 기록 등을 담당하는 관직이다.[3] 전한에서는 태상(太常)의 속관으로 태사령과 태사승(太史丞)이 있었다.[3] 후한 시대에도 태사령 1명(봉록 600석)과 태사승 1명을 두었으며, 명당승(明堂丞)과 영대승(霊台丞) 각 1명(각각 봉록 200석)이 태사령의 속관으로 있었다.[5]

태사령은 다음의 업무를 담당하였다.

  • 천문 관측
  • 역법 제정
  • 기록 관리
  • 길흉 예측[5]

3. 2. 박사 (博士) / 박사제주 (博士祭酒)

진나라 때부터 구경 중 하나였던 박사는 고금의 학술에 통달한 사람들을 가리키며, 질록은 육백 석이었다. 많게는 수십 명이 배치되기도 했다.[5] 한무제 건원 5년(기원전 136년)에는 오경박사(五經博士)가 설치되었고, 선제 황룡 원년(기원전 49년)에는 12명까지 증원되었다.[3]

왕망이 건립한 에서는 태상이 질종(秩宗)으로 개칭되었다가, 후한에서 다시 태상으로 복귀되었다.[5] 후한 시대에는 박사제주(博士祭酒) 1명(육백 석)과 박사 14명(비 육백 석)이 있었다. 박사제주는 학문과 장고(章故)를 관장하고 제사의 예를 의논하는 역할을 담당했다.[5]

이처럼 박사는 학술, 교육, 경전 해석 등을 담당했으며, 시대에 따라 그 인원 구성에 변화가 있었다.

3. 3. 태축령 (太祝令)

태축령(太祝令)은 제사 의례를 주관하고 축문을 작성하는 역할을 담당했다.[3] 진나라봉상을 기원으로 하며, 전한 경제 시대에 태상으로 개칭되었다. 태축령은 태축승(太祝丞)을 보좌로 두었다. 태축은 한무제 태초 원년(기원전 104년)에 묘사(廟祀)로 개칭되었다가 후한에서는 소부로 이동되었다.[3]

후한 시대 태축령의 질록은 600석이었으며, 태축승 1명을 두었다. 국가 제사에서 축문을 담당하는 것이 주된 역할이었다.[3]

3. 4. 태재령 (太宰令)

진나라 시대의 봉상을 기원으로 하는 구경 중 하나인 태상의 속관 중 하나이다.[3] 태재령(太宰令)은 태재승(太宰丞)과 함께 제사에 사용되는 제물과 제기에 쓰이는 가마솥, 제사상 등 도구 제작을 총괄하고, 제사 때 제물을 담는 그릇을 진열하는 업무를 담당했다.[5] 질록은 600석이었다.

3. 5. 태악령 (太樂令)

태악령(太樂令)은 구경 중 하나인 태상의 속관으로, 제례와 연회에 쓰이는 음악을 담당하였다.[1][2][3][4][5] 태악령 아래에는 태악승(太樂丞)을 두었다.

한나라의 기록인 『한서』 「백관공경표」에 따르면, 태상에는 다음과 같은 속관들이 있었다.[3]

관직명주요 업무
태악령 - 태악승음악
태주령 - 태주승제사 의식의 축사
태재령 - 태재승제물 준비
태사령 - 태사승천문 관측 및 기록
태복령 - 태복승점술
태의령 - 태의승의료
균관장 - 균관승물자 조달 및 판매 (추정)
도수장 - 도수승능의 배수로 관리 (추정)
묘령 또는 묘장 - 묘승황제와 일부 황족 제사 시설 관리
침령 또는 침장 - 침승묘의 궁전 건물 관리
원령 또는 원장 - 원승묘 시설 부지 관리
식관령 또는 식관장 - 식관승묘 등에서 올리는 제물 준비
옹태주령(옹태주령) - 옹태주승옹현의 오제 제사에서 축사 담당
옹태재령(옹태재령) - 옹태재승옹현의 오제 제사에서 제물 준비
오지의 위오제 제사
능현의 현령 또는 현장 - 현승황제 능 관리
박사고금의 학문 연구



후한 시대에는 태악령 1명(봉록 육백 석), 태악승 1명을 두었으며, 국가 제사와 큰 연회에서 음악 연주를 담당하였다.

3. 6. 묘령 (廟令) / 능원령 (陵園令)

전한 시대에는 황제와 황족의 묘와 능을 관리하는 묘령(廟令)과 능원령(陵園令)을 두었다. 묘령은 묘장(廟長)과 묘승(廟丞)을, 능원령은 능원장(陵園長)과 능원승(陵園丞)을 하위 관직으로 두었다.[3] 묘는 죽은 황제와 일부 황족을 제사하기 위해 만들어진 시설이고, 원은 그 시설을 둘러싼 부지였다. 묘령 등은 이러한 시설들을 관리했다.[6]

황제마다 별도로 묘와 능이 설치되었는데, 중요도에 따라 장관의 명칭이 달랐다. 중요하면 장관을 영(令)이라 칭하고, 중요도가 낮으면 장(長)이라 칭했다. 차관은 모두 승(丞)이었다. 예를 들어 효혜제(孝惠帝)의 침승(寢丞), 효문제(孝文帝)의 원령(園令) 등 황제의 시호에서 따온 이름이 사서에 보이지만, 패릉원승(覇陵園丞) 등 능의 지명에서 따온 이름도 보인다.[6]

후한 시대에도 황제의 능 수만큼 능원령(陵園令)과 능식관령(陵食官令)을 두었다. 이들의 질록은 600석이었다. 능원령 아래에는 승(丞)과 교장(校長)을 두었는데, 그 수는 능원령의 수와 같았다.[3]

식관(食官)은 묘 등의 의식에 사용될 제물을 준비하는 관직이었다. 황제마다 별도로 설치되었으며, 식관령(食官令) 또는 식관장(食官長)과 식관승(食官丞)을 두었다.[3] 후한 시대에는 황제의 능 수만큼 능식관령을 두었으며 이들의 질록은 600석이었다.

참조

[1] 서적 史記巻99、劉敬叔孫通列伝第39 ちくま学芸文庫
[2] 서적 唐六典、巻14、太常寺 https://rmda.kulib.k[...] 京都大学貴重資料デジタルアーカイブ
[3] 서적 『漢書』百官公卿表訳注
[4] 서적 史記巻11、孝景本紀11、中6年 ちくま学芸文庫
[5] 서적 漢書巻19上、百官公卿表第7上 『漢書』百官公卿表訳注
[6] 서적 『漢書』百官公卿表訳注
[7] 서적 百官公卿表の顔師古注 『漢書』百官公卿表訳注
[8] 서적 史記巻99、劉敬叔孫通列伝第39 ちくま学芸文庫
[9] 서적 漢書巻19下、百官公卿表第7下 『漢書』百官公卿表訳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