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터빈은 유체의 퍼텐셜 에너지와 운동 에너지를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회전 기계이다. 1세기에 알렉산드리아의 헤론이 아이올리필레를 통해 터빈 원리를 시연했으며, 1822년 클로드 부르댕이 "소용돌이"를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터빈"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터빈은 작동 유체의 종류, 흐름 방향, 작동 원리에 따라 수력, 증기, 가스, 풍력 터빈 등으로 분류되며, 충동 터빈과 반동 터빈이 대표적인 작동 방식이다. 터빈은 발전, 선박, 항공기 엔진, 터보차저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며, 현대에는 전력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터빈 - 송풍기
송풍기는 기계 장치를 사용하여 공기나 가스를 이동시키는 장치로, 초기 형태는 16세기부터 나타났으며 19세기에 현대적인 형태로 발전하여 압력에 따라 팬, 블로워, 콤프레셔 등으로 나뉘고 산업 및 HVAC 시스템에 널리 사용된다. - 터빈 - 터빈 발전기
터빈 발전기는 터빈의 회전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 높은 샤프트 회전 속도에 적합하며, 효율적인 전력 생산을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기술 발전과 대용량화를 거쳐 현재는 여러 발전 분야에서 활용된다. - 제트 엔진 - 펄스제트
펄스제트는 스웨덴에서 고안된 엔진으로, 셔터를 사용해 연소 가스를 분사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V-1 미사일에 사용되었고, 최근에는 드론용 엔진으로 개발되기도 한다. - 제트 엔진 - 터보팬
터보팬은 바이패스비를 활용해 연료 효율을 높인 항공기 엔진으로, 바이패스비에 따라 민간 여객기에 쓰이는 고바이패스 터보팬과 전투기에 쓰이는 저바이패스 터보팬으로 나뉘며, 터보제트 엔진의 단점을 개선하여 제트 엔진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 수리공학 - 우물
우물은 식수와 관개용으로 사용된 지하수 취수 구조물로, 다양한 재료와 기술로 건설되었으며 깊이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지만, 오염과 고갈 문제, 사회·문화적 기능 약화라는 과제를 안고 있어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수리공학 - 펌프
펌프는 공기나 액체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기계이며, 진공과 고압을 이용해 작동하고, 원심 펌프, 기어 펌프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효율, 양정, 유량 등으로 성능을 평가하여 산업 전반에 사용된다.
터빈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어원 | 그리스어 τύρβη (týrbē), 소용돌이에서 유래 |
정의 | 흐르는 유체의 에너지를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장치 |
작동 원리 | 유체(기체 또는 액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회전축을 돌려 동력을 얻음 |
작동 방식 | |
축 방향 터빈 | 유체 흐름이 회전축과 평행하게 흐르는 터빈 |
반경 방향 터빈 | 유체 흐름이 회전축과 수직으로 흐르는 터빈 |
주요 구성 요소 | |
로터 | 유체 흐름에 의해 회전하는 부분 |
스테이터 | 유체 흐름을 조절하고 로터의 효율을 높이는 고정 부분 |
종류 | |
수력 터빈 |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터빈 |
증기 터빈 | 증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터빈 |
가스 터빈 | 압축된 공기와 연료를 연소시켜 고온의 가스를 생성하여 회전하는 터빈 |
풍력 터빈 | 바람의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터빈 |
사용 분야 | |
발전소 | 전기 생산에 사용 |
항공기 | 항공기 엔진에 사용 |
선박 | 선박 추진 시스템에 사용 |
산업 시설 | 다양한 기계 구동에 사용 |
특징 | |
장점 | 높은 효율 다양한 에너지원 활용 가능 |
단점 | 복잡한 구조 높은 초기 비용 |
추가 정보 | |
관련 분야 | 유체역학, 열역학 |
2. 역사
알렉산드리아의 헤론은 서기 1세기에 아이올리필레에서 터빈 원리를 시연했으며, 비트루비우스는 기원전 70년경에 이를 언급하였다.
터빈은 작동 유체의 퍼텐셜 에너지(압력 수두)와 운동 에너지(속도 수두)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얻는다. 작동 유체는 압축성이거나 비압축성일 수 있다.[1]
초기 터빈의 예로는 풍차와 물레방아가 있다.
"터빈"이라는 단어는 1822년 프랑스 광산 기술자인 클로드 부르댕이 그리스어 τύρβη|tyrbēgrc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소용돌이" 또는 "회전하는"이라는 뜻이다. 그는 파리의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에 "Des turbines hydrauliques ou machines rotatoires à grande vitesse"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제출하였다.[4] 베누아 푸르네용은 클로드 부르댕의 제자로 최초의 실용적인 수력 터빈을 제작하였다.
증기 터빈 발명의 공로는 반응 터빈을 발명한 영국-아일랜드계 기술자 찰스 앨저넌 파슨스 경과 충동 터빈을 발명한 스웨덴 기술자 구스타프 드 라발에게 돌아간다.
3. 작동 원리
풍차(windmill)와 물레방아(waterwheel)는 초기 터빈의 예시이다. "터빈"이라는 단어는 1822년 프랑스 광산 기술자 클로드 부르댕(Claude Burdin)이 "소용돌이"(vortex) 또는 "회전하는"(whirling)이라는 뜻의 그리스어 τύρβηgrc, ''tyrbē''에서 유래한 것이다.[4] 베누아 푸르네용(Benoit Fourneyron)은 클로드 부르댕의 제자로, 최초의 실용적인 수력 터빈을 제작하였다.[5]
19세기 중반에 개발된 고전적인 터빈 설계 방법은 전산유체역학과 같은 현대 기술을 통해 더욱 정밀하게 발전되었다. 이러한 발전은 지난 40년 동안 터빈 설계의 꾸준한 개선을 이끌었다. 비속도는 터빈의 주요 수치 분류이며, 주어진 조건에서 최적의 터빈 설계를 선택하는 데 사용된다.[1]
터빈은 크게 충동 터빈과 반동 터빈으로 나눌 수 있다. 충동 터빈은 고속의 유체 흐름을, 반동 터빈은 유체의 압력 변화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얻는다. 펠톤 터빈과 드 라발 터빈은 충동 터빈의 대표적인 예시이며, 프랜시스 터빈과 대부분의 증기터빈은 반동 터빈에 해당한다.
현대 터빈 설계는 반동 및 임펄스 개념을 모두 사용하기도 한다. 풍력터빈은 익형을 사용하여 움직이는 유체로부터 반동 양력을 생성하고 회전자에 전달하며, 바람을 각도로 편향시켜 바람의 충격으로부터 일부 에너지를 얻는다.
3. 1. 충동 터빈 (Impulse Turbine)
임펄스 터빈은 고속의 유체 또는 가스 제트의 흐름 방향을 바꾸어 작동한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으로 터빈이 회전하며, 유체의 운동 에너지는 감소한다. 증기 터빈이나 가스 터빈의 경우, 움직이는 블레이드(터빈 블레이드)에서는 유체나 가스의 압력 변화가 없고, 모든 압력 강하는 고정 블레이드(노즐)에서 발생한다.[1] 터빈에 도달하기 전, 유체의 압력 수두는 노즐을 통해 유체를 가속시켜 속도 수두로 변환된다. 펠톤 터빈과 드 라발 터빈이 이러한 방식을 사용한다. 임펄스 터빈은 노즐에서 생성된 유체 제트가 회전자의 블레이드에 도달하기 때문에 회전자 주위에 별도의 압력 케이스가 필요하지 않다.[1] 뉴턴의 제2법칙은 임펄스 터빈의 에너지 전달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임펄스 터빈은 유량이 적고 입구 압력이 높은 경우에 가장 효율적이다.[1]3. 2. 반동 터빈 (Reaction Turbine)
반동 터빈은 가스 또는 유체의 압력이나 질량에 반응하여 토크를 발생시킨다. 가스 또는 유체의 압력은 터빈 회전자 블레이드를 통과하면서 변한다.[1] 터빈 단계(들)에 작용하는 작동 유체를 포함하거나 터빈이 유체 흐름에 완전히 잠겨 있어야 한다(예: 풍력터빈). 프랜시스 터빈과 대부분의 증기터빈은 이 개념을 사용한다. 압축성 작동 유체의 경우, 팽창하는 가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여러 개의 터빈 단계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뉴턴의 제3법칙은 반동 터빈의 에너지 전달을 설명한다. 반동 터빈은 더 높은 유속이나 유체 수두(상류 압력)가 낮은 응용 분야에 더 적합하다.[1]
선박용이나 육상 발전용으로 사용되는 증기터빈의 경우, 파슨스형 반동 터빈은 동일한 열에너지 변환 정도에 대해 드 라발형 임펄스 터빈보다 약 두 배의 블레이드 열이 필요하다. 이로 인해 파슨스 터빈이 훨씬 길고 무거워지지만, 동일한 열에너지 변환에 대해 반동 터빈의 전반적인 효율은 동등한 임펄스 터빈보다 약간 높다.
반동터빈은 증기의 팽창을 회전날개에서도 행하게 하여 이 때의 반동을 이용하는 것이다(다소의 충동작용도 있다). 따라서 압력 저하는 회전날개 중에서도 일어난다. 구조는 안내날개와 회전날개의 2열의 날개로 1단을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서 단수를 늘인다. 최대효율 때의 회전날개의 주속(周速)은 증기속도의 약 0.9배이다(충동터빈에서는 0.5배). 대체로 반동터빈에서는 증기를 서서히 작용시키니까, 날개 가운데의 증기 유속(流速)이 낮고, 마찰이나 와류(渦流)도 작고 열효율이 좋다. 그러나 반동식은 충동식보다 단수(段數)가 많고 길이도 길어진다.
3. 3. 속도 삼각형
속도 삼각형을 사용하면 터빈 단계의 기본 성능을 계산할 수 있다. 고정 터빈 노즐 안내 베인에서 나오는 가스의 절대 속도는 ''V''a1이다. 회전자는 ''U''의 속도로 회전한다. 회전자에 상대적으로, 회전자 입구에 충돌하는 가스의 속도는 ''V''r1이다. 가스는 회전자에 의해 회전하여 회전자에 상대적인 ''V''r2의 속도로 나온다. 그러나 절대적인 관점에서 회전자 출구 속도는 ''V''a2이다. 속도 삼각형은 이러한 다양한 속도 벡터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속도 삼각형은 블레이딩을 통과하는 모든 단면(예: 허브, 팁, 중간 단면 등)에서 구성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평균 단계 반경에서 표시된다. 오일러 방정식을 사용하여 이 반경에서 속도 삼각형으로 단계의 평균 성능을 계산할 수 있다.[1]
:
따라서:
:
여기서:
:는 단계를 통과하는 비엔탈피 강하이다.
:는 터빈 입구 총(또는 정체) 온도이다.
:는 터빈 회전자 주변 속도이다.
:는 와류 속도의 변화이다.
터빈 압력비는 와 터빈 효율의 함수이다.
4. 터빈의 종류
터빈은 작동 유체의 종류, 흐름 방향, 작동 원리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 '''유체의 종류에 따른 분류'''는 하위 섹션을 참고.
- '''유체의 흐름 방향에 따른 분류'''는 하위 섹션을 참고.
- '''작동 원리에 따른 분류'''는 하위 섹션을 참고.
- 천음속 터빈: 가스 흐름이 노즐 가이드 베인을 빠져나갈 때 초음속이 되지만, 하류 속도는 일반적으로 아음속이 된다. 일반보다 높은 압력비로 작동하지만 효율이 낮고 드물다.
- 반회전 터빈: 축류 터빈에서 하류 터빈이 상류 장치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하지만 복잡성 때문에 역효과를 낼 수도 있다. 룬드스트롬 터빈은 스웨덴의 엔지니어 프레드릭 룬드스트롬이 발명했으며, 배압 발전소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 고정자 없는 터빈: 다단 터빈에서 중간 고정자 베인 없이 상류 로터에서 나오는 가스 흐름이 하류 로터에 충돌한다.
- 세라믹 터빈: 실험용 세라믹 블레이드가 제조 및 테스트되었지만, 금속 블레이드보다 취성이 강해 제트 엔진과 가스터빈에서 고정자 블레이드로 사용이 제한되었다.
- 덕티드 팬(덮개형) 터빈: 많은 터빈 로터 블레이드는 상단에 덮개가 있어 블레이드 플러터를 줄인다. 대형 육상 발전용 증기 터빈에서는 레이싱 와이어로 보완되기도 한다.
- 프롭팬(덮개 없는 터빈): 현대에는 로터 덮개를 제거하여 블레이드의 원심력 부하와 냉각 요구 사항을 줄인다.
- 테슬라 터빈: 경계층 효과를 사용한다.
- 수차:
- * 펠톤 수차: 충격형 수차의 한 종류.
- * 프랜시스 수차: 널리 사용되는 수차의 한 종류.
- * 캡란 수차: 프랜시스 수차의 변형.
- * 터고 수차: 펠톤 수차의 수정된 형태.
- * 타이슨 수차: 원뿔형 수차.
- * 횡류 수차: 뱅키-미첼 수차 또는 오스버거 수차라고도 함.
- 풍력 터빈: 일반적으로 노즐과 단계 간 가이드 베인 없이 단일 단계로 작동한다. 예외는 고정자와 로터가 있는 에올리엔 볼레이다.
- 속도 복합 "커티스": 드 라발과 파슨스 터빈을 결합한 형태로, 넓은 속도 범위에서 만족스럽게 작동할 수 있어 선박 동력 장치에 이상적이다.
- 압력 복합 다단 충격 또는 "라토": 프랑스 발명가 오귀스트 라토의 이름을 땄으며, 노즐 다이어프램으로 분리된 단순한 충격 로터를 사용한다.
- 수은 증기 터빈: 화석 연료 발전소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수은을 작동 유체로 사용했지만, 수은의 독성 때문에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 스크류 터빈: 아르키메데스 나선 원리를 사용하여 물의 퍼텐셜 에너지를 운동 에너지로 변환하는 수차이다.
4. 1. 유체의 종류에 따른 분류
- 수력 터빈
- * 수차
- * 발전용 수차 - 수력 발전 등에서 물의 흐름을 축에 전달한다. 펠톤 수차, 프랜시스 수차 등이 있다.
- 증기 터빈 - 고온 고압 증기를 이용한다.[11] 선박의 동력을 얻거나 증기를 이용한 발전 (기력 발전, 화력 발전, 원자력 발전)에 사용된다.
- 가스터빈 - 고온 가스를 이용한다.[11] 제트 엔진이나 일부 화력 발전에 사용된다.
- * 배기 터빈 과급기 - 터보차저라고도 불리며, 내연 기관에서 버려지는 배기가스의 에너지를 이용하는 과급기.
- 풍력 터빈 - 풍력을 이용하는 것.
- * 풍차
- * 풍력 양수 장치 - 유럽이나 미국의 농업 등에서 우물이나 농업 용수에서 물을 퍼 올리기 위해 자주 사용된다.
- * windmill 풍차(분쇄) 공장 - 풍력으로 분쇄(제분)하는 시설로 유럽에서는 수백 년 전부터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 * 풍력 발전 터빈 - 풍력 발전에 사용된다.
- 유속계 - 풍속계, 선박의 대수 속도계 등에 사용된다.
- 유량계 - 주유소나 상수도 등에서 액체의 양을 측정할 때 사용된다.
4. 2. 유체의 흐름 방향에 따른 분류
- 축류터빈 - 축 방향으로 유체가 흐르는 것이다.
- 사류터빈 - 축에서 비스듬히 퍼지도록 유체가 흐르는 것이다.
- 라디알 터빈(반경류터빈) - 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체가 흐르는 것이다. 복류형이라고도 불린다.
4. 3. 작동 원리에 따른 분류
5. 구성 요소
노즐(정익), 회전익(터빈 날개), 임펠러, 축, 베어링은 회전축을 지지한다. 축봉장치는 베어링 부분으로부터 유체의 누출을 방지한다. 안전장치는 과속, 이상 진동을 감지하고 비상 정지를 수행한다.
6. 베르누이 방정식 및 터빈 효율
단일 관수로로 연결된 1, 2 지점 사이에 터빈이 있을 때, 터빈에 가해진 단위중량당 에너지를 ET, 1, 2 지점 간 마찰손실을 hL, 부차적 손실 합을 라고 하면, 베르누이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
유량 Q에 대한 이론적인 터빈 동력 PT는 다음과 같다.[1]
:
터빈의 효율 ηT는 실제 터빈에 의한 동력()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1]
:
6. 1. 베르누이 방정식에서의 터빈 적용
1, 2 지점이 서로 단일 관수로로 연결되어 있고 중간에 터빈이 있을 때, 터빈에 가해진 단위중량당 에너지를 ET, 1, 2간 마찰손실을 hL, 부차적 손실 합을 라고 한다면 베르누이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유량을 Q라 할 때, 이론적인 터빈 동력 PT는 다음과 같다.[1]
:
6. 2. 터빈의 효율
터빈의 효율()은 실제 터빈에 의한 동력과 이론적인 터빈 동력의 비율로 정의된다.[1]:
여기서 는 실제 터빈에 의한 동력이다.
일반적으로 터빈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설계 방법이 사용된다. 작동 유체의 퍼텐셜 에너지(압력 수두)와 운동 에너지(속도 수두)를 활용하는 방식에 따라, 터빈은 크게 충동 터빈과 반동 터빈으로 나뉜다.
- 충동 터빈: 고속 유체 또는 가스 제트의 흐름 방향을 바꾸어 터빈을 회전시킨다. 터빈 블레이드(움직이는 블레이드)에서 유체나 가스의 압력 변화는 없으며, 모든 압력 강하는 고정 블레이드(노즐)에서 발생한다. 뉴턴의 제2법칙이 에너지 전달을 설명한다. 펠톤 터빈과 드 라발 터빈이 대표적이다.
- 반동 터빈: 가스 또는 유체의 압력이나 질량에 반응하여 토크를 발생시킨다. 터빈 회전자 블레이드를 통과하면서 압력이 변한다. 뉴턴의 제3법칙이 에너지 전달을 설명한다. 프랜시스 터빈과 대부분의 증기터빈이 이에 해당한다.
현대의 터빈 설계는 반동 및 임펄스 개념을 모두 사용하며, 풍력터빈은 익형을 사용하여 움직이는 유체로부터 반동 양력을 생성하고 회전자에 전달한다.
19세기 중반에 개발된 고전적인 터빈 설계 방법은 벡터 분석을 통해 유체 흐름과 터빈 모양 및 회전을 관련지었다. 속도 삼각형을 사용하여 터빈 단계의 기본 성능을 계산할 수 있으며, 오일러 방정식을 통해 단계의 평균 성능을 계산할 수 있다.
최근에는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하여 터빈 설계를 더욱 개선하고 있다. 터빈의 주요 수치 분류는 비속도이며, 이를 통해 출력 및 유량에 대한 최대 효율에서 터빈의 속도를 파악할 수 있다.
7. 현대적 응용
세계 전력의 상당 부분이 터보발전기에 의해 생산된다.
터빈은 육상, 해상, 항공의 가스터빈 엔진에 사용된다.
터보차저는 피스톤 엔진에 사용된다.
가스터빈은 매우 높은 속도로 작동하기 때문에 매우 높은 출력 밀도(즉, 질량 대비 출력 또는 부피 대비 출력)를 갖는다. 우주왕복선 주 엔진은 추진제(액체 산소와 액체 수소)를 엔진의 연소실로 공급하기 위해 터보펌프(터빈 엔진으로 구동되는 펌프로 구성된 기계)를 사용했다. 액체 수소 터보펌프는 자동차 엔진보다 약간 크며(약 약 317.51kg 무게) 터빈은 거의 70000hp(52.2MW)을 생산한다.
터보팽창기는 산업 공정에서 냉동에 사용된다.
참조
[1]
웹사이트
turbine
http://www.etymonlin[...]
[1]
사전
turbid
http://www.etymonlin[...]
[2]
LSJ
[3]
서적
Turbomachines
J. Wiley & Sons
[4]
서적
Annales de chimie et de physique
https://books.google[...]
[5]
서적
Rapport sur le mémoire de M. Burdin intitulé: Des turbines hydrauliques ou machines rotatoires à grande vitesse
https://books.google[...]
[6]
웹사이트
Common failures in gas turbine blades
https://web.archive.[...]
[7]
웹사이트
Turbinia
http://files.asme.or[...]
Tyne And Wear County Council Museums
1981-10-01
[8]
서적
A Dictionary of Aviation
Osprey
[9]
간행물
The history of the marine turbine, part 1
Royal Institute of Technology, Stockholm, dep of History of technology
[10]
서적
A Dictionary of Aviation
Osprey
[11]
백과사전
ブリタニカ百科事典
[12]
사전
Oxford Dictionaries
[13]
웹사이트
ターボ製品情報
https://www.hks-powe[...]
HKS
[13]
웹사이트
GReddy タービンキット アクチュエータータイプ
https://www.trust-po[...]
TRUST
[14]
서적
A Dictionary of Aviation
https://archive.org/[...]
Ospre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