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테이스페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이스페스는 아케메네스 왕조의 인물로, 다리우스 1세와 키루스 2세의 조상으로 언급된다. 그의 이름은 고대 페르시아어가 아닐 가능성이 제기되며, 이란어, 엘람어, 또는 다른 언어에서 유래되었을 수 있다는 다양한 가설이 존재한다. 테이스페스는 키루스 1세와 아리아라므네스에게 영토를 분배했다는 설이 있으나, 안샨과 페르시스가 동일 지역을 의미했을 가능성 등으로 인해 이 설은 불확실하다. 베히스툰 비문과 헤로도토스의 역사에도 등장하며, 아케메네스 왕조의 계보에 포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페르시아 - 캄비세스 1세
    캄비세스 1세는 아케메네스 왕조의 일원이며 키루스 2세의 아버지로, 메디아의 지배를 받으며 안샨을 통치했고 아스티아게스의 딸 만다네와 결혼했으며, 기원전 600년경 아버지 키루스 1세 사후 안샨의 왕이 되었다.
  • 고대 페르시아 - 키악사레스
    키악사레스는 메디아 왕국의 왕으로서 군제 개혁, 아시리아 제국 멸망 기여, 스키타이족 지배에서의 독립, 신바빌로니아 제국과의 협력, 리디아와의 전쟁을 통해 메디아의 세력을 확장했다.
  • 기원전 7세기 이란 사람 - 아케메네스
    아케메네스는 아케메네스 왕조의 시조로 여겨지지만 역사적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다리우스 1세는 그를 선조로 내세워 왕위의 정당성을 주장했으나, 키루스 2세의 기록 부재 등으로 인해 실존 인물이 아닐 가능성도 제기된다.
  • 기원전 7세기 이란 사람 - 키악사레스
    키악사레스는 메디아 왕국의 왕으로서 군제 개혁, 아시리아 제국 멸망 기여, 스키타이족 지배에서의 독립, 신바빌로니아 제국과의 협력, 리디아와의 전쟁을 통해 메디아의 세력을 확장했다.
테이스페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칭호위대한 왕
안샨의 왕
재위기원전 675년–기원전 640년
계승페르시아의 왕
이전아케메네스
이후키루스 1세
사망기원전 640년
왕조아케메네스 왕조
아버지아케메네스
자녀아리아람네스
키루스 1세
원어 표기
고대 그리스어,
기타
다리우스 대왕의 가계도
베히스툰 비문에서 다리우스 1세가 밝힌 아케메네스 왕조의 계보에서 테이스페스의 위치

2. 이름

테이스페스의 고대 페르시아어 이름은 ''Čišpiš''로 발음되지만, 월터 힌즈와 하이데마리 코흐는 ''*Čaišpiš''로 발음한다. 그의 이름은 고대 페르시아어가 아닐 것으로 여겨진다.[13][12] 뤼디거 슈미트는 테이스페스의 이름이 이란어일 수 있다고 설명하고,[13] 잔 타베르니에는 테이스페스의 이름이 엘람어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12] 그렇지 않다면 그의 이름의 어원을 알 수 없을 것이다.[13][12] 그의 이름은 후르리인들이 믿는 천둥의 신 테숍과 킴메르의 국왕 테쇼바의 이름과는 무관할 것이다.[13] 그의 엘람어 별칭인 𒍝𒆜𒉿𒆜𒅆𒅀(Zaišpîšiya)와 그의 이름과의 연관성은 증명되지 않았다. 힌즈는 이것이 그의 이름인 *Čaišpišya의 형용사형이라 생각하지만, 슈미트는 *Čašpišya로 발음하는 것을 선호하며,[12] 두 이름은 무관하다 생각한다.[13]

바실리 아바예브는 Čišpiš가 '잘 자라는'을 뜻하는 고대 인도어 sú-śiśvi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하며,[12] 자노스 하라마타는 그의 이름이 '지도자'를 뜻하는 소고드어 čp'yš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타베르니에는 두 이론 모두에 동의하지 않는다.[12] 보이치에흐 스칼모브스키는 테이스페스에 이름의 어원이 이란어라 생각하며, 테이스페스가 '생각, 지혜'를 뜻하는 고대 인도어 cit-와 '넘침'을 뜻하는 pi-의 합성어라 주장한다.[12]

타베르니에는 엘람어에서 그의 이름이 기원한다는 가설 중에선 신뢰할 수 있는 가설이 없다고 설명한다.[12] '갱신하다, 회복하다'를 의미하는 동사 어간 piš-는 일부 엘람어 이름에서 실제로 발견되지만, 첫 부분은 설명하기 어렵다.[12] 타베르니에는 일부 엘람어 합성어에 포함되는 šiš의 근원인 šišnali가 '아름다움'을 뜻한다 생각한다. 타베르니에 따르면 이와 엘람어 *Šišpiš가 연관될 수 있으며, 이는 '아름다움을 보충하다'를 의미한다. 하지만 그는 왜 그의 엘람어 이름인 Zišpiš가 šišnali의 š가 아닌 Z를 첫 글자로 사용하는지 설명하지 못했다.[12]

Čišpiš라는 이름을 한 또다른 인물에 대한 기록이 페르세폴리스 요새 보관소에서 발견되었다.[13] 이 인물은 당시 수많은 지주 중 하나로서 기원전 530년부터 기원전 502년까지 살았으며, 엘람의 지역 중 하나인 질라-엄판과 관련되어 있다.[13]

3. 생애와 통치

베히스툰 비문과 키루스 실린더 등의 설형 문자 비문에 따르면, 다리우스 1세키루스 2세는 그들의 선조를 모두 테이스페스로 칭하고 있다. 이로 인해 테이스페스가 두 아들인 키루스 1세(키루스 2세의 조부)와 아리아라므네스영어(다리우스 1세의 증조부)에게 영토를 분배했다는 설이 제기되었다.[8]

그러나 안샨과 페르시스는 같은 장소를 의미했을 가능성이 높아[9], 이 설은 의심스럽다. 아리아라므네스가 왕이었다는 증거는 없으며[8], 후손인 다리우스 1세가 그렇게 칭했을 뿐일 수도 있다.

헤로도토스의 『역사』 7권에 나오는 아케메네스 왕조의 계보에도 테이스페스의 이름이 나오지만, 헤로도토스의 기술은 혼란스러워 테이스페스가 두 명으로 나타난다.

3. 1. 베히스툰 비문에 기록된 계보

베히스툰 비문과 키루스 실린더 등의 설형 문자 비문에 따르면, 다리우스 1세키루스 2세는 그들의 선조를 모두 테이스페스로 칭하고 있다. 이로 인해 테이스페스가 두 아들인 키루스 1세(키루스 2세의 조부)와 아리아라므네스영어(다리우스 1세의 증조부)에게 영토를 분배했다는 설이 발생했다[8]。이 설에 따르면 아리아라므네스는 페르시스 지방을, 키루스 1세는 엘람 지방의 안샨을 상속했다.

그러나 안샨과 페르시스는 같은 장소를 의미했을 가능성이 높으며[9], 이 설은 의심스럽다. 아리아라므네스가 왕이었다는 증거는 없으며[8], 후손인 다리우스 1세가 그렇게 칭했을 뿐일 수도 있다.

테이스페스의 이름은 헤로도토스의 『역사』 7권에 나오는 아케메네스 왕조의 계보에도 나오지만, 헤로도토스의 기술은 혼란스러워 테이스페스가 두 명으로 나타난다.

베히스툰 비문에 기록된 계보는 다음과 같다.

아케메네스
테이스페스
키루스 1세아리아라므네스
캄비세스 1세아르사메스
키루스 2세히스타스페스
캄비세스 2세다리우스 1세


참조

[1] 문서 Cyrus Cylinder
[2] 논문
[3] 논문
[4] 서적 Iranica in the Achaemenid Period (ca. 550-330 B.C.) https://archive.org/[...] Peeters
[5] 논문
[6] 논문
[7] 문서 キュロス・シリンダー
[8] 논문
[9] 논문
[10] 논문
[11] 논문
[12] 서적 Iranica in the Achaemenid Period (ca. 550-330 B.C.) https://archive.org/[...] Peeters
[13]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