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르리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르리인은 기원전 2400년경부터 북메소포타미아와 시리아 지역에 걸쳐 존재했던 고대 민족이다. 그들은 초기 청동기 시대부터 후기 청동기 시대까지 다양한 왕국을 건설했으며, 특히 미탄니 왕국은 이집트와 히타이트와 경쟁하는 강대국이었다. 후르리인은 독자적인 문화와 언어를 가지고 있었으며, 히타이트 종교에 큰 영향을 미쳤다. 후르리인과 인도-이란인, 하비루와의 관계는 학계에서 논쟁의 대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르리인 - 엔릴
    엔릴은 수메르 신화에서 바람, 폭풍, 영혼을 상징하며, 창조자, 아버지, 왕으로 숭배받았고, 니푸르의 수호신이자 삼위일체 중 북천구를 관장하는 신이다.
  • 후르리인 - 아나트
    아나트는 고대 근동, 특히 우가리트 신화에 등장하는 호전적인 성격의 전사 여신으로, 바알의 자매이자 연인으로 숭배받았으며, 이슈타르, 아스타르테, 아테나 등과 동일시되기도 하고 이집트에서도 숭배되었다.
  • 히타이트 제국 - 아다나
    아다나는 8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튀르키예 남부의 고대 도시로, 다양한 제국의 지배를 거쳐 현재는 주요 상업 및 산업 중심지이며, 풍부한 역사 유적과 문화를 간직한 관광 명소이다.
  • 히타이트 제국 - 트로이아
    트로이아는 고대 그리스 신화와 문학에 등장하는 도시로, 터키 북서부의 히사를리크 유적지로 추정되며, 트로이 전쟁의 무대로 유명하고, 1870년 하인리히 슐리만의 발굴을 통해 실제 도시였음이 밝혀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 우라르투 - 아르메니아
    남캅카스 내륙국인 아르메니아는 우라르투 왕국을 계승한 오랜 역사, 세계 최초 기독교 국교 채택, 아르메니아 사도교회를 중심으로 한 독특한 문화, 아르메니아어를 특징으로 하며, 지정학적 갈등과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유럽 연합과의 관계 강화를 추구한다.
  • 우라르투 - 메디아
    메디아는 기원전 9세기부터 6세기까지 이란 북서부에 존재했던 고대 국가이자 이란계 민족으로, 아시리아 지배를 벗어나 고대 근동의 강대국으로 부상했으나 페르시아에 멸망당했으며, 역사적 기록은 주로 고대 그리스 자료에 의존하고 그 실재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후르리인
기본 정보
언어후르리
민족 관련근동
상세 정보
관련 민족미탄니
히타이트
우라르투
종교후르리 신화

2. 역사

후르리인의 사회는 여러 면에서 기원이 불분명하다. 기원전 2400년경, 후르리인은 코카서스 산맥 기슭의 구릉 지대에서 세력을 확장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후, 북메소포타미아와 현대 이라크키르쿠크 주변 지역에서 후르리인의 이름이 발견된다. 이들은 누지(Nuzi), 우르케쉬 등 유적에서 확인된다. 그들은 하부르 강 유역에서 자그로스 산맥 기슭에 이르는 비옥한 초승달 모양의 농업 지대에 침투하여 점령했다.[4]

하부르 강 유역은 1000년에 걸쳐 후르리인의 중심 지역이 되었다. 알려진 바로는 최초의 후르리인 왕국은 기원전 3천년기 말에 우르케시 시의 주변에 등장했다. 아카드 제국의 종말에 따라 후르리인이 이 지역을 지배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지역은 이전부터 오랫동안 텔 하라프와 텔 브라크를 중심으로 풍요로운 문화를 가지고 있었고, 후르리인은 이러한 혜택을 받아들여 고도의 도시 국가를 형성했다.

후르리인들은 이 시기에 서쪽으로 이주했다. 기원전 1725년경 알랄라크와 같은 북부 시리아 지역에서 발견된다. 야마드의 혼합 아모리-후르리인 왕국은 기원전 1600년경 초기 히타이트하투실리 1세와 이 지역을 놓고 다툰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9] 후르리인들은 또한 남부 아나톨리아의 키즈와트나에 있는 아다니야 해안 지역에 정착했다. 야마드는 결국 히타이트에 비해 약화되었지만, 이는 아나톨리아에 후르리인 문화적 영향력을 열어주었다. 히타이트는 수 세기 동안 후르리인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기원전 13세기에는 후르리인의 모든 국가가 이민족에게 정복되었다. 후르리인 국가의 중심지였던 하부르 강 유역은 아시리아의 주가 되었다. 후르리인에게 청동기 시대 말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이후 시리아의 후르리인 다수가 후르리어를 사용하지 않고 아람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그 외에도 아카드어(아시리아어)가 사용되었다.

2. 1. 초기 청동기 시대 (기원전 3000년기)

네르갈에게 바치는 헌정문이 새겨진 재단 서판 (기원전 2000년경). 우르키쉬와 나와르의 후르리 왕 아탈셴이 봉헌. 루브르 박물관 소장.


하부르 강 계곡은 천 년 동안 후르리인의 중심지가 되었다.[4] 최초의 알려진 후르리 왕국은 기원전 3000년기 동안 우르케쉬(현대 텔 모잔) 도시 주변에서 등장했다.[5] 메소포타미아아카드 제국과 동맹을 맺었다는 증거가 있으며, 이는 나람-신(기원전 2254년–기원전 2218년경)의 통치 기간에 그들이 이 지역을 확고히 장악했음을 나타낸다. 후르리 이름 투프키쉬를 가진 우르케쉬의 한 왕에게는 '청금석 소녀'를 의미하는 아카드어 이름 우크니툼을 가진 왕비가 있었다.[6]

하부르 강 유역은 1000년에 걸쳐 후르리인의 중심 지역이 되었다. 알려진 바로는 최초의 후르리인 왕국은 기원전 3천년기 말에 우르케시 시의 주변에 등장했다. 아카드 제국의 종말에 따라 후르리인이 이 지역을 지배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지역은 이전부터 오랫동안 텔 하라프와 텔 브라크를 중심으로 풍요로운 문화를 가지고 있었고, 후르리인은 이러한 혜택을 받아들여 고도의 도시 국가를 형성했다.

2. 2. 중기 청동기 시대 (기원전 2000년기)

하부르 강 계곡은 천 년 동안 후르리인의 중심지가 되었다.[4] 최초의 알려진 후르리 왕국은 기원전 3천년기 동안 우르케쉬 (현대 텔 모잔) 도시 주변에서 등장했다.[5] 아카드 제국과 동맹을 맺었다는 증거가 있으며, 이는 나람-신 (기원전 2254–2218년경)의 통치 기간에 그들이 이 지역을 확고히 장악했음을 나타낸다. 후르리 이름 투프키쉬를 가진 우르케쉬의 한 왕에게는 '청금석 소녀'를 의미하는 아카드어 이름 우크니툼을 가진 왕비가 있었다.[6]

후르리인 이름은 중간 청동기 시대에 오늘날 이라크키르쿠크 지역과 북서부 메소포타미아에서 산발적으로 나타난다. 누지, 우르케시 및 기타 유적지에서 그들의 존재가 증명되었다. 그들은 서쪽의 하부르 강 계곡에서 동쪽의 자그로스 산맥 산기슭에 이르는 넓은 초승달 모양의 비옥한 농지를 점령했다. 기원전 2천 년 초, 고(古) 바빌로니아 시대에 남쪽의 아모리인 왕국 마리는 우르케시를 정복하고 속국으로 만들었다.[7] 우르케시는 이후 미탄니의 종교 중심지가 되었다.[8]

후르리인들은 이 시기에 서쪽으로 이주했다. 기원전 1725년경 알랄라크와 같은 북부 시리아 지역에서 발견된다. 야마드의 혼합 아모리-후르리인 왕국은 기원전 1600년경 초기 히타이트하투실리 1세와 이 지역을 놓고 다툰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9] 후르리인들은 또한 남부 아나톨리아의 키즈와트나에 있는 아다니야 해안 지역에 정착했다. 야마드는 결국 히타이트에 비해 약화되었지만, 이는 아나톨리아에 후르리인 문화적 영향력을 열어주었다. 히타이트는 수 세기 동안 후르리인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시바니바 (텔 빌라) 도 그 당시 중요한 역할을 했을 수 있다. 기원전 2천 년 중반에 텔 빌라에서 후르리인의 점령이 확인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2022년에 텔 빌라는 Šimānum (아카드 제국 시대에는 Asimānum으로 알려졌을 가능성이 있음) 도시의 유력한 위치로 제안되었다. Šimānum은 우르 제3왕조 (기원전 2100년경) 시대에 중요했다.[10]

2. 3. 후기 청동기 시대 (기원전 1500년기 ~ 기원전 1200년기)

미탄니는 북쪽의 히타이트, 남서쪽의 이집트, 남동쪽의 카시트, 그리고 나중에는 동쪽의 아시리아에 의해 제한된 강력한 지역 강대국이었다. 최대 영토에서 미탄니는 타우루스 산맥 근처의 키즈와트나, 남쪽의 투니프, 동쪽의 아라페, 북쪽의 반 호수까지 이르렀다. 그들의 영향력은 널리 퍼진 후르리인 지명과 인명에서 드러난다.[11] 결국 내부 계승 위기 이후 미탄니는 히타이트에게 멸망했고, 이후 아시리아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12][13]

기원전 1550년 이전에 처음으로 세력을 얻은 미탄니의 후르리인 세력은,[14][15] 이집트 파라오 투트모세 1세(기원전 1506–1493년)와 투트모세 3세(기원전 1479–1425년)의 기록에서 처음 언급되었으며, 후자는 파라오 통치 22년에 일어난 메기드도 전투와 가장 관련이 깊다.[16][17] 이집트인들은 대부분 이 왕국을 나하린이라고 불렀다. 이후 미탄니와 하니갈바트(미탄니에 대한 아시리아 이름)는 파라오 아크나톤(기원전 1353–1336년) 시대의 아마르나 서한에서 언급된다. 미탄니 기록은 국내적으로 히타이트 유적지 여러 곳과 텔 바지, 알라라크, 누지, 마르다만, 케무네, 그리고 뮈슬뤼만테페 등 이 지역 여러 곳에서 발견되었다.[18][19][20]

후르리인의 또 다른 주요 중심지는 아라파 왕국이었다. 고대 누지인 요르간 테페에서의 발굴은 후르리인에 대한 우리의 지식에 가장 중요한 유적지 중 하나임을 증명했다. 이티-테슈프와 이티야와 같은 후르리인 왕들이 아라파를 통치했지만, 기원전 15세기 중반에는 미탄니 대왕의 봉신이 되었다.[21] 히타이트는 야므하드를 무너뜨린 후 남쪽으로 확장을 계속했다. 히타이트 왕 무르실리 1세바빌론까지 침공하여 바빌론을 파괴했다. 이것이 야므하드의 타도와 마찬가지로 또 다른 후르리인 왕조의 흥륭을 돕게 된다. 최초의 왕은 기원전 15세기 경 미탄니 왕국을 창설한 키르타라고 불리는 전설적인 왕으로, 미탄니는 점차 하부르 강 유역 주변에서 확대되어 기원전 15세기 경 - 기원전 14세기 경에는 오리엔트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가 되었다. (미탄니의 역사에 대해서는 '''미탄니''' 항목 참조)

2. 4. 우라르투 왕국 (기원전 9세기 ~ 기원전 6세기)

기원전 13세기에는 후르리인의 모든 국가가 이민족에게 정복되었다. 후르리인 국가의 중심지였던 하부르 강 유역은 아시리아의 주가 되었다. 후르리인에게 청동기 시대 말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후르리인이 철기 시대 전반까지 아시리아 북쪽의 수바르(Subaria)에서 생존했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22]

이후 시리아의 후르리인 다수가 후르리어를 사용하지 않고 아람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그 외에도 아카드어(아시리아어)가 사용되었다.

이 시대에 우라르투어 (후르리어와 근연 관계)를 사용하는 귀족들이 반 호 주변의 인도유럽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거주지에서 우라르투 왕국을 세웠다.[22] 기원전 2천년기 말, 반 호와 아라라트 산 주변의 우라르투인들은 우라르투 왕국을 형성하며 세력을 떨쳤다. 기원전 11세기와 10세기 동안, 이 왕국은 북쪽의 코카서스 산맥에서 남쪽의 북부 아시리아 및 북부 고대 이란의 경계에 이르기까지 뻗어 있는 지역을 아우르게 되었고, 아나톨리아 동부의 많은 지역을 지배했다. 일부 과학자들은 언어적 요인에 주로 근거하여 우라르투가 초기 후리족의 재결집으로 간주하지만, 이 견해는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지는 않는다.[22]

2. 5. 슈브리아

기원전 1350년에서 기원전 1325년경 히타이트에 의해 미탄니가 멸망한 후, 아시리아 자료에서는 "슈바루"라는 용어가 티그리스강 상류 계곡의 미탄니 잔존 세력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슈바루인들은 기원전 2천년기 마지막 몇 세기 동안 아시리아에 여러 차례 반란을 일으켰다. 이 용어는 티그리스강 상류 계곡 북쪽에 위치한 국가 이름인 슈브리아와 관련이 있다.[23] 슈브리아는 우라르투와 아시리아 사이에 위치해 있었으며, 기원전 673년–기원전 672년에 아시리아에 정복될 때까지 독립 왕국으로 존재했다. 슈브리아인들은 후르리 신 테슈브를 숭배했으며,[24] 몇몇 슈브리아 이름은 후르리어 기원을 가지고 있다. 후르리인들은 슈브리아 인구의 일부를 형성했으며, 아마도 지배적인 집단이었을 것이다. 일부 학자들은 슈브리아가 후르리 문명의 마지막 잔재이거나, 심지어 후르리인들의 본래 고향을 구성한다고 주장한다.[25] 카렌 라드너는 슈브리아를 "확실히 (언어적, 문화적으로) 후르리" 국가로 묘사할 수 있다고 적고 있다. 라드너에 따르면, 사르곤 2세 시대의 슈브리아 왕이 아시리아 유력자에게 보낸 편지는 후르리어로 작성되었다고 한다.[26]

3. 문화와 사회

후르리인의 문화는 누지, 알랄라크 등의 유적에서 발견된 고고학적 자료와 히타이트의 수도 하투사에서 발견된 점토판 기록을 바탕으로 연구되고 있다. 히타이트는 후르리 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아카드어로 기록되었지만, 후르리인 거주 지역에서 발견된 점토판들은 후르리 문화의 특징을 보여준다. 정교하게 조각된 후르리 원통형 인장은 신화적 주제를 담고 있어, 후르리 문화와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27]

향로. 후르리 시대, 기원전 1300~1000년. 현대 이라크 두칸 호수 근처의 텔 바스모시안(텔 바즈무시안)에서 출토. 현재 에르빌 문명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기원전 2000년경 후르리인들은 뛰어난 도공 기술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의 도자기는 메소포타미아와 유프라테스 강 서쪽 지역에서 널리 발견되었으며, 이집트 신왕국 시대에는 이집트에서도 높은 가치를 인정받았다. 고고학자들은 후르리 도자기를 하부르 도자기와 누지 도자기로 구분한다. 하부르 도자기는 붉은색 선과 기하학적 삼각형, 점무늬가 특징이며, 누지 도자기는 독특한 형태로 갈색이나 검은색으로 채색되었다.[27][28] 후르리인들은 유리 세공 기술 또한 뛰어났다.[29]

후르리인들은 야금술로도 유명했다. 수메르어 "구리 세공인" (타비라/티비라)이 후르리어에서 차용되었다는 주장은 후르리인들이 오래전부터 금속 가공 기술을 보유했음을 시사한다.[30][31] 구리는 아나톨리아 고원에서 메소포타미아로 거래되었다. 하부르 계곡은 금속 무역의 중심지였으며, 후르리 영토였던 키주와트나와 이슈와에서 구리, 은, 주석을 얻을 수 있었다. 금은 부족하여 아마르나 서한에 따르면 이집트에서 수입했다. 우르케시에서 발견된 청동 사자 후르리 재단 말뚝을 제외하면 후르리 금속 세공품은 많이 남아있지 않다.[32]

우가리트에서 발견된 후르리 악보 (후르리 노래)는 기원전 1400년경으로 추정되며, 기록된 가장 오래된 음악 중 하나이다.[33][34][35] 이 악보에는 타프시후니, 푸히야(나), 우르히야, 암미야 등 네 명의 후르리 작곡가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36]

후르리인의 도시 문화는 중앙 집권적인 아시리아나 이집트와는 달랐던 것으로 보인다. 우르케시는 기원전 3천년기의 유일한 후르리인 도시였다. 기원전 2천년기에는 아라프하, 하란, 카하트, 누지, 타이드(Taidu), 와슈칸니 등 여러 후르리인 도시가 알려져 있지만, 그 유적은 대부분 1제곱킬로미터를 넘지 않는다. 이는 후르리 국가의 봉건적인 정치 구조가 거대한 궁전이나 신전 건설에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일 수 있다.

3. 1. 언어

후르리어교착어이며 매우 격변화가 심한 언어로, 고대 우라르투 왕국의 언어인 우라르투어와 관련이 있다.[59] 이 둘은 함께 후르-우라르투어족을 형성한다. 후르-우라르투어족의 외부 관계는 논쟁의 대상이다. 북동캅카스어족과 같은 다른 언어족과의 유전적 관계에 대한 다양한 제안이 있지만, 이 중 어느 것도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60]

후르족은 기원전 2000년경 아카드어와 설형 문자를 채택하여 사용했다. 하투사, 우가리트 (라스 샴라), 그리고 아마르나 서한 중 가장 긴 서한(EA 27) 중 하나에서 설형 문자로 된 후르리어 텍스트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미탄니의 왕 투슈라타가 파라오 아멘호테프 3세에게 보낸 것이다.[61] 1983년 하투사에서 히타이트어 번역본과 함께 후르리어로 된 여러 점토판 문학 작품이 발견되기 전까지 알려진 유일한 긴 후르리어 텍스트였다.[62]

후르인이 사용한 언어는 관습상 후르리어라고 불리는 교착어였다. 이는 인접한 인도유럽어족이나 아프리카아시아어족과는 관계가 불분명하지만, 우라르투어 (1000년 여년 후에 아나톨리아 북동부에서 사용된 언어)와의 사이에는 명백한 관계가 인정되며, 어쩌면 멀리 현대의 북동캅카스어족과 관계가 있을지도 모른다.

후르인은 기원전 20세기 경에 후르리어 표기에 아카드어의 설형 문자를 채용했다. 이로 인해 현대의 학자들이 후르리어를 읽는 것이 가능해졌다. 현재 발견된 후르리어 문서의 수는 적으며, 또한 후르리어 문장에는 수메르어의 표의 문자가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후르리어에서의 발음을 알 수 없는 것이 많다. 이 때문에 후르리어는 아직도 알 수 없는 어휘가 많다.

후르리어의 문서 사료로는 가장 긴 것으로 아마르나 문서가 있으며, 그것과 동일한 것이 하투사스 (현 보아즈쾨이), 우가리트 (현 라스샴라)에서도 발견되었다. 아마르나 문서는 1983년에 하투사스에서 히타이트어와 후르리어가 병기된 문학 작품이 발견되기 전까지 유일한 후르리어의 장문 문서였다.

3. 2. 종교

후르리인의 문화는 히타이트인의 종교에 큰 영향을 미쳤다. 키주와트나의 쿠마니에 있는 후르리인 숭배 중심지에서 후르리인 종교는 히타이트인에게 전파되었다.[37][38] 혼합주의는 고대 히타이트 종교와 후르리인 종교를 융합했다. 후르리인 종교는 시리아로 전파되었고, 거기서 바알은 테슈브의 상대가 되었다. 후르리인 종교는 고대 이집트와 남부 메소포타미아를 제외한 고대 근동 전체에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미쳤다.

후르리인 향 용기


히타이트 신 테슈브와 헤바트, 야즐리카야 A실, 히타이트 암석 성소, 터키


후르리인 판테온의 주요 신들은 다음과 같다.

설명
테슈브강력한 날씨의 신.[40]
헤바트테슈브의 아내,[41] 어머니 여신, 나중에 히타이트의 주요 태양 여신과 동일시됨[42]
사루마테슈브와 헤바트의 아들, 시리아 기원의 산의 신.[43]
쿠마르비곡물의 신,[44] 테슈브의 아버지이자 엔릴과 유사한 "신들의 아버지";[45] 신화에 묘사된 그의 고향은 우르케시 도시이다.
샤우쉬카이슈타르의 후르리인 상대이며 사랑, 전쟁, 치유의 여신.[46]
시메기태양신.[47]
쿠슈달의 신이자 맹세의 수호자.[48] 태양과 초승달의 상징은 후르리인 도상학에서 함께 나타난다.
네르갈저승의 수메르 신으로, 후르리인 역사 기록의 초기 시대에 우르케시에 중요한 신전이 있었다.[49] 현재 후르리인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신의 대리인일 가능성이 있음.[50]
에아지혜의 신으로, 역시 수메르 기원.[51]
알라니저승의 여신.[52]
이샤라시리아 기원의 여신.[53]
아슈타비전쟁의 신.[54]
누파티크불확실한 기능을 가진 저명한 신.[55]
후테나와 후텔루라운명과 탄생의 여신.[56]



후르리인 원통형 인장은 종종 날개 달린 인간이나 동물, 용, 기타 괴물과 같은 신화 속 생물을 묘사한다. 이러한 신과 악마의 묘사에 대한 해석은 불확실하게 남아 있다. 그것들은 보호적이거나 악한 영일 수 있다. 일부는 아시리아 셰두를 연상시킨다.

후르리인 신들은 메소포타미아 종교나 고대 이집트 종교에서처럼 특정 고향 신전을 가진 것 같지 않다. 일부 중요한 숭배 중심지는 키주와트나의 쿠마니와 히타이트의 야즐리카야였다. 하란은 적어도 나중에는 달의 신을 위한 종교 중심지였고, 샤우쉬카는 도시가 후르리인 통치하에 있었을 때 니네베에 중요한 신전을 가지고 있었다. 네르갈의 신전은 기원전 3천년 후반에 우르케시에 세워졌다. 카핫 마을은 미탄니 왕국의 종교 중심지였다.

히타이트인 사이에 보존된 후르리 신화 "울리쿰미의 노래"는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와 유사하다. 크로노스가 우라노스를 거세한 것은 쿠마르비가 아누를 거세한 것에서 유래되었을 수 있으며, 제우스가 크로노스를 전복하고 크로노스가 삼킨 신들을 토해내는 것은 테슈브와 쿠마르비의 후르리 신화와 같다.[57] 아티스 숭배는 후르리 신화에서 유래되었다고 주장되어 왔다.[58]

3. 3. 예술과 기술



후르리 문화에 대한 지식은 누지, 알랄라크와 같은 유적지의 고고학적 발굴과 히타이트의 수도인 하투사 (보가즈쾨이)에서 발견된 설형 문자 점토판에 의존한다. 히타이트 문명은 후르리인들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누지, 알랄라크 및 개인 이름으로 볼 때 후르리인들이 거주했던 다른 도시에서 나온 점토판들은 비록 아카드어로 기록되었지만 후르리 문화적 특징을 드러낸다. 후르리 원통형 인장은 정교하게 조각되었으며 종종 신화적 모티프를 묘사했다. 이들은 후르리 문화와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열쇠이다.[27]

기원전 2천년의 후르리인들은 뛰어난 도공이었다. 그들의 도자기는 메소포타미아유프라테스강 서쪽 지역에서 흔히 발견되며, 이집트 신왕국 시대에는 멀리 떨어진 이집트에서도 매우 높은 가치를 지녔다. 고고학자들은 후르리인들이 사용한 두 종류의 물레 성형 도자기에 대해 하부르 도자기와 누지 도자기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하부르 도자기는 기하학적 삼각형 패턴과 점으로 붉게 칠해진 선이 특징이며, 누지 도자기는 매우 독특한 형태를 가지며 갈색 또는 검은색으로 칠해져 있다.[27][28] 그들은 또한 유리 세공 기술도 뛰어났다.[29]

후르리인들은 야금술로 명성이 높았다. "구리 세공인"을 뜻하는 수메르어 단어 ''타비라''/''티비라''가 후르리어에서 차용되었다는 주장이 있는데, 이는 후르리인들이 아카드 자료에 처음 언급되기 훨씬 이전부터 존재했음을 시사한다.[30][31] 구리는 아나톨리아 고지대에서 남쪽의 메소포타미아로 거래되었다. 하부르 계곡은 금속 무역의 중심지였으며, 구리, 은, 심지어 주석까지 후르리인이 지배했던 키주와트나와 이슈와에서 접근할 수 있었다. 금은 부족했고, 아마르나 서한은 이집트에서 획득했음을 알려준다. 후르리 금속 세공품은 우라르투 시대 이후의 것들을 제외하고는 많이 남아 있지 않다. 우르케시에서 몇 개의 작고 정교한 청동 사자 후르리 재단 말뚝이 발견되었다.[32]

우가리트에서 발견된 후르리어 텍스트 중에는 기원전 14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기록된 음악의 가장 오래된 예가 있다.[33][34][35] 이 단편들 중에는 네 명의 후르리 작곡가, 타프시후니, 푸히야(나), 우르히야, 암미야의 이름이 발견된다.[36]

4. 고고학

후르리인 정착지는 현재 이라크, 시리아, 튀르키예의 세 국가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 후르리인 세계의 중심부는 현재 시리아와 터키의 국경선에 의해 양분되어 있으며, 여러 유적지가 국경 지대에 위치해 있어 발굴 접근이 어렵다. 유프라테스강, 티그리스강 및 하부르 계곡의 많은 댐 건설 사업은 고대 유적에 대한 위협이며, 댐 건설로 인해 강 유역 전체가 물에 잠기면서 여러 구조 작업이 이미 수행되었다.

이라크와 시리아에서 후르리인 유적에 대한 최초의 주요 발굴은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시작되었다. 이 발굴은 요르간 테페(누지)에서 미국의 고고학자 에드워드 키에라가 이끌었고, 차가르 바자르와 텔 브라크에서 영국의 고고학자 맥스 맬로원이 이끌었다. 현재 진행 중인 최근 발굴 및 조사는 미국, 벨기에, 덴마크, 네덜란드,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고고학팀이 시리아 고대 유물청과 협력하여 국제적 참여와 함께 수행하고 있다. 테일(도시 언덕)은 종종 신석기 시대에 시작하여 로마 시대 또는 그 이후에 끝나는 긴 점령의 역사를 보여준다. 후르리인 특징적인 토기인 하부르 도기는 언덕 내의 다양한 점령 층위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후르리인 정착지는 일반적으로 중기 청동기 시대부터 후기 청동기 시대 말까지 식별되며, 텔 모잔(우르케쉬)이 주요 예외이다.

다음은 후르리인이 지배했던 지역에 있는 주요 고대 유적에 대한 목록이다. 발굴 보고서와 이미지는 링크된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아라라하, 아마르나, 하투샤우가리트에서 후르리인의 문화와 역사에 관한 중요한 발견이 있었다.

유적 이름고대 이름관련 링크
텔 모잔우르케쉬[http://128.97.6.202/urkeshpublic/overview.htm Urkesh an overview]
요르간 테페누지[https://web.archive.org/web/20080510152907/http://www.fas.harvard.edu/~semitic/hsm/NFNuziRest.htm The Semitic Museum: Nuzi and the Hurrians]
텔 브라크나갈[http://www.learningsites.com/Brak/Tell-Brak_home.html Tell Brak Learning Sites]
텔 레이란셰흐나 및 슈바트 엔릴[https://web.archive.org/web/20060218185827/http://research.yale.edu/leilan/index.html Yale Tell Leilan Project]
텔 바리카하트[https://web.archive.org/web/20110714010329/http://www.storia.unifi.it/_onr/Tell%20Barri/tellbarriintro.htm Missione Italiana archaeologica a Tell Barri]
텔 베이달나바다[https://web.archive.org/web/20060109011302/http://ugarit.uni-muenster.de/esetbmai.htm ESE Tell Beydar]
케난 테페[http://arcserver.usc.edu/index.html Upper Tigris Archaeological Research Project]
텔 투네이니르[http://www.stlcc.edu/fv/tuneinir Tell Tuneinir St. Louis Archaeological Expeditions]
움 엘 마라튜바?[http://www.jhu.edu/neareast/uem/index.html The Johns Hopkins/University of Amsterdam Joint Expedition to Tell Umm el-Marra]
텔 츄에라[http://www.orientarch.uni-halle.de/digs/chuera/chuinfo.htm#Plan Grabung Tell Chuera]
함맘 알 투르크만잘파?[http://www.archeologie.leidenuniv.nl/index.php3?m=26&c=22&garb=0.012277051289166896&session= Excavation Hammam al Turkman, Leiden University]
텔 사비 아비아드[https://web.archive.org/web/20060212191947/http://www.sabi-abyad.nl/main.tpl?language=en Dutch Excavation at Tell Sabi Abyad]
하무카르[http://oi.uchicago.edu/OI/PROJ/HAM/Hamoukar.html The Hamoukar Expedition University of Chicago]
차가르 바자르
텔 엘 파하리야와슈칸니?
텔 하미디야타이두?


5. 인도-이란인과의 관계 (논쟁)

후르리인의 인도-이란 문화적 영향에 관한 문제는 지배 계급인 아리아인이 후르리인 사이에서 많은 의미를 지닌다는 것이다. 초기 학자들은 후르리인이 이민족 왕과 엘리트들에 의해 지배받았다고 확신했다. 이 이민족은 분명히 아베스타어베다 시대의 산스크리트어와 관계가 있는 중앙아시아의 인도-이란 계 언어를 사용했다(예를 들어, 그들이 사용한 언어에서 "1"을 의미하는 단어는 ''aika''이며, 산스크리트어의 ''eka''나 아베스타어의 ''aeva''에 대응한다.).[1]

그들은 화장의 습관과, 전장에서 전차(chariot)를 도입했는데, 이는 거의 같은 시기의 인도 북부에서의 사건과 유사하다. 이 이민족 귀족들은 결국 자신들의 언어를 버리고 후르리어를 사용하게 되었지만, 인도-이란 계 이름을 유지했다. 그들은 여러 조약에서 베다와 같은 을 언급했으며, 또한 그들의 인도-이란어의 몇몇 단어는 말에 관한 전문 용어 및 훈련 용어로 후르리어에 차용되어 잔존했다.[1]

특히 미탄니는 인도-이란인의 문화와 관계가 있었다. 미탄니의 대부분의 왕이 인도-이란어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고 여겨진다. 또한, 지배 계급인 귀족은 '''마리안누'''(''maryannu'')라고 불렸다. 이는 "젊은 전사"를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 ''marya''와 관련지어 이해하는 설이 유력하다. 다만, 최근 연구, 특히 A.Kammenhuber 박사의 연구를 통해 마리안누를 인도유럽어 기원으로 보는 설에는 중대한 의문이 제기되었으며, 인도-이란인과 후르리인의 관계에 대해 기존 설을 재검토하는 움직임도 활발하다.[1]

6. 하비루와의 관계 (논쟁)

일부 학자들은 고대 오리엔트에서 활동한 하비루(Habiru)와 후르리인 사이의 관계에 주목했다. 기원전 1천년기 중반경 고대 오리엔트 문서에 등장하는 하비루 또는 하피루(Hapiru)는 음성적 유사성 때문에 초기에는 히브리인의 전신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그러나 20세기 중반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하비루는 혈연이나 지연에 기반한 민족 집단이라기보다는 당시 오리엔트 사회 질서를 벗어난 일종의 사회 집단으로 간주되었다.[14]

1996년에 공표된 하비루 사각기둥 비문(Tikunani Prism)이라는 점토판 문서는 하비루와 후르리인의 관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 비문에 등장하는 하비루인 이름 목록의 약 20%는 전형적인 후르리 어였으며, 신명 등 후르리적인 요소를 가진 인명을 포함하면 그 비율은 더욱 늘어난다. 이러한 증거는 하비루와 후르리인 사이에 연관성이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다만, 바빌로니아 지방 하비루인 명단에 등장하는 하비루 사람들의 이름은 대부분 바빌로니아어(아카드어)이므로, 하비루를 후르리인과 완전히 동일시하기는 어렵다.[14]

참조

[1] 서적 Perspectives on Hittite Civilization: Selected Writings of Hans G. Güterbock. The Oriental Institute 1997
[2] 간행물 Hurrians and Subarians https://oi.u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4
[3] 웹사이트 Royal inscriptions http://urkesh.org/pa[...]
[4] 문서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Urkesh and the Hurrian beginnings in northern Mesopotamia Undena Publications 1998
[5] 논문 A Hurrian Administrative Tablet from Third Millennium Urkesh 2011
[6] 뉴스 Who Were the Hurrians? 2008
[7] 문서 Lettres royales du temps de Zimri-Lim 1998
[8] 문서 The Urkesh Mittani Horizon: Ceramic Evidence https://www.avasa.it[...] 2020
[9] 서적 Warfare in the Ancient Near East to 1600 BC Routledge 2006
[10] 논문 More to Tell About Billa! https://doi.org/10.1[...] 2022
[11] 서적 Mittani and Its Empir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2
[12] 서적 Emar and the Transition from Hurrian to Hittite Power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21
[13] 논문 Details That Make the Difference: The Akkadian Manuscripts of the ‘Šattiwaza Treaties.’ 2018
[14] 서적 Mesopotamian Empires https://www.academia[...]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15] 서적 The Empires of Western Asia and the Assyrian World Empir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16] 논문 A Gate Inscription from Karnak and Egyptian Involvement in Western Asia during the Early 18th Dynasty 1979
[17] 문서 Altägyptische Zeitmessung 1930
[18] 문서 A Hurrian-Mitanni Temple in Müslümantepe in The Upper Tigris and New Findings https://dergipark.or[...] 2021
[19] 문서 The Late Bronze Age Pottery of the Weststadt of Tall Bazi (North Syria) 2014
[20] 서적 The Archive of the Wullu Family Museum Tusculanum Press 1988
[21] 논문 Notes to Recently Published Nuzi Texts 1935
[22] 논문 Urartians and Hurrians 1960
[23]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the Peoples and Places of Ancient Western Asia: From the Early Bronze Age to the Fall of the Persian Empire Taylor & Francis 2009
[24] 서적 The Indo-European and Ancient Near Eastern Sources of the Armenian Epic https://www.academia[...] Institute for the Study of Man
[25] 서적 The Mechanics of Empire: The Northern Frontier of Assyria as a Case Study in Imperial Dynamics https://books.google[...] Neo-Assyrian Text Corpus Project 2001
[26] 저널 Between a Rock and a Hard Place: Musasir, Kumme, Ukku and Šubria – the Buffer States between Assyria and Urartu. https://www.academia[...] 2012
[27] 간행물 The Date of The Beginning of Khabur Ware Period 3: Evidence from the Palace of Qarni-Lim at Tell Leilan https://core.ac.uk/d[...] 2006
[28] 서적 The Origin of Nuzi Ware: A Contribution From Tell Hamida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995
[29] 논문 GLASS TECHNOLOGY AT THE MID-SECOND-MILLENNIUM B.C. HURRIAN SITE OF NUZI 1983
[30] 서적 The Hurrians https://archive.org/[...] Aris & Phillips
[31] 저널 Lexical Matches between Sumerian and Hurro-Urartian: Possible Historical Scenarios https://cdli.ucla.ed[...]
[32] 서적 Bronze and Iron: Ancient Near Eastern Artifacts in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Metropolitan Museum of Art 1988
[33] 문서 Musical Notation in Ugarit 1970
[34] 서적 A Hurrian Musical Score from Ugarit: The Discovery of Mesopotamian Music Undena Publications 1984
[35] 문서 The Cult Song with Music from Ancient Ugarit: Another Interpretation 1974
[36] 논문 "The Babylonian Musical Notation and the Hurrian Melodic Texts" 1994-05
[37] 논문 "Hurrian and Luwian Elements in the Kizzuwatna Religious Texts" 2022
[38] 논문 "The Song of Ullikummi Revised Text of the Hittite Version of a Hurrian Myth" 1951
[39] 서적 The Hurrians 1989
[40] 웹인용 "The Storm-Gods of the Ancient Near East: Summary, Synthesis, Recent Studies: Part II" http://library.mibck[...] 2008
[41] 간행물 'The West Hurrian Pantheon and Its Background' https://www.academia[...] 2013
[42] 서적 Religions of Second Millennium Anatolia 2009
[43] 서적 Religions of Second Millennium Anatolia 2009
[44] 웹인용 "The Storm-Gods of the Ancient Near East: Summary, Synthesis, Recent Studies: Part II" http://library.mibck[...] 2008
[45] 논문 "A New Join to the Hurro Akkadian Version of the Weidner God List from Emar (Msk 74.108a + Msk 74.158k)" https://www.academia[...] 2017
[46] 서적 Religions of Second Millennium Anatolia 2009
[47] 간행물 'The West Hurrian Pantheon and Its Background' https://www.academia[...] 2013
[48] 서적 Religions of Second Millennium Anatolia 2009
[49] 서적 The Hurrians 1989
[50] 간행물 'The West Hurrian Pantheon and Its Background' https://www.academia[...] 2013
[51] 간행물 'The West Hurrian Pantheon and Its Background' https://www.academia[...] 2013
[52] 간행물 'The Anatolian Fate-goddesses and their different traditions' https://www.academia[...] 2013
[53] 간행물 'The West Hurrian Pantheon and Its Background' https://www.academia[...] 2013
[54] 간행물 'The West Hurrian Pantheon and Its Background' https://www.academia[...] 2013
[55] 서적 The Hurrians 1989
[56] 서적 Religions of Second Millennium Anatolia 2009
[57] 서적 Hittite Religion Philosophical Library 1950
[58] 서적 Mother of the Gods: from Cybele to the Virgin Mary Johns Hopkins 2005
[59] 논문 "Two Hurro-Urartian Lexical Parallels" 2022
[60] 서적 The Ancient Languages of Asia Min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61] 서적 The Amarna Letter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2
[62] 학위논문 "Mood and Modality in Hurrian" https://oi.uchicago.[...]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