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텔아비브 대도시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텔아비브 대도시권은 이스라엘의 상업, 경제, 문화, 산업의 중심지이며, "구쉬 단"으로도 알려져 있다. 텔아비브를 포함한 이 지역은 고대 이스라엘 왕국 시대에 단 지파의 영토였으며, 1909년 텔아비브가 아랍인 거주지였던 야파의 교외로 설립되면서 현대 도시로 발전했다. 1990년대 이후 구 소련 공화국과 에티오피아에서 온 유대인들의 이민으로 인구가 급증했으며, 2019년에는 400만 명 이상이 거주한다. 텔아비브 대도시권은 핵심, 내부 링, 중간 링, 외부 링 등 4개의 구역으로 나뉘며, 다이아몬드 거래소 지구와 같은 주요 상업 지구와 텔아비브 대학교를 포함한 다양한 고등 교육 기관을 보유하고 있다. 주요 교통 수단으로는 도로, 철도, 항공이 있으며, 벤구리온 국제공항이 위치해 있다.

2. 역사

텔아비브 대도시권의 역사는 고대와 현대로 나눌 수 있다. '구쉬 단'이라는 이름은 고대 이스라엘 왕국 시대 단 지파의 영토에서 유래했다.

19세기 말부터 페타 티크바(1878년), 리숀 레지온(1882년) 등 유대인 정착촌이 건설되기 시작했고, 20세기 초 텔아비브가 급성장했다. 1950년대 아슈도드 항구 개항으로 텔아비브의 중요성이 커졌다. 1990년대 이후 구 소련과 에티오피아 등지에서 온 유대인 이민과 종교 인구 증가로 텔아비브 인구가 다시 증가했다.

네타냐에서 아슈도드까지 뻗어 있는 텔아비브 도시 연담 지역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유대인 인구(약 390만 명)가 집중된 곳으로, 뉴욕 대도시권의 유대인 인구(210만 명)를 훨씬 능가한다.[12] 이스라엘 정부의 갈릴리와 네게브 이주 장려에도 불구하고, 구쉬 단은 이스라엘의 중심지 지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텔아비브를 중심으로 주변 도시를 경제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2. 1. 고대 역사

''구쉬 단''(Gush Dan)이라는 이름은 "단 블록"을 의미하며, 고대 이스라엘 왕국 시대에 해당 지역이 단 지파의 영토였기 때문에 붙여졌다.[9] 성경 기록에 따르면, 단 지파는 원래 가나안의 중앙 해안 지역에 정착하려 했지만, 필리스테인과의 갈등으로 인해 소렉 계곡을 내려다보는 언덕에 진을 쳤다.[9] 단 지파는 필리스테인의 압력으로 중앙 해안 근처 정착을 포기하고 북쪽으로 이주하여 라시를 정복하고 단으로 이름을 변경했다.[9] 원래 영토 할당을 기념하여 해안 지역을 구쉬 단이라고 부른다.[9]

2. 2. 현대 역사

현대 도시 텔아비브는 1909년 아랍인이 다수였던 해안 도시 야파의 교외로 설립되었다.[9] 19세기 말부터 페타 티크바(1878년), 리숀 레지온(1882년), 네스 지오나(1883년), 레호보트(1890년) 등 유대인 정착촌이 건설되기 시작했다. 20세기 초, 유럽에서 온 유대인 이민으로 인해 텔아비브는 급속도로 성장하여 1934년에는 인구가 15만 명, 이스라엘 건국 후인 1948년에는 23만 명에 달했다.

1947년, 구쉬 단의 유대인 인구는 약 40만 명으로, 영국 위임통치령 팔레스타인의 유대인 인구 대다수를 차지했다.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이후, 전쟁 전 거의 15만 명이었던 이 지역의 아랍인 인구[9]는 약 1만 명으로 감소했다. 그들은 곧 전후 유럽에서 도망쳐 온 더 많은 수의 유대인과 아랍 국가에서의 박해를 피해 온 유대인들로 빠르게 대체되었다.

1950년대, 이스라엘 정부는 인구 분산을 위해 구쉬 단 외곽에 아슈도드, 로쉬 하아인, 야브네를 포함한 새로운 도시들을 건설했다. 당시 국가의 유일한 항구는 북부 도시 하이파와 그 주변 대도시 지역에 위치해 있었고, 그 도시의 중요성은 텔아비브만큼 컸다. 당시 신정부는 국가의 인구를 주변 지역으로 분산시키려 했으며, 이미 인구가 많은 구쉬 단에 정착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았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 텔아비브 자체는 인구 감소를 겪었는데, 이는 생활비가 저렴한 구쉬 단의 외곽 지역이 텔아비브를 떠난 많은 사람들을 흡수했기 때문이다.

1990년대에 들어서야, 100만 명이 넘는 유대인들이 구 소련 공화국에서, 4만 명의 에티오피아 유대인과 다른 많은 사람들이 이스라엘로 이민을 왔고, 종교 인구의 급증과 함께 텔아비브의 인구가 다시 증가하기 시작했다. 모디인과 엘라드와 같은 새로운 도시가 건설되었고, 아슈도드와 같은 도시의 인구는 1990년 8만 3천 명에서 2000년 17만 5천 명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2000년대에는 이 지역이 계속 성장하여 하이파 대도시권에서 많은 이민자를 유치했다. 2019년 현재 인구 4,052,200명[10]인 구쉬 단은 이스라엘의 상업, 경제, 문화 및 산업의 중심지이다.[11]

3. 구쉬 단의 도시들

2021년 말 기준 이스라엘 중앙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구쉬 단에 속하는 도시들의 인구는 다음과 같다.[1]

구쉬 단의 도시 인구 (2021년 말 기준)
인구 규모도시
40만 명 이상텔아비브-야포
20만 명 이상리숀 레지온, 페타 티크바, 아슈도드, 네타냐, 브네 브라크
10만 명 이상홀론, 라마트 간, 아슈켈론, 레호보트, 바트 얌, 헤르츨리야, 크파르 사바
5만 명 이상모딘-마카빔-레우트, 로드, 라아나나, 람라, 로쉬 하아인, 호드 하샤론, 기바타임, 야브네, 네스 치오나
2만 명 이상엘라드, 라마트 하샤론, 타이베, 키르야트 오노, 예후드-모노손, 게데라, 베에르 야아코브, 기바트 슈무엘, 크파르 요나, 티라, 카프르 카심, 간 야브네, 칼란사웨, 카디마-조란, 가네이 티크바, 쇼함
1만 명 이상마즈케레트 바트야, 에벤 예후다, 텔 몬드, 키르야트 에크론, 잘줄리아


3. 1. 40만 명 이상

텔아비브-야포[1]

3. 2. 20만 명 이상

리숀 레지온[1]

페타 티크바[1]

아슈도드[1]

네타냐[1]

브네 브라크[1]

3. 3. 10만 명 이상

홀론[1], 라마트간[1], 아슈켈론[1], 레호보트[1], 바트얌[1], 헤르츨리야[1], 크파르사바[1]

3. 4. 5만 명 이상

3. 5. 2만 명 이상

2021년 말 기준 2만 명 이상 도시 인구[1]
도시
엘라드
라마트 하샤론
타이베
키르야트 오노
예후드-모노손
게데라
베에르 야아코브
기바트 슈무엘
크파르 요나
티라
카프르 카심
간 야브네
칼란사웨
카디마-조란
가네이 티크바
쇼함


3. 6. 1만 명 이상

2021년 말 기준 텔아비브 대도시권의 1만 명 이상 인구를 가진 도시는 다음과 같다.[1]

  • 마즈케레트 바트야
  • 에벤 예후다
  • 텔 몬드
  • 키르야트 에크론
  • 잘줄리아

4. 대도시권

이스라엘 중앙 통계청은 텔아비브 대도시권을 핵심, 내부 링, 중간 링, 외부 링의 4개 링(ring)으로 구분한다.[13] 각 링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2018년 말 추정치에 따르면, 텔아비브 대도시권 전체의 인구, 인구 밀도, 연간 인구 증가율은 다음과 같다.

텔아비브 대도시권 전체 현황[13]
구분내용
지방 자치 단체 수303
인구
총계3,984,900
유대인 및 기타13,782,300
그 중: 유대인3,567,900
아랍인202,700
인구 밀도 (명/제곱킬로미터)2,361.4
연간 인구 증가율1.7%



'''참고'''


  • 1 "유대인 및 기타" 인구에는 이스라엘 유대인, 비아랍 기독교인 및 종교적으로 분류되지 않은 사람들이 포함된다.
  • 6 ''유대 사마리아 지역''은 이스라엘 서안 지구 정착촌을 가리키며, 알페이 메나셰와 아리엘 정착촌과 더불어 많은 소규모 정착촌을 포함한다. 국제 사회는 서안 지구의 이스라엘 정착촌을 국제법상 불법으로 간주하지만, 이스라엘 정부는 이에 이의를 제기한다.[14] 그러나 이 통계에는 그린 라인 동쪽에 위치한 팔레스타인 지방 자치 단체는 포함되지 않는다.

4. 1. 핵심 (Core)

이스라엘 중앙 통계청에 따르면, 텔아비브 대도시권의 핵심(Core) 지역에는 텔아비브 시가 포함된다.[13] 2018년 말 추정치에 따르면, 핵심 지역의 인구, 인구 밀도, 연간 인구 증가율은 다음과 같다.[13]

텔아비브 대도시권 핵심 지역 현황
구분내용
지방 자치 단체 수1
인구
총계451,500
유대인 및 기타1431,100
그 중: 유대인407,200
아랍인20,400
인구 밀도 (명/제곱킬로미터)8,718.6
연간 인구 증가율1.7%


4. 2. 내부 링 (Inner Ring)

이스라엘 중앙 통계청에 따르면, 내부 링에는 바트 얌, 홀론, 라마트 하샤론, 라마트 간, 기바타임, 브네 브라크, 헤르츨리야, 오르 예후다, 기바트 슈무엘, 키르야트 오노 시와 더불어 수많은 소규모 마을(지방 의회)이 포함된다.[13]

텔아비브 대도시권 내부 링[13]
지방 자치 단체인구 (2018년 말 추정치)인구 밀도
(제곱킬로미터당)
연간 인구
증가율
총계유대인 및 기타1그 중: 유대인아랍인
총 13개97560097370091190020008,0971.4%
  북부 지역41443001441001388002003,327.41.3%
  동부 지역549510049440047960070012,394.31.9%
  남부 지역433630033520029350011009,042.20.6%


4. 3. 중간 링 (Middle Ring)

중간 링에는 페타티크바, 라아나나, 리숀레지온, 호드하샤론, 크파르사바, 예후드, 람라, 로드, 로쉬하아인, 네스치오나레호보트 시와 더불어 많은 소규모 마을(지방 의회)이 포함된다.[13]

2018년 말 추정치에 따르면, 중간 링의 인구는 다음과 같다.[13]

}

|

|

|

| 4157.4km2

| 1.6%

|-

| 북부 지역

|

|

|

|

| 4567.4km2

| 1.3%

|-

| 동부 지역

|

|

|

|

| 4558.6km2

| 1.7%

|-

| 남부 지역

|

|

|

|

| 3861.5km2

| 1.7%

|}

'''참고'''

  • 1 "유대인 및 기타" 인구에는 이스라엘 유대인, 비아랍 기독교인 및 종교적으로 분류되지 않은 사람들이 포함된다.

4. 4. 외부 링 (Outer Ring)

외부 링은 258개의 지방 자치 단체를 포함하며, 타이베, 네타냐, 모디인-마카빔-레우트, 아슈도드 시와 더불어 많은 소규모 마을(지방 의회)을 포함한다.[13] 2018년 말 추정치에 따르면, 외부 링의 총인구는 1,338,000명이며, 이 중 유대인 및 기타 인구는 1,200,200명, 아랍인은 137,800명이다. 인구 밀도는 제곱킬로미터당 1,052.9명이며, 연간 인구 증가율은 2%이다.[13]

외부 링은 북부, 동부, 남부 지역으로 나뉜다.

중간 링 인구 (2018년 말 추정치)[13]
구분총계유대인 및 기타1그 중: 유대인아랍인인구 밀도
(제곱킬로미터당)
연간 인구
증가율
전체{{cvt|}
외부 링 지역별 상세 정보 (2018년 말 기준)[13]
지역지방 자치 단체 수총인구유대인 및 기타 인구아랍인 인구인구 밀도 (명/km²)연간 인구 증가율
북부 지역97497,100397,30099,8001,284.91.3%
동부 지역47294,700258,00036,7001,056.43.3%
남부 지역91453,300452,600700877.31.4%
유대 사마리아 지역12393,00092,3006004.3%



:'''참고'''

:*1 ''유대 사마리아 지역''은 이스라엘 서안 지구 정착촌을 가리키며, 알페이 메나셰와 아리엘 정착촌과 더불어 많은 소규모 정착촌을 포함한다. 국제 사회는 서안 지구의 이스라엘 정착촌을 국제법상 불법으로 간주하지만, 이스라엘 정부는 이에 이의를 제기한다.[14] 그러나 이 통계에는 그린 라인 동쪽에 위치한 팔레스타인 지방 자치 단체는 포함되지 않는다.

5. 경제 및 상업 지구

지역설명
다이아몬드 거래소 지구라마트 간에 위치하며 이스라엘의 다이아몬드 산업의 중심지이자 주요 상업 중심지이다. 아얄론 고속도로와 접해 있으며, 이 도로는 라마트 간과 텔아비브를 가른다. 다이아몬드 거래소는 다리로 연결된 4개의 건물 (마카비 타워, 심슨 타워, 노암 타워, 다이아몬드 타워)로 구성되어 있다. 모셰 아비브 타워는 이스라엘에서 두 번째로 높은 건물이며, 엘리트 타워는 그보다 더 높게 건설될 예정이다. 쉐라톤 시티 타워는 호텔이며, 아얄론 타워와 기보르 스포츠 하우스도 이 지구에 있다.
디젠고프 광장텔아비브 중심부에 있는 쇼핑몰인 디젠고프 센터는 매주 약 14만 명의 방문객이 찾는다. 텔아비브 초대 시장인 메이르 디젠고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1983년에 개장한 텔아비브 최초의 쇼핑몰이다. 디젠고프 거리 양쪽에 걸쳐 있으며, 두 부분을 스카이워크가 연결한다.
아슈도드 항아슈도드에 위치한 이스라엘의 두 주요 화물 항구 중 하나이다. 텔아비브에서 남쪽으로 약 40km 떨어진 라키쉬 강 하구에 있으며, 이 항구의 설립으로 국가의 항만 수용 능력이 두 배로 증가했다.
로스차일드 대로텔아비브의 거리로, 남서쪽 네베 체덱에서 시작하여 북쪽으로 하비마 극장까지 뻗어 있다. 구쉬 단에서 가장 붐비고 비싼 거리 중 하나이며, 도시의 주요 관광 명소 중 하나이다.[15]
아즈리엘 센터텔아비브에 있는 마천루 단지이다. 센터 기저에는 대형 쇼핑몰이 있다.
텔아비브 증권 거래소텔아비브에 있는 이스라엘의 유일한 증권 거래소이다. 이스라엘에서 증권을 거래하는 유일한 공개 시장이며, 이스라엘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텔아비브 해변 산책로텔아비브 해변을 따라 뻗어 있으며, 도시의 라이프스타일의 필수적인 부분이자 주요 관광 명소이다.
키르야트 아티딤텔아비브 라마트 하하얄 동부에 있는 첨단 기술 센터이다.
바트얌 해안 지구바트얌에 있으며 텔아비브 해변 산책로의 남쪽 연장선이다.
헤르츨리야 피투아 해안 지구 및 산업 지역헤르츨리야에 있으며 텔아비브 해변 산책로의 북쪽 연장선이다.
키르야트 아르예, 키르야트 마탈론 및 세굴라 산업 단지페타 티크바에 있으며, 하이파 다음으로 이스라엘에서 두 번째로 큰 산업 단지를 형성한다.
벤 구리온 공항 산업 단지로드에 있다.
동부 산업 구역홀론
동부 산업 단지네타냐
폴레그 산업 지역네타냐


6. 고등 교육

텔아비브 대학교


이스라엘 열린 대학교


바이츠만 과학 연구소


텔아비브 대도시권에는 여러 고등 교육 기관이 있다. 대표적인 대학교로는 텔아비브 대학교, 바르-일란 대학교, 이스라엘 열린 대학교, 바이츠만 과학 연구소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칼리지들이 텔아비브 대도시권에 위치해 있다.

  • '''칼리지 (College):''' 법률 및 비즈니스 학술 센터 (라마트간), 텔아비브–야포 학술 대학 (텔아비브), 경영 대학 (COLMAN) (리숀레지온), 홀론 기술 연구소, 레이흐만 대학교 (구 학제 간 센터, 또는 IDC) (헤르츨리야), 네타냐 학술 대학, 오노 학술 대학 (키르야트오노), 쉔카르 공학 및 디자인 대학 (라마트간), 베잘렐 예술 디자인 아카데미, 예루살렘 기술 대학, 네타냐 법학 학술 대학, 오르 예후다 학술 연구 센터, 기술 교육 대학 (텔아비브), 키부츠 교육 대학 (텔아비브), 레빈스키 교육 대학 (텔아비브), 모페트 (교육 대학 컨소시엄), 모레셰트 야코브 종교 교육 대학 (레호보트), ORT 기술 교사 대학 (텔아비브), 탈피오트 교육 대학 (텔아비브)

6. 1. 대학교

6. 2. 칼리지 (College)

7. 쇼핑 센터

카르멜 시장


텔아비브 중앙 버스 터미널 쇼핑몰 6층에서 바라본 모습

  • 카르멜 시장
  • 라마트 아비브 쇼핑몰
  • 아즈리엘 센터
  • 디젠고프 센터
  • 텔아비브 중앙 버스 터미널
  • 오페라 타워
  • 런던 미니스토어 쇼핑몰

8. 교통

단 버스 회사는 주로 구쉬 단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하며, 많은 구쉬 단 지역 도시에서 카빔 회사로 대체되고 있다. 이스라엘의 대부분의 국도가 이 지역으로 연결되며, 1번 고속도로, 2번 고속도로, 4번 고속도로, 5번 고속도로 등이 있다. 구쉬 단은 또한 지역 아얄론 고속도로의 서비스를 받는다. 국영 철도 네트워크 제공업체인 이스라엘 철도는 대부분의 교통량을 구쉬 단 지역으로 또는 구쉬 단 지역 내로 연결한다. 텔아비브 경전철은 이 지역의 주요 교통 수단이며, 예루살렘행 고속철도 서비스도 제공된다.[18] 스데 도브 공항은 2019년에 폐쇄되었고, 로드에 있는 벤구리온 국제공항은 이스라엘에서 가장 큰 공항으로 연간 2,200만 명 이상의 승객을 처리하며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아메리카 지역으로 가는 항공편을 제공한다. 텔아비브 지하철은 3개의 노선으로 구성될 예정인 이 지역의 계획된 지하철 시스템으로, 2032년에 첫 번째 노선이 대중에게 공개될 예정이다.

텔아비브 대도시권을 오가는 통근 교통량을 처리하는 주요 고속도로/간선도로는 다음과 같다.

고속도로설명
20번 고속도로 (아얄론 고속도로)구쉬 단의 주요 도심 고속도로로 텔아비브의 동쪽 경계를 따라 북쪽에서 남쪽으로 뻗어 있다.
1번 고속도로텔아비브와 예루살렘을 연결한다.
2번 고속도로 (해안 고속도로)텔아비브에서 하이파까지 뻗어 있다. 이스라엘에서 가장 붐비는 고속도로 중 하나이다.
4번 고속도로 (게하 고속도로, 초대 대통령 도로)북쪽의 라아나나와 크파르 사바를 중앙의 페타 티크바와 라마트 간, 남쪽의 아슈도드를 연결하는 주요 남북 고속도로이다.
5번 고속도로텔아비브 바로 북쪽의 지중해 해안과 중앙의 샤론 평원, 그리고 북부 서안 지구의 아리엘 및 기타 이스라엘 정착촌을 연결한다.
44번 고속도로텔아비브와 람라, 로드, 그리고 셰펠라를 연결한다.
6번 고속도로구쉬 단 동쪽을 따라 북쪽의 갈릴리에서 남쪽의 베르셰바까지 뻗어 있는 새로운 남북 유료 도로이다.


참조

[1] 간행물 LOCALITIES, POPULATION AND DENSITY PER SQ. KM. OF LAND, BY METROPOLITAN AREA(1) AND SELECTED LOCALITIES https://www.cbs.gov.[...] Israel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2023-04-15
[2] 웹사이트 Instead of talking about national economy, we should talk about cities https://m.calcalist.[...]
[3]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3 https://www.imf.org/[...]
[4] 웹사이트 Localities, Population, and Density http://www.cbs.gov.i[...] 2010-01-24
[5] 웹사이트 Population of Israel on the Eve of 2018 - 8.8 Million http://www.cbs.gov.i[...] Israel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2017-12-31
[6] 웹사이트 Population, by Population Group http://www.cbs.gov.i[...] Israel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2013-04-05
[7] 웹사이트 Monthly Bulletin of Statistics for Population http://www1.cbs.gov.[...] Israel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2013-08-24
[8] 문서 Census data http://www.cbs.gov.i[...]
[9] 웹사이트 Tel Aviv-Yafo-Statistical Overview http://www.tel-aviv.[...] 2016-02-06
[10] 문서 Map https://www.cbs.gov.[...]
[11] PDF https://www.bayareae[...] 2024-08
[12] 간행물 World Jewish Population https://www.jewishda[...] Berman Jewish DataBank 2021
[13] 웹사이트 Localities, Population and Density Per sq. km., by Metropolitan Area and Selected Localities https://www.cbs.gov.[...] Israel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2019-10-10
[14] 뉴스 The Geneva Convention http://news.bbc.co.u[...] BBC News 2010-11-27
[15] 뉴스 For a prestigious address, nothing beats Rothschild http://www.haaretz.c[...] 2006-10-08
[16] 웹사이트 Tel Aviv University ranked first in Israel by QS World University Ranking https://www.jpost.co[...] 2024-03-24
[17] 웹사이트 Something went wrong... https://en.hafakulta[...] 2023-12-29
[18] 뉴스 Sde Dov Airport closes https://en.globes.co[...] 2020-07-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