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트라야누스 시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라야누스 시장은 100년부터 110년 사이에 황제 트라야누스를 섬긴 건축가 다마스쿠스의 아폴로도로스가 건설한 고대 로마의 건축물이다. 중세 시대에 증축과 방어 시설이 추가되었으며, 20세기 초 복원을 위해 철거되기 전까지 수도원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현재는 "Mercati di Traiano Museo dei Fori Imperiali"라는 박물관으로 일반에 공개되어 있으며, 포리 임페리알리 박물관은 고대 로마의 포룸에서 출토된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시장 건물은 주로 벽돌과 콘크리트로 건설되었으며, 상점, 사무실, 오디션 또는 연주회에 사용된 홀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트라야누스 포룸 - 트라야누스 원주
    트라야누스 원주는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의 다키아 원정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진 기념 기둥으로, 나선형 부조로 그의 업적을 묘사하며 내부 계단을 통해 꼭대기까지 올라갈 수 있다.
  • 다키아 속주 - 이아지게스족
    이아지게스족은 사르마티아계 부족으로, 아조프해 북쪽에서 판노니아 분지로 이주하여 다뉴브강과 티서강 사이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했으며 로마와 충돌하거나 동맹을 맺기도 했고, 유목민적 기원과 정착 생활이 혼합된 문화를 가졌으며 기병 중심의 강력한 군사력을 보유했다.
  • 다키아 속주 - 트라야누스 다리
    트라야누스 다리는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가 다키아 전쟁 중 군단의 보급을 위해 다마스쿠스의 아폴로도로스가 설계하여 건설한 다뉴브 강 도하 시설로, 목재 아치 구조와 양 끝 요새, 그리고 현재 남아있는 잔해와 타불라 트라이아나를 통해 그 역사적 의미를 알 수 있다.
  • 로마의 박물관 - 빌라 보르게세
    17세기 초 스치피오네 보르게세 추기경이 로마에 조성한 빌라 보르게세는 넓은 정원, 건축물, 미술관 등을 갖춘 대규모 공원으로, 영국식 풍경 정원으로 개조되어 로마 시에 매각된 후 시민 휴식 공간으로 이용되며 다양한 박물관과 테마 정원을 포함한다.
  • 로마의 박물관 - 산탄젤로성
    산탄젤로성은 원래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무덤으로 건설되었으나 군사 요새, 교황의 피난처, 감옥 등으로 사용되었고 현재는 박물관으로 운영되며 대중문화에도 자주 등장하는 로마의 건축물이다.
트라야누스 시장
지도
일반 정보
로마자 표기Mercatus Traiani (라틴어)
이탈리아어 표기Mercati di Traiano
트라야누스 시장
트라야누스 시장, 2022년
위치트라야누스 포룸
건축 시기서기 100년 ~ 110년
건축가다마스쿠스의 아폴로도로스
위치 정보
지도 레이블트라야누스 시장
지도 레이블 위치상단
지도 유형이탈리아 로마 고대 유적
지도 오버레이Roma Plan.jpg
지도 크기270픽셀
이미지 크기270픽셀
지도 프레임 너비270픽셀
지도 프레임
지도 프레임 캡션전체 화면 보기를 위해 지도를 클릭하십시오
지도 프레임 줌12
지도 프레임 마커기념물
지도 프레임 위키데이터

2. 역사

트라야누스 시장은 100년부터 110년까지 트라야누스 황제를 섬겼던 건축가 다마스쿠스의 아폴로도로스가 건설했다.[1] 중세 시대에는 층이 추가되었고, 1200년에 건설된 밀리치에 탑과 같은 방어 요소가 추가되었다. 이후 수도원이 건설되었지만, 20세기 초에 트라야누스 시장을 복원하기 위해 철거되었다.

현재 건물은 박물관 "Mercati di Traiano Museo dei Fori Imperiali"로 일반에 공개되어 있다.

2. 1. 건설

트라야누스 시장은 다마스쿠스의 아폴로도로스가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1] 100년에서 110년 사이 트라야누스 황제를 수행한 다마스쿠스의 아폴로도로스는 황제가 계획한 포룸 건설을 담당했다.[1] 트라야누스 시장은 기원후 113년에 개장했으며 이후에도 여러 변화를 겪었다.[1] 중세 시대에는 새로운 층을 추가해 증축되었고 1300년에 밀리치에 탑 같은 방어 시설도 추가되었다. 16세기에는 수도원이 자리 잡았는데, 1885년 이탈리아 왕국이 건물을 매입하여 군사 시설로 활용하다가 20세기 초 트라야누스 시장 복원을 위해 허물었다.

2. 2. 중세 시대 이후

중세 시대에 트라야누스 시장에는 새로운 층이 추가되었고, 1300년에 건설된 밀리치에 탑과 같은 방어 시설도 추가되었다.[1] 16세기에는 수도원이 들어섰으나, 1885년 이탈리아 왕국이 건물을 매입하여 군사 시설로 활용하다가 20세기 초 트라야누스 시장 복원을 위해 철거되었다.[1]

3. 구조

트라야누스 시장은 로마 황제들의 포룸 박물관(Museo dei Fori Imperialiit)의 일부로, 2007년에 개관하여 고대 로마의 포룸에서 출토된 많은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1] 황제들의 포룸 내에서 트라야누스 시장의 위치는

none
와 같다.

3. 1. 내부 구조

콰트로 노벰브레 거리 94번지와 마돈나 디 로레토 광장에 있는 출입구를 통해 시장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곳은 과거 로마 시민들에게 무료로 밀을 배급하던 장소이기도 하다.[1] 입구를 지나면 양쪽에 상점이 늘어선 구역이 나오는데, 이 홀의 끝에는 트라야누스 시장, 트라야누스 포룸,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기념관을 조망할 수 있는 넓은 발코니가 있다.[2]

발코니 아래로는 비베라티카 거리(Via Biberatica)가 트라야누스 시장을 관통하는데, '마시다'를 의미하는 라틴어 ''bibo'', ''bibere''에서 유래한 이름처럼, 이 거리에는 타베르나라고 불리는 로마 시대의 상점들과 식료품점, 잡화점 등이 위치해 있었다.[2] 시장 아래쪽에는 오디션이나 음악회 등이 열렸을 것으로 추정되는 넓은 강당이 두 곳 있다. 대강당은 홍예 위에 세워진 콘크리트 궁륭으로 지붕을 이루고 있으며, 홍예 사이로 난 공간을 통해 채광과 환기를 해결했다.

시장 건물은 주로 벽돌과 콘크리트를 이용해 거대한 엑세드라(exedra, 반원형 건축물) 형태로 지어졌는데, 이는 본디 남측의 또 다른 엑세드라형 건축물과 대칭을 이루고 있었다.

시장의 상층은 사무실로 사용되었고, 하층에 해당하는 트라야누스 포룸에 면한 부분에는 기름, 와인, 어패류, 식료품, 채소, 과일 등의 상점이 있었다. 최상층에는 중세기에 지어진 집이 비베라티카 거리의 반원 부분에 면해 있다. 지상층 각 상점의 입구는 트래버틴으로 만들어졌으며 그 위에 아치가 얹혀 있다. 2층에는 기름과 와인을 파는 가게가 있었고, 3층 부분은 지금은 벽이 일부만 남아 있지만 비베라티카 거리에 면해 있으며, 아마 식료품점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3. 2. 건축 자재

시장은 주로 벽돌과 콘크리트로 만들어졌다. 시장의 천장은 로마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볼트로 되어 있어, 중앙 공간에 신선한 공기와 햇빛을 들일 수 있게 되어 있었다.[1] 지상층 각 상점의 입구는 트래버틴으로 만들어졌으며 그 위에 아치가 얹혀 있다.[1] 시장 내 각 상점을 타베르나라고 불렀다.[1]

4. 포리 임페리알리 박물관

트라야누스 시장


로마 황제들의 포룸 박물관(Museo dei Fori Imperialiit)은 2007년에 개관했으며, 고대 로마의 모든 포룸에서 출토된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트라야누스 시장의 현대식 입구는 비아 콰트로 노벰브레 94번지와 피아자 마돈나 디 로레토에 있다.[1][2]

4. 1. 전시물 및 시설



로마 황제들의 포룸 박물관(Museo dei Fori Imperialiit)은 2007년에 문을 열었으며, 고대 로마의 모든 포룸에서 출토된 많은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트라야누스 시장으로 들어가는 관광객용 출입구는 콰트로 노벰브레 거리 94번지와 마돈나 디 로레토 광장에 있는데, 이곳은 과거 로마 거주민들이 구제 곡물을 배급받던 장소이기도 하다.[1][2]

입구를 지나면 양쪽에 상점 구역이 나오는데, 이곳은 과거 로마 시민들에게 무료 밀이 배급되던 곳이다.[2] 홀 끝에는 트라야누스 시장과 트라야누스 포룸,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기념관을 조망할 수 있는 발코니가 있다. 발코니 아래로는 비베라티카 거리(Via Biberatica; '마시다'를 의미하는 라틴어 ''bibo'', ''bibere''에 어원을 둔 지명)가 트라야누스 시장을 관통하고 있는데, 이곳에는 타베르나와 식료품점, 잡화점 등이 있었다.[2] 타베르나는 로마 시대의 상점을 일컫는 표현이다.

시장 아래쪽에는 오디션음악회 등이 열렸을 것으로 추정되는 넓은 강당이 두 곳 있다. 대강당은 홍예 위에 세워진 콘크리트 궁륭으로 지붕을 이루고 있으며, 홍예 사이로 난 공간을 통해 채광과 환기를 해결한다. 시장 건물은 주로 벽돌과 콘크리트를 이용해 거대한 엑세드라(exedra, 반원형 건축물) 형태로 지어졌는데, 이는 본디 남측의 또 다른 엑세드라형 건축물과 대칭을 이루고 있었다.

5. 갤러리

2000년 트라야누스 시장의 모습

참조

[1] 웹사이트 The Markets of Trajan during its use as a convent | Mercati di Traiano Museo dei Fori Imperiali http://www.mercatidi[...]
[2] 서적 ギネス世界記録2014 [[角川マガジンズ]]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