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윈테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윈테일은 머리카락을 양 갈래로 나누어 묶는 헤어스타일을 의미한다. 17세기 미국에서 씹는 담배를 꼬아 만든 덩어리를 지칭하는 용어로 시작되었으며, 이후 땋은 머리 스타일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 중국에서는 소녀의 미혼 여부를 나타내는 전통적인 문화적 의미를 지니기도 했다. 현대에는 다양한 스타일로 연출되며, 특히 일본 애니메이션과 만화에서 인기를 얻어 '트윈테일 데이'가 제정될 정도로 대중문화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세기 신조어 - 무사도
무사도는 중세 일본에서 시작하여 에도 시대에 발전한 사무라이의 윤리 및 생활 방식으로, 진실성, 충성, 명예 등을 중시하며 선종, 유교 등의 영향을 받아 체계화되었고 현대 사회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 17세기 신조어 - 상비군
상비군은 정규 급여를 받는 전문 군대로, 고대 아시리아에서 처음 창설되었으며, 스파르타, 진나라, 마우리아 제국, 로마 제국 등에서 운용되었고, 오스만 제국의 예니체리, 프랑스의 콩파니 돌드르낭스, 스페인의 테르시오, 영국의 뉴 모델 군 등이 대표적이지만, 높은 전문성과 즉각 대응 능력에도 불구하고 막대한 유지비용이 든다. - 머리 모양 - 장발
장발은 머리카락을 자르지 않고 길게 기른 상태를 지칭하며, 생존에 유리한 기능과 건강 및 생식 잠재력을 나타내는 지표로서의 역할, 그리고 권력, 부, 종교적 헌신 등 다양한 문화적 의미를 내포한다. - 머리 모양 - 삭발
삭발은 머리카락을 부분적 또는 완전히 제거하는 행위로, 종교적 의례, 사회적 지위, 형벌, 패션, 미용 등 다양한 목적과 의미를 지닌다. - 1990년대 패션 - 휠라
1911년 이탈리아에서 휠라 형제가 설립한 스포츠웨어 브랜드 휠라는 속옷 생산으로 시작해 테니스 선수 후원을 통해 스포츠웨어 시장에 진출, 2007년 휠라 코리아가 글로벌 브랜드 경영을 시작하여 현재 대한민국 서울에 본사를 두고 스포츠 팀 및 다양한 브랜드와 협업하고 있다. - 1990년대 패션 - 리바이스
리바이스 스트라우스 & 컴퍼니는 1853년 리바이 스트라우스가 설립한 미국의 의류 회사로, 금속 리벳 청바지 특허와 501 모델로 유명하며, 어려움 속에서도 다양한 제품 라인 확장과 브랜드 관리로 세계적인 의류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트윈테일 | |
---|---|
머리 모양 | |
종류 | 머리카락을 머리 양쪽으로 묶은 스타일 |
역사 및 문화 | |
어원 | 돼지 꼬리에서 유래 |
문화적 의미 | 귀여움, 여성스러움의 상징 만화,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특징 |
관련 협회 | 일본 트윈테일 협회 |
스타일 | |
길이 | 짧거나 긴 머리 모두 가능 |
묶는 위치 | 높이, 굵기 등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 연출 가능 |
변형 | 땋은 머리 트윈테일 드릴 머리 |
명칭 | |
영어 | Pigtails (피그테일즈) |
일본어 | ツインテール (쓰인테-루) |
한국어 (표준어) | 트윈테일 |
한국어 (다듬은 말) | 귓머리 묶음 |
2. 어원 및 용법
'피그테일(Pigtail)'이라는 용어는 17세기 미국 식민지에서 씹는 담배를 꼬아 만든 덩어리를 묘사하기 위해 영어에 등장했다. 담배 가공 과정 중 하나는 한 움큼의 잎을 꼬아 뭉쳐 응집된 덩어리를 만드는 것이었고, 이 덩어리는 건조되었다. "피그테일"이라는 용어는 꼬인 돼지 꼬리와의 유사성 때문에 이 덩어리에 적용되었다.
피그테일은 땋거나, 펴거나, 구슬을 달거나, 리본을 묶는 등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으며, 머리 위, 아래, 옆 등 다양한 위치에 묶을 수 있다.[1] 중국 일부 지역에서는 소녀의 결혼 여부에 따라 피그테일 스타일을 다르게 연출하는 전통 문화가 있었다. 어리고 미혼인 중국 소녀는 머리 양쪽에 두 개의 상투 또는 머리 묶음을 했지만, 결혼하면 하나로 바뀌었다. 만주족과 청나라 남성의 변발은 피그테일과 혼동되기도 하지만, 다른 헤어스타일이다.
17세기 후반부터 19세기까지, 이 용어는 땋은 머리 스타일에 적용되었다. 영국군은 긴 머리를 위한 표준 복장으로 단발 댕기 또는 변발을 채택하기도 했다.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은 ''보물섬''의 첫 번째와 네 번째 장에서 머리카락을 "피그테일"이라고 언급한 다음 "피그테일 담배"라고 언급한다.[2]
대부분의 현대 사전은 여전히 "피그테일"을 단일 꽉 땋은 머리로 정의한다. 그러나 많은 화자들이 이 용어를 머리 양쪽에 있는 두 개의 대칭적인 머리 묶음을 묘사하는 데 사용하며, 땋았는지 여부와 상관없다.[1]
3. 스타일
3. 1. 묶음머리 (Bunches)
'''묶음머리'''(영문명: bunches)는 머리카락을 가운데 가르마로 나누어 두 개의 대칭적인 묶음으로 묶는 헤어스타일이다. 포니테일과 유사하지만, 두피 가까이 고정하는 것이 특징이다. 땋지 않은 경우에는 '번치(bunches)'라고 하며, 땋은 경우에는 '피그테일(pigtails)'이라고 한다.[1]
피그테일은 머리 위, 아래 또는 옆 등 다양한 위치에 연출할 수 있으며, 땋거나, 펴거나, 구슬을 달거나, 리본을 다는 등 다양한 스타일이 있다.
중국 일부 지역에서는 소녀의 결혼 여부에 따라 피그테일 착용과 관련된 전통 문화가 있었다. 어리고 미혼인 소녀는 종종 머리 양쪽에 두 개의 상투 또는 머리카락 묶음을 하였다. 그러나 결혼하면 두 개의 피그테일 또는 상투가 하나로 바뀌었다.
만주족과 후대의 청나라 남성의 머리 스타일인 "변발"은 때때로 피그테일로 잘못 묘사되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땋지 않은 양갈래 머리가 특히 애니메이션과 만화 팬덤과 일본 오타쿠 문화에서 매우 인기가 높다.[3] 1960년대부터 트윈테일 헤어스타일을 한 애니메이션과 만화 캐릭터가 많이 등장했으며, 보컬로이드 하츠네 미쿠가 이 스타일을 널리 사용하면서 주류 문화로 자리 잡았다.[3] "일본 트윈테일 협회"가 창설되기도 했으며, "트윈테일 데이"는 일본 기념일 협회에 의해 공식적으로 인정되어 2월 2일에 열린다.[4]
일본에서 머리 묶음은 ツインテール|tsuin teeru일본어라고 불린다. 인기 있는 변형 스타일은 각 포니테일을 기저부를 중심으로 부분적으로 감겨 짧은 만두머리를 형성하고, 남은 길이가 자유롭게 늘어지는 오당고 헤어스타일이다.
인도와 베트남의 여학생들은 관례적으로 긴 땋은 머리 두 가닥을 하는데, 각 땋은 머리 끝을 고리 모양으로 말아 리본으로 기저부에 고정한다.
3. 1. 1. 유사한 헤어스타일
머리카락 전체를 묶지 않고, 양쪽의 적은 양의 머리카락만을 귀 윗부분에서 묶고, 나머지 뒷머리카락은 모두 늘어뜨리는 헤어스타일이 있다. (사이드 업). 그러나 외형적으로 트윈 테일과는 전혀 다른 헤어스타일이 되기 때문에 트윈 테일이 아닌 "투 사이드 업"이라는 다른 헤어스타일로 취급되는 경향이 있다. 인형 계열 문화에서 파생된 단어로, 두 갈래로 묶는다는 점 외에는 거의 공통점이 없기 때문에 트윈 테일보다는 오히려 일반적인 롱 헤어로 보이는 경우가 많다. "토끼 묶음" (실루엣이 토끼처럼 보이기 때문에), "하프 트윈 테일"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단, 긴 머리를 두 갈래로 나누어 묶는다는 점은 공통점이 있으므로, 투 사이드 업도 트윈 테일이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지만, 그 경계선은 모호하다.
소수이지만, 뒷머리 중 소량만을 포니테일처럼 묶고, 나머지 뒷머리는 모두 늘어뜨리는 헤어스타일을 "포니 업" 또는 "테일 업"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캐릭터에 따라서는 트윈테일과 병용하기도 하고, 또한 트윈테일 캐릭터에게서 흔히 볼 수 있듯이, 두 갈래로 묶은 머리로 캐릭터의 감정을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묶은 머리 부분이 전체적으로 소용돌이 모양을 이루는 헤어스타일은 세로 롤이다. 어깨보다 머리카락이 긴 경우, 어깨까지의 머리 부분은 스트레이트이거나 약간 웨이브가 있는 정도이고, 끝부분만 가볍게 컬이 들어간 것은 트윈 테일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다. 또한, 세로 롤은 머리카락 길이가 트윈 테일이라고 부르기에는 부족한 경우도 많다.
4. 대중문화
일본에서는 땋지 않은 양갈래 머리가 특히 애니메이션과 만화 팬덤과 일본 오타쿠 문화에서 매우 인기가 높다.[3] 전통적으로 어린 소녀들이 하는 헤어스타일이었으나, 순수함을 나타내는 상징이 되었으며, "트윈테일" 또는 二つ結い|후타쓰유이일본어라고도 알려져 있다. 1960년대부터 트윈테일 헤어스타일을 한 애니메이션과 만화 캐릭터가 많이 등장했으며, 보컬로이드 하츠네 미쿠가 이 스타일을 널리 사용하면서 주류 문화로 자리 잡았다.[3] 여기에는 헤어스타일을 홍보하고 기념하기 위한 "일본 트윈테일 협회"의 창설, 그리고 양갈래 머리를 한 모델의 사진을 싣는 활동 등이 포함된다.[3] "트윈테일 데이"는 일본 기념일 협회에 의해 공식적으로 인정되었으며, 2월 2일에 열린다. 이 날 소녀들은 트윈테일 헤어스타일을 한 자신의 사진을 트위터에 올린다.[4]
일본에서 머리 묶음은 ツインテール|tsuin teeru|트윈 테일일본어라고 불린다. 인기 있는 변형 스타일은 각 포니테일이 기저부를 중심으로 부분적으로 감겨 짧은 만두머리를 형성하고, 남은 길이가 자유롭게 늘어지는 오당고 헤어스타일이다.
캐릭터를 형이상학적으로 분류하는 데 있어서의 속성 중 하나로 인식되어 주목받는 요소 중 하나로 굳건한 인기를 누리고 있다. 과거 이 머리 모양은 작품에서 캐릭터의 특성을 강조하는 '기호'라는 인식으로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그 인식이 바뀌어 현재는 다양한 캐릭터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아호게(머리에서 촉수처럼 솟아 있는 머리카락)와 공통적으로 캐릭터의 행동이나 감정에 따라 트윈테일이 솟아오르는 모습도 볼 수 있다. 트윈테일과 비슷한 머리 모양도 선호되는 경향이 있으며, 허리까지 오는 긴 트윈테일 캐릭터도 많이 보인다.
참조
[1]
웹사이트
What Are Pigtails?
http://ambafrance-do[...]
2016-08-14
[2]
서적
Treasure Island
http://www.gutenberg[...]
2008-10
[3]
웹사이트
Japan's Love Affair with Pigtails
http://kotaku.com/59[...]
2016-04-04
[4]
웹사이트
Twin Tail Day makes Twitter a paradise for guys in Japan
http://en.rocketnews[...]
Rocket News 24
2016-04-04
[5]
웹사이트
その歴史
http://twintail-japa[...]
日本ツインテール協会
2013-03-15
[6]
뉴스
スルーできない「死語」 「おさげ髪でおめかし…」 椙山女学園大ゼミが本
2011-03-07
[7]
웹사이트
「ツインテールの日」の意味・由来とは?
https://prtimes.jp/m[...]
2024-02-02
[8]
웹사이트
「ツインテールの日」の意味・由来とは?
https://prtimes.jp/m[...]
2024-02-02
[9]
웹사이트
日本記念日協会
https://www.kinenbi.[...]
2024-0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