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호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호게는 일본어로 "바보"를 뜻하는 "아호"와 "머리카락"을 뜻하는 "케"의 합성어로, 머리카락 한 가닥이 삐죽 솟아 있는 모양을 의미한다. 1990년 야마다 난페이의 만화 《쿠미코 & 신고 시리즈》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이후 만화,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에서 특징적인 요소로 자리 잡았다. 아호게는 캐릭터의 감정 표현, 능력 부여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며, 한국에서도 만화 및 웹툰 캐릭터에 등장한다.

2. 어원 및 유래

'아호게'는 '바보'를 뜻하는 일본어 '아호(アホ)'와 '털'을 뜻하는 '게(毛)'가 합쳐진 말이다.[25] 동인계에서 예전부터 사용되어 정확한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상업 만화에서는 야마다 난페이의 〈쿠미코 & 신고 시리즈〉에서 처음 사용되었다는 설이 있다. 이 작품은 하쿠센샤의 잡지 《꽃과 꿈》 1990년 20호부터 연재되었으며, 작가가 직접 히로인 쿠미코의 머리카락 한 가닥을 '아호게'라고 언급했다. 야마다 난페이는 동인 출신이기에 동인계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25]

아즈마 히로키는 저서 《동물화한 포스트모던》에서 '더듬이처럼 삐죽 솟은 머리카락'이 1996년 노벨 게임 《키즈아토》에서 나타나 일반화되었다고 기록했다. 해당 게임의 캐릭터 카시와기 하츠네의 머리카락은 아호게 그 자체이며, 당시에는 이것을 '아호게'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도리마가 증간 RASPBERRY Vol.17에는 아호게의 최초 유래는 Studio e.go!의 마스코트 캐릭터인 데보스즈메라고 기재되어 있다.

2. 1. 명칭

일본어에서 「아호게(阿呆毛)」로 한자 표기하는 예는 거의 없다고 해도 무방하다. 미용 업계에서의 표기는 기본적으로 「'''아호게'''」이며, 「아호게(アホ毛)」도 사용한다 (표기 변이의 범주). 한편, 만화 계열 하위 문화 분야에서의 표기는 거의 예외 없이 「아호게(アホ毛)」가 사용된다.

중국어에서는 「'''呆毛'''[10] (:dāimáo)」, 「笨毛」, 「笨蛋毛」, 「阿呆毛」 등으로 불린다.

영어 이름에 대해서는 정의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덧붙이자면, Urban Dictionary(미국의 크라우드소싱 온라인 사전 사이트)에서 기록이 유지되고 있는 2012년 7월 이후 현재까지 "ahoge"라는 단어는 활발하게 검색되고 있다.[11]

3. 역사

동인계에서는 예로부터 사용되어 정확한 첫 출처는 불분명하지만, 상업계에서는 야마다 난페이의 〈쿠미코 & 신고 시리즈〉에서 ‘아호게’라는 말이 처음으로 이용되었다고 하는 설이 있다. 이 작품은 하쿠센샤의 잡지 《꽃과 꿈》 1990년 20호부터 시리즈 연재가 시작되었다. 해당 코믹스에서 작가 스스로 히로인 쿠미코의 한 가닥 털을 ‘아호게’라고 언급했다. 야마다 난페이는 동인 출신이기 때문에, 그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된다[25].

아즈마 히로키는 저서 《동물화한 포스트모던》에서 1990년대 중반, 노벨 게임인 《키즈아토》로부터 아호게가 일반화되었다고 언급했다.[12] 1996년 당시에는 이것을 '아호게'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지 않았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리마가 증간 RASPBERRY Vol.17에는 아호게의 최초 유래는 Studio e.go!의 마스코트 캐릭터인 데보스즈메라고 기재되어 있다.

미용 업계 용어로서의 "아호게"는 1970년대 (쇼와 45~54년) 혹은 1980년대 (쇼와 55년~쇼와 64년/헤이세이 원년)에 이미 존재했다고 여겨진다.[4] 적어도 1990년대 (헤이세이 2~11년)에는 칸사이 지방의 젊은이 언어로 퍼져 있었다.[4] 2003년 (헤이세이 15년)경에는 간토 지방에서도 일반적인 젊은이 언어로서 널리 인지되었다.[4]

3. 1. 연표


  • 1970년대 (쇼와 45~54년) 혹은 1980년대 (쇼와 55년~쇼와 64년/헤이세이 원년) : 간사이 지방의 미용 업계에서 '아호게'라는 용어가 이미 존재했다고 여겨진다.[4]
  • 1990년대 (헤이세이 2~11년) : '아호게'라는 용어가 간사이 지방의 젊은이 언어로 퍼져 있었다.[4]
  • 1990년 : 야마다 난페이의 '쿠미코 & 신고 시리즈'에서 히로인 쿠미코의 머리카락 한 가닥을 처음으로 "아호게"라고 칭했다.
  • 1996년 (헤이세이 8년) : 노벨 게임 '흔적'의 캐릭터 카시와기 하츠네에게서 "촉각처럼 솟은 머리카락"이 나타났다. 아즈마 히로키는 이것이 아호게의 일반화에 영향을 주었다고 주장한다.[12]
  • 1998년 (헤이세이 10년) 5월 22일 : 성인 게임 브랜드 "Studio e.go!"의 마스코트 "데보스즈메"가 아호게의 최초 유래라는 주장이 '도리마가' 편집부를 통해 제기되었다.
  • 2001년 : 아즈마 히로키가 저서 『동물화하는 포스트모던 오타쿠에서 본 일본 사회』에서 아호게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 2003년 (헤이세이 15년)경 : 간토 지방에서도 '아호게'가 일반적인 젊은이 언어로 널리 인지되었다.[4]

3. 1. 1. 단어 발생 전


  • 1909년 - 미국에서 큐피 인형이 등장했다. 처음에는 뻗치는 머리카락이 없었지만, 디자인이 개선되면서 정수리, 앞머리, 옆머리 등에 귀엽게 뻗친 머리카락을 가진 형태가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은 점차 정리되어 뻗쳤다고 말하기는 어려운 정도로 억제되었다. 큐피는 성별이 불특정인 캐릭터이다.[25]
  • 1930년 8월 9일 - 미국에서 베티 붑이 등장했다. 이는 미용 계열의 "아호게" 정의에 부합하며, 해석에 따라서는 만화 계열의 정의에도 맞는 세계 최초의 캐릭터이다. 여성 캐릭터로서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볼 수 있다.[25]
  • 1938년 6월 30일 - 미국에서 슈퍼맨이 등장하면서 만화 『슈퍼맨』 연재가 시작되었다. 슈퍼맨은 만화 계열의 "아호게" 정의에 맞는 뻗친 머리카락을 가진 남성 캐릭터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남성 캐릭터 중에서는 가장 오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5]
  • 1946년 (쇼와 21년) 1월 1일 - 일본에서 만화가 데즈카 오사무데뷔했다.
  • * 마-쨩, 피트를 거쳐 켄이치에 이르는 계보로 이어지는 데즈카 작품에는 아호게를 가진 남성 캐릭터가 처음부터 매우 많았다.
  • ** 데뷔작 『마-쨩의 일기장』의 소년 주인공 마-쨩은 약간 얌전하게, 다음 해 1947년 (쇼와 22년)에 간행된 저술 단행본 『신 보물섬』의 소년 주인공 피트는 분명하게 앞머리에 난 한 가닥의 뻗친 머리카락이 그려져 있다. 피트는 마-쨩의 리파인 캐릭터이지만, 테즈카 작품의 스타 시스템에서 소년 스타 "켄이치"의 원형에 해당한다.[13] 물론 켄이치도 아호게를 가지고 있다. 이처럼 미국과는 달리 일본에서의 "아호게" 캐릭터의 시작은 남성(소년)이었다.[14]
  • 1953년 (쇼와 28년) 1월 - 사파이어의 등장.
  • * 베티 붑처럼 수많은 뻗친 머리카락을 가진 테즈카 캐릭터 (적어도, 이름 있는 테즈카 캐릭터)의 등장은 여성이 먼저였고, 그것은 1953년 1월에 연재를 시작한 『리본의 기사』의 여성 주인공 사파이어이다.[15][16] 다만, 베티 붑처럼 사파이어의 뻗친 머리카락은 남장했을 때에만 그려지는 것으로, 본 모습일 때는 안쪽으로 컬이 들어가는 부드러운 머리 모양을 하고 있어서, 이것을 여성의 예로 간주하는 것이 적절한가 하는 문제가 있다.[25]

3. 1. 2. 단어 발생 후

1970년대 (쇼와 45~54년) 혹은 1980년대 (쇼와 55년~쇼와 64년/헤이세이 원년)에 이미 간사이 지방의 미용업계에서 '아호게'라는 용어가 존재했다고 여겨진다.[4] 적어도 1990년대 (헤이세이 2~11년)에는 간사이 지방의 젊은이 언어로 퍼져 있었다는 것이 서적 등으로 확인된다.[4]

만화 계열 서브컬처 분야[5]에서 '아호게'라는 용어(※ 이 분야에서는 가타카나 표기가 일반적)가 정확히 언제 처음 등장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상업 만화에서는 야마다 난페이의 '쿠미코 & 신고 시리즈' (하쿠센샤소녀 만화 잡지 꽃과 꿈 1990년 20호부터 연재 시작)의 4번째 작품 'STEP UP' 119페이지에서 히로인 쿠미코의 머리카락 한 가닥을 처음으로 '아호게'라고 칭했다.[20]

평론가이자 소설가아즈마 히로키는 자신의 저서 『동물화하는 포스트모던 오타쿠에서 본 일본 사회』(2001년 간행)에서, 자신의 관찰에 따르면 "촉각처럼 솟은 머리카락"은 1990년대 중반의 노벨 게임 '흔적'에서 나타난 것에서 일반화되었다고 주장한다.[12] 해당 게임의 캐릭터인 카시와기 하츠네의 "촉각처럼 솟은 머리카락"은 아호게 그 자체이며, 해당 작품이 발매된 1996년 (헤이세이 8년) 당시부터 ("아호게"라는 명칭은 아니지만) 이러한 표현이 나타났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게임 잡지 '도리마가' 편집부는 증간 『RASPBERRY』 Vol.17 지상에서, 아호게의 최초 유래는 성인 게임 브랜드 "Studio e.go!" (1998년(헤이세이 10년) 5월 22일 창설)의 마스코트 "데보스즈메"라고 주장하며, 아즈마 히로키의 설과 상반된다.

2003년 (헤이세이 15년)경에는 간토 지방에서도 '아호게'가 일반적인 젊은이들 사이에서 쓰이는 말로 보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4] 2003년 (헤이세이 15년) 2월 28일에는 âge사에서 발매한 마브러브에서 감정표현의 도구로 기능하는 아호게가 등장했다.

2018년 (헤이세이 30년) 2월 16일[22]에는 일본에서 '아호게 억제'를 내세운 화장품이 발매되기도 했다. 크라시에가 스타일링 시리즈 "이치카미"의 신제품 "헤어 키프 와소 스틱"을 발매하여, 아호게의 예방 효과를 주된 특징으로 내세웠다.[22][23]

4. 캐릭터 디자인

아호게가 두 가닥인 경우에는 '''더듬이'''라고도 부른다.


애니메이션이나 만화에서 아호게는 머리카락 한 가닥뿐만 아니라, 가는 머리카락 뭉치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아호게'라는 말이 일반화되기 이전에는 더듬이·안테나라고 불렸지만, 나중에는 '촉각'은 아호게가 두 가닥 삐져나온 상태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아졌다. 아호게가 캐릭터 디자인에 사용되는 경우, 그 개수는 한 가닥에서 두 가닥이 대부분이지만, 《마법사에게 소중한 것》의 주인공 키쿠치 유메는 아호게가 세 가닥인 등 예외도 존재한다. 이처럼, 아호게는 캐릭터의 외관을 구성하는 설정상의 요소가 되는 경우가 많다. 또, 아호게는 모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이소노 나미헤이(《사자에상》)처럼 대머리에 머리카락 한 가닥이 나 있는 경우는 아호게라고 불리지 않는다. 아호게는 모발이 다수 존재하는 상태에서 머리카락으로부터 삐죽 솟은 것을 가리키는 명칭이다.

일본 소녀 만화의 효시인 테즈카 오사무의 《리본의 기사》의 주인공 사파이어나, 후년의 《이상한 메르모》의 주인공 메르모에서는 머리카락을 솟구치게 한 캐릭터 조형을 볼 수 있다. 이처럼 호칭 자체는 비교적 새롭지만, 캐릭터 조형법으로서의 역사는 오래되었고 《베티·붑》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아호게는 여성 캐릭터에서 많이 볼 수 있지만, 《케로로 중사》의 히나타 후유키, 《강철의 연금술사》의 에드워드 엘릭, 《뿌요뿌요피버》의 스페셜 인터레스트 그룹, 《정글은 언제나 하레와 구우》의 하레, 《최유기》의 사오정, 《P2! - let's Play Pingpong! -》의 아이카와 히롬, 《스쿨럼블》의 하리마 켄지 등 남성 캐릭터에서도 아호게가 설정된 예는 드물지 않다.

아호게를 가진 남성 캐릭터의 원조는 《정글은 언제나 하레와 구우》(1996년부터 연재 시작)의 하레로 추측된다. 게임에서는 《파이널판타지 택틱스》(1997년)의 주인공 람다 베오르브가 아호게를 가지고 있다. 마야봉앙의 《파타리로!》에서는 잭 밴 코란이나 마라이히, 휴이트 등 장발의 미형 남성 캐릭터들이 곤란할 때, 곤란한 정도에 따라 머리카락 중 한 가닥 또는 몇 가닥, 혹은 다발이 튀어나오는 묘사가 있다.

아메리칸 코믹스에서는 남성 캐릭터의 아호게가 예전부터 존재했다. 예를 들어, 고전 미국 만화의 대표격인 《슈퍼맨》에서는 주인공 슈퍼맨의 앞머리 한 다발이 그려져 있으며, 그것이 그의 트레이드마크가 되었다. 실사 영화 촬영 시, 슈퍼맨을 연기한 배우 크리스토퍼 리브나 브랜던 라우스는 앞머리에 의식적으로 아호게를 만들어 촬영에 임했다.

5. 확장

아호게는 설정이 확장되어 자체에 특수한 능력을 갖거나, 감정이나 표정 변화에 따라 형상이 변하기도 한다(《스파스파》 등). 머리카락에 특수한 능력을 부여하는 예는 미즈키 시게루의 《게게게노 키타로》 주인공 키타로의 ‘요괴 안테나’(요기를 느끼면 머리카락이 곤두선다.)에서 그 원형을 찾을 수 있다. 더 거슬러 올라가면 A·E·밴·보크트의 SF 소설 《스란》의 촉모스란이 원조로 여겨진다. 사토미 케이의 만화 《무슨 요야!?》의 히로인 밀은 키타로와 같은 ‘요괴 안테나’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작품에 대한 오마주이다. 이 안테나를 자르면 능력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는 묘사도 있다. 《무슨 요야!?》는 1982년부터 잡지에 연재되었으며, 여성 캐릭터의 아호게 예시로는 초창기 사례에 속한다.

아호게의 인지도와 지명도가 높아지면서, 캐릭터를 설명할 때 아호게가 중요한 의미를 가지거나, 심지어 아호게 자체가 캐릭터 본인보다 더 중요하게 다뤄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코믹 만화, 애니메이션, 드라마 CD 등에서 《파니포니》의 주요 히로인 중 한 명인 히메코의 아호게는 자유롭게 제외할 수 있거나, 정신파, 전파, 벌레 통지 등 개념적·초자연적인 것, 혹은 외계인과의 첫 만남을 수신하는 등 캐릭터 본인보다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아호게 자체에 인격이 존재하거나, 기생충처럼 히메코를 빼앗으려는 묘사도 있다. 《Fate/hollow ataraxia》에서는 히로인 중 한 명인 세이버의 아호게를 다른 사람이 만지면 다른 인격인 흑세이버가 나타나 인격뿐만 아니라 복장도 순식간에 변한다. 《톱을 노려라2!》에서는 주인공이 아호게를 이용해 수억 단위의 버스터 군단을 지휘하는 등, 아호게에 관한 설정이 더욱 대대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참조

[1] 문서 画像は後世のデジタルアニメ画像。
[2] 웹사이트 あほ毛研究所 - ウテナ マトメージュ http://www.utena.co.[...] 株式会社アイスタイル 2018-05-23
[3] 문서 直後に示す出(記事名:ほんま? 関西伝説 「あほ毛」広がる ぴんぴん出てくる髪指す言葉)における美容関係者の業界人的定義をそのまま辞書的定義の第一と考える。「跳ね出てきてしまう」という業務者視点のニュアンスも含めて定義である。
[4] 뉴스 ほんま? 関西伝説 「あほ毛」広がる ぴんぴん出てくる髪指す言葉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03-11-07
[5] 문서 漫画、アニメ (日本のアニメーション作品)、アニメ、コンピューターゲーム、ドラマCD、等々。
[6] 문서 アホ毛1本は髪の毛1本という解釈をする人もいるが、髪の毛1本分の描写がなされる時、それを「アホ毛」と見なすことは通常的でない。一束になっていない限り、「ただの跳ねた毛」というのが大方の認識である。
[7] 웹사이트 "アホ毛"- あほげ http://jisho.org/wor[...] Jisho.org: Japanese Dictionary 2018-05-23
[8] 웹사이트 ahoge https://jlearn.net/D[...] 2018-05-25
[9] 문서 2018年5月時点で既存のウィキペディア各言語版(スペイン語版、フランス語版、韓国語版、タイ語版、タガログ語版、中国語版)は、日本語第1義に言及することもあるが(※フランス語版、韓国語版、中国語版では言及あり)、ほぼ日本語第2義の "ahoge" のみを解説している。
[10] 문서 『Weblio日中中日辞典』「呆毛」
[11] 웹사이트 ahoge https://www.urbandic[...] Aaron Peckham 2018-05-25
[12] 서적 動物化するポストモダン オタクから見た日本社会 講談社 2001
[13] 웹사이트 ケン一 https://tezukaosamu.[...] 手塚プロダクション 2018-05-25
[14] 문서 後述してもいるが、漫画『サザエさん』の男性キャラクター磯野波平が、禿に1本毛ということで、彼をも「あほ毛」キャラと見なす意見がある。しかしそれでも、1946年4月以降に登場する波平は、手塚のマァチャンより遅い。なお、「禿に1本毛」という表現は古典であり、ここが起源ではない。
[15] 웹사이트 サファイア https://tezukaosamu.[...] 手塚プロダクション 2018-05-25
[16] 문서 手塚作品のスター・システム (小説・アニメ・漫画)|スターシステムの下、1952年(昭和27年)連載開始の『ロック冒険記』に端役として早くも登場しているが、これは単行本化の際に加筆されたもので、『リボンの騎士』での登場より後の描写である。出典は、池田啓晶『手塚治虫キャラクター図鑑』第6巻、朝日新聞社、1998年、p.244。
[17] 웹사이트 流星王子 https://tezukaosamu.[...] 手塚プロダクション 2018-05-25
[18] 웹사이트 ハムエッグ https://tezukaosamu.[...] 手塚プロダクション 2018-05-25
[19] 문서 1950年(昭和25年)10月連載開始の『ジャングル大帝』で、ジャングル大帝#レオ|レオの父ジャングル大帝#パンジャ|パンジャを射殺する狩猟家として登場した時か。そうであれば、天草鉄太郎よりも、サファイアよりも早い。
[20] 문서 花とゆめは月2回の刊行である。号数と刊行日が約1か月分ずれることも計算に入れたうえで、この年の第20号の刊行日は9月下旬と特定できる。日については、時代によって異なる可能性があるため、特定できない。
[21] 문서 年表での表示上の中間点は、1994年(平成6年)7月1日。
[22] 웹사이트 アホ毛・前髪・まとめ髪に直塗りするだけ!「いち髪 ヘアキープ和草スティック」新発売 https://www.sankei.c[...] 産業経済新聞社 2018-05-24
[23] 웹사이트 ヘアキープ和草スティック http://www.ichikami.[...] クラシエホールディングス 2018-05-24
[24] 서적 空想美少女大百科 電脳萌え萌え美少女大集合! 宝島社 1999-01-03
[25] 웹인용 4월 4일의 항 http://www33.ocn.ne.[...] 2005-1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