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상비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비군은 평시에도 유지되며 전쟁에 대비하는 전문 군대를 의미한다. 고대 아시리아, 그리스, 로마 등에서 상비군이 등장했으며, 이는 국가의 강력한 통치와 영토 확장에 기여했다. 상비군은 높은 전투력과 신속한 대응 능력을 갖지만, 막대한 유지 비용이 단점이다. 대한민국은 육해공군과 해병대로 구성된 상비군을 운영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상비군 규모가 더 크지만, 대한민국은 첨단 무기 도입을 통해 질적 우위를 확보하려 한다. 전 세계에는 군대가 없는 국가도 존재하며, 이들은 평화 유지 활동에 기여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세기 신조어 - 무사도
    무사도는 중세 일본에서 시작하여 에도 시대에 발전한 사무라이의 윤리 및 생활 방식으로, 진실성, 충성, 명예 등을 중시하며 선종, 유교 등의 영향을 받아 체계화되었고 현대 사회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 17세기 신조어 - 트윈테일
    트윈테일은 머리카락을 양 갈래로 묶어 늘어뜨린 헤어스타일로, 17세기 피그테일에서 유래되었으며 일본 애니메이션 팬덤에서 인기를 얻어 주류 문화로 자리 잡았다.
  • 군사 제도 - 병역
    병역은 국가가 국민에게 부과하는 국방의 의무로, 군 복무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징병제, 모병제, 민병제 등의 제도를 통해 부과되고 국가별로 제도 운영 방식에 차이가 있으며, 미래 병역 제도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군사 제도 - 예비역
    예비군은 전시 또는 비상 상황 시 국가 방위를 위해 동원되는 군사 예비 인력으로, 각 국가의 군사 제도 및 상황에 따라 구성과 운영 방식이 다르며, 평시에는 치안 유지나 재난 구호 활동 등에 투입되기도 한다.
상비군
지도
기본 정보
유형군대
존속 기간영구적
구성원직업 군인 또는 징집병
반대 개념임시 군대
역사
기원16세기 말 또는 17세기 초
배경중세 시대의 봉건적 군사 체계의 해체
화약과 총기의 발전으로 인한 전술 변화
국왕의 권력 강화와 중앙 집권화
발전17세기 유럽에서 보편화
18세기 이후 전 세계로 확산
특히 프랑스 혁명 이후 징병제를 통해 대규모 상비군 출현
특징
장점높은 훈련도와 전투력
신속한 동원 능력
국가 방위력 강화
국가적 위신 제고
단점막대한 유지 비용
정치적 개입 가능성
권위주의적 성향 강화
사회적 불평등 심화
영향군사 혁명
근대 국가 발전
제국주의적 침략
세계 대전
각국 상비군
대한민국대한민국 국군
징병제와 모병제 혼합 운영
일본자위대
모병제 운영
미국미군
모병제 운영
영국영국군
모병제 운영
프랑스프랑스군
모병제 운영
독일독일 연방군
모병제 운영
러시아러시아 연방군
징병제와 모병제 혼합 운영
중국중국 인민해방군
징병제 운영
참고 자료
추가 정보Dictionary.com의 상비군 정의

2. 역사

고대 메소포타미아와 고대 이집트에서 기원한 상비군은 인류 문명과 함께 발전해 왔다.

아카드 제국의 사르곤이 최초로 상비군을 조직했다고 알려져 있으나,[42] [43] 가장 오래된 기록은 아시리아 티글라트팔라사르 3세의 상비군이다.[44] [45] 키루스 2세페르시아 최초의 정규군을 창설했고,[8] 고대 그리스 도시 국가들은 대부분 시민 징집병이었으나, 스파르타는 예외적으로 상비군을 유지했다.[47] 필리포스 2세는 마케도니아 최초로 연중 봉급을 받는 전문 군대를 만들었다.[47]

고대 중국 서주는 상비군으로 영향력을 확대했고,[50] 진나라는 기원전 678년에 최초로 상비군을 보유했다.[50] 이후 진나라는 기원전 221년 중국 최초의 전문 군대를 창설했다.[51] 고대 인도 16대국 시대에 상비군이 발전했으며, 마가다 빔비사라가 최초로 상비군을 조직했다.[54] 난다 왕조와 마우리아 제국은 대규모 상비군을 운용했다.[55] 로마 제국 아우구스투스 황제 때부터 정규 급여를 받는 전문 상비군이 정비되었다.[56]

중세 유럽에서는 오스만 제국 예니체리, 프랑스 오르도낭스 기병대, 헝가리 흑군, 스페인 제국 테르시오 등이 대표적인 상비군이었다. 서아프리카 송하이 제국은 아스키아 무하마드 1세 통치 시기에 4만 명, 마자파힛 제국은 3만 명의 상비군을 유지했다.[26] [27] [28]

올리버 크롬웰 이전 잉글랜드는 상비군 없이 민병대 등에 의존했다. 크롬웰의 신모델군은 잉글랜드 내전에서 효과적이었으나, 1660년 잉글랜드 왕정 복고 이후 해산되었다.[65] 찰스 2세는 근위대를 편성하여 영국군의 기초를 마련했다. 윌리엄 3세는 군대를 확장했지만, 의회는 왕권 확대를 경계하여 감축했다. 스코틀랜드아일랜드영국군에 통합되었고, 권리장전은 상비군 권한을 의회에 부여했다.[66] [67] 아담 스미스는 『국부론』에서 상비군을 사회 근대화 징후로 언급했다.[68]

미국은 식민지 시절부터 상비군을 불신했다.[69] [70] 미국 헌법은 연방 예산 2년 제한, 재정 관리 권한을 의회에 부여했다. 대통령은 최고사령관으로서 군대 지휘권을 보유하며, 상원이 고위 장교 임명을 승인한다.[71]

한반도에서는 삼국시대, 고려, 조선을 거쳐 다양한 병역 제도가 운영되었다. 1894년 갑오경장으로 근대적 병역 제도가 시작되었고, 1907년 '모병법'과 '육군병적규칙'이 제정되었으나, 1910년 일제 강제 병합으로 사문화되었다.[75]

2. 1. 고대 사회의 상비군

아카드 제국의 사르곤이 최초로 상비군을 조직했다고 알려져 있지만,[42] [43] 가장 오래된 기록은 아시리아의 티글라트팔라사르 3세가 창설한 상비군이다.[44] [45] 키루스 2세페르시아 최초의 정규군을 창설했다.[8] 고대 그리스 도시 국가들의 군대는 대부분 시민 징집병이었으나, 스파르타는 예외적으로 상비군을 유지했다.[47] 필리포스 2세는 마케도니아 최초로 연중 봉급을 받는 전문 군대를 만들었다.[47]

고대 중국에서는 서주가 상비군을 통해 영향력을 확대했고,[50] 진나라가 기원전 678년에 최초로 상비군을 보유했다.[50] 이후 진나라는 기원전 221년 중국 최초의 전문 군대를 창설했다.[51] 고대 인도에서는 16대국 시대에 상비군이 발전했으며, 마가다의 빔비사라가 최초로 상비군을 조직했다.[54] 난다 왕조와 마우리아 제국은 대규모 상비군을 운용했다.[55] 로마 제국에서는 아우구스투스 황제 때부터 정규 급여를 받는 전문 상비군이 정비되었다.[56]

2. 1. 1. 메소포타미아

아카드 제국의 사르곤 대왕은 최초로 상비군을 조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4] 아시리아의 티글라트팔라사르 3세(재위 기원전 745년-727년)는 아시리아 최초의 상비군을 창설했다.[5][6] 그는 민병대를 해산하고 전문 군인에게 봉급을 지급했으며, 이 군대는 주로 아시리아인으로 구성되었지만 외국 용병과 속국 병력으로 보충되었다. 티글라트팔라사르 3세가 창설한 상비군은 당대 가장 정교한 행정 및 경제 제도였고, 전쟁을 기반으로 한 아시리아 경제의 원동력이었다.[7]

2. 1. 2. 고대 페르시아

키루스 2세는 페르시아 최초의 정규군을 창설했으며, 군대 구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고 발전했다.[8]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상비군은 제국에서 가장 용감한 민족인 페르시아인과 메디아인으로 구성되었다. 매년 왕 또는 왕의 대표자가 이 상비군을 점검했을 수 있으며, 비문에는 이를 카라(kāra)라고 불렀다.[9] 이 군대의 중심에는 정예 근위대인 1만 명의 불멸자가 있었다. 헤로도토스는 이 근위병 중 누군가가 사망이나 질병으로 빠지면 즉시 대체되어 수를 채웠다고 기술한다.[10] 이 1만 명의 근위병 중 수천 명은 궁궐의 왕실 호위병을 구성했으며, 그들의 휘장은 창 끝에 금사과 또는 석류였다. 헤라클레이데스 쿠마에우스는 이들을 “사과를 든 자들”이라고 불렀다.[9]

2. 1. 3. 고대 그리스

고대 그리스에서는 도시 국가(폴리스) 군대가 기본적으로 시민으로 구성된 징집군이었다.[11] 예외는 고대 스파르타였는데, 스파르타는 연중(여름뿐만 아니라) 훈련받는 상비군을 유지했다. 5세기까지 고용된 용병을 제외하고는 고대 그리스에서 유일한 전문 군인이었다. 그러나 스파르타 군대는 일반적으로 헤일로타이(농노)로 구성되었는데, 그 수는 스파르티아테보다 훨씬 많았고, 스파르타의 많은 동맹군도 포함되었다.[12]

필리포스 2세는 마케도니아에서 농사를 지어 생계를 유지하고 가끔 원정에 동원되는 시민군이 아닌, 연중 봉급을 받는 병사와 기병으로 구성된 최초의 진정한 의미의 전문적인 헬레니즘 군대를 창설했다.[11]

2. 1. 4. 고대 중국

서주는 상비군을 유지하여 다른 도시 국가들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었다.[13][50] 동주는 초기에는 상비군이 없었고, 150여 개의 도시 국가에서 군대를 징집했다. 진은 기원전 678년에 최초로 상비군을 보유한 국가가 되었다.[13][50] 진나라는 기원전 221년에 중국 최초의 전문 군대를 창설했으며, 이들은 훈련된 전문 군인들로 구성되어 전쟁을 수행했다.[14][15][51][52]

2. 1. 5. 고대 인도

고대 인도에서는 베다 시대부터 전쟁이 존재했다. 하지만 당시 전쟁은 주로 여러 부족과 왕국 간에 크샤트리아 계급에 의해서만 벌어졌다.[52] 인도의 진정한 상비군은 연중 유급 전문 군인을 기반으로 한 16대국 시대에 발전했다.[53] 16대국 중 가장 유명한 것은 마가다 왕국이었다. 인도 최초의 상비군은 통치자 빔비사라에 의해 마가다에서 조직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54] 이 시기 상비군의 사용은 파니니의 저서에서도 확인된다.

난다 제국은 남아시아 최초의 진정한 제국을 형성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대규모 상비군을 유지함으로써 이를 달성했다. 플리니우스에 따르면, 난다 제국은 전성기 때 20만 명의 보병, 2만 명의 기병, 3,000마리의 코끼리, 2,000대의 전차를 운용했다. 마우리아 제국은 난다 제국을 무너뜨리고 당시 최대 규모의 상비군을 편성했다.[55] 플리니우스에 따르면, 그들은 처음에는 다민족 용병에 의존했지만, 궁극적으로 60만 명의 보병, 3만 명의 기병, 9,000마리의 코끼리로 구성된 대규모 전문 군대를 편성했다. 마우리아 제국 시대, 카우틸리아는 저서 아르타샤스트라에서 상비군의 구성과 역할을 상세히 설명했다. 아르타샤스트라에 따르면, 마우리아 제국의 군대는 과거에 행해졌던 크샤트리아 카스트뿐만 아니라 다른 카스트의 사람들도 고용했다.

2. 1. 6. 고대 로마

아우구스투스 황제 통치 기간 동안, 로마 제국의 상비군인 전문적인 정규군이 점차적으로 창설되었고, 정규적인 급여가 지급되었다.[18] 레기온 병사들로 구성된 이 전문 군대는 유지비가 많이 들었지만, 전투 병력뿐만 아니라 주(州) 경찰, 로마 기술병, 그리고 경비병으로서 제국의 권위를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18] 레기온 병사들은 시민 자원병이었으며, 25년의 명예로운 복무를 마치면 제대금을 받을 권리가 있었다. 레기온을 보충한 것은 auxilia|아욱실리아la 즉, 주로 속주의 비시민들로 구성된 보조군이었는데, 이들은 일반적으로 복무에 대한 보상으로 시민권을 얻었다.[18]

2. 2. 중세 및 근대 초기 상비군

중세 유럽에서는 오스만 제국예니체리, 프랑스의 오르도낭스 기병대, 헝가리의 흑군, 스페인 제국테르시오 등이 대표적인 상비군이었다. 이 외에도 서아프리카의 송하이 제국은 아스키아 무하마드 1세 통치 시기에 4만 명의 상비군을 보유했으며,[26] 마자파힛 제국은 3만 명의 상비군을 유지하고 병사와 지휘관에게 금으로 봉급을 지급했다.[27][28]

2. 2. 1. 오스만 제국

무라드 1세는 중세 유럽 최초의 근대 상비군인 예니체리를 창설했다.[19][20][57] [58]

2. 2. 2. 프랑스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 백년 전쟁이 한창이던 1430년대 샤를 7세는 최초로 정규 급여를 받는 상비군을 창설했다.[21] 샤를 7세는 미래 분쟁에 대비해 전문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군대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복무 기간, 구성, 급여를 규정한 "칙령(ordonnances)"을 발표하여 상비군 부대를 편성했다. 이 오르도낭스 기병대(compagnies d'ordonnance)는 15세기 후반과 16세기 초 유럽 전장을 지배했던 프랑스 근위대(gendarmes)의 핵심이 되었다. 이들은 프랑스 전역에 주둔하며 필요에 따라 더 큰 군대에 소집되었다. 비귀족 계층에서 모집된 프랑 아르셰(franc-archer)와 보병 부대도 있었지만, 백년 전쟁이 끝난 후 해산되었다.[21]

전쟁을 위한 보병의 대부분은 여전히 도시 또는 지방 민병대로 구성되었는데, 특정 지역이나 도시에서 모집되어 현지에서 싸웠으며 모집 지역의 이름을 따 명칭이 붙었다. 1480년대에는 스위스 교관들이 고용되어 일부 '반데(bandes)'(민병대)가 최대 9,000명에 달하는 임시 '군단'으로 통합되기도 했다. 병사들은 급료를 받고 계약을 맺었으며 훈련을 받았다.

앙리 2세는 민병대 체제를 대체하기 위해 상비 보병 연대를 편성하여 프랑스 군대를 더욱 정규화했다. 최초의 연대인 피카르디, 피에몬테, 나바라, 샹파뉴 연대는 "레 비유 코르(Les Vieux Corps)"(구 연대)라고 불렸으며, 전쟁이 끝난 후 비용 절감을 위해 연대를 해산하는 것이 일반적인 정책이었기 때문에 "비유 코르"와 국왕의 친위대(프랑스 국왕의 군사 가정(Maison militaire du roi de France))만이 유일하게 남았다.

2. 2. 3. 헝가리

마티아스 코르비누스가 흑군을 창설했는데, 이는 중앙/동유럽 최초의 상비군이었다.[22] 헝가리는 1420년대부터 국경 요새의 수비대 형태로 상비군을 유지해 왔다.[23] 마티아스는 보병에서 초기 화기의 중요성과 핵심적인 역할을 인지했고, 이는 그의 승리에 크게 기여했다.[24] 흑군 병사 4명 중 1명은 아르케뷰스를 소지했는데, 당시로서는 이례적인 비율이었다. 중세 화약의 높은 가격 때문에 더 늘릴 수 없었다.[25] 군의 주력 부대는 보병, 포병, 경기병 및 중기병이었다. 중기병의 역할은 경장갑 보병과 포병을 보호하는 것이었고, 다른 부대는 적에게 산발적이고 기습적인 공격을 가했다.

2. 2. 4. 스페인

스페인 제국테르시오는 전문 군인들로 구성된 최초의 스페인 상비군이었다. 이들의 Pike and shot|창과 총 병용 전술영어은 16세기부터 17세기 전반까지 유럽 전장에서 우위를 점하게 했다.[31] 다른 강대국들도 테르시오 편제를 채택했지만, 그들의 군대는 스페인 군대의 무서운 명성에 미치지 못했다. 전문 군인으로 구성된 스페인 군사력의 핵심은 다른 국가들이 대항하기 어려웠다.[31]

2. 2. 5. 송하이 제국

아스키아 무하마드 1세(1493–1528) 통치 시대에 송하이 제국은 4만 명의 상비군을 보유하고 있었다.[26] 연대기 작가 알-사디는 『타리흐 알-수단』에서 아스키아 무하마드 1세의 군대를 그의 전임자인 수니 알리(1464–1492) 시대와 비교하며 "그는 민간인과 군대를 구분했다."라고 적었다. 아스키아 무하마드 1세는 자신의 것과 같은 상비군을 갖추지 못한 왕국들, 특히 보르구 지역의 이웃 왕국들을 비웃는 태도를 보였다고 한다.[26]

Tarikh al-Sudan|수단의 역사프랑스어』에 따르면, 아스키아 무함마드(재위: 1493년–1529년)가 왕위를 계승했을 무렵의 송가이는, 동맹국이나 정복한 국가로부터 모집한 병사와 근위 기병(상비군)을 가지고 있었다. 『수단의 역사』의 저자 Abderrahmane Es Saâdi|압드 알 라흐만 이븐 압드 알라 사디|사디프랑스어에 따르면, 손니 알리(재위: 1464년–1492년) 시대에는 "모두가 전사"였지만, 아스키아 무함마드는 "문민과 전사를 구별했다"고 한다.

2. 2. 6. 마자파힛 제국

마자파힛 제국은 3만 명의 상비군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병사와 지휘관들에게는 금으로 봉급을 지급했다. 이는 동남아시아 제국 중 극소수만이 달성할 수 있었던 업적이다.[27][28]

2. 3. 근대 이후 상비군

올리버 크롬웰 이전 잉글랜드는 상비군 없이 민병대, 사병, 용병에 의존했다. 크롬웰은 잉글랜드 내전에서 5만 명의 신모델군을 창설하여, 훈련받지 않은 민병대보다 효과적임을 입증하고 국가를 장악했다. 그러나 이 군대는 1660년 잉글랜드 왕정 복고 이후 의회에 의해 해산되었고, 초기에는 실패로 여겨졌다.[65]

1661년 민병법(The King's Sole Right over the Militia Act 1661)으로 지방 관리들의 민병대 소집이 제한되자, 찰스 2세는 122000GBP 예산으로 보병과 기병 4개 연대를 편성하여 근위대라 불렀고, 이것이 영국군의 기초가 되었다. 1685년에는 야전 부대 7,500명, 주둔지 1,400명으로 늘어났다. 몬머스의 반란을 계기로 제임스 2세는 군대를 2만 명으로 늘렸고, 1688년에는 3만 7천 명이 되었다. 윌리엄 3세는 1689년에 7만 4천 명, 1694년에는 9만 4천 명으로 군대를 확장했다. 그러나 의회는 왕의 권력 확대를 경계하여 1697년 상비병력을 7,000명으로 감축했다.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는 이론적으로 별개 군사 조직을 가졌지만, 사실상 영국군에 통합되었다. 권리장전은 상비군에 대한 권한을 왕이 아닌 의회에 공식 부여했다.[66] [67] 아담 스미스는 『국부론』에서 상비군을 사회 근대화의 징후로 언급했다.[68]

미국은 13개 식민지 시절부터 상비군에 대한 강한 불신이 있었다.[69] [70] 미국 헌법 제1조 제8항은 연방 예산을 2년으로 제한하고, 재정 관리 권한을 의회에 부여했다. 대통령은 최고사령관으로서 군대 지휘권을 보유한다. 필라델피아 헌법 제정 회의 참여자들은 상비군에 대한 불신을 반영하여, 상원이 고위 장교 임명과 승진을 승인하도록 헌법에 명시했다.[71] 엘브리지 게리는 1787년 필라델피아 헌법 제정 회의에서 대규모 상비군을 비판하며, "국내 평화는 보장되지만, 해외 모험을 기도하는 위험한 유혹이 되기도 한다."라고 말했다.[72] 미영 전쟁 중 1814년 블래든스버그 전투에서 주방위군이 영국군에게 패배하자, 제임스 매디슨 대통령은 정규군과 주방위군의 큰 차이를 언급했다.[73]

2. 3. 1. 잉글랜드와 영국

올리버 크롬웰(Oliver Cromwell) 이전 잉글랜드에는 상비군이 없었고, 지역 관리들이 조직한 민병대, 귀족들의 사병, 유럽에서 고용한 용병에 의존했다. 잉글랜드 내전(English Civil War) 동안 크롬웰이 5만 명 규모의 신모델군(New Model Army)을 창설하면서 이러한 상황은 바뀌었다. 이 정규군은 훈련받지 않은 민병대보다 효과적이었고, 크롬웰에게 전국을 장악할 힘을 주었다. 이 군대는 1660년 왕정복고(Restoration) 이후 영국 의회(Parliament of the United Kingdom)에 의해 해산되었고, 크롬웰식 모델은 초기에는 여러 문제로 인해 실패로 여겨졌다.[32]

1661년 민병법(Militia Act 1661)은 지역 관리들이 왕의 승인 없이 민병대를 소집하는 것을 금지했다. 찰스 2세(King Charles II)는 이후 4개의 보병 및 기병 연대를 편성했는데, 이들은 122000GBP의 정규 예산으로 유지되었고, 그의 경비대로 불렸다. 이것이 영국 상비군(British Army)의 기초가 되었다. 1685년까지 상비군은 행군 연대에 7,500명, 주둔지에 1,400명으로 늘어났다. 1685년의 모너머스 반란(Monmouth Rebellion)은 제임스 2세(James II)에게 군대 규모를 2만 명으로 늘릴 구실을 제공했고, 1688년에는 3만 7천 명에 달했다. 1689년 윌리엄 3세(William III)는 군대를 7만 4천 명으로, 1694년에는 9만 4천 명으로 확장했다.

의회는 대규모 병력이 왕의 직접 지휘하에 있을 때 왕에게 주는 권력에 불안감을 느껴 1697년에 병력을 7,000명으로 감축했다.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는 이론적으로는 별도의 군사 조직을 가지고 있었지만, 사실상 영국군과 통합되었다. 1689년 권리장전(Bill of Rights 1689)은 상비군에 대한 권한을 왕이 아닌 의회에 공식적으로 부여했다.[33][34]

경제학자 애덤 스미스(Adam Smith)는 그의 저서 「국부론(The Wealth of Nations)」(1776)에서 상비군은 현대 사회 발전의 징후라고 언급했다.[35]

2. 3. 2. 미국

미국은 13개 식민지 시대부터 민간 통제를 받지 않는 상비군에 대한 강한 불신이 있었다.[36][37] 미국 헌법 제1조 제8항은 연방 예산 배정을 2년으로 제한하고, 대통령이 아닌 의회에 재정 통제권을 부여했다. 그러나 대통령은 상비군이 창설되면 계엄사령관으로서 군의 '지휘권'을 유지한다.[1] 헌법 제정자들의 상비군에 대한 의심은 고위 군 장교 임명 및 승진이 (민간 관리와 마찬가지로) 상원의 동의를 거쳐야 한다는 헌법적 요구사항에 반영되어 있다.[38] 1787년 헌법 제정 회의에서 엘브리지 게리는 대규모 상비군에 반대하며, 상비군을 '늘 서 있는 음경'에 비유하기도 했다. "국내 안정을 보장하는 훌륭한 수단이지만, 해외 모험에 대한 위험한 유혹이다."[39] 1812년 전쟁 중인 1814년 블래든스버그 전투에서 메릴랜드와 버지니아 주방위군이 영국군에게 참패한 후, 제임스 매디슨 대통령은 "정규군과 주방위군 사이에 이렇게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이날의 광경을 목격하기 전에는 결코 믿을 수 없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40]

2. 4. 한반도 병역제도의 변천사

한반도에서는 고대부터 삼국시대, 고려, 조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의 병역 제도가 운영되었다. 1894년 갑오경장은 근대적인 병역 제도로의 개혁이 이루어진 계기였다. 조선 말기 순국열사 홍범식은 국정개혁의 일환으로 병역제도의 개혁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1907년 7월 '모병법'이 공포되었고, 이듬해 8월에는 '육군병적규칙'이 제정ㆍ공포되었다. 그러나 1910년 일제의 강제 병합으로 '육군병적규칙'은 사문화(死文化)되었다.[75]

2. 4. 1. 고대 ~ 조선 시대

고대부터 삼국시대까지는 국민개병제를 채택하였다. 평시에는 농업 등 생업에 종사하도록 하다가 비상시에만 동원하는 병농일치제로서 스위스 민병제 개념으로 보면 된다.

고려 시대에는 외적의 침입이 빈번한 편이어서 당시의 군사적 상황에 대응하기 위하여 직업군인으로 구성된 상비군 제도와 의무병을 주로 한 예비군 제도를 병행하였다. 따라서 평시에는 지방별로 최소한의 상비군만 유지하면서 생업에 종사하도록 하다가 유사시에만 동원 명령을 내렸다. 당시에는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국민이면 누구나 군에 편입시켰으며, 필요에 따라 16세 이상 60세 이하의 모든 남자에게 군역을 부여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평시에도 16세부터 60세까지 모든 남자에게 국방의 의무를 부여하는 국민개병주의 체제로 발전하였는데, 일부에서는 병역 의무를 면제해 주는 대신 삼베나 무명을 납부하는 군포제를 실시하다가, 이로 인한 백성의 부담이 크다 하여 종래 납부하던 군포의 양을 반으로 줄이고 그 부족분을 어업세ㆍ소금세ㆍ선박세 등으로 보충한 균역제(均役制)로 변경하는 등 이른바 병역물납제(兵役物納制)를 병행 실시하였다.

그러나 임진왜란 후에는 당초 병역 의무 면제 대상이었던 종이나 하인에게도 군역을 부과하였으며, 후기가 되자 양반에게는 이를 면제한 대신 평민에게만 병역을 부과하여 국민개병주의 정신을 희석시켰다. 더욱이 사망자와 심지어는 태아까지 병적에 등록시켜 터무니없이 세금을 거두어들이는 등 사회적 물의를 야기함으로써 결국 조선조가 붕괴되는 한 원인을 제공하였다.[75]

2. 4. 2. 근대 이후

1894년 갑오경장으로 근대적인 병역 제도가 도입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조선 말기 순국열사 홍범식은 국정개혁의 일환으로 병역제도의 개혁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1907년 7월 '모병법'이 공포되었고, 이듬해 8월에는 병적 관리에 관한 규정인 '육군병적규칙'이 제정ㆍ공포되었다.[75] 이 규칙에는 병역의무 연령과 역종 구분, 복무 한계와 전ㆍ평시 병력 충원 방안 등이 마련되어 근대적인 병역 제도의 틀을 갖추었으나, 1910년 일제의 강제 병합으로 사문화(死文化)되었다.[75]

3. 상비군의 장단점

상비군은 전문성과 높은 전투력, 신속한 부대 운용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막대한 예산 소요와 국가 재정 부담이라는 단점도 존재한다.[1]

3. 1. 장점

상비군은 오직 전쟁에만 전문적으로 대비하는 군대이기에 전문성이 높고, 평시에도 해산하지 않고 유지되며, 훈련을 통해 높은 전투력을 갖는다. 또한 병사 징집으로 인한 생산력 변동 없이, 이미 준비된 부대를 신속하게 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 덕분에 군인에게 요구되는 기술이 다양한 현대전에서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가 상비군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1]

3. 2. 단점

상비군은 평시에도 군대를 유지해야 하므로 막대한 예산이 소요된다. 고대부터 상비군이 전쟁에서 유리하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었지만, 군대를 육성하고 유지하는 데에는 많은 비용과 인력 등 자원이 필요했다. 이는 국가 체제를 유지하는 데 큰 부담이었기 때문에 상비군 유지는 쉽지 않은 일이었다.[1]

특히 생산력이 부족하여 국가 구성원 대부분이 생업에 종사해야 했던 과거에는, 오로지 군사 임무에만 종사하는 상비군을 대량으로 확보하는 것이 더욱 어려웠다. 이 때문에 통치자들은 농번기에는 군대를 해산하고 농사를 짓게 한 후, 전쟁이 발발하면 다시 징집하는 방식을 택하는 경우가 많았다.[1] 중세 시대의 전쟁 기록을 보면, 농번기가 되면 군대를 해체하여 농민들을 추수에 투입하고, 이후 다시 징집하여 전쟁을 이어가는 방식으로 묘사되어 있다.[1]

4.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상비군 현황

대한민국 국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민군은 각각 육군, 해군, 공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당한 규모의 상비군을 유지하고 있다. 2022년 기준, 북한군은 병력 규모에서 한국군보다 우위에 있지만, 한국군은 질적 측면에서 우세하다는 평가를 받는다.[76] 북한의 핵 및 미사일 개발은 한국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이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77]

군사별202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대한민국
병력(평시)
육군110만여 명36.5만여 명
해군6만여 명7만여 명 (해병대 2.9만여 명 포함)
공군11만여 명6.5만여 명
전략군1만여 명
128만여 명50만여 명
주요 전력
육군
부대
군단(급)1512 (해병대 포함)
사단8436 (해병대 포함)
기동여단
여단(독립여단)11732 (해병대 포함)
장비
전차4,300여 대2,200여 대 (해병대 포함)
장갑차2,600여 대3,100여 대 (해병대 포함)
야포8,800여 문5,600여 문 (해병대 포함)
다련장/방사포5,500여 문310여 문
지대지 유도무기발사대 100여 기 (전략군)발사대 60여 기
해군
수상함정
전투함정420여 척90여 척
상륙함정250여 척10여 척
기뢰전함정(소해정)20여 척10여 척
지원함정40여 척20여 척
잠수함정70여 척10여 척
공군
전투임무기810여 대410여 대
감시통제기30여 대 (정찰기)70여 대 (해군 항공기 포함)
공중기동기 (AN-2 포함)350여 대50여 대
훈련기80여 대190여 대
헬기 (육·해·공군)290여 대700여 대


5. 상비군이 없는 국가

군대가 없는 나라는 23개국으로 판단된다. 군대의 개념을 어디까지 보느냐에 따라 분류를 달리해야 하는 나라도 있지만, 대부분은 전혀 군사력이 없는 소국이다. 안도라, 코스타리카, 리히텐슈타인, 바티칸, 사모아, 나우루, 키리바시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아이슬란드, 아이티, 모나코, 파나마 등 최소한의 준군사 조직을 제외하고는 상비군이 없는 나라들도 있다. 미크로네시아 연방공화국처럼 독립하면서 군대 없이 나라를 세운 경우도 있고, 코스타리카처럼 완전한 무장 해제 과정을 밟은 나라도 있다. 1948년 짧지만 격렬했던 내전 이후 군을 해체하고, 이를 헌법에 새겨 넣은 코스타리카가 좋은 예이다. 파나마도 1990년 미국의 침공 이후, 일부 전투력을 갖춘 공공 치안 담당 조직을 빼고는 군을 해체했다. 이러한 국가들은 군대가 없다는 사실 자체를 자랑으로 여기고, 나아가 국제사회에서 평화 유지 세력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코스타리카는 UN평화대학 본부를 유치했고, 아이슬란드 역시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팔레스타인에서 평화 유지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78]

참조

[1] 서적 A Necessary Evil, A History of American Distrust of Government Simon & Schuster 1999
[2] 웹사이트 Standing army Definition of Standing army at Dictionary.com https://www.dictiona[...] 2021-04-20
[3] 웹사이트 First standing army https://www.guinness[...] 2021-01-07
[4]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State in the Ancient Near East and Mediterranean https://books.google[...] OUP USA 2013-01-31
[5] 서적 Transnationalism in Ancient and Medieval Societies: The Role of Cross-Border Trade and Travel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6-03-21
[6]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Greece and Rome: A Brief History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4
[7] 서적 100 Turning Points in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9-08-26
[8] 서적 From Cyrus to Alexander: A History of the Persian Empir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2002
[9] 웹사이트 ACHAEMENID DYNASTY, I/4, pp. 414-426 https://iranicaonlin[...]
[10] 서적 From Cyrus to Alexander: A History of the Persian Empir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2002
[11] 서적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A Dictionary of Arts, Sciences and General Literature https://books.google[...] Werner 1893
[12] 서적 Elite Military Formations in War and Peace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6
[13] 서적 The Confucian-Legalist State: A New Theory of Chinese History: A New Theory of Chi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10-16
[14] 서적 History of China's Military https://books.google[...] Vij Books India Pvt Ltd 2016-05-24
[15] 서적 A Day in a Working Life: 300 Trades and Professions through History [3 volumes]: 300 Trades and Professions through History https://books.google[...] ABC-CLIO 2015-04-21
[16] 서적 Warfare in Pre-British India – 1500 BCE to 1740 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6-03
[17] 서적 Warfare in Pre-British India – 1500BCE to 1740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6-03
[18] 서적 Policing the Roman Empire: Soldiers, Administration, and Public Order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19] 서적 Ottoman Centuries: The Rise and Fall of the Turkish Empire Morrow Quill Paperbacks 1977
[20] 서적 Lords of the Horizons: A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H. Holt 1998
[21] 서적 Harper Encyclopedia of Military History 1993
[22] 서적 A Fekete Sereg (The Black Army) Csengőkert Kiadó 2015
[23] 서적 From Nicopolis to Mohács: A History of Ottoman-Hungarian Warfare, 1389–1526 Brill 2018-09-20
[24]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Medieval Warfare and Military Technology, Volume I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8-10
[25] 웹사이트 A thousand years of the Hungarian art of war http://www.hungarian[...] Rakoczi Press 2010-10-11
[26] 서적 Warfare in Atlantic Africa, 1500–1800 Taylor and Francis
[27] 서적 Singapore and the Silk Road of the Sea, 1300-1800 NUS Press 2013
[28] 서적 Ancient Southeast Asia Routledge 2017
[29] 서적 Early Kingdoms of the Indonesian Archipelago and the Malay Peninsula Editions Didier Millet 2006
[30] 서적 Hikayat Majapahit - Kebangkitan dan Keruntuhan Kerajaan Terbesar di Nusantara Elex Media Komputindo 2020
[31] 서적 The Hispanic World in Crisis and Change, 1578–1700 Blackwell 1992
[32] 서적 The History of England from the accession of James the Second 1913
[33]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British army 2003
[34] 서적 Britain and her army, 1509–1970: a military, political and social survey 1970
[35] 웹사이트 An Inquiry into the Nature And Causes of the Wealth of Nations http://www.adamsmith[...] 1776
[36] 웹사이트 American Resistance to a Standing Army https://teachinghist[...] Roy Rosenzweig Center for History and New Media at George Mason University
[37] 서적 An Oration Delivered March 5, 1781, at the Request of the Inhabitants of the Town of Boston, to Commemorate the Bloody Tragedy of the Fifth of March 1770 Thomas and John Fleet 1781
[38] 서적 Congress and Civil-Military Relations https://books.google[...] Georgetown University Press 2015
[39] 서적 Benjamin Franklin: An American Life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2003
[40] 서적 The War of 1812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2002
[41] 웹사이트 Standing army Definition of Standing army at Dictionary.com https://www.dictiona[...] 2021-04-20
[42] 웹사이트 First standing army https://www.guinness[...] 2021-01-07
[43]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State in the Ancient Near East and Mediterranean https://books.google[...] OUP USA 2013-01-31
[44] 서적 Transnationalism in Ancient and Medieval Societies: The Role of Cross-Border Trade and Travel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6-03-21
[45]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Greece and Rome: A Brief History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4
[46] 서적 100 Turning Points in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9-08-26
[47] 서적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A Dictionary of Arts, Sciences and General Literature https://books.google[...] Werner 1893
[48] 서적 Elite Military Formations in War and Peace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6
[49] 서적 The Military History of Remote Antiquity Period and The Three Dynasties (Xia, Shang and Zhou Dynasty) https://books.google[...] DeepLogic
[50] 서적 The Confucian-Legalist State: A New Theory of Chinese History: A New Theory of Chi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10-16
[51] 서적 History of China's Military https://books.google[...] Vij Books India Pvt Ltd 2016-05-24
[52] 서적 A Day in a Working Life: 300 Trades and Professions through History [3 volumes]: 300 Trades and Professions through History https://books.google[...] ABC-CLIO 2015-04-21
[53] 서적 Warfare in Pre-British India – 1500 BCE to 1740 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6-03
[54] 서적 Warfare in Pre-British India - 1500BCE to 1740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6-03
[55] 웹사이트 The Maurya and Gupta Empires (article) https://www.khanacad[...] 2021-01-07
[56] 서적 Policing the Roman Empire: Soldiers, Administration, and Public Order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57] 서적 Ottoman Centuries: The Rise and Fall of the Turkish Empire Morrow Quill Paperbacks 1977
[58] 서적 Lords of the Horizons: A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H. Holt 1998
[59] 웹사이트 【ブキ】とは・意味 https://www.excite.c[...] 2021-05-10
[60] 서적 Harper Encyclopedia of Military History 1993
[61] 서적 A Fekete Sereg (The Black Army) Csengőkert Kiadó 2015
[62] 서적 From Nicopolis to Mohács: A History of Ottoman-Hungarian Warfare, 1389-1526 Brill 2018-09-20
[63] 서적 The Hispanic World in Crisis and Change, 1578–1700 Blackwell 1992
[64] 서적 Warfare in Atlantic Africa, 1500–1800 (Warfare and History) UCL Press 1999
[65] 서적 The History of England from the accession of James the Second 1913
[66]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British army 2003
[67] 서적 Britain and her army, 1509–1970: a military, political and social survey 1970
[68] 서적 An Inquiry into the Nature And Causes of the Wealth of Nations 1776
[69] 웹사이트 American Resistance to a Standing Army https://teachinghist[...] Roy Rosenzweig Center for History and New Media at George Mason University
[70] 서적 An Oration Delivered March 5, 1781, at the Request of the Inhabitants of the Town of Boston, to Commemorate the Bloody Tragedy of the Fifth of March 1770 Thomas and John Fleet 1781
[71] 서적 Congress and Civil-Military Relations https://books.google[...] Georgetown University Press 2015
[72] 서적 Benjamin Franklin: An American Life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73] 서적 The War of 1812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74] 서적 전쟁의 역사 사회평론아카데미 2023-01-12
[75] 웹인용 병무행정 개요 - 병역제도의 변천사 https://www.mma.go.k[...] 2023-05-01
[76] 웹인용 '남북 군사력 현황' https://kosis.kr/sta[...] 2023-04-19
[77] 뉴스 한군 병력 南보다 2.5배…남북 군사력은 https://www.yna.co.k[...] 2023-02-16
[78] 뉴스 군대가 없는 나라는 어디? https://newspeppermi[...] 2014-06-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