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몬 (철학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티몬은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로, 회의주의 학파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는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의 기록에 따르면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저술했으며, 특히 풍자시인 《실로이》가 유명하다. 티몬은 무용수로 시작하여 철학을 공부했고, 스틸폰, 피론 등의 영향을 받았으며, 안티고노스 2세 고나타스, 프톨레마이오스 2세 필라델포스 등과 교류했다. 그의 작품은 회의론과 풍자를 다루었으며, 90세 경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3세기 시인 - 에라토스테네스
에라토스테네스는 고대 그리스의 학자로서,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의 관장을 역임하며 지구의 둘레를 정확하게 계산하고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고안하는 등 수학, 과학, 지리학 분야에서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 기원전 3세기 시인 - 굴원
굴원은 초나라의 정치가이자 시인으로, 친제파의 수장으로서 진나라와의 동맹을 반대하다가 좌천되어 멱라강에 투신 자결했으며, 그의 작품은 애국심을 담고 있으며 단오절 풍습의 기원이 되었다. - 기원전 3세기 철학자 - 테오프라스토스
테오프라스토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제자이자 리케이온 학파의 후계자인 고대 그리스 철학자이자 과학자로, 특히 식물학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겨 "식물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식물 연구와 기상학, 논리학, 윤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 기여했다. - 기원전 3세기 철학자 - 에피쿠로스
에피쿠로스는 기원전 341년 사모스에서 태어난 고대 그리스 철학자로, 원자론적 유물론에 기반한 자연학과 쾌락을 최고의 선으로 보는 윤리학을 주창하며 쾌락주의 철학의 시조로 여겨지고, 아타락시아를 강조하며 '에피쿠로스의 정원' 공동체를 통해 철학적 삶을 추구했다. - 기원전 3세기 사망 - 사모스의 아리스타르코스
사모스의 아리스타르코스는 기원전 3세기 사모스 출신 천문학자로, 지구 중심설에 기반한 천체 계산법을 제시한 저서와 더불어 태양 중심설을 주장하여 코페르니쿠스 혁명의 선구자로 인정받고 있다. - 기원전 3세기 사망 - 에우클레이데스
에우클레이데스는 기원전 300년경 고대 그리스 수학자로,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을 통해 유클리드 기하학의 기초를 다지고 유클리드 호제법, 소수의 무한성 증명 등 수론에도 기여하여 서양 수학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다.
티몬 (철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철학자 정보 | |
![]() | |
이름 | 티몬 |
출생일 | 기원전 325-320년 경 |
출생지 | 플리우스 |
사망일 | 기원전 235-230년 경 (약 90세) |
학파 | 피론주의 |
주요 관심사 | 인식론 |
영향을 줌 | 피론, 데모크리토스, 크세노파네스 |
영향을 받음 | 피론주의, 섹스투스 엠피리쿠스, 아에네시데무스 |
지역 | 서양 철학 |
시대 | 헬레니즘 철학 |
2. 생애
티몬의 생애에 대한 주요 자료는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가 저서 《유명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에서 인용한 내용이다.[11] 이 내용은 현재는 소실된 니케아의 아폴로니데스, 카리스토스의 안티고노스, 소티온 등 초기 저자들의 기록에서 가져온 것이다.
2. 1. 초기 생애
티몬은 티마르코스의 아들로 필레이우스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고아가 된 그는 처음에는 극장에서 무용수로 일했으나, 철학에 뜻을 품고 메가라로 이주하여 스틸폰에게 가르침을 받았다.[11] 고향으로 돌아와 결혼한 후, 아내와 함께 엘리스로 이주하여 피론의 강의를 듣고 그의 견해를 따랐다.[11]2. 2. 후기 생애
티몬은 엘리스에 거주하면서 자녀를 양육했고, 의학을 가르치고 철학을 연구했다.[11] 가난 때문에 엘리스를 떠나 다르다넬스 해협과 마르마라해 지역에서 소피스트로 활동하며 재산을 모았다.[11] 이후 아테네로 이주하여 테베에서 잠시 거주한 기간을 제외하고 죽을 때까지 그곳에서 살았다.[11] 티몬은 여행 중에 안티고노스 2세 고나타스, 프톨레마이오스 2세 필라델포스 등과 교류했다.[11] 수다 사전에 따르면, 그는 알렉산더 아이톨루스, 비잔티움의 호메루스 등 여러 문학가들과 교류하며 그들의 비극 작성을 도왔고, 아라토스를 가르쳤다고 한다.[1] 그는 거의 9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 저술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에 따르면, 티몬은 서정시, 서사시, 비극, 풍자극, 30편의 희극, 60편의 비극, 실로이, 애정시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저술했다.[2]
3. 1. 실로이 (Σίλλοι)
티몬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풍자시인 ''실로이''(Σίλλοι)였다. 이 단어는 우스꽝스럽고 풍자적인 내용을 담은 운문 작품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크세노파네스가 이 장르를 창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실로이''는 총 3권으로 구성되었는데, 1권은 티몬의 독백, 2권과 3권은 티몬과 크세노파네스의 대화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티몬이 질문을 던지면 크세노파네스가 자세하게 답변하는 방식이었다.[3]이 시는 생존 및 사망한 철학자들의 교리를 풍자적으로 다루었으며, 회의주의적 관점을 담고 있었다.[3] 헥사미터 운율로 쓰였으며, 고대 작가들의 언급과 현재 남아있는 일부 단편들을 통해 훌륭한 작품이었음을 알 수 있다.[3] 아폴로니데스와 소티온이 ''실로이''에 대한 주석을 썼다.[4]
3. 2. 기타 작품
Ἰνδαλμοι|인달모이el는 엘레게이아로 쓰인 시로, 《실로이》와 비슷한 주제를 다룬 것으로 보인다.[5] 《이아무스》는 풍자시를 의미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6] 《아르케실라우스의 장례 연회》는 서사시 형식의 풍자시였을 것으로 추정된다.[7] 티몬은 호메로스를 패러디한 작품을 쓰기도 했다.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에 따르면 티몬은 2만 행에 달하는 분량의 산문 작품을 저술했다. 《감각에 관하여》, 《탐구에 관하여》, 《지혜를 향하여》 등의 제목이 언급된다. 《물리학자 반대론》은 가설을 세우는 것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 작품이다.[8] Πύθων|파이톤el은 델포이 신탁으로 가는 여정에서 피론과의 대화를 담은 작품으로, 에우세비우스가 아리스토클레스를 인용하여 보존한 내용이 전해진다.[9]
참조
[1]
서적
Aratos
[2]
서적
1999
[3]
서적
ix. 115
[4]
서적
viii. 336
[5]
서적
ix. 65
[6]
서적
ix. 110
[7]
서적
ix. 115
[8]
서적
Against the Geometers
Harvard University Press
1949/2000
[9]
서적
Praeparatio Evangelica Chapter 18
[10]
웹사이트
Praeparatio Evangelica Book XIV
https://www.tertulli[...]
2023-01-27
[11]
서적
ix. c. 12. §§ 109–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