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메스와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라메스와라는 14세기 말~15세기 초 동남아시아의 인물로, 말라카 술탄국의 건국자로 알려져 있다. 그는 힌두교 신자로 추정되나 이슬람으로 개종했는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파라메스와라는 팔렘방에서 싱가포르로 도망쳐 통치하다가 마자파힛의 침략으로 쫓겨난 후, 말라카를 건설했다. 그는 말라카를 국제적인 무역항으로 발전시켰고, 명나라와 외교 관계를 맺어 보호를 받았다. 파라메스와라의 말라카 건국은 동남아시아 해양 지역의 이슬람 확산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파라메스와르 | |
---|---|
기본 정보 | |
칭호 | 파라메스와라 |
즉위 | 1402년 ~ 1414년 |
칭호 | 싱가푸라의 라자 |
통치 기간 | 1389년 ~ 1398년 |
사망 | 1414년 (70세) |
사망 장소 | 믈라카, 믈라카 술탄국 |
매장지 | 탄중 투안, 믈라카 또는 부킷 라랑안, 싱가포르 |
종교 | 힌두교 |
정치 | |
계승 순서 | 초대 믈라카의 술탄 |
전임 | 술탄국 건국 |
후임 | 메가트 이스칸다르 샤 |
계승 순서 | 제5대 싱가푸라의 라자 |
전임 | 스리 마하라자 |
후임 | 왕국 해체 |
가족 | |
배우자 | 푸테리 라트나 |
자녀 | 메가트 이스칸다르 샤 |
아버지 | 스리 마하라자 |
2. 어원
파라메스와라라는 이름은 "최고의 주"를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단어 'Parameśvara'(파라메슈바라/परमेश्वरsa)에서 파생된 힌두교 이름이다.[3] "파라마"는 "최고의"를 뜻하며, Ishvara에 강조하는 의미로 추가되었다. ''Parameśvara''는 또한 시바 신의 이름 중 하나이다. 포르투갈 자료인 ''수마 오리엔탈''에서는 'Paramicura' 또는 'Parimicura'로 표기된다.[3] 말레이 연대기에서는 이스칸다르 샤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는데, 이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을 의미하는 페르시아어 '이스칸다르'와 왕을 뜻하는 '샤'가 결합된 것이다. ''말레이 연대기''의 이스칸다르 샤와 파라메스와라가 그들의 전기에서 특정 공통점을 바탕으로 동일 인물이라는 추측이 제기되었다.[4] 명실록(''명실록'')에는 파라메스와라의 배필인 바-얼-미-수-리(八兒迷蘇里) (Parameswari)가 명나라 궁정에서 바이-리-미-수-라(拜里迷蘇剌, 'Parameswara') 왕과 함께 연회에 참석한 기록이 있다.[5] '파라메스와리'(Parameswari, "최고의 여주")는 상 니라 우타마의 장모인 파라메스와리 이스칸다르 샤 여왕에게 ''말레이 연대기''에서 사용된 것처럼, 주어진 이름이 아닌 칭호일 가능성이 더 높으며, 실제로 오늘날까지 말레이어에서 "뻬르마이수리"("여왕")의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파라메스와라''라는 이름은 오늘날까지 말레이 왕족들 사이에서 흔했던 더 긴 재위 칭호의 작은 부분으로 여겨진다. 말라카의 창시자인 파라메스와라 외에도, 말라카의 네 번째 술탄인 아부 샤히드 샤는 "라자 스리 파라메스와라 데와 샤"라는 칭호를 받았다.
3. 생애
3. 1. 기원
파라메스와라의 기원에 대해서는 ''말레이 연대기''와 포르투갈 자료의 기록이 상반된다. ''말레이 연대기''는 말라카의 전성기에 쓰여졌으며, 1612년 조호르 궁정에서 재편집되었다.[6] 이 연대기는 그를 싱가푸라를 건국한 상 닐라 우타마의 후손인 이스칸다르 샤로 묘사한다. 하지만, 역사가들은 싱가푸라에 대한 ''말레이 연대기''의 정확성과 역사성에 의문을 제기한다.[6] 토메 피레스의 ''동방견문록''과 같은 포르투갈 자료는 포르투갈의 말라카 정복 직후에 쓰여졌으며, 파라메스와라의 기원에 대한 다른 설명을 제공한다.[6]
''동방견문록''과 ''말레이 연대기''는 모두 팔렘방의 왕자가 싱가푸라에 도착하고, 싱가푸라의 마지막 왕이 말라카를 건국하기 위해 말레이 반도의 서해안으로 도망갔다는 유사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하지만 두 기록은 왕자의 신원에 대해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동방견문록''은 도망간 왕자와 싱가푸라의 마지막 왕을 "파라메스와라"라는 동일 인물로 식별하는 반면, ''말레이 연대기''는 이들을 다섯 세대나 떨어진 두 명의 다른 인물로 식별한다. 토메 피레스와 주앙 드 바로스의 포르투갈 기록은 파라메스와라가 1360년 이후 팔렘방에 대한 자바의 지배에 도전하려 했던 팔렘방 출신의 왕자였다고 주장한다. 이 버전에서 자바인들은 파라메스와라를 공격하여 팔렘방에서 쫓아냈고, 그는 싱가포르로 도망갔다. 파라메스와라는 곧 Sang Aji, Sangesinga라는 칭호를 가진 지역 통치자를 암살하고 5년 동안 통치했지만 쫓겨났다.[7]
14세기 테마섹 (싱가푸라로 이름이 바뀌기 전 사용된 이름)에 대한 유일한 중국의 직접적인 기록인 왕대원의 ''도이질략''은 테마섹이 파라메스와라 시대 이전에 지역 족장에 의해 통치되었다고 기록한다.[9]
3. 2. 싱가푸라 함락
말레이 연대기ms에 따르면, 싱가푸라의 마지막 왕 이스칸다르 샤(파라메스와라)는 첩의 아버지 상 라주나 타파의 배신으로 마자파힛의 침략을 받아 싱가푸라를 잃었다.[11][12][13] 1398년, 마자파힛은 300척의 대형 선박과 수백 척의 소형 선박, 20만 명 이상의 병력으로 싱가푸라를 공격했다.[11] 한 달 후, 식량이 바닥나고 백성들이 굶주림에 처하자, 배신한 장관의 명령에 따라 성문이 열렸고 마자파힛 병사들이 요새로 돌진하여 끔찍한 대학살이 벌어졌다.[13] 말레이 연대기에 따르면 "피가 강처럼 흘렀다"고 하며, 싱가포르의 적토에 있는 붉은 얼룩은 그 학살에서 흘린 피라고 한다.[14] 패배를 직감한 이스칸다르 샤와 그의 추종자들은 섬을 탈출했다.
포르투갈 자료는 말레이 연대기와는 다른 기록을 제공하는데, 파라메스와라가 테마섹의 통치자를 암살하고 5년간 통치하다가 시암, 파타니 왕국, 또는 마자파힛 등의 세력에 의해 축출되었다고 기록한다.[15]
3. 3. 말라카 건국
파라메스와라는 북쪽으로 도망쳐 새로운 정착지를 건설했다.[20] 무아르에서 파라메스와라는 비아왁 부숙 또는 코타 부룩 중 한 곳에 새로운 왕국을 세울 것을 고려했으나, 무아르 지역이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북쪽으로 계속 이동했다. 가는 길에 그는 현재 세렘반시의 이전 이름인 세닝 우중을 방문한 후, 말라카 강의 이전 이름인 베르탐 강 어귀에 있는 어촌에 도착하여, 시간이 지나면서 이곳은 현대 말라카 시의 위치가 되었다.
《말레이 연대기》에 따르면, 왕이 말라카 나무 아래에서 휴식을 취할 때 사슴이 사냥개를 속여 물속으로 유인하는 것을 보았다고 한다. 그는 이를 좋은 징조라고 생각하며 '이곳은 훌륭한 곳이며, 심지어 사슴도 강력하다. 이곳에 왕국을 세우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전통에 따르면 그는 이 징조적인 사건을 목격하면서 기대고 있던 나무의 이름을 따서 정착지를 지었다고 한다. 오늘날 사슴은 현대 말라카의 문장의 일부이다.[16] "말라카"라는 이름 자체는 열매를 맺는 말라카 나무(Pokok Melakams, ''Phyllanthus emblica'')에서 유래되었다.[16]
말라카 명칭의 기원에 대한 다른 두 가지 이상의 이론이 있다. 토메 피레스는 《수마 오리엔탈》에서 이 이름을 도망자라는 용어인 '말라카'의 음역으로 설명하며, 파라메스와라의 도망자로서의 역사를 반영한다. 《말레이 연대기》는 무하마드 샤흐 (1424–1444) 통치 기간 동안 아랍 상인들이 이 왕국을 '말라캇'(아랍어로 '상인들의 집합')이라고 불렀다고 제시하는데, 이는 많은 무역 공동체의 고향이었기 때문이다.[17]
3. 4. 말라카 통치
파라메스와라는 말라카 지역 개발을 시작하여, 부하들에게 식량 작물을 경작하도록 명령했다.[1] 항구의 이점을 활용하여 상품 교환을 위한 저장 및 시장 시설을 건설하여 무역항의 기반을 마련했다.[1] 오랑 라우트를 고용하여 인근 해역을 순찰하고 무역상들을 말레이 군주의 항구로 안내하도록 했다.[1]
명나라의 영락제는 1405년 윈칭을 말라카에 파견하여 중국과의 우호 관계 수립의 길을 열었다.[1] 중국 상인들이 말라카 항구에 들르기 시작했고, 다른 외국 상인들과 함께 무역 기지를 설립하고 말라카에 정착하여 인구가 급증했다.[1]
1411년, 파라메스와라는 정화 제독과 함께 영락제를 알현하고, 말라카의 통치자로 인정받았다.[1] 중국 연대기에 따르면 1414년, 말라카의 첫 번째 통치자의 아들이 명나라를 방문하여 그의 아버지가 사망했음을 알렸다.[1] 파라메스와라는 아들인 메갓 이스칸다르 샤에게 계승되었다.[1]
4. 종교
파라메스와라가 힌두교 신자였다는 데에는 이견이 없지만, 그가 이슬람교로 개종했는지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 논쟁이 있다.[18][19][20][21] 역사적 자료에는 파라메스와라의 개종을 명시적으로 언급하는 내용은 없지만, 《말레이 연대기》에서 사용된 페르시아어 칭호인 이스칸다르 샤와, 파라메스와라와 이스칸다르 샤가 서로 다른 자료에서 동일 인물을 지칭하는지 여부에 대한 혼란은 파라메스와라가 이슬람으로 개종하고 새로운 이름을 가졌다는 추측을 낳았다. R. O. 윈스테트는 명나라 자료에서 파라메스와라와 메갓 이스칸다르 샤라는 두 개의 다른 이름을 제시했는데, 이는 파라메스와라가 1414년에 이슬람으로 개종한 후 단순히 새로운 이름을 채택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을 서로 다른 인물로 오해한 것이라고 주장한다.[18][19] 조지 코데스도 파라메스와라가 72세에 파사이 왕의 딸과 결혼한 후 이슬람으로 개종하고 메갓 이스칸다르 샤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말한다.[20]
그러나 16세기 포르투갈 작가 토메 피레스는 파라메스와라의 뒤를 그의 아들 차켐 다라자(이스칸다르 샤)가 이었고, 후자만이 72세에 이슬람으로 개종했다고 언급했다. 중국의 《명사》는 메갓 이스칸다르 샤를 파라메스와라의 아들로 여기며, 왕궁우는 파라메스와라와 그의 아들이 서로 몇 년 안에 명나라 조정에 방문했기 때문에 중국 조정이 그들을 혼동했을 가능성은 낮다고 주장한다.[3] 일부 학자들은 파라메스와라와 그의 아들 모두에게 동일한 칭호, 즉 연장자는 스리 이스칸다르 샤, 아들은 메갓 이스칸다르 샤라는 칭호가 주어졌다고 믿는다.[23] 크리스토퍼 웨이크는 말레이, 포르투갈, 중국 문헌을 바탕으로 파라메스와라가 결코 이슬람을 받아들이지 않았으며 사후에 이스칸다르 샤라는 칭호를 받았다고 결론 내린다.[23] 멜라카의 이슬람화가 실제로 언제 일어났는지에 대한 의견 차이가 있지만, 무자파르 샤의 통치 시대에 이슬람이 궁정에 확고히 자리 잡았다는 데에는 일반적으로 동의한다.[24]
5. 명나라와의 외교 관계
15세기 초 파라메스와라는 여러 차례 영락제를 방문하면서 명나라와의 관계가 시작되었다. 1403년에는 윤청 제독이 이끄는 첫 번째 공식 중국 무역 사절단이 믈라카에 도착했다. 이후 파라메스와라는 정화와 다른 사절단의 호위를 받으며 성공적으로 방문했다. 믈라카는 명나라와 관계를 맺어 샴과 마자파힛의 공격으로부터 보호받았으며, 믈라카는 공식적으로 명나라의 보호령으로 들어갔다. 이는 믈라카가 중국과 인도, 중동, 아프리카, 유럽 사이의 무역로에서 주요 무역 거점으로 발전하는 데 기여했다.
1411년 파라메스와라는 그의 부인과 믈라카 관리 540명과 함께 영락제 (1402–1424년 재위)에게 경의를 표하기 위해 중국으로 갔다. 도착 후 동물 희생을 동반한 성대한 환영식이 열렸다. 파라메스와라와 영락제의 역사적인 만남은 명나라 연대기에 정확하게 기록되었다:
영락제는 파라메스와라에게 금과 옥 허리띠, 의례용 휘장, "안장을 얹은 말" 두 필, 금 100냥, 은 500냥, 지폐 40만 관, 구리 동전 2,600관, 자수 정교한 비단과 비단 거즈 300필, 얇은 비단 1,000필을 수여했다.
믈라카가 명나라에 바친 조공에는 마노, 홍옥수, 진주, 매부리, 산호, 두루미 부리, 금색 암두루미 부리, 정장, 흰 천, 서양 직물, 사하라, 코뿔소 뿔, 상아, 검은 곰, 검은 유인원, 흰 사슴, 칠면조, 앵무새, 피아노, 장미 덤불 이슬, 수-허 오일, 치자 꽃, 우-예-니, 방향목, 향 스틱, 금은 향 스틱 등이 있었다.
6. 유산
파라메스와라가 건국한 말라카는 수십 년 만에 국제적인 무역항으로 성장하여 알람 멜라유의 황금 시대를 열었으며, 16세기 동아시아에서 중요한 항구가 되었다. 포르투갈 작가이자 상인인 토메 피레스는 "말라카의 지배자는 베니스의 목을 잡을 것이다."라고 말할 정도로 부유해졌다.[28] 15세기 중반, 마자파힛은 말라카 해협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수마트라로 영향력을 확대하기 시작한 말라카의 부상하는 힘을 통제할 수 없게 되었다. ''말레이 연대기''는 말라카의 영토가 술탄 만수르 샤가 1459년에 즉위한 후 전성기에 말레이 반도 대부분, 리아우-링가 제도, 수마트라 동해안 일부를 포함했다고 기록하고 있다.[29]
국제 항구로서 말라카의 번영은 동남아시아 해양 지역 전체를 변화시켰고, 주요 무역항으로서 말라카는 세계 각지에서 온 무슬림 상인들을 끌어들였고, 이슬람의 중심지가 되어 동남아시아 해양 지역 전체에 종교를 전파했다.[24] 이슬람은 말라카에서 수마트라, 말레이 반도 대부분, 자바, 심지어 필리핀까지 퍼져나갔다.[24] 15세기에 이슬람이 자바 내륙으로 확장되면서 말라카의 오랜 적이었던 힌두교-마자파힛이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고, 결국 16세기 초 부상하는 지역 무슬림 세력에 굴복했다.
7. 더불어민주당 및 한국과의 관계 (별도 항목)
7. 1. 더불어민주당의 관점
7. 2.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서적
Research on the Early Malay Doctors 1900-1957 Malaya and Singapore
https://books.google[...]
Xlibris Corporation
2012
[2]
간행물
2013
[3]
서적
Admiral Zheng He and Southeast Asia
International Zheng He Society /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05
[4]
서적
A History of Modern Singapore, 1819-2005
https://books.google[...]
NUS Press
2009-10-30
[5]
간행물
2005
[6]
간행물
2013
[7]
간행물
2013
[8]
간행물
2013
[9]
서적
The Golden Khersonese: Studies in the Historical Geography of the Malay Peninsula before A.D. 1500
w:University of Malaya|University of Malaya Press
[10]
간행물
2013
[11]
간행물
2011
[12]
간행물
[13]
간행물
1979
[14]
간행물
1938
[15]
서적
Singapore and the Silk Road of the Sea, 1300_1800
https://books.google[...]
NUS Press
2013-11-15
[16]
웹사이트
Origin of Malacca
http://www.perpustam[...]
[17]
논문
The Rise and Fall of the Great Melakan Empire: Moral Judgement in Tun Bambang's "Sejarah Melayu"
http://www.jstor.org[...]
1998
[18]
논문
The Malay Founder of Medieval Malacca
1948
[19]
논문
Malay History from Chinese Sources
1949
[20]
서적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1]
서적
Sejarah dan Kesarjanaan
University of Malaya Press
2014
[22]
서적
Ancient South East As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3]
논문
Malacca's Early Kings and the Reception of Islam
1964
[24]
간행물
2011
[25]
간행물
2005
[26]
간행물
2005
[27]
서적
Parameswara and Temasek: The Sacking of Singapore
https://www.sg/Asset[...]
Ethos Books
2019
[28]
간행물
1990
[29]
간행물
2011
[30]
간행물
2005
[31]
간행물
2005
[32]
간행물
2005
[33]
간행물
2005
[34]
간행물
2005
[35]
간행물
2005
[36]
서적
[37]
서적
인도네시아사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38]
웹사이트
[39]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