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시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리시족은 기원전 1세기 경 갈리아 지방에 거주했던 켈트족 부족이다. 로마인들은 이들을 '파리시이'로 불렀으며, 오늘날 프랑스 파리의 어원이 되었다. 파리시족은 기원전 250년경에 정착했으며,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기에서 처음 언급되었다. 카이사르의 로마군이 이 지역에 진입했을 때 스스로 도시를 불태웠으며, 기원전 52년에는 베르킨게토릭스의 반란에 참여하기도 했다. 로마 시대 이후 파리시족의 오피둠은 루테티아가 되었고, 이후 파리로 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갈리아의 부족 - 네르비족
네르비족은 고대 벨기에와 프랑스 북부에 거주하며 용맹한 벨가이족으로 알려졌으나, 로마에 저항하다 프랑크족에 동화되었다. - 갈리아의 부족 - 트레베리족
트레베리족은 켈트-게르만 문화의 혼합 양상을 보이며 로마와 협력하여 자치 도시 지위를 얻고 경제적 번영을 누렸으나, 3세기 위기 이후 쇠퇴한 고대 민족이다. - 갈리아 전쟁 - 갈리아 전기
《갈리아 전기》는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갈리아 원정을 기록한 라틴어 저서이며, 정치적 입지 강화를 위해 집필되었고, 갈리아 및 게르만족의 문화와 풍습을 묘사하고 있다. - 갈리아 전쟁 -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브리튼 침공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브리튼 침공은 갈리아 전쟁의 일환으로 기원전 55년과 54년에 걸쳐 두 차례 발생했으며, 브리튼 섬을 로마의 영향력 아래 두고 이후 로마의 브리타니아 속주화 기반을 마련했다. - 고대 로마 -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부터 로마에 의한 합병까지의 시기로, 그리스인들의 시야 확장과 새로운 헬레니즘 도시로의 이주, 도시 국가들의 연합 노력, 마케도니아와 후계 왕국들의 패권 다툼, 그리고 로마의 개입과 지배로 특징지어진다. - 고대 로마 - 누마 폼필리우스
누마 폼필리우스는 로마의 두 번째 왕으로, 종교 개혁과 사회 정책을 통해 로마의 종교 제도와 역법을 개혁하고 야누스 신전을 건립했으며, 로마력 개혁을 이끌었다.
| 파리시족 | |
|---|---|
| 개요 | |
![]() | |
| 주요 위치 | 루테티아 (현재의 파리) |
| 민족 | 골족 |
| 역사적 기간 | 철기 시대 |
| 명칭 | |
| 골어 | Parisioi |
| 그리스어 | Parísioi (Παρίσιοι) |
| 라틴어 | Lutetia Parisiorum |
| 역사 | |
| 기원 | 켈트족의 한 갈래인 골족 |
| 기원전 3세기 | 센 강 유역에 정착 |
| 기원전 1세기 |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쟁에 참여 |
| 기원전 52년 | 알레시아 공방전에서 로마에 패배, 로마의 지배하에 들어감 |
| 로마 시대 | 루테티아는 로마의 중요한 도시로 발전 |
| 문화 | |
| 경제 | 농업, 어업, 수공업 |
| 종교 | 켈트 신화 |
| 언어 | 골어 |
| 유산 | |
| 현대의 영향 | 파리의 이름의 기원 |
2. 명칭
그들은 카이사르(기원전 1세기 중반)에 의해 ''파리시이''(Parisii)로 언급되었고,[1] 스트라본(기원후 1세기 초)과 프톨레마이오스(기원후 2세기)에 의해 ''파리시오이''(Παρίσιοι; 변형 Παρήσιοι)로 언급되었으며,[2] 플리니우스(기원후 1세기 중반)에 의해 ''파리시''(Parisi)로 언급되었고,[3] ''노티티아 디그니타툼''(Notitia Dignitatum) (기원후 5세기)에서는 ''파리시우스''(Parisius)와 ''파리오스''(Parisios)로 언급되었다.[4][5] 영국에서도 파리시이라고 불리는 또 다른 부족이 기록되어 있다.
파리시족은 기원전 250년경 주요 도시(오피둠) 주변에 정착했으며,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기''에 처음 언급되었다.[6]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이끄는 로마군이 접근하자, 파리시족은 도시를 불태우는 선택을 했다.[7] 기원전 52년, 수이시오네스와 함께 베르킨게토릭스가 일으킨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대한 반란에 참여했고, 로마 시대 이전에는 자체 금화를 사용했다.[7]
민족 명칭 ''파리시이''(Parisii)는 골어 ''파리시오이''(Parisioi (단수 ''파리오스'', Parisios)의 라틴어화된 형태이다. 그 의미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었다. 자비에 델라마르에 따르면, 이 단어는 어간 ''파리오-''(pario-, '가마솥')에서 파생되었을 수 있다.[5] 알프레드 홀더는 이 이름을 '만드는 자' 또는 '지휘관'으로 해석했는데, 웨일스어의 ''페리프''(peryff, '주, 지휘관')와 비교했으며, 이 둘 다 원시 켈트어 형태 *''kwar-is-io''-에서 파생되었을 수 있다. 또는, 피에르-이브 랑베르는 첫 번째 요소를 고대 아일랜드어의 ''카르''(carr, '창')와 연결하여, 이전의 *''kwar-sā''에서 파생된 ''파리시이''를 '창의 사람들'로 번역할 것을 제안했다.[5]
파리시는 카이사르에 의해 ''루테티암 오피둠 파리시오룸''(Lutetiam Oppidum Parisiorum)으로 기록되었고 (기원후 5세기에는 ''파리시온'', 1265년에는 ''파리''), 이 골족 부족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5]
3. 역사
파리시족의 ''오피둠''은 로마 제국 갈리아 루그두넨시스 속주의 루테티아가 되었고, 이는 현대 도시 파리의 기원이 되었다. 게르마니아와 히스파니아 사이 고대 무역로는 우아즈강, 마른 강이 센 강과 만나는 지역을 통과했다.[8][9]
3. 1. 로마 시대 이전
파리시족은 기원전 250년경, 주요 도시(또는 ''오피둠'') 주변 지역에 정착했으며, 이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기''에서 처음 언급되었다.[6]
''갈리아 전기''에 따르면, 카이사르 휘하의 로마군이 이 지역에 진입했을 때, 파리시족은 로마군에게 빼앗기느니 차라리 소유물을 포기하겠다는 의지로 스스로의 도시를 불태우기 시작했다.[7]
기원전 52년, 수이시오네스와 함께 파리시족은 베르킨게토릭스의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대한 반란에 참여했다. 로마 시대 이전, 파리시족은 자체적인 금화를 사용했다.[7]
3. 2. 로마 시대
기원전 250년경, 파리시족은 주요 도시(오피둠) 주변 지역에 정착했으며, 이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기''에서 처음 언급되었다.[6]
''갈리아 전기''에 따르면, 카이사르 휘하의 로마군이 이 지역에 진입했을 때, 파리시족은 로마군에게 빼앗기느니 차라리 소유물을 포기하겠다는 의지로 스스로의 도시를 불태웠다.[7]
기원전 52년, 수이시오네스와 함께 파리시족은 베르킨게토릭스의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대한 반란에 참여했다. 로마 시대 이전, 파리시족은 자체적인 금화를 사용했다.[7]
파리시족의 ''오피둠''은 로마 제국의 일부가 된 후, 로마 속주 갈리아 루그두넨시스의 중요한 도시인 루테티아의 부지가 되었고, 결국 부족의 이름에서 유래된 현대 도시 파리가 되었다. 게르마니아와 히스파니아 사이의 고대 무역로는 우아즈강과 마른 강이 센 강과 만나는 지역을 통해 존재했다.[8][9]
참조
[1]
서적
Commentarii de Bello Gallico
[2]
서적
Geōgraphiká
[2]
서적
Geōgraphikḕ Hyphḗgēsis
[3]
서적
Naturalis Historia
[4]
서적
Notitia Dignitatum
[5]
서적
Parisii and Lutetia
[6]
서적
A new picture of Paris; or, The stranger's guide to the French metropolis
https://books.google[...]
Samuel Leigh & Baldwin & Cradock
2017-04-23
[7]
백과사전
Paris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8]
서적
The Architecture of Paris: An Architectural Guide
https://books.google[...]
Edition Axel Menges
2017-04-23
[9]
서적
Histoire et recherches des antiquités de la ville de Paris, Volume 1
https://books.google[...]
chés C. Moette
2017-04-23
[10]
서적
Les premiers habitants de l'Europe at 133
https://books.google[...]
E. Thor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