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샤이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샤이인은 아프가니스탄 동부 지역에 거주하는 민족으로, 파샤이어를 사용한다. 파샤이인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하며, '파드샤히 왕국'에서 유래되었다는 설, '악마' 또는 '육식 동물'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는 설 등이 있다. 역사적으로 파샤이인은 힌두교, 애니미즘, 불교 등 다양한 종교를 믿었으며, 16세기 무굴 제국의 침략 이후 이슬람교로 개종했다. 현재 파샤이인은 농업과 목축을 주로 하며, '마라트'라는 회의를 통해 문제 해결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가니스탄의 민족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아프가니스탄의 민족 - 투르크멘인
투르크멘인은 투르크메니스탄을 중심으로 인접 국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오구즈 투르크를 조상으로 하며 유목 생활, 여러 제국 지배,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거쳐 투르크메니스탄으로 독립했고, 투르크멘어를 사용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고 독특한 민속 공예와 음악 전통을 지닌다. - 인도아리아인 - 몰디브인
몰디브인은 인도-아리아계 민족으로 몰디브 제도에 거주하며 디베히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국교로 삼고 있으며, 이슬람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남아시아, 아랍, 아프리카 문화가 혼합된 문화를 가지고 있다. - 인도아리아인 - 베다 시대
베다 시대는 인도 아대륙에서 기원전 1500년에서 기원전 600년까지 이어진 시기로, 베다 문헌 편찬, 초기 카스트 제도 형성, 농경 사회 발전, 베다 종교(브라만교)의 성립을 특징으로 한다.
파샤이인 | |
---|---|
파샤이인 | |
![]() | |
인구 | 약 400,000명 (600,000명에서 100만 명 사이라는 이견 있음) |
거주 지역 | 라그만 주 카피사 주 낭가르하르 주 카불 주 북동부 판지시르 주 |
언어 | 파샤이어군 제2 언어로 파슈토어 및 페르시아어 사용 |
종교 | 대다수: 수니 이슬람 소수: 니자리 이스마일파 |
관련 민족 | 기타 인도-아리아인 칼라쉬족 누리스탄인 |
역사 및 문화 | |
역사적 배경 | 아프가니스탄 북부와 동부는 역사적으로 인도 문화 및 종교권에 속했음. 초기 기록에 따르면 파샤이인들은 쌀과 사탕수수를 생산하는 지역에 거주하며, 많은 삼림 지대가 있었음. 이 지역의 많은 사람들은 불교도였지만, 힌두교도와 부족 종교를 믿는 소규모 집단도 있었음. |
종교적 배경 | 이슬람으로 개종하기 전에는 힌두교와 불교의 타락한 형태를 따랐을 것으로 추정됨. 현재는 하나피파 수니 이슬람교도임. |
참고 | |
참고 문헌 | Ovesen, Jan (1984). On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Pashai. Anthropos, 79(4/6), 397–407. Lehr, Rachel (2014). A Descriptive Grammar of Pashai: The Language and Speech Community of Darrai Nur. University of Chicago, Division of the Humanities, Department of Linguistics. |
2. 어원
'파샤이'라는 명칭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1891년 헨리 월터 벨루는 "파샤이(Pashae) 또는 파쉬(Pashie)는 '파드샤히 왕국(Kingdom Padshahi)의'를 의미하는 속격 복수형이다."라고 언급했다.[31] 그러나 아프가니스탄 정보 문화부는 파샤이가 파샤이어에서 '바하 샤(Baha Sha)', '바하쉬(Bahash)', '바쉬(Bash)'에서 유래되었다고 주장한다.[32] 또 다른 설은 '악마'와 '육식 동물'을 의미하는 '프사타(Psatha)' 또는 피샤차에서 유래되었다고 본다. 또 다른 설은 파샤이가 언어에서 "강한", "튼튼한", "돌 벽"을 의미하는 '파쉬(Pashi)'에서 유래되었다고 본다. 마지막 설은 고대 시대에 파샤이족에서 왕이 등장했고, 그를 따라 왕들을 '파샤(Pasha)' 또는 '파드샤(Padshāh)'라고 불렀기 때문에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고 주장한다. 파샤이 역사학자들과 문화 정보부는 파샤이족을 알리샹과 알링가르 구의 명칭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알리나(Alina)'라고 불렀으며, '알링가르(Alingar)'는 "알리나의 고향"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33]
파샤이인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주장이 있다. 크리스틴 노엘-카리미는 파샤이인과 누리스탄인이 아프가니스탄 북동부 잘랄라바드 근처의 쿠나르 계곡과 라그만 주가 원주민이었으며, 이후 길지 파슈툰족의 이주로 인해 비옥하지 못한 산악 지역으로 밀려났다고 주장한다.[12] 반면, 오베센과 카이저는 파샤이인이 현재 거주하는 산악 계곡으로 밀려난 것이 아니라, 간다라 문명의 부상 이전부터 그 지역의 토착민이었다고 주장한다.[13]
현재 일부 파샤이인들은 스스로를 '데가노(Degano)'(평야의 거주자, "토착민" 또는 "원주민"을 의미), 라그만 주 출신, 누리스탄족, '샤아리(Sha’ari)'라고 부른다.[8]
3. 역사
3. 1. 초기 역사
파샤이인은 역사적으로 고대 힌두교, 애니미즘, 불교와 더불어 부족 종교를 믿었다.[14][15][16][17][18]
13세기 마르코 폴로는 이 지역을 여행하며 현지인들을 마법과 주술을 행하는 "유해한 사람들"이자 "교활한 사람들"이라고 묘사했다. 폴로는 그들이 보석으로 장식된 브로치와 귀걸이를 착용했으며, 현지인들의 주요 식단은 쌀과 고기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했다.[3] 16세기 무굴 제국의 통치자 바부르는 낭가르하르 주의 다라이 누르를 방문했는데, 그는 돼지고기 섭취가 최근에 금지되었으며, 그 마을이 와인으로 유명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20]
3. 2. 무굴 제국 시기
1582년, 무굴 제국 황제 악바르는 그의 동생 미르자 무하마드 하킴을 카트와르의 이교도에 대항하여 파견했다.[21] 하킴은 카불의 반독립 총독이었다.[22] 그는 라그만 주에서 알리샹까지 66개의 계곡을 정복하고 이슬람교로 개종시켰다.[23]
3. 3. 다라이 누르 계곡
18세기 동안 파슈툰족은 파샤이인에게 이슬람교로의 강제 개종을 강요했으며, 이는 최근까지 계속되었다.[24] 파샤이족의 구전 설화에 따르면, 18세기 중반 데이샤미르 바바가 다라-이 누르 계곡을 정복하고 사람들을 이슬람교로 개종시켰다. 계곡에는 활과 화살로만 무장한 카피르족이 거주했지만, 데이샤미르 바바와 그의 군대는 화기를 소지하고 있었다.[25] 데이샤미르 바바는 쿠나르 계곡 출신으로, 페치 계곡과 아레트, 그리고 슈마스트 마을을 거쳐 다라-이 누르에 도착했다. 카피르 통치자였던 밤바코트의 빔 라자, 소탄의 슐탄 라자, 그리고 셰르 라자는 모두 데이샤미르 바바에게 항복하고 이슬람교로 개종했다. 셰물 출신의 라나 라자는 패배하여 그 지역을 도망쳤다. 우트란 출신의 무투루 라자는 데이샤미르 바바와 오랫동안 싸웠지만, 결국 이슬람교로 개종하여 데이샤미르 바바의 동맹이 되었다. 데이샤미르 바바는 랑가와 자파르라는 두 아들과 여섯 손자를 두었다. 여섯 손자는 소탄의 파샤이족의 조상이다. 다라-이 누르에서 데이샤미르는 코히스타니 사람들의 분절 계통 시스템을 통합하고 강화하는, ''웨시''로 알려진 순환 토지 소유 시스템을 도입하는 대신 가족과 추종자들에게 영구적인 토지 정착지를 제공하기로 결정했다. 이를 통해 그들은 파슈툰의 침략 시도를 막을 수 있었다. ''웨시'' 시스템을 도입하지 않음으로써, 다라-이 누르 계곡의 경제적 결속력이 강화되었고, 따라서 "파슈툰화"에 더 강하게 저항할 수 있었다.[26]
3. 4. 다라이 누르 파샤이인의 기원
다라-이 누르에서 가장 중요한 두 개의 계통 집단은 발굽을 뜻하는 '숨(Soom)'과 뿔을 뜻하는 '쉔가네크(Shenganek)'이다. 파샤이 신화에 따르면, 결혼하지 않은 여성이 임신하여 산으로 가서 아들을 낳은 후, 수치심을 감추기 위해 갓난아기를 잎 아래에 버렸다. 염소가 아기를 발견하고 발굽으로 잎을 긁어내 아기를 키웠고, 그 결과 '숨(Soom)'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이 이야기는 반복되는데, 이번에는 염소가 뿔로 버려진 신생아를 발견하여 '쉔가네크(Shenganek)'라는 이름을 얻고 '쉔가네크(Shenganek)' 파샤이의 조상이 되었다.[27]
3. 5. 근현대사
21세기 초, 파샤이족은 종종 "코히스타니"라고 불렸으며,[7] 수니파 무슬림이 다수이고,[29] 소수는 니자리파 이스마일파 무슬림이다. 파샤이족은 인구 조사원과 정부 요원에 의해 의도적으로 타지크로 분류되기도 했는데, 이는 인구 조사원 스스로가 타지크 출신으로, "결과적인 이익"을 위해 자신의 수를 늘리려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하지만, 파샤이어를 사용하는 니자리 이스마일파는 스스로를 타지크족이라고 부르기도 한다.[8]
1929년 아프가니스탄 내전 동안, 아마눌라 칸 왕의 전복과 사카위파와 반사카위파 세력 간의 전투가 벌어졌는데, 칼라카니는 난가르하르주를 포함한 여러 전선에서 저항에 직면했다. 파샤이 반군들은 모하마드 나디르 샤와 다른 반대 세력 지도자들에게 충성을 다하며 하비불라 칼라카니를 세 번의 전투에서 격파했다.[30]
4. 문화
파샤이는 농업과 목축을 혼합한 경제 활동을 한다.[15] 주로 쌀, 밀, 옥수수를 재배하며, 염소, 소, 양을 기른다.[3] 파샤이인들은 누리스탄 사람들과 다른 다르드 집단과 마찬가지로 염소에 대한 각별한 애정을 공유하는데, 이는 이슬람 이전의 동물 숭배나 염소 신앙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34]
파샤이인들은 문제 해결을 위해 파슈툰의 지르가와 유사한 '마라트'라는 회의를 개최한다.[35] 이 회의에는 파샤이 원로들이 참석하여 논의를 이끈다. 또한, 파샤이인들은 젊은이들이 원을 이루어 서로 어깨를 잡고 노래를 부르는 전통 춤을 추는데, 이 춤은 결혼식이나 축제 기간에 20~25분 동안 이어진다.
5. 주요 인물
- 하즈라트 알리는 북부 동맹 사령관이다.
- 라피울라 비다르는 IEC 위원이다.
- 무하마드 알림 카라르는 헤즈베 이슬라미 사령관이다.
- 압둘 라흐만 라흐마니는 카불 이글스 크리켓 선수이다.
참조
[1]
웹사이트
What Languages do People Speak in Afghanistan?
https://worldpopulat[...]
[2]
웹사이트
The Pashayi of Afghanistan
http://kcm.co.kr/bet[...]
Bethany World Prayer Center
1997
[3]
서적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sia and Oceania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4]
서적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sia and Oceania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5]
서적
Ethnic Groups of North, East, and Central Asia: An Encyclopedia
ABC-CLIO
2014-02-10
[6]
간행물
On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Pashai
https://www.jstor.or[...]
1984
[7]
웹사이트
Pashai, Ethnic identity in Afghanistan
http://www.nps.edu/P[...]
[8]
서적
A Descriptive Grammar of Pashai: The Language and Speech Community of Darrai Nur
https://theswissbay.[...]
University of Chicago, Division of the Humanities, Department of Linguistics
2014
[9]
웹사이트
Pashai, Ethnic identity in Afghanistan
http://www.nps.edu/P[...]
[10]
간행물
On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Pashai
https://www.jstor.or[...]
1984
[11]
PDF
https://theswissbay.[...]
2024-08
[12]
문서
The state and tribe in Afghanistan in the nineteenth century:The reign of Amir Dost Muhammad Khan
[13]
PDF
https://theswissbay.[...]
2024-08
[14]
서적
Ethnic Groups of North, East, and Central Asia: An Encyclopedia
ABC-CLIO
2014-02-10
[15]
서적
Muslim peoples: a world ethnographic survey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16]
서적
Encyclopaedic ethnography of Middle-East and Central Asia
Global Vision Publishing House
[17]
웹사이트
The Pashayi of Afghanistan
http://kcm.co.kr/bet[...]
Bethany World Prayer Center
1997
[18]
웹사이트
Pashayi in Afghanistan Profile
https://joshuaprojec[...]
2024-12-14
[19]
웹사이트
Jalalabad District Profile
https://web.archive.[...]
2002
[20]
간행물
On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Pashai
https://www.jstor.or[...]
1984
[21]
서적
The Encyclopaedia of Islam, Volume IV
Brill
[22]
간행물
Ğihād in Afghanistan and Muslim India
Tel Aviv University
[23]
서적
Gates of Peristan: history, religion and society in the Hindu Kush
Istituto Italiano per l'Africa e l'Oriente
[24]
학위논문
A Descriptive Grammar of Pashai: The Language and Speech of a Community of Darrai Nur
University of Chicago
2014
[25]
간행물
On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Pashai
https://www.jstor.or[...]
1984
[26]
간행물
On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Pashai
https://www.jstor.or[...]
1984
[27]
서적
A Descriptive Grammar of the Pashai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2014
[28]
학위논문
The Social Structure and Organization of A Pakhto Speaking Community in Afghanistan.
http://etheses.dur.a[...]
Durham University
1977
[29]
서적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sia and Oceania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30]
서적
Kabul Under Siege: Fayz Muhammad's Account of the 1929 Uprising
https://books.google[...]
Markus Wiener Publishers
1999
[31]
문서
An Inquiry into the Ethnography of Afghanistan
[32]
웹사이트
په پشه یانو کې لاسي کارونه
https://archive.af/b[...]
2024-11-12
[33]
웹사이트
PASHAI: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Pashai People in Afghanistan
https://pashai.blogs[...]
2024-08-09
[34]
간행물
On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Pashai
https://www.jstor.or[...]
1984
[35]
뉴스
زندگی زبانها ۴: زبان پشه ای
https://www.bbc.com/[...]
2024-03-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