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누리스탄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누리스탄인은 아프가니스탄 누리스탄주에 거주하는 민족으로, 과거에는 카피르스탄으로 불리며 이슬람 개종 이전에는 고대 힌두교의 영향을 받은 종교를 믿었다. 19세기 말 압두르 라흐만 칸의 통치 하에 이슬람으로 개종했으며, 현재에도 일부 전통적인 관습이 남아있다. 누리스탄인들은 여러 부족으로 나뉘며, 유전학적 연구에 따르면 Y 염색체는 R1a, R2a, J2a 계통으로 나타난다. 이들은 역사적으로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침략을 받았으며, 티무르와 무굴 제국 시대에도 영향을 받았다.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저항 운동을 주도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힌두쿠시산맥 - 훈자 계곡
    훈자 계곡은 파키스탄 북부 길기트-발티스탄에 위치하며 카라코람 하이웨이를 따라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와 연결되는 교통의 요지이자 고봉들에 둘러싸인 아름다운 자연경관으로 유명하며,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고 장수하는 것으로 알려졌고, 과거 번왕국이었으나 현재는 파키스탄 자치 지역으로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 힌두쿠시산맥 - 누리스탄주
    누리스탄주는 힌두쿠시 산맥에 위치한 아프가니스탄의 주이며, 고대부터 다양한 문명의 영향을 받아 불교와 힌두교의 융합 문화를 형성했고, 1896년 이슬람교를 받아들인 후 현재는 누리스탄족이 다수를 차지하며 사회 기반 시설이 열악하다.
  • 아프가니스탄의 민족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아프가니스탄의 민족 - 투르크멘인
    투르크멘인은 투르크메니스탄을 중심으로 인접 국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오구즈 투르크를 조상으로 하며 유목 생활, 여러 제국 지배,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거쳐 투르크메니스탄으로 독립했고, 투르크멘어를 사용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고 독특한 민속 공예와 음악 전통을 지닌다.
  • 파키스탄의 민족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파키스탄의 민족 - 투르크멘인
    투르크멘인은 투르크메니스탄을 중심으로 인접 국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오구즈 투르크를 조상으로 하며 유목 생활, 여러 제국 지배,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거쳐 투르크메니스탄으로 독립했고, 투르크멘어를 사용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고 독특한 민속 공예와 음악 전통을 지닌다.
누리스탄인
기본 정보
카불 고아원의 소녀
인구약 125,000–300,000명
위치아프가니스탄 누리스탄주, 쿠나르주
파키스탄 카이버파크툰크와주 치트랄 지구
언어누리스탄어군, 파슈토어(제2언어로 널리 이해됨)
종교이슬람교 수니파
관련 민족칼라쉬인, 코인, 파샤이인

2. 이슬람 이전의 종교

누리스탄인들은 이슬람으로 개종하기 전, 고대 힌두교에 기반한 토착 신앙을 가지고 있었다.[17] 이들은 창조신을 비롯한 여러 신과 정령을 숭배했다.

언어학자 리처드 스트랜드는 누리스탄인들이 현지에서 발전된 요소가 섞인 고대 힌두교를 믿었다고 언급했다.[17] 미치 바이스와 케빈 모러는 이들이 19세기 말 이슬람으로 개종하기 전까지 "원시적인" 형태의 힌두교를 실천했다고 설명한다.[12]

19세기까지 누리스탄 지역은 '카피리스탄'으로 불렸는데, 이는 주변 지역이 이슬람으로 개종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 사람들이 전통 신앙을 유지했기 때문이다. '카피르'는 아랍어로 이슬람을 믿지 않는 사람을 의미한다. 압두르 라흐만 칸 통치 시기인 1895년경 대다수가 이슬람으로 개종하면서 현재는 누리스탄으로 불리고 있다. 하지만 농촌 지역에서는 와인 제조와 같은 전통 관습이 여전히 남아있다.[23][24]

현대 누리스탄에서 카슈미르까지 이어지는 지역은 "페리스탄"으로 알려졌으며, 이 지역은 오랜 기간에 걸쳐 이슬람화된 누리스탄 문화와 인도유럽 언어를 포함하는 광대한 지역이었다. 이전에는 불교 국가와 사회가 이 지역을 둘러싸고 일시적으로 문맹 퇴치와 국가 통치를 이끌었다. 중국 순례자 법현과 송운의 보고에 따르면 이 지역으로 가는 여정은 위험했다. 불교의 쇠퇴로 인해 이 지역은 심하게 고립되었다. 인근 바다흐샨의 이슬람화는 8세기에 시작되었고, 페리스탄은 16세기에 이슬람 국가에 의해 완전히 포위되었다. 하부 치트랄의 칼라쉬족은 이 지역의 마지막 생존 후손이다.[22]

2. 1. 신화와 신

누리스탄인들은 이슬람으로 개종하기 전, 고대 힌두교에 기반한 다신교 신앙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보이지 않는 신의 세계(Kâmviri d'e lu; 산스크리트어 데바 로카)에 사는 인간과 같은 신들을 믿었다.[17]

창조신은 힌두교 신 야마 라자와 동일시되는 임라(Imra) 또는 마라(Mara, '죽음'을 의미)로 불렸으며,[17][18] 원시 인도유럽어 어근 *dheiǵh-('형성하다'라는 뜻)에서 유래한 데자우(Dezau)로도 불렸다.[18] 이외에도 만디 또는 모니, 우쉼 또는 쉼데, 기쉬 또는 기위쉬, 바기쉬트, 인드르, 쥐줌, 디사니, 크슈마이 또는 키메 등 다양한 신과 여신, 정령들이 존재했다.[19][20] 특히 디사니, 모니, 기쉬는 일본신토와 유사성을 보이며, 이는 기원전 2000년경의 공유된 역사를 나타낸다고 한다.[19][20]

각 마을과 씨족은 수호신을 모셨고, 무당은 사람들에게 조언을, 사제들은 종교 의식을 집행했다. 숭배는 주로 염소와 같은 동물을 희생하는 것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21]

Kati가 신 임라에게 염소를 제물로 바치는 모습


Kati 찬가: '''Ut'äya de'bulā̃ 'ye! Tu pycüř sun mol''' ''오 여사제여, (춤을) 춰라! 너의 머리 위에 금색 화환이 있네''

2. 2. 종교 의례

누리스탄인들은 이슬람으로 개종하기 전, 고대 힌두교의 한 형태를 믿었다.[17] 이들은 인간과 같은 모습을 한 신들이 보이지 않는 신들의 세계(Kâmviri d'e lu; 산스크리트어 데바 로카)에 산다고 믿었다.[17]

미치 바이스와 케빈 모러는 누리스탄인들이 19세기 말 이슬람으로 개종하기 전까지 전통적으로 "원시적인" 형태의 힌두교를 실천했다고 설명한다.[12]

창조신은 여러 이름으로 불렸는데, 힌두교 신 야마 라자와 같은 존재인 임로(Imro)라고도 불렸다.[17] 또한 지하 세계와 하늘의 주인으로서 마라(죽음),[18] 또는 "Dezau"(ḍezáw)로도 불렸는데, 이 이름은 원시 인도유럽어 *dheiǵh- 즉 "형성하다"에서 유래했다(Kati Nuristani dez "창조하다"). Dezauhe는 페르시아어 용어 ''Khodaii''로도 불린다.

마라 또는 임라 외에도 만디 또는 모니, 우쉼 또는 쉼데, 기쉬 또는 기위쉬, 바기쉬트, 인드르, 쥐줌, 디사니, 크슈마이 또는 키메 등과 같은 수많은 하위 신과 여신들이 있었다. 마이클 비첼에 따르면, 이러한 신들 중 일부, 특히 디사니, 모니, 기쉬는 일본의 토착 종교인 신토와 직접적인 유사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기원전 20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공유된 역사를 나타낸다.[19][20]

각 마을과 씨족은 수호신을 가지고 있었고, 무당은 사람들의 고민을 해결해주고, 사제들은 종교 의식을 집행했다. 숭배는 주로 염소와 같은 동물을 제물로 바치는 의식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21]

Kati priest (deblole): Kareik. 마지막으로 노래하는 사제.


Kati 조상 조각상 - 브루모툴, 붐보렛 계곡, 치트랄; 1929년 게오르그 모르겐스티에른의 사진

3. 역사

기원전 4세기, 알렉산더 대왕은 누리스탄 지역을 침공했지만, 누리스탄인들의 격렬한 저항에 부딪혀 결국 그들을 물리쳤다. 알렉산더 대왕은 이들을 문화적, 종교적으로 다른 민족과 구별되는 독특한 존재로 묘사했다.[25]

누리스탄인들은 이전에는 "시아 포쉬(Siah-Posh, 검은 옷을 입은 사람들)", "사페드 포쉬(Safed-Posh, 흰 옷을 입은 사람들)", "랄 포쉬(Lall-Posh, 붉은 옷을 입은 사람들)"로 분류되었다.[26] 티무르는 시아 포쉬와 싸웠고 그들에게 굴복시켰다.[27] 바부르는 그들과 얽히지 말라고 조언했으며, 칭기즈 칸은 그들을 지나갔다.[28]

1014년, 마흐무드 가즈나비는 누리스탄인들을 공격했다. 당시 가즈나비 군대는 나르다인에 있던 사원을 파괴하고, 힌두교도들에 따르면 매우 오래된 비문이 새겨진 돌을 가져왔다고 한다.[29]

3. 1. 고대

기원전 4세기, 알렉산더 대왕은 누리스탄 지역을 침공했지만, 누리스탄인들의 격렬한 저항에 부딪혀 결국 그들을 물리쳤다. 알렉산더 대왕은 이들을 문화적, 종교적으로 다른 민족과 구별되는 독특한 존재로 묘사했다.[25]

누리스탄인들은 이전에는 "시아 포쉬(Siah-Posh, 검은 옷을 입은 사람들)", "사페드 포쉬(Safed-Posh, 흰 옷을 입은 사람들)", "랄 포쉬(Lall-Posh, 붉은 옷을 입은 사람들)"로 분류되었다.[26] 티무르는 시아 포쉬와 싸웠고 그들에게 굴복했다.[27] 바부르는 그들과 얽히지 말라고 조언했다. 칭기즈 칸은 그들을 지나갔다.[28]

1014년, 마흐무드 가즈나비는 그들을 공격했다. 당시 가즈나비 군대는 나르다인에 있던 사원을 파괴하고, 힌두교도들에 따르면 매우 오래된 비문이 새겨진 돌을 가져왔다고 한다.[29]

3. 2. 중세

14세기 말, 티무르는 누리스탄 지역을 공격하여 카토르족과 캄족을 상대로 전투를 벌였다.[30] 티무르의 자서전인 《투자크-이-티무리》(Tuzak-i-Timuri)에 따르면, 1398년 3월 아프가니스탄 침공 당시 힌두쿠시 산맥의 시아 포쉬(검은 옷을 입은) 카피르족의 카토르족과 캄족을 공격했다.[30]

무슬림들이 힌두쿠시 카피르족을 부당하게 대우하고 갈취한다는 지역 주민들의 불만을 이용하여, 티무르는 카불 북동쪽, 아프가니스탄 동부에 위치한 시아 포쉬 그룹의 카토르족을 공격했다.[30] 카토르족은 요새인 나질을 떠나 언덕 꼭대기로 피신했지만, 티무르는 요새를 파괴하고 그들의 집을 불태웠으며, 카토르족이 피신한 언덕을 포위했다.[30] 나질에서 조금 북쪽에 있는 '티무르 히사르'(티무르의 요새)라는 구조물은 당시 요새의 유적이라고 전해진다.[30] 치열한 전투 끝에 카토르족 일부는 패배하여 즉시 처형되었고, 일부는 3일 동안 저항했다.[30] 티무르는 카토르족에게 죽음 또는 이슬람교 개종을 선택하게 했고, 카토르족은 이슬람교를 선택했지만 곧 맹세를 어기고 밤에 무슬림 병사들을 공격했다.[30] 그러나 무슬림 병사들은 반격하여 많은 카토르족을 죽이고 150명을 포로로 잡아 처형했다.[30] 티무르는 자신의 군대에 "모든 남자를 죽이고, 여성과 아이들을 노예로 만들고, 모든 재산을 약탈하거나 황폐화하라"고 명령했다.[30] 또한, 그는 1300년 라마단 달에 산에 건설한 카토르족의 해골 탑에 대해 자랑스럽게 이야기한다.[30]

티무르는 1만 명의 병사를 보내 캄족을 공격하게 했지만, 캄족은 이들을 크게 물리쳤다.[31] 무슬림 군대는 말과 갑옷을 버리고 도망쳐야 했다.[31] 이후 다른 부대가 파견되어 캄족과 싸워 잃어버린 말과 갑옷을 되찾아왔다.[31] 티무르는 자신의 자서전에서 캄족과의 전투 결과를 수치스럽게 여겼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을 기록하지 않았다.[32][33]

3. 3. 근대

16세기 무굴 제국바부르는 누리스탄 지역을 경계해야 할 대상으로 인식했다.[28] 19세기 말, 아프가니스탄의 아미르 압두르 라흐만 칸은 누리스탄(당시 카피리스탄)을 정복하고 주민들을 강제로 이슬람교로 개종시켰다.

3. 4. 현대

이사 누리스탄 장군은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당시 국왕 다음으로 1군단 부사령관이었다. 암살되기 전, 이사 장군은 누리스탄인들에게 소련군과 아프가니스탄군에 대항하는 "지하드"를 선포했다.[65] 콤족을 중심으로 한 누리스탄인들은 1978년 사우르 혁명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킨 최초의 아프가니스탄 시민이었다.[65] 이들은 쿤라르, 낭가르하르, 바다흐샨, 판지시르를 포함한 일부 지역 정복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65] 그 후, 누리스탄은 1979년부터 1989년까지 소련군과 가장 격렬한 게릴라 전투가 벌어진 곳으로 남았다.[65] 1989년 소련군 철수 이후, 마울라위 굴람 라바니가 쿤라르주의 주지사로 선포되었다.[65] 누리스탄인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싸울 용기를 주었고, 1992년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의 붕괴에 기여했다.[65]

4. 누리스탄 부족

누리스탄인은 파슈툰족처럼 공식적인 부족 구조를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자신들을 출신 지역의 이름으로 지칭한다.[25] 이들은 출신 지역에 따라 여러 부족으로 나뉘는데, 북-남 계곡에서 5개, 동-서 계곡에서 30개, 총 35개의 부족이 있다.

주요 부족은 다음과 같다.


  • 아스쿠누
  • 둥굴리오
  • 그람사나
  • 젠치
  • 카타
  • 코므
  • 크슈토
  • 무모
  • 사누

5. 유전학

2012년 누리스탄인 5명의 Y 염색체 연구에서, 3명은 R1a에 속했고, 1명은 R2a에, 1명은 J2a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6]

6. 추가 정보

누리스탄은 현재 아프가니스탄의 누리스탄 주와 파키스탄의 카이베르파크툰크와 주에 걸쳐 있는 지역이다. 누리스탄인들은 자신들만의 독특한 언어와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이 지역은 아름다운 자연 경관으로 유명하다.

리처드 스트랜드와 같은 언어학자들에 따르면, 누리스탄인들은 이슬람으로 개종하기 전 고대 힌두교의 한 형태를 믿었다.[17] 이들은 창조신 임로 (야마 라자)를 포함한 다양한 신들을 숭배했으며,[17] 각 마을과 씨족은 수호신을 모셨다. 종교 의식에는 무당과 사제가 참여했고, 염소와 같은 동물을 제물로 바치는 것이 중요했다.[21]

마이클 비첼에 따르면, 디사니, 모니, 기쉬와 같은 누리스탄의 신들은 일본신토와 유사성을 보이며, 이는 기원전 2000년경의 공유된 역사를 나타낸다고 한다.[19][20]

현대 누리스탄에서 카슈미르까지 이어지는 지역은 "페리스탄"으로 알려졌으며, 이 지역은 한때 불교의 영향을 받았으나 이후 이슬람화되었다.[22] 주변 지역이 이슬람화되는 동안에도 누리스탄인들은 전통 신앙을 유지하여 "카피르"로 불리기도 했다. 압두르 라흐만 칸 통치 시기인 1895년경 대다수가 이슬람으로 개종했지만,[23] 일부 오래된 관습은 여전히 남아있다.[24]

참조

[1] 웹사이트 Afghanistan population statistics http://www.geohive.c[...] GeoHive 2016-06-04
[2] 서적 Cultures of the Hindukush http://www.mahraka.c[...] Franz Steiner Verlag
[3] 웹사이트 Kalash Religion http://www.people.fa[...] Harvard University 2011-05-01
[4] 웹사이트 Wlodek Witek (CHArt 2001) http://www.chart.ac.[...]
[5] 간행물 Persée: A Kafir goddess http://www.persee.fr[...]
[6] 서적 Afghanistan: a short history of its people and politics Harper Perennial 2002
[7] 문서 A Former Kafir Tells His 'Tragic Story'. Notes on the Kati Kafirs of Northern Bashgal (Afghanistan) / Max Klimburg, East and West, Vol. 58 – Nos. 1–4 (December 2008), pp. 391–402
[8] 문서 Reflections of the Islamisation of Kafiristan in Oral Tradition / Georg Buddruss Journal of Asian Civilizations — Volume XXXI — Number 1-2 – 2008, Special Tribute Edition, pp. 16–35
[9] 문서 'The pacification of the country was completed by the wholly gratuitous conquest of a remote mountain people in the north-east, the non-Muslim Kalash of Kafiristan (Land of the Unbelievers), who were forcibly converted to Islam by the army. Their habitat was renamed Nuristan (Land of Light).' Angelo Rasanayagam, Afghanistan: A Modern History, I.B. Tauris, 2005, p.11
[10] 서적 Ethnic Groups of North, East, and Central Asia: An Encyclopedia ABC-CLIO 2014-02-10
[11] 서적 A Passage to Nuristan: Exploring the Mysterious Afghan Hinterland I.B. Tauris 2006-04-18
[12] 서적 No Way Out: A Story of Valor in the Mountains of Afghanistan Berkley Caliber 2012-12-31
[13] 서적 The Soviet War in Afghanistan United Press of America 1991
[14] 서적 From Kabul to Baghdad and back: The U.S. at war in Afghanistan and Iraq 2012
[15] 웹사이트 Nuristan a Safe Passage for Taliban to Enter North and North-Eastern Parts of Afghanistan http://www.tolonews.[...] 2014-01-04
[1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internal-[...] 2013-10-02
[17] 웹사이트 Richard Strand's Nuristân Site: Peoples and Languages of Nuristan http://nuristan.info[...] 2012-01-19
[1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people.fa[...] 2011-05-01
[19] 서적 The Origin of the World's Mythologies
[20] 서적 Vala and Iwato: The Myth of the Hidden Sun in India, Japan, and beyond https://www.onmarkpr[...]
[21] 웹사이트 Nuristan http://www.iranicaon[...]
[22] 간행물 Fence of Peristan - The Islamization of the "Kafirs" and Their Domestication
[23] 간행물 A Journey in Nuristan
[24] 웹사이트 Nanzan Institute for Religion and Culture http://nirc.nanzan-u[...]
[25] 웹사이트 Afghanistan - Nuristani http://countrystudie[...]
[26] 서적 The Gates of India
[27] 문서 Majumdar, Dr Ramesh Chandra; Pusalker, Achut Dattatraya; Majumdar, Asoke Kumar. "Tuzak-i-Timuri", in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Indian People, Vol VI. 1977. p 117.
[28] 서적 Empires of the Indus: The Story of a River W. W. Norton & Company 2010
[29] 문서 ʻAlī Muḥammad Khān, James Bird. The political and statistical history of Gujarát p. 29
[30] 문서 'See: Tuzak-i-Timuri, III, pp 400.'
[31] 문서 History & Culture of Indian People, Vol VI, p 117, [[R. C. Majumdar]], A. D. Pusalkar, K. M. Munshi.
[32] 문서 Ref: Tuzak-i-Timuri, pp 401-08.
[33] 문서 History & Culture of Indian People, Vol VI, p 117, R. C. Majumdar, A. D. Pusalkar, K. M. Munshi.
[34] 문서 Memoir of William Watts McNair - J. E. Howard, 2003, [https://web.archive.org/web/20081121131604/http://www.topbookz.com/browse/J/J._E._Howard/Memoir_of_William_Watts_McNair/ A Visit to Kafiristan on Internet Archive], Evening Meeting, 10 December 1883, Processing of the Royal Geographical Society .
[35] 간행물 Some gods of Pre-Islamic Nuristan https://www.persee.f[...] 1991
[36] 간행물 The Cosmology of the Red Kafirs http://www.mahraka.c[...]
[37] 웹사이트 Survey conducted on identity, literacy of Kataviri language https://chitraltoday[...] 2019-10-25
[38] 서적 The Káfirs of the Hindu-Kush 1896
[39] 서적 Tribes of the Hindoo Koosh 1977
[40] 서적 The Káfirs of the Hindu-Kush 1896
[41] 서적 A passage to Nuristan: exploring the mysterious Afghan hinterland 2006
[42] 서적 The Káfirs of the Hindu-Kush 1896
[43] 서적 Aryan idols: Indo-European mythology as ideology and science 2006
[44] 서적 Thesaurus craniorum 1867
[45] 서적 Aryan idols: Indo-European mythology as ideology and science 2006
[46] 서적 Appletons' Annual Cyclopædia and Register of Important Events of the Year D. Appleton & Co. 1897
[47] 문서 The New International Encyclopaedia 1911
[48] 서적 Empire of Alexander the Great
[49] 서적 The Káfirs of the Hindu-Kush
[50] 서적 War at the top of the world: the struggle for Afghanistan, Kashmir, and Tibet
[51] 서적 Central Asia Area Study Centre (Central Asia), University of Peshawar 1985
[52] 서적 An Inquiry into the Ethnography of Afghanistan: Prepared and Presented to the Ninth International Congress of Orientalists (London, September 1891) 1891
[53] 문서 An Inquiry Into the Ethnography of Afghanistan: Prepared and Presented to the Ninth International Congress of Orientalists (London, September 1891) 1891
[54] 문서 An Inquiry Into the Ethnography of Afghanistan: Prepared and Presented to the Ninth International Congress of Orientalists (London, September 1891) 1891
[55] 서적 The Káfirs of the Hindu-Kush 1896
[56] 서적 The Káfirs of the Hindu-Kush 1896
[57] 문서 North of Laghman or Lamghan
[58] 서적 An Inquiry into the Ethnography of Afghanistan: Prepared and Presented to the Ninth International Congress of Orientalists (London, September 1891) 1891
[59] 서적 An Inquiry Into the Ethnography of Afghanistan: Prepared and Presented to the Ninth International Congress of Orientalists (London, September 1891) 1891
[60] 서적 The Káfirs of the Hindu-Kush 1896
[61] 서적 Afghanistan: its people, its society, its culture 1962
[62] 서적 Afghanistan 2002
[63] 서적 Afghanistan 1967
[64] 서적 Country Survey Series 1956
[65] 웹사이트 Richard Strand's Nuristan Site OLD LOCATION http://users.sedona.[...] Users.sedona.net 2016-06-04
[66] 간행물 Afghanistan's Ethnic Groups Share a Y-Chromosomal Heritage Structured by Historical Events
[67] 간행물 On the Siah-posh Kafirs https://mahraka.com/[...] 183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