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판문점 선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판문점 선언은 2018년 4월 27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판문점에서 개최한 제3차 남북정상회담의 결과로 발표된 합의문이다. 이 선언을 통해 남북은 상호 존중과 신뢰를 바탕으로 관계 개선 및 발전을 약속하고, 군사적 긴장 완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 공동으로 노력하기로 합의했다. 주요 내용으로는 남북 관계의 획기적 개선, 군사적 긴장 완화,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및 비핵화 노력이 포함된다. 이 선언은 남북 관계 개선과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받으나, 북한의 비핵화 의지와 실천 여부가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사협정 - 7·4 남북 공동 성명
    7·4 남북 공동 성명은 1972년 대한민국과 북한이 최초로 통일 원칙에 합의한 공동 성명으로, 자주, 평화, 민족 대단결의 3대 원칙을 제시했으나 해석 차이와 체제 강화 이용으로 한계점을 드러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 신사협정 - 9월 평양공동선언
    9월 평양공동선언은 2018년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간에 체결된 합의문으로, 비핵화, 군사, 경제, 이산가족, 문화 체육 분야의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담고 있으며, 이후 북한의 합의 위반으로 대한민국 정부는 효력 정지를 검토했다.
  • 2018년 남북 관계 - 2018년 동계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은 총 22명으로 구성되어 쇼트트랙, 알파인스키, 크로스컨트리, 피겨스케이팅 등의 종목에 참가했으며, 여자 아이스하키는 대한민국과 남북 단일팀으로 출전하여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으나 남북 관계 개선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2018년 남북 관계 - 봄이 온다
    봄이 온다는 남북 평화 협력을 기원하는 콘서트로, 대한민국에서는 다양한 가수들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삼지연관현악단이 참여했다.
판문점 선언
문서 정보
문서 이름판문점 선언
판문점 선언을 발표하는 두 정상
판문점 선언을 발표하는 두 정상
생성일2018년 4월 27일
효력일2018년 4월 27일
문서 지역한반도

저자문재인
김정은
서명인문재인
김정은
목적한반도의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 체제 구축
선언 정보
정식 명칭판문점 선언 -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서명일2018년 4월 27일
서명 장소판문점, 한반도
서명자문재인
김정은
당사자대한민국 국군
조선인민군
언어한국어
한국어 (남)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
한자 (남)韓半島의 平和와 繁榮, 統一을 爲한 板門店 宣言
로마자 표기 (남)Hanbandoui pyeonghwawa beonyeong, tongireul wihan Panmunjeom seoneon
매큔-라이샤워 표기 (남)Hanbandoui p'yŏnghwawa pŏnyŏng, t'ongirŭl wihan P'anmunjŏm sŏnŏn
한국어 (북)조선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
한자 (북)朝鮮半島의 平和와 繁榮, 統一을 爲한 板門店 宣言
로마자 표기 (북)Joseonbandoui pyeonghwawa beonyeong, tongireul wihan Panmunjeom seoneon
매큔-라이샤워 표기 (북)Chosŏnbandoŭi p'yŏnghwawa pŏnyŏng, t'ongirŭl wihan P'anmunjŏm sŏnŏn
주요 내용한반도 비핵화
한국전쟁 종전 선언
남북 관계 개선
관련 정보
관련 문서한국전쟁 휴전협정 (1953년 7월 27일)
7·4 남북 공동 성명 (1972년 7월 4일)
남북 유엔 동시가입 (1991년 8월 8일)
남북 기본합의서 (1991년 12월 13일)
2000년 남북정상회담 (2000년 6월 13일-15일)
6·15 남북 공동선언 (2000년 6월 15일)
2007년 남북정상회담 (2007년 10월 2일-4일)
10·4 남북정상선언 (2007년 10월 4일)
봄이 온다 (2018년 4월 1일-3일)
2018년 제1차 남북정상회담 (2018년 4월 27일)
2018년 제2차 남북정상회담 (2018년 5월 26일)
2018년 북미정상회담 (2018년 6월 12일)
2018년 제3차 남북정상회담 (2018년 9월 18일-20일)
2019년 2월 북미정상회담 (2019년 2월 26일-28일)
2019년 6월 북미정상회담 (2019년 6월 30일)
관련 기사판문점 선언: 주요 내용
김정은, 트럼프와의 만남을 위한 토대 마련
한반도 평화,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
북한, 위성 발사 후 남한과의 군사 합의 중단
'정전 65년' 끝낼 종전선언 연내 추진…평화체제 '첫발'
남북 올해 종전선언·평화협정 전환 추진…'한반도 비핵화' 명시

2. 주요 내용

2018년 4월 27일, 대한민국문재인 대통령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김정은 국무위원회 위원장은 판문점에서 제3차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하고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을 발표하였다.[6][7]

판문점 선언은 크게 세 가지 주요 내용을 담고 있다.

문재인과 김정은이 판문점 선언에 서명


문재인과 김정은이 판문점 선언을 들고 있다

  • 첫째, 남북 관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발전시켜 공동 번영과 자주적 한국의 재통일을 앞당긴다.
  • 둘째, 한반도에서 군사적 긴장 상태를 완화하고 전쟁 위험을 실질적으로 해소한다.
  • 셋째, 한반도의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 체제를 구축한다.


또한, 두 정상은 정례적인 회담과 직통 전화를 통해 국가 중대사를 논의하고 상호 신뢰를 강화하며, 2018년 가을 문재인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하기로 합의했다.[5]

2. 1. 남북 관계의 발전

남북은 상호 존중과 신뢰를 바탕으로 남북 관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발전시켜 나가기로 합의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조치들을 취하기로 했다.[5][6][7]

내용
합의의 철저한 이행 및 실천을 위한 고위급 실무회담 지속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설치
다방적 협력과 교류 왕래 및 접촉
남북 적십자 회담과 8월 15일 이산가족·친척 상봉 진행
동해선경의선 철도와 도로 연결 및 현대화


2. 2. 군사적 긴장 완화

남북은 한반도에서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고 전쟁 위험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공동으로 노력하기로 합의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들을 취하기로 했다.[6][7]

  • 상대방에 대한 일체의 적대 행위를 전면 중지한다.
  • 서해 북방한계선 일대를 평화 수역으로 만든다.
  • 군사 당국자 회담을 자주 개최하고, 2018년 5월에 장관급 군사 회담을 개최하여 군사적 상호 보장 대책을 수립한다.

2. 3.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남북은 한반도의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 체제 구축을 위해 적극 협력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들을 취하기로 했다.[5][6][7]

  • 불가침 합의를 재확인하고 준수한다.
  • 단계적 군축을 실시한다.
  • 2018년 정전협정 65주년을 맞이하여, 미국, 중국과 긴밀히 협력하여 종전 선언 후 평화협정 전환을 추진한다.
  • 완전한 한반도의 비핵화를 위하여 남북이 공동 노력한다.

3. 평가 및 의의

2018년 4월 27일 남북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판문점 선언을 통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인 평화 체제 구축, 남북 관계의 획기적인 발전에 합의하였다.[5][6][7] 이는 한국 전쟁 이후 지속된 남북 간의 대립과 갈등을 해소하고, 새로운 평화와 협력의 시대를 열어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판문점 선언은 남북 관계 개선과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받는다. 문재인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은 판문점 선언의 정신을 이어받아 남북 관계 개선과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개성에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설치하고, 동해선경의선 철도 연결을 추진하는 등 구체적인 협력 사업을 진행하였다. 또한, 한국 정전 협정 65주년을 맞아 평화 협정 체결을 위한 남·북·미 3자 또는 남·북·미·중 4자 회담 개최를 추진하는 등 한반도 평화 체제 구축을 위한 외교적 노력도 경주하였다.

그러나 판문점 선언의 이행 과정은 순탄치만은 않았다.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관련된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남북 관계가 경색되는 상황도 발생하였다. 특히, 보수 진영 일각에서는 판문점 선언이 북한의 비핵화 의지를 담보하지 못하고, 일방적인 양보만 포함하고 있다는 비판을 제기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판문점 선언은 남북 관계와 한반도 정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남북 간의 군사적 긴장이 완화되고, 이산가족 상봉이 재개되는 등 실질적인 성과가 나타났다. 또한, 국제사회에서도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대한 지지가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결론적으로, 판문점 선언은 남북 관계 개선과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중요한 디딤돌 역할을 수행하였다. 앞으로도 선언의 정신을 계승하여 남북 간의 신뢰를 회복하고, 지속 가능한 평화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참조

[1] 뉴스 Panmunjom Declaration: The key points https://www.dhakatri[...] 2018-04-27
[2] 뉴스 In a feel-good Korea summit, Kim lays the groundwork for meeting with Trump https://www.washingt[...] 2018-04-27
[3] 웹사이트 Panmunjom Declaration for Peace, Prosperity and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http://www.mofa.g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8-09-11
[4] 웹사이트 North Korea suspends military accord with South after satellite launch https://www.lemonde.[...] 2023-11-23
[5] 웹사이트 Full text of Panmunjom Declaration https://www.japantim[...] Japantimes.co.jp 2018-06-26
[6] 웹사이트 韓半島の平和と繁栄、統一に向けた板門店宣言 http://japanese.kore[...] 韓国政府による南北首脳会談公式サイト(日本語) 2018-04-27
[7] 뉴스 「板門店宣言」の全文を、取り急ぎ日本語に訳してみました https://www.huffingt[...] ハフポスト 2018-04-27
[8] 뉴스 https://news.naver.c[...]
[9] 뉴스 https://news.naver.c[...]
[10] 뉴스 판문점선언 비준동의안 국회 제출…내년 2천986억원 추가 소요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8-09-11
[11] 뉴스 민주 "판문점선언 비준 추진"... 통합 "북 도발중지 촉구결의 제출" https://news.naver.c[...] 오마이뉴스 2020-06-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