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옥시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퍼옥시솜은 1954년 처음 발견된 세포 소기관으로, 단일 막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세포질 내에서 다양한 대사 반응을 수행한다. 주요 기능으로는 지방산의 분해, 플라스마로겐 합성, 과산화수소 해독 등이 있으며, 세포 유형과 환경 조건에 따라 크기와 단백질 조성이 달라진다. 퍼옥시솜은 미토콘드리아, 소포체 등 다른 세포 소기관과 상호작용하며, 페록시솜의 기능 이상은 페록시솜 질환과 같은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포소기관 - 소포 (세포)
소포는 막으로 둘러싸인 작은 주머니 모양의 구조물로, 세포 내 물질 수송, 소화, 분비, 세포간 신호 전달, 세포 외부 물질 소화 및 배출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특히 세포외소포체는 질병과의 연관성으로 주목받고 있고, 클라트린, COPI, COPII, SNARE 단백질 등이 소포 형성 및 수송에 관여한다. - 세포소기관 - 세포막
세포막은 세포질을 둘러싸고 세포 내외부 환경을 구분하는 선택적 투과성 막으로, 인지질 이중층과 단백질, 탄수화물로 구성되어 물질 수송, 세포 형태 유지, 세포 간 신호 전달, 세포 접합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유동 모자이크 모델로 설명된다.
퍼옥시솜 |
---|
2. 역사
퍼옥시솜은 1954년 스웨덴의 박사 과정 학생 J. 로딘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8] 1966년 크리스티앙 드 뒤브와 피에르 보댕에 의해 세포 소기관으로 확인되었다.[9]
퍼옥시솜은 세포질에 위치한 작고(직경 0.1–1 μm) 구형의 세포 소기관으로, 단일 생체막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내부에는 미세하고 과립상의 기질을 가지고 있다.[13][14] 구획화는 세포 기능과 생물의 생존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퍼옥시솜 내의 다양한 대사 반응을 촉진하는 최적화된 환경을 조성한다.
퍼옥시좀은 지방산의 사슬 길이를 정교하게 절단하는 기능으로 미토콘드리아에서의 지방산의 산화를 위한 전처리와 관련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크리스티앙 드 뒤브와 그의 연구진은 퍼옥시솜이 과산화수소(H2O2) 생성을 포함하는 여러 산화 효소와, H2O2를 산소와 물로 분해하는 카탈레이스를 함유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10] 과산화물 대사에서의 역할 때문에 드 뒤브는 이전의 형태학적 용어인 "소체"를 대체하여 "퍼옥시솜"이라고 명명했다.
이후 반딧불이 루시페라제가 포유류 세포의 퍼옥시솜으로 표적화된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퍼옥시솜의 수입 표적 신호가 발견되었고, 퍼옥시솜 생합성 분야에서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다.[11][12]
3. 구조
퍼옥시솜의 수, 크기 및 단백질 조성은 세포 유형 및 환경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빵 효모(''S. cerevisiae'')에서, 포도당이 잘 공급될 때는 소수의 작은 퍼옥시솜만 존재한다. 반대로, 효모에 장쇄 지방산을 유일한 탄소원으로 공급하면 최대 20~25개의 큰 퍼옥시솜이 형성될 수 있다.[15]
4. 기능
==== 대사 기능 ====
퍼옥시솜의 주요 기능은 베타 산화를 통한 초장쇄 지방산의 분해이다.[16][17] 동물 세포에서 긴 지방산은 중쇄 지방산으로 전환된 후, 미토콘드리아로 운반되어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된다. 효모와 식물 세포에서는 이 과정이 퍼옥시솜에서만 수행된다.[16][17]
플라스마로겐 형성의 첫 번째 반응 또한 퍼옥시솜에서 일어난다.[16] 플라스마로겐은 미엘린에서 가장 풍부한 인지질이며, 플라스마로겐 결핍은 신경 세포의 수초 형성에 심각한 이상을 유발한다.[16] 퍼옥시솜은 지방과 지용성 비타민(비타민 A, K 등)의 흡수에 중요한 담즙산 생성에도 관여한다.[17]
포유류 퍼옥시솜에서 일어나는 특정 대사 경로는 다음과 같다.[5]
==== 산화 기능 및 해독 작용 ====
퍼옥시솜에는 D-아미노산 산화효소, 요산 산화효소와 같은 산화 효소가 포함되어 있다.[18] 그러나 요산 산화효소는 사람에게는 없어, 요산 축적으로 인한 통풍이 발생한다. 퍼옥시솜 내의 특정 효소는 분자 산소를 사용하여 산화 반응에서 특정 유기 기질(R로 표시)에서 수소 원자를 제거하여 과산화 수소(H₂O₂)를 생성한다.[16]
:
카탈레이스는 과산화 수소를 이용하여 페놀, 포름산, 포름알데히드, 알코올 등을 산화시켜, 과산화 수소를 제거한다.[16]
:
이 반응은 간과 신장 세포에서 중요하며, 퍼옥시솜은 혈액으로 들어가는 다양한 독성 물질을 해독한다. 사람이 섭취하는 에탄올의 약 25%가 아세트알데히드로 산화된다.[16] 또한 과도한 H₂O₂가 세포에 축적되면 카탈라아제는 이를 물(H₂O)로 전환한다.
:
포유류와 인간의 퍼옥시솜은 항바이러스 방어[23] 및 병원체와의 싸움[24]에 기여한다.
==== 식물에서의 기능 ====
식물에는 글리옥시솜과 녹색 잎 퍼옥시솜이라고 불리는 퍼옥시솜이 존재한다. 글리옥시솜은 식물의 저장 조직에서 발견되며, 글리옥실산 회로를 통해 종자에 포함된 지질로부터 포도당을 생성한다. 녹색 잎 퍼옥시솜은 엽록체 근처에 존재하며, 엽록체 및 미토콘드리아와 함께 광호흡의 대사를 담당한다. 광 조사에 의해 글리옥시솜에서 녹색 잎 퍼옥시솜으로의 기능 전환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산화물 불균등화 효소, 아스코르브산-글루타티온 회로 구성 요소, 오탄당 인산 경로의 NADP-탈수소 효소 등 항산화 효소를 포함한다.초과산화물(O₂⁻) 및 일산화 질소(NO) 라디칼을 생성한다.곰팡이 침투에 대항하여 항균 작용을 하는 글루코시놀레이트를 생성한다. 이 외에도 몇 가지 다른 퍼옥시솜이 존재하며, 기타 미세 소포체라고 불리기도 한다.
4. 1. 대사 기능
퍼옥시솜의 주요 기능은 베타 산화를 통한 초장쇄 지방산의 분해이다.[16][17] 동물 세포에서 긴 지방산은 중쇄 지방산으로 전환된 후, 미토콘드리아로 운반되어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된다. 효모와 식물 세포에서는 이 과정이 퍼옥시솜에서만 수행된다.[16][17]
플라스마로겐 형성의 첫 번째 반응 또한 퍼옥시솜에서 일어난다.[16] 플라스마로겐은 미엘린에서 가장 풍부한 인지질이며, 플라스마로겐 결핍은 신경 세포의 수초 형성에 심각한 이상을 유발한다.[16] 퍼옥시솜은 지방과 지용성 비타민(비타민 A, K 등)의 흡수에 중요한 담즙산 생성에도 관여한다.[17]
포유류 퍼옥시솜에서 일어나는 특정 대사 경로는 다음과 같다.[5]
퍼옥시솜에는 D-아미노산 산화효소 및 요산 산화효소와 같은 산화성 효소가 포함되어 있다.[18] 퍼옥시솜 내의 특정 효소는 분자 산소를 사용하여 산화 반응에서 특정 유기 기질(R)에서 수소 원자를 제거하여 과산화 수소(H2O2)를 생성한다.
:
다른 퍼옥시솜 효소인 카탈라아제는 이 H2O2를 사용하여 페놀, 포름산, 포름알데히드, 알코올을 포함한 다른 기질을 산화하여 유독한 과산화 수소를 제거한다.
:
이 반응은 간과 신장 세포에서 중요하며, 여기서 퍼옥시솜은 혈액으로 들어가는 다양한 독성 물질을 해독한다. 인간이 알코올 음료를 마심으로써 섭취하는 에탄올의 약 25%가 아세트알데히드로 산화된다.[16] 과도한 H2O2가 세포에 축적되면 카탈라아제는 이를 H2O로 전환한다.
:
고등 식물에서 퍼옥시솜은 과산화물 불균등화 효소, 아스코르브산-글루타티온 회로의 구성 요소, 오탄당 인산 경로의 NADP-탈수소 효소와 같은 항산화 효소를 포함한다. 퍼옥시솜은 초과산화물 (O2•−) 및 일산화 질소 (•NO) 라디칼을 생성한다.[19][20]
퍼옥시솜 H2O2를 포함한 활성 산소 종은 식물과 동물 모두에서 중요한 신호 분자이며 인간의 건강한 노화와 노화 관련 질환에 기여한다.[21]
식물 세포의 퍼옥시솜은 곰팡이 침투에 대항할 때 편광된다. 감염은 글루코시놀레이트 분자가 퍼옥시솜 단백질(PEN2 및 PEN3)의 작용을 통해 항진균 역할을 하여 세포 외부로 전달되도록 한다.[22]
포유류와 인간의 퍼옥시솜은 항바이러스 방어[23] 및 병원체와의 싸움[24]에 기여한다.
4. 2. 산화 기능 및 해독 작용
퍼옥시솜에는 D-아미노산 산화효소, 요산 산화효소와 같은 산화 효소가 포함되어 있다.[18] 그러나 요산 산화효소는 사람에게는 없어, 요산 축적으로 인한 통풍이 발생한다. 퍼옥시솜 내의 특정 효소는 분자 산소를 사용하여 산화 반응에서 특정 유기 기질(R로 표시)에서 수소 원자를 제거하여 과산화 수소(H₂O₂)를 생성한다.[16]
:
카탈레이스는 과산화 수소를 이용하여 페놀, 포름산, 포름알데히드, 알코올 등을 산화시켜, 과산화 수소를 제거한다.[16]
:
이 반응은 간과 신장 세포에서 중요하며, 퍼옥시솜은 혈액으로 들어가는 다양한 독성 물질을 해독한다. 사람이 섭취하는 에탄올의 약 25%가 아세트알데히드로 산화된다.[16] 또한 과도한 H₂O₂가 세포에 축적되면 카탈라아제는 이를 물(H₂O)로 전환한다.
:
포유류와 인간의 퍼옥시솜은 항바이러스 방어[23] 및 병원체와의 싸움[24]에 기여한다.
4. 3. 식물에서의 기능
식물에는 글리옥시솜과 녹색 잎 퍼옥시솜이라고 불리는 퍼옥시솜이 존재한다. 글리옥시솜은 식물의 저장 조직에서 발견되며, 글리옥실산 회로를 통해 종자에 포함된 지질로부터 포도당을 생성한다. 녹색 잎 퍼옥시솜은 엽록체 근처에 존재하며, 엽록체 및 미토콘드리아와 함께 광호흡의 대사를 담당한다. 광 조사에 의해 글리옥시솜에서 녹색 잎 퍼옥시솜으로의 기능 전환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산화물 불균등화 효소, 아스코르브산-글루타티온 회로 구성 요소, 오탄당 인산 경로의 NADP-탈수소 효소 등 항산화 효소를 포함한다.초과산화물(O₂⁻) 및 일산화 질소(NO) 라디칼을 생성한다.곰팡이 침투에 대항하여 항균 작용을 하는 글루코시놀레이트를 생성한다. 이 외에도 몇 가지 다른 퍼옥시솜이 존재하며, 기타 미세 소포체라고 불리기도 한다.
4. 4. 기타 기능
5. 퍼옥시솜 형성 (Peroxisome assembly)
퍼옥시솜은 특정 조건 하에서 소포체에서 유래하며, 막 성장과 분열을 통해 복제된다.[25][26][27] 퍼옥시솜 기질 단백질은 세포질에서 번역된 후, ''C-말단''(PTS1) 또는 ''N-말단''(PTS2)에 위치한 퍼옥시솜 단백질 타겟팅 신호(PTS)에 의해 퍼옥시솜으로 수입된다.
페록신(단백질)은 퍼옥시솜 생합성 및 유지에 관여하는 36개의 단백질이다.[28] 포유류 세포에는 13개의 특징적인 페록신이 존재한다. 소포체나 미토콘드리아와 달리, 단백질은 퍼옥시솜 내강으로 수입되기 위해 펼쳐질 필요가 없다. 매트릭스 단백질 수입 수용체인 PEX5와 PEX7은 각각 PTS1, PTS2를 포함하는 화물을 퍼옥시솜으로 운반하고, 화물을 퍼옥시솜 기질로 방출한 뒤 "재활용" 단계를 거쳐 세포질로 돌아간다.[30] 이 과정에서 유비퀴틴화는 PEX5가 퍼옥시솜에서 세포질로 수출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ATP 가수분해는 수용체의 세포질로의 재활용에 필요하다.
퍼옥시솜 막 단백질(PMP)의 삽입에는 페록신 PEX19, PEX3, PEX16이 필요하다. PEX19는 PMP 수용체 및 샤페론으로 작용하여 PMP를 퍼옥시솜 막으로 이동시키고, PEX3과 상호작용하여 PMP를 막에 삽입한다.
퍼옥시솜의 분해는 페고파지(pexophagy)라고 한다.[31]
PEX 유전자는 퍼옥시솜 조립에 필요한 페록신을 암호화한다. 퍼옥시솜 막 단백질은 PEX19와 PEX3의 상호작용에 의존하는 경로와, PTS1 또는 PTS2를 가진 매트릭스 효소의 수입 없이 PEX3 수입에 필요한 경로를 통해 수입된다.[38] 퍼옥시솜 막의 신장 및 분열은 Pex11p에 의해 조절된다.[39] 페록신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에는 PEX1, PEX2(PXMP3), PEX3, PEX5, PEX6, PEX7, PEX9,[40][41] PEX10, PEX11A, PEX11B, PEX11G, PEX12, PEX13, PEX14, PEX16, PEX19, PEX26, PEX28, PEX30, PEX31 등이 있다.
6. 다른 세포 소기관과의 상호작용
퍼옥시솜은 지방산의 사슬 길이를 절단하여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나는 지방산 산화를 위한 전처리를 돕는다.[32]
소포체, 미토콘드리아, 지질 방울, 리소좀 등 세포 지질 대사에 관여하는 여러 세포 소기관과 상호작용하며 협력한다.[32] 특히 지방산 베타 산화 및 활성 산소 대사 과정에서 미토콘드리아와 긴밀하게 상호작용한다.[5] 두 세포 소기관은 소포체와도 밀접하게 접촉하며, 세포 소기관 분열 인자를 포함한 여러 단백질을 공유한다.[33]
퍼옥시솜은 소포체와 협력하여 신경 세포에 중요한 에테르 지질인 플라스마로겐을 합성한다.[34] 사상 곰팡이의 경우, 퍼옥시솜은 빠르게 움직이는 초기 엔도솜과 접촉하여 미세 소관을 통해 이동하는 '히치하이킹'을 한다.[34]
이러한 세포 소기관 간의 물리적 접촉은 주로 막 접촉 부위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 부위에서 두 세포 소기관의 막이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통해 작은 분자들이 빠르게 이동하고 세포 소기관 간의 통신이 가능해지며, 세포 기능 조절 및 건강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35] 막 접촉의 변화는 다양한 질병에서 관찰된다.[35]
7. 관련 질병
페록시솜 질환은 일반적으로 인간의 신경계를 포함한 여러 기관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의학적 상태이다.[36][37] 페록시솜의 기능 이상을 일으키는 2~30가지의 유전병이 알려져 있다.
페록시솜 관련 질병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는 페록시솜의 생합성 과정에 이상이 생기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페록시솜에 포함된 효소의 기능이 저해되는 것이다. 부신백질이영양증(ALD)은 후자의 대표적인 질환이며, X 염색체 위에 원인 유전자가 위치한다. 전자에는 젤베거 증후군 등이 포함된다.
8. 진화적 기원
세포 내 공생설에 따르면, 퍼옥시솜은 더 큰 세포에 침입한 세균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이 있다.[42] 퍼옥시솜 수입 기구와 소포체 관련 단백질 분해(ERAD) 경로 사이에 상동성이 발견되었고,[44][45] 미토콘드리아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는 여러 대사 효소가 발견되었다.[45] 퍼옥시솜은 방선균 기원을 가졌을 수 있다는 주장이 있지만,[46] 논란의 여지가 있다.[47] 하지만 이 견해는 최근 발견으로 인해 도전을 받고 있다.[43] 예를 들어, 퍼옥시솜이 없는 돌연변이체는 야생형 유전자를 도입하면 퍼옥시솜을 복원할 수 있다.
9. 기타 관련 세포 소기관
글리옥시솜은 식물과 사상균에 존재하며, 글리코솜은 키네토플라스티드에 존재한다.[48] 워로닌 소체는 사상균에 존재한다.[48]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PEROXISOME
https://www.merriam-[...]
2019-10-30
[2]
논문
The peroxisome: an update on mysteries 2.0
2018-11
[3]
논문
Dynamic reorganization of metabolic enzymes into intracellular bodies
2012
[4]
논문
Reactive oxygen species and peroxisomes: struggling for balance
[5]
논문
Biochemistry of mammalian peroxisomes revisited
[6]
논문
Dehydrogenases of the pentose phosphate pathway in rat liver peroxisomes
1989-07
[7]
서적
Esau's Plant Anatomy: Meristems, Cells, and Tissues of the Plant Body: Their Structure, Function, and Development
John Wiley & Sons
[8]
논문
Correlation of ultrastructural organization and function in normal and experimentally changed proximal tubule cells of the mouse kidney
[9]
논문
Peroxisomes (microbodies and related particles)
[10]
논문
The peroxisome: a new cytoplasmic organelle
1969-04
[11]
논문
Firefly luciferase is targeted to peroxisomes in mammalian cells.
1987-05
[12]
논문
Identification of peroxisomal targeting signals located at the carboxy terminus of four peroxisomal proteins
1988-09
[13]
서적
Karlsons Biochemistry and Pathobiochemistry
Georg Thieme
[14]
서적
Biology of Plants
De Gruyter
[15]
서적
Yeast: Molecular and Cell Biology
Wiley-VCH
[16]
서적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Garland Science
[17]
논문
Organelle interplay—peroxisome interactions in health and disease
2019-03
[18]
논문
Metabolism of oxygen radicals in peroxisomes and cellular implications
1992-11
[19]
논문
Peroxisomes as a source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nitric oxide signal molecules in plant cells
2001-04
[20]
논문
Cellular and subcellular localization of endogenous nitric oxide in young and senescent pea plants
2004-09
[21]
논문
Peroxisomal Hydrogen Peroxide Metabolism and Signaling in Health and Disease
2019-07
[22]
논문
A glucosinolate metabolism pathway in living plant cells mediates broad-spectrum antifungal defense
2009-01
[23]
논문
Peroxisomes are signaling platforms for antiviral innate immunity
2010-05
[24]
논문
Dysfunctional peroxisomes compromise gut structure and host defense by increased cell death and Tor-dependent autophagy
2018-11
[25]
논문
Contribution of the endoplasmic reticulum to peroxisome formation
2005-07
[26]
논문
Proliferation and fission of peroxisomes - An update
2016-05
[27]
논문
Biogenesis of peroxisomes
1985-11
[28]
논문
Proteomics of the peroxisome
2006-12
[29]
논문
Import of proteins into peroxisomes: piggybacking to a new home away from home
2015-11
[30]
논문
The human peroxisomal targeting signal receptor, Pex5p, is translocated into the peroxisomal matrix and recycled to the cytosol
2001-04
[31]
논문
Pexophagy in yeast and mammals: an update on mysteries
2018-11
[32]
논문
No peroxisome is an island - Peroxisome contact sites
2016-05
[33]
서적
Proteomics of Peroxisomes
2018
[34]
논문
Hitchhiking: A Non-Canonical Mode of Microtubule-based Transport
2017
[35]
논문
Mind the Organelle Gap - Peroxisome Contact Sites in Disease
2018-03
[36]
간행물
Human peroxisomal disorders
2003-06
[37]
간행물
The peroxisome: an update on mysteries
2012-03
[38]
간행물
PEX3 functions as a PEX19 docking factor in the import of class I peroxisomal membrane proteins
[39]
간행물
The membrane remodeling protein Pex11p activates the GTPase Dnm1p during peroxisomal fission
[40]
간행물
Pex9p is a new yeast peroxisomal import receptor for PTS1-containing proteins
2016-11
[41]
간행물
Characterization of proteome dynamics during growth in oleate reveals a new peroxisome-targeting receptor
2016-11
[42]
간행물
Biogenesis of peroxisomes
[43]
간행물
Maintaining peroxisome populations: a story of division and inheritance
[44]
간행물
The evolutionary origin of peroxisomes: an ER-peroxisome connection
2006-04
[45]
간행물
Origin and evolution of the peroxisomal proteome
2006-03
[46]
간행물
The origin of peroxisomes: The possibility of an actinobacterial symbiosis
2010-01
[47]
간행물
Lack of phylogenetic support for a supposed actinobacterial origin of peroxisomes
2010-10
[48]
간행물
Glycosome assembly in trypanosomes: variations in the acceptable degeneracy of a COOH-terminal microbody targeting signal
1992-12
[49]
간행물
Cholesterol biosynthesis and ER stress in peroxisome deficiency
https://www.scienced[...]
2014-03-01
[50]
두산백과
퍼옥시좀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