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판테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판테온은 "모든 신들의 신전" 또는 "모든 신들에게 공통적인"을 의미하는 단어로, 여러 신들을 모시는 신전을 뜻한다. 고대 그리스, 로마 등 다신교 사회에서 신전을 지칭했으며, 종교적 의미에서 벗어나 르네상스 이후에는 위대한 사람들을 모시는 건물을 의미하기도 한다. 현대에는 신전 건축물, 사회의 고귀한 인물 집합, 그리고 다양한 분야의 존경받는 인물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종교 건축물 - 왕국회관
    왕국회관은 여호와의 증인이 종교 집회, 성서 연구, 전파 훈련 등을 위해 사용하는 건물로, 신도들의 기부와 자원봉사로 건설되며 십자가 등의 종교적 상징은 사용하지 않고 도서관, 헌금함 등의 시설을 갖춘다.
  • 종교 건축물 - 시나고그
    시나고그는 유대교 예배당이자 유대인 공동체의 중심 건물로, 지역과 종교적 성향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예배, 토라 연구, 공동체 활동의 장소로 기능한다.
  • 신화의 장소 - 황천
    황천은 고대 중국과 일본 신화에서 죽은 자의 세계를 가리키는 말로, 문화권에 따라 개념과 묘사가 다르며, 지하세계, 요미노쿠니(黄泉國), 요모츠쿠니(ヨモツクニ) 등으로 불리며 삶과 죽음에 대한 상징적 개념으로 해석되고 기독교 문헌에서 지옥을 가리키기도 한다.
  • 신화의 장소 - 하느님의 나라
    하느님의 나라는 구약성서에서 기원하여 예수와 바울을 거쳐 기독교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지며, 개혁주의는 이를 권능, 은총, 영광의 왕국으로 해석한다.
  • 다신교 - 애니미즘
    애니미즘은 모든 사물에 영혼이나 정령이 존재한다는 믿음으로, 종교의 초기 형태로 여겨졌으나 현대에는 인간과 비인간 존재 간의 관계성에 초점을 맞춘 신 애니미즘 개념이 등장하여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다신교 - 신토
    신토는 일본 고유의 종교적 관념으로, 창시자나 경전 없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가미'에 대한 믿음을 중심으로 다양한 의례와 신앙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역사적으로 격변을 거쳐 현재는 신사신도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판테온
종교
유형신들의 집단
관련 주제신화, 종교, 신학
추가 정보
같이 보기비교 신화학
비교 종교학
신격화
신화
신화 목록
종교와 신화
상징주의
신학

2. 어원

'판테온(pantheon)'이라는 단어는 고대 그리스어 πάνθεον|판테온grc에서 유래했으며, 문자 그대로 "모든 신들의 (신전)", "모든 신들에게 공통적인"을 의미한다. πᾶν(pan-)은 "모든"을, θεός(theos)는 "신"을 의미한다.

3. 역사

하드리아누스 황제에 의해 건립된 로마의 판테온 신전(118년~125년경)


판테온은 원래 여러 신(모든 신들)을 모시는 신전을 뜻했다.(만신전)[15] 고대 그리스, 고대 로마, 로마 제국에 이러한 의미의 판테온이 존재했다. 그러나 380년 테오도시우스 1세 황제가 기독교로마 제국의 국교로 선포하고, 392년에는 로마 제국 내에서 기독교 이외의 종교를 금지하면서 다신교는 금지된 이단으로 간주되었고, 판테온은 쇠퇴하게 되었다.

르네상스를 거친 16세기에는 종교적인 의미에서 벗어나, 신들이 아닌 위대한 사람들을 모시는 건물을 의미하게 되었다.[15] 로마 판테온과 파리 판테온이 특히 유명하다.

3. 1. 고대 사회의 판테온



판테온은 여러 신(모든 신들)을 모시는 신전을 뜻한다.(만신전)[15] 이 의미에서의 판테온은 고대 그리스, 고대 로마, 로마 제국에 존재했다.

그러나 380년 테오도시우스 1세 황제가 기독교로마 제국의 국교로 선포하고, 392년에는 로마 제국 내에서 기독교 이외의 종교를 금지했기 때문에, 다신교를 용인하는 판테온은 금지된 이단으로 간주되었다. 따라서 판테온 건물에서 종교 활동을 할 수 없게 되었고, 사람들은 떠나고, 쇠퇴해갔다.

3. 2. 판테온의 변화와 발전

여러 문명에서 신들의 세계(판테온)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장하는 경향이 있었다. 처음에는 도시나 장소의 수호신으로 숭배되던 신들이 제국이 더 넓은 영토로 확장되면서 함께 모이게 되었다. 그리스의 티타노마키아에서 볼 수 있듯이, 정복은 이전 문화의 신들의 세계를 새로운 신들의 세계에 종속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었으며, 노르드 신화의 아시르와 바니르의 경우도 그럴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다른 경우에는 국가 신들의 세계가 통합되거나 단순화되어 더 적은 수의 신이 되거나, 원래 신들의 세계에 할당되었던 모든 영역에 대한 권능을 가진 유일신이 되었다. 예를 들어, 기원전 1천년기 동안 고대 근동에서 시리아팔레스타인 부족들은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에서 발전된 것보다 훨씬 작은 신들의 세계를 숭배했다.[5]

신들의 세계라는 개념은 20세기 판타지 문학과 ''던전 앤 드래곤''과 같은 역할수행게임에서 널리 모방되었다. 이러한 용례는 역사적 패턴을 많이 차용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작가는 장르에 맞는 신들의 세계를 구성하는 것이 중요한데, 신들의 특징이 균형을 이루어 어떤 신도 이야기를 압도하지 않고 등장인물의 행동이 신들의 책략에 압도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7]

; 고대의 만신전

여러 신(모든 신들)을 모시는 신전을 뜻한다.[15] ('''만신전'''). 이 의미에서의 판테온은 고대 그리스, 고대 로마, 로마 제국에 존재했다.

; 16세기 이후의 "위대한 사람들"과 "위대한 사람들의 묘소"

인본주의적인 르네상스를 거친 16세기에는 종교적인 의미에서 벗어나, 신들이 아닌 위대한 사람들을 모시는 건물을 의미하게 되었다.[15]

로마 판테온과 파리 판테온이 특히 유명하다.

3. 2. 1. 인도유럽어족 종교의 영향

야안 푸흐벨, J. P. 맬러리, 더글러스 Q. 애덤스 등의 학자들은 여러 인도유럽 민족들 종교의 기원이 되는 고대 프로토인도유럽어족 종교의 여러 측면을 재구성하였으며, 이 종교는 본질적으로 자연주의적인 누멘(numen) 종교였다고 주장한다. 이 공유된 과거에서 나온 종교적 개념의 한 예로는 여러 다른 종교 체계에서 증명되는 ''*dyēus''의 개념이 있다.

3. 2. 2. 문화 간 교류와 융합

여러 학자들이 여러 인도유럽 민족들의 종교의 기원이 되는 고대 프로토인도유럽어족 종교의 여러 측면을 재구성하였으며, 이 종교는 본질적으로 자연주의적인 누멘(numen) 종교였다고 주장한다. 이 공유된 과거에서 나온 종교적 개념의 한 예로는 여러 다른 종교 체계에서 증명되는 ''*dyēus''의 개념이 있다.

많은 문명에서 신들의 세계(판테온)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장하는 경향이 있었다. 처음에는 도시나 장소의 수호신으로 숭배되던 신들이 제국이 더 넓은 영토로 확장되면서 함께 모이게 되었다. 그리스의 티타노마키아에서 볼 수 있듯이, 정복은 이전 문화의 신들의 세계를 새로운 신들의 세계에 종속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었으며, 노르드 신화의 아시르와 바니르의 경우도 그럴 가능성이 있다. 문화 교류는 그리스인, 에트루리아인, 로마인의 경우처럼 "같은" 신이 서로 다른 이름으로 두 곳에서 숭배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었고, 나중에 고대 그리스에서 숭배된 고대 이집트오시리스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외부 종교의 요소가 지역 종교로 전파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었다. 막스 베버의 1922년 저서 ''프로테스탄티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은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이 다른 문화의 신들의 세계에서 숭배되는 신들을 "비교적 조직화된 그리스 신들의 세계의 신들과 동등하고 동일한 것"으로 해석하는 경향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4]

3. 2. 3. 일신교의 등장과 판테온의 쇠퇴

여러 인도유럽 민족들의 종교는 고대 프로토인도유럽어족 종교에서 기원했으며, 본질적으로 자연주의적인 누멘(numen) 종교였다고 학자들은 주장한다. 여러 다른 종교 체계에서 증명되는 ''*dyēus''의 개념은 이러한 공유된 과거에서 나온 종교적 개념의 한 예이다.

많은 문명에서 신들의 세계(판테온)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장하는 경향을 보였다. 도시나 장소의 수호신으로 숭배되던 신들이 제국이 확장되면서 함께 모이게 되었다. 정복은 이전 문화의 신들의 세계를 새로운 신들의 세계에 종속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했다. 문화 교류는 "같은" 신이 서로 다른 이름으로 두 곳에서 숭배되는 결과를 낳거나, 외부 종교의 요소가 지역 종교로 전파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했다. 막스 베버(Max Weber)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이 다른 문화의 신들을 그리스 신들의 세계의 신들과 동등하고 동일한 것으로 해석하는 경향에 대해 논의했다.[4]

그러나 국가 신들의 세계가 통합되거나 단순화되어 더 적은 수의 신이 되거나, 유일신으로 대체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기원전 1천년기 동안 고대 근동에서 시리아팔레스타인 부족들은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보다 훨씬 작은 신들의 세계를 숭배했다.[5] 베버는 신들의 세계와 일신교의 발전 사이의 연관성을 밝히며, 특정 신이 신들의 세계 내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것이 그 신을 "국제적 또는 보편적인 신"으로 보는 단계라고 주장했다.[4] 최초로 신들의 세계가 유일신으로 통합되거나 유일신에게 밀려나는 사례는 고대 이집트의 아텐 신앙과 관련이 있다.[6] 이스라엘 신 야훼와 관련해서도 유사한 과정이 진행된 것으로 생각된다.[5]

380년 테오도시우스 1세 황제가 기독교로마 제국의 국교로 선포하고, 392년에는 기독교 이외의 종교를 금지하면서 다신교를 용인하는 판테온은 쇠퇴하게 되었다.

3. 3. 근대 이후의 판테온



르네상스 시대에 들어서면서 인본주의적 영향으로, 16세기부터 판테온은 종교적 의미에서 벗어나 신이 아닌 위대한 사람들을 기리는 건물을 의미하게 되었다.[15]

로마 판테온과 파리 판테온이 특히 유명하다.

4. 현대적 의미와 활용

16세기 이후로 "판테온"은 사회의 고귀한 인물들, 처음에는 영웅적인 인물들을 포함하고 나중에는 일반적으로 유명인사까지 확대된 집합을 가리키는 세속적인 의미로도 사용되었다.[11] 바이런 경로마 판테온에 있는 유명한 역사적 인물들의 흉상을 본 후 ''차일드 해럴드의 순례''에서 영국의 판테온 중심에 있고 싶어하며, 신성과 관련짓고 싶어한다고 썼다.[12] 판테온은 "따라서 현대에 신성의 아우라를 불어넣고" "고대와 현대 명성의 상호 작용을 모델링"한다.[12]

이러한 경향은 현대에도 계속되어 '신을 위한'이라는 단어 "판테온"은 금융 거물들을 "우주의 주인"이라고 부르는 저널리즘 밈(meme)에 반영된다. 예를 들어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는 "1960년대 말에 표준 할리우드 스튜디오의 틀을 깨뜨린 독립 영화 감독들의 존경받는 판테온"의 일원으로 묘사되었다.[13]

4. 1. 건축물



신전이나 성스러운 건물을 건립할 때 모든 신들을 다 나열하는 어려움을 피하기 위해, 모든 신에게 명시적으로 헌정된 구조물도 "판테온"으로 불리게 되었다.[8] 이러한 구조물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기원전 29~19년 마르쿠스 아그리파마르스 광장에 있는 자신의 소유지에 건설한 건물 단지의 일부로 지은 로마 판테온이다.[9] 오늘날 남아 있는 건물은 기원후 126년경 같은 부지에 건설되었다. 이는 점점 다문화적인 로마 제국에서 여러 문화와 전통의 신들을 숭배하는 신들의 혼합주의를 포용하는 제스처로 "모든 신"에게 봉헌된 것이다. 이 건물은 나중에 609년 교황 보니파시오 4세 치하에서 기독교 교회로 개조되었다.[10]

4. 2. 위인과 유명인

16세기 이후로 "판테온"은 세속적인 의미에서 사회의 고귀한 인물들, 처음에는 영웅적인 인물들을 포함하고 나중에는 일반적으로 유명인사까지 확대된 집합을 가리키는 데에도 사용되었다.[11] 바이런 경로마 판테온에 있는 유명한 역사적 인물들의 흉상을 본 후 이러한 연관성을 끌어내어 ''차일드 해럴드의 순례''에서 영국의 판테온 중심에 있고 싶어하며, 신성과 관련짓고 싶어한다고 썼다.[12] 판테온은 "따라서 현대에 신성의 아우라를 불어넣고" "고대와 현대 명성의 상호 작용을 모델링"한다.[12] 이러한 경향은 현대에도 계속되어 '신을 위한'이라는 단어 "판테온"은 금융 거물들을 "우주의 주인"이라고 부르는 저널리즘 미미(meme)에 반영된다. 예를 들어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는 "1960년대 말에 표준 할리우드 스튜디오의 틀을 깨뜨린 독립 영화 감독들의 존경받는 판테온"의 일원으로 묘사되었다.[13]

4. 3. 게임과 문학

바이런 경은 로마 판테온에 있는 유명한 역사적 인물들의 흉상을 본 후 ''차일드 해럴드의 순례''에서 영국의 판테온 중심에 있고 싶어하며, 신성과 관련짓고 싶어한다고 썼다.[12] 판테온은 "따라서 현대에 신성의 아우라를 불어넣고" "고대와 현대 명성의 상호 작용을 모델링합니다".[12] 이러한 경향은 현대에도 계속되어 '신을 위한'이라는 단어 "판테온"은 금융 거물들을 "우주의 주인"이라고 부르는 저널리즘 미미(meme)에 반영된다. 예를 들어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는 "1960년대 말에 표준 할리우드 스튜디오의 틀을 깨뜨린 독립 영화 감독들의 존경받는 판테온"의 일원으로 묘사되었다.[13]

참조

[1] 사전 pantheon
[2] 서적 Gods, Heroes, & Kings: The Battle for Mythic Britain
[3] 서적 Evolution Vs. Creationism: An Introduction
[4] 서적 The Sociology of Religion
[5] 서적 No Other Gods: Emergent Monotheism in Israel
[6] 서적 No Other Gods: Emergent Monotheism in Israel
[7] 서적 eGods: Faith versus Fantasy in Computer Gaming
[8] 서적 Pantheons: Transformations of a Monumental Idea
[9] 웹사이트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10] 서적 The Pantheon: Design, Meaning, and Progeny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11] 서적 Pantheons: Transformations of a Monumental Idea
[12] 서적 Lord Byron and Scandalous Celebrity
[13] 서적 Text and Drugs and Rock 'n' Roll: The Beats and Rock Culture
[14] 웹사이트 Lexico, definition of pantheon https://www.lexico.c[...]
[15] 웹사이트 パンテオン 2022-02-03
[16] 웹사이트 건축가들의 순례지, 판테온 http://weekly.chosun[...]
[17] 웹사이트 판테온 천장에는 빗물이 들어오지 않는다 http://www.ohmynew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