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르디난도 3세 디 토스카나 대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르디난도 3세 디 토스카나 대공은 합스부르크-로트링겐 가문의 인물로, 1790년 토스카나 대공위를 계승하여 1824년 사망할 때까지 재위했다. 그는 프랑스 혁명 당시 프랑스 제1공화국을 최초로 인정한 군주였으나, 프랑스 혁명 전쟁 발발 후에는 대프랑스 동맹에 가담했다가 중립을 선언했다. 이후 나폴레옹 전쟁의 영향으로 토스카나 대공위를 잃고, 잘츠부르크 선제후, 뷔르츠부르크 대공을 역임했다. 나폴레옹 몰락 후 토스카나 대공으로 복위하여 통치했으며, 1824년 사망 후 아들 레오폴트 2세가 대공위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스카나 대공 -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는 교황 클레멘스 7세의 사생아로 피렌체의 첫 번째 세습 공작(1532-1537)이었으며, 어두운 피부색으로 "일 모로"라는 별명을 얻었고, 1530년 권력을 되찾아 피렌체 공작으로 임명되었으나 사촌 로렌초 데 메디치에 의해 암살당했다. - 토스카나 대공 - 메디치가
메디치가는 13세기부터 18세기까지 피렌체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메디치 은행의 부를 기반으로 정치, 경제, 문화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르네상스 황금기를 이끌었으나, 토스카나 대공국 건설 후 잔 가스토네의 죽음으로 가문의 통치가 종식되었다. - 1769년 출생 - 알렉산더 폰 훔볼트
프로이센 귀족 출신 과학자이자 탐험가인 알렉산더 폰 훔볼트는 남아메리카 탐험과 연구를 통해 근대 지리학 방법론을 확립하고 생명체와 환경의 상호작용에 대한 통찰을 제공했으며, 다양한 과학 분야에서 선구적인 업적을 남기고 국제적인 과학 협력에 기여했다. - 1769년 출생 - 이반 크릴로프
러시아의 라 퐁텐으로 불리는 이반 안드레예비치 크릴로프는 자기 계발로 다양한 지식을 쌓아 희곡 작가로 활동하다가 우화 작가로 전념하여 귀족 사회의 부패와 모순을 풍자, 러시아 문학에 큰 영향을 미치고 러시아 문화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겼다. - 1824년 사망 - 래클런 매쿼리
래클런 매쿼리는 스코틀랜드 출신으로 뉴사우스웨일스 주지사를 역임하며 시드니 도시 계획과 식민지 발전에 기여했으나, 원주민 정책 논란과 비지 조사위원회의 비판도 함께 받는 인물이다. - 1824년 사망 - 테오도르 제리코
테오도르 제리코는 프랑스 낭만주의 화가로, '메두사의 뗏목'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말과 군인의 역동적인 묘사, 사회 비판, 인간 고통에 대한 통찰을 통해 후대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페르디난도 3세 디 토스카나 대공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전체 이름 | 페르디난도 주세페 조반니 바티스타 |
독일어 이름 | 페르디난트 요제프 요한 바티스트 |
이탈리아어 이름 | 페르디난도 주세페 조반니 바티스타 |
출생일 | 1769년 5월 6일 |
출생지 | 피렌체, 토스카나 대공국 |
사망일 | 1824년 6월 18일 |
사망지 | 피렌체, 토스카나 대공국 |
종교 | 로마 가톨릭교 |
![]() | |
통치 | |
작위 | 토스카나 대공 |
재위 기간 (1차) | 1790년 7월 22일 – 1801년 8월 3일 |
전임자 (1차) | 레오폴트 1세 |
후임자 (1차) | 루이 1세 (에트루리아 왕으로서) |
재위 기간 (2차) | 1814년 4월 27일 – 1824년 6월 18일 |
전임자 (2차) | 엘리사 보나파르트 |
후임자 (2차) | 레오폴트 2세 |
작위 (잘츠부르크) | 잘츠부르크 공작 |
재위 기간 (잘츠부르크) | 1803년 4월 27일 – 1805년 12월 26일 |
작위 (뷔르츠부르크) | 뷔르츠부르크 대공 |
재위 기간 (뷔르츠부르크) | 1805년 12월 26일 – 1814년 6월 3일 |
선거인 | 잘츠부르크 선제후 (1803–1805) 뷔르츠부르크 선제후 (1805–1806) |
대공 | 뷔르츠부르크 대공 (1806–1814) |
가문 | |
왕가 | 합스부르크-로트링겐 가문 |
아버지 | 레오폴트 2세 (신성 로마 제국) |
어머니 | 마리아 루이사 데 에스파냐 |
배우자 | |
배우자 1 | 양시칠리아의 루이사 공주 (1790년 9월 19일 결혼, 1802년 9월 19일 사망) |
배우자 2 | 작센의 마리아 페르디난다 공주 (1821년 5월 6일 결혼) |
자녀 | |
자녀 목록 | 레오폴트 2세 (토스카나 대공) 마리아 루이사 대공녀 마리아 테레사, 사르데냐 왕비 |
2. 일생
페르디난도는 합스부르크로트링겐가의 레오폴트 2세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1790년 아버지 레오폴트 2세가 신성 로마 제국 황제에 선출되자, 페르디난도는 토스카니 대공위를 이어받았다.
1792년 프랑스 혁명과 프랑스 혁명 전쟁을 거치면서, 1차 대프랑스 동맹에 참여하였으나, 프랑스가 승리하자 동맹에서 가장 먼저 항복하였다. 이후 프랑스와의 관계 정상화를 통해 통치를 안정시키는 듯 하였으나, 1799년 공화주의자들에 의해 빈으로 피신해야 했다. 1801년 아랑후에스 조약으로 그의 공작위도 포기해야 했다.
이후, 잘츠부르크 대주교령의 세속화된 영지인 잘츠부르크 선제후국으로 보상받았으며, 1805년 프레스부르크 조약에 의해 뷔르츠부르크 주교령을 뷔르츠부르크 대공국으로 승격시켜 뷔르츠부르크 공작위를 받았다. 1806년 신성 로마 제국 해체와 함께 그는 뷔르츠부르크 대공이라는 새 작위를 칭했다.
1814년 나폴레옹의 몰락 후, 페르디난도는 토스카나 대공으로 복위했다. 빈 회의 결과, 페르디난도는 뷔르츠부르크를 포기하는 대신 토스카나 대공으로 복위했고, 이후 1824년에 사망할 때까지 재위했다.
페르디난도는 1824년 피렌체에서 사망했고, 그의 아들 레오폴트가 대공위를 계승하였다.
2. 1. 초기 생애 및 통치
페르디난도는 피렌체에서 합스부르크로트링겐가의 레오폴트 2세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1790년 아버지 레오폴트 2세가 신성 로마 제국 황제에 선출되자, 페르디난도는 1790년 7월 22일에 토스카니 대공위를 이어받았다.[2][3]

1792년 프랑스 혁명 도중, 페르디난도는 프랑스 제1 공화국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첫 군주였다. 그는 공화국과 평화롭게 지내려 했으나, 프랑스 혁명 전쟁이 시작되자 영국과 러시아 군주들은 그를 1차 대프랑스 동맹에 가입시키려 설득했다. 페르디난도는 동맹에 소극적인 지원만 제공했고, 프랑스가 승리하자 1차 대프랑스 동맹에서 가장 먼저 항복하였다. 1795년 3월 1일 성명에서 그는 동맹을 떠나 토스카나의 중립을 선언했다.[4]
프랑스와의 관계 정상화는 몇 년간 그의 통치를 안정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으나, 1799년 공화주의자들이 피렌체에 새 정부를 세우자, 그는 보호를 위해 빈으로 가야 했다. 1801년 아랑후에스 조약으로 공작위를 포기해야 했다. 나폴레옹은 그해 뤼네빌 평화로 작위를 빼앗긴 파르마의 부르봉 공작을 위한 보상으로 에트루리아 왕국을 만들면서 그를 무시했다.[2][3]
페르디난도는 잘츠부르크 선제후국으로 보상받았다. 잘츠부르크 선제후국은 전 잘츠부르크 대주교령의 세속화된 영지였다. 그는 1802년 12월 26일 이 작위와 영지를 받았다.
1805년 12월 25일, 페르디난도는 프레스부르크 조약에 의해 그의 형 프란츠 2세에게 넘어간 잘츠부르크를 포기해야 했다. 그 후 구 뷔르츠부르크 주교령으로 만든 새 영지인 뷔르츠부르크 공작위를 받았다. 1806년 신성 로마 제국 해체와 함께 그는 뷔르츠부르크 대공이라는 새 작위를 칭했다.
1814년 5월 30일 나폴레옹의 몰락 후, 페르디난도는 토스카나 대공으로 복귀했다.
페르디난도 3세는 백성들의 사랑을 받았으며, 아버지가 남긴 개혁들을 재검토했다. 그의 치세는 1799년 나폴레옹 군의 침입으로 중단되었다. 1801년 아랑후에스 조약으로 퇴위를 강요받았지만, 1803년에 잘츠부르크 선제후국을 획득했다. 1805년 12월 25일 프레스부르크 조약으로 잘츠부르크가 오스트리아 제국에 할양되자, 보상으로 뷔르츠부르크 대공국을 획득했다. 1814년 빈 조약에서 뷔르츠부르크를 포기하는 대신 토스카나 대공으로 복위했고, 1824년 사망할 때까지 재위했다. 그의 치세 하에서는 마렌마 지방과 키아나 계곡 간척, 수도 부설, 토스카나와 국경을 접하는 지방을 잇는 도로 개설 등 많은 공공 사업이 중단되었다.

2. 2.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
1792년 프랑스 혁명 당시, 페르디난도는 프랑스 제1공화국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첫 군주였다.[3] 그는 공화국과 평화롭게 지내려 했으나, 프랑스 혁명 전쟁이 시작되자 영국과 러시아 제국 군주는 그를 1차 대프랑스 동맹에 가입하도록 설득했다. 페르디난도는 동맹에 소극적으로 지원했고, 프랑스가 승리하자 동맹 중 처음으로 항복했다. 1795년 3월 1일 성명에서 그는 동맹을 떠나 토스카나의 중립을 선언했다.[4]프랑스와의 관계 정상화는 몇 년간 그의 통치를 안정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으나, 1799년 공화주의자들이 피렌체에 새 정부를 세우자, 그는 빈으로 피신해야 했다. 1801년 아랑후에스 조약으로 그의 공작위도 포기해야 했다.[2][3] 나폴레옹은 뤼네빌 조약으로 작위를 빼앗긴 파르마 공국의 부르봉 공작을 위해 에트루리아 왕국을 만들었다.
페르디난트는 잘츠부르크 대주교령의 세속화된 영지인 잘츠부르크 선제후국으로 보상받았다. 1802년 12월 26일 작위와 영지를 받았다.
1805년 12월 25일, 페르디난도는 프레스부르크 조약에 의해 그의 형 프란츠 2세에게 넘어간 잘츠부르크를 포기하고, 뷔르츠부르크 주교령으로 만든 뷔르츠부르크 공작위를 받았다. 1806년 신성 로마 제국 해체와 함께 그는 뷔르츠부르크 대공이라는 새 작위를 칭했다.
1814년 5월 30일 나폴레옹의 몰락 후, 페르디난도는 토스카나 대공으로 복위했다.
2. 3. 빈 회의 이후
1814년 5월 30일 나폴레옹이 몰락한 후, 페르디난도는 토스카나 대공으로 복위되었다.[2][3] 빈 회의 결과, 페르디난도는 뷔르츠부르크를 포기하는 대신 토스카나 대공으로 복위했고, 이후 1824년에 사망할 때까지 재위했다. 그의 치세 하에서는 마렌마 지방과 키아나 계곡의 간척, 수도 부설, 토스카나와 국경을 접하는 지방을 잇는 도로 개설과 같은 많은 공공 사업이 중단되었다.페르디난도는 1824년 피렌체에서 사망했고, 그의 아들 레오폴트가 대공위를 계승하였다.[2][3]
2. 4. 사망
페르디난도는 1824년 피렌체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레오폴트가 뒤를 이었다.[2]3. 가족
페르디난도 3세는 1790년 나폴리에서 나폴리와 시칠리아의 루이자 공주(1773년-1802년)와 첫 번째 결혼을 했고, 같은 해 빈에서 직접 만났다. 루이자는 양시칠리아의 페르디난도 1세와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카롤리나의 딸이었다. 1802년 루이자가 사산아와 함께 사망하자, 페르디난도 3세는 1821년 작센의 마리아 페르디난다 공주(1796년-1865년)와 재혼했다. 그녀는 작센의 막시밀리안 왕자와 그의 아내 파르마의 카롤리네의 딸이었다.
3. 1. 자녀
페르디난도 3세는 1790년 나폴리에서 대리 결혼으로, 이후 빈에서 직접 만나 나폴리와 시칠리아의 루이자 공주(1773년-1802년)와 첫 번째 결혼을 했다. 루이자는 양시칠리아의 페르디난도 1세와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카롤리나의 딸이었다.페르디난도 3세와 루이자 사이의 자녀는 다음과 같다.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카롤리나 페르디난다 | 1793년 8월 2일 | 1802년 1월 5일 | 유아기에 사망 |
프란체스코 레오폴도 | 1794년 12월 15일 | 1800년 5월 18일 | 유아기에 사망 |
레오폴도 2세 | 1797년 10월 3일 | 1870년 1월 29일 | 토스카나 대공 |
마리아 루이자 | 1798년 8월 30일 | 1857년 6월 15일 | |
마리아 테레지아 | 1801년 3월 21일 | 1855년 1월 12일 | 사르데냐 왕국의 카를로 알베르토와 결혼 |
사산아 | 1802년 | 1802년 |
첫 두 자녀인 카롤리나와 프란체스코는 어린 나이에 사망했지만, 나머지 세 자녀는 아버지의 보살핌 아래 성장했다. 루이자는 1802년 사산아와 함께 사망했다.
1821년 피렌체에서 페르디난도는 작센의 마리아 페르디난다 공주(1796년-1865년)와 재혼했다. 그녀는 작센의 막시밀리안 왕자와 그의 아내 부르봉 파르마의 캐롤라인의 딸이었다. 페르디난도는 다른 남자 후계자를 원했지만, 두 번째 결혼에서는 자녀가 없었다.
4. 평가
페르디난도 3세는 중립 외교를 추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프랑스 혁명 이후 프랑스 제1공화국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첫 군주였으며, 프랑스와 평화롭게 지내려 했다. 그러나 프랑스 혁명 전쟁 발발 이후 주변국들의 압력으로 대프랑스 동맹에 소극적으로 참여했다가, 프랑스가 승리하자 동맹에서 가장 먼저 탈퇴하고 중립을 선언했다.[1]
4. 1. 중립 외교
페르디난도는 1792년 프랑스 혁명 중에 프랑스 제1공화국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첫 군주였다. 그는 프랑스 공화국과 평화롭게 지내려 했으나, 프랑스 혁명 전쟁이 발발하자 영국과 러시아 군주들의 설득으로 1차 대프랑스 동맹에 가담하게 되었다. 페르디난도는 동맹에 소극적으로 참여했으며, 프랑스가 승리하자 동맹국 중 가장 먼저 항복했다. 1795년 3월 1일, 그는 성명서를 통해 동맹 탈퇴와 전쟁에서의 토스카나 중립을 선언했다.[1]프랑스와의 관계 정상화는 그의 통치를 안정시키는 데 기여했지만, 1799년 공화주의자들이 피렌체에 새 정부를 수립하면서 그는 빈으로 피신해야 했다. 1801년 아랑후에스 조약으로 그는 공작위를 포기해야 했고, 나폴레옹은 그를 무시하고 에트루리아 왕국을 세웠다.[1]
5. 작위와 칭호
- Erzherzog Ferdinand von Österreichde: 1769년 5월 6일 - 1790년 7월 22일
- 토스카나 대공 전하: 1790년 7월 22일 - 1801년 8월 3일
- 신성 로마 제국 선제후 겸 잘츠부르크 대공 전하: 1802년 12월 26일 - 1805년 12월 25일
- 신성 로마 제국 선제후 겸 뷔르츠부르크 대공 전하: 1805년 12월 25일 - 1806년 8월 6일
- 뷔르츠부르크 대공 전하: 1806년 8월 6일 - 1814년 4월 27일
- 토스카나 대공 전하: 1814년 4월 27일 - 1824년 6월 18일
참조
[1]
문서
Ferdinand Josef Johann Baptist
[2]
서적
The New International Encyclopædia
Dodd, Mead
2011-10-07
[3]
서적
Ferdinand III. of Austria
[4]
서적
History of the Wars of the French Revolution
https://archive.org/[...]
Longman, Hurst, et al
2011-10-07
[5]
서적
Genealogie ascendante jusqu'au quatrieme degre inclusivement de tous les Rois et Princes de maisons souveraines de l'Europe actuellement vivans
https://books.google[...]
Frederic Guillaume Birnstie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