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프랑스 동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프랑스 동맹은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 시기에 프랑스의 팽창을 막고 유럽의 세력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여러 국가들이 결성한 군사 동맹을 통칭한다. 1792년부터 1815년까지 총 7차례의 동맹이 결성되었으며, 제1차(1792-1797)부터 제7차(1815)까지 각 동맹은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의 집권 시기에 프랑스에 대항하여 전쟁을 수행했다. 대프랑스 동맹이라는 용어는 프랑스 혁명 전쟁 및 나폴레옹 전쟁과 구분되며, 프랑스와 동맹국 간의 전쟁만을 의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군사사 - 프롱드의 난
    프롱드의 난은 1648년부터 1653년까지 프랑스에서 일어난 반란으로, 왕권 강화에 대한 반발과 과도한 세금 부과에 대한 불만으로 시작되어 쥘 마자랭 추기경과 귀족 세력 간의 권력 다툼으로 변질되었고, 결국 실패했으나 루이 14세의 절대주의 왕정 체제 확립에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군사사 - 루르 점령
    프랑스와 벨기에가 제1차 세계 대전 후 독일의 배상금 미이행을 이유로 루르 공업 지역을 점령했으나, 독일의 저항과 국제적 비난으로 미국의 중재 후 철수하며 바이마르 공화국 불안정에 영향을 미친 사건이다.
  • 프랑스 혁명 전쟁 - 장바티스트 베시에르
    장바티스트 베시에는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에서 활약하고 나폴레옹 1세에 의해 프랑스 원수로 임명된 군인으로, 나폴레옹의 신임을 얻어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웠으나 독립적인 지휘 능력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뤼첸 전투 직전 전사했다.
  • 프랑스 혁명 전쟁 - 무장 중립 동맹
    무장 중립 동맹은 18세기 후반 영국 해군의 해상 봉쇄에 대응하여 중립국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결성된 동맹으로, 북유럽 국가들이 참여하여 미국의 독립 전쟁에 영향을 미쳤으나, 나폴레옹 전쟁 이후 와해되었고, 해상 중립 권리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고 국제법 발전에 기여했다.
  • 나폴레옹 전쟁 - 반도 전쟁
    반도 전쟁은 나폴레옹 전쟁의 일부로, 프랑스 제국과 스페인, 포르투갈, 영국 연합군이 이베리아 반도에서 벌인 전투로, 대륙 봉쇄령과 스페인 왕위 계승 문제로 인해 스페인과 포르투갈 국민들의 저항, 게릴라전, 영국군의 개입으로 장기화되었으며 연합군의 승리로 끝났고 유럽 역사와 스페인령 아메리카 독립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나폴레옹 전쟁 - 퐁텐블로 조약 (1814년)
    1814년 4월 11일 퐁텐블로에서 체결된 퐁텐블로 조약은 나폴레옹 1세의 황제 권한 박탈 및 엘바섬 유배, 마리 루이즈에게 파르마 공국 양도 등을 규정했으나 영국 반대와 나폴레옹의 귀환으로 파기되었다.
대프랑스 동맹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대프랑스 동맹
전투 이미지 (왼쪽 상단부터 시계 방향으로) 툴롱 공방전 (1793), 아르콜레 전투, 피라미드 전투, 마렝고 전투, 트라팔가르 해전, 아우스터리츠 전투, 베를린 함락 (1806), 바그람 전투, 라이프치히 전투, 파리 전투 (1814), 워털루 전투
분쟁 명칭대프랑스 동맹
일부프랑스 혁명 전쟁
나폴레옹 전쟁
시기1792년 4월 20일 - 1815년 11월 20일
장소유럽
유럽 국가의 해외 식민지
결과동맹군의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1804년 이전)
(1804년 이후)
프랑스의 위성국
교전국 2그레이트브리튼 왕국(-1801)
(1801-)
(1806년 이전)
(1804년 이후)


지휘관
프랑스 측 지휘관나폴레옹 보나파르트
루이 베르티에
루이 니콜라 다부
장 란†
앙드레 마세나
조아생 뮈라
미셸 네
니콜라 장드듀 술트
장바티스트 베시에르†
장바티스트 주르당
에두아르 모르티에
클로드 페랭
자크 마크도날
니콜라 우디노†
루이 가브리엘 쉬셰
피에르 빌뇌브†
조제프 보나파르트
외젠 드 보아르네
동맹국 측 지휘관조지 3세
섭정왕자 조지
요크 공작 프레더릭
윌리엄 피트
아서 웰즐리
헨리 파제트
롤랜드 힐
존 무어
프란츠 2세
카를 필리프
테셴 공작 카를
카를 레이베리히
요한 폰 외스터라이히
요제프 라데츠키
알렉산드르 1세
바클라이 드 톨리
미하일 쿠투조프
레온티 베니히센
표트르 바그라티온
표트르 비트겐슈타인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게프하르트 블뤼허
브라운슈바이크 공작
피해 규모
프랑스군1792-1801년: 1,000,000명 사망, 부상, 실종, 포로 또는 탈영
1805-1815년: 306,000명 사망
오스트리아군1792-1797년: 514,700명 사망, 부상 또는 포로
1799-1801년: 440,000명 사망, 부상 또는 포로
1805-1815년: 396,000명 전사
프로이센군154,000명 전사
러시아군299,000명 전사
기타 피해제4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700,000명 사망
제5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300,000명 사망
반도 전쟁: 2,400,000명 사망
제6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450,000명 사망
제7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60,000명 사망
관련 지도
대프랑스 동맹 관련 지도
주요 전투 위치

2. 용어

"대프랑스 동맹 전쟁"이라는 용어는 프랑스 혁명 전쟁나폴레옹 전쟁과 구별된다.


  • 프랑스 혁명 전쟁: 1792년부터 1799년 브뤼메르 18일 쿠데타로 나폴레옹이 권력을 잡기 전까지 혁명 프랑스가 관련된 모든 전쟁을 포함한다.
  • 나폴레옹 전쟁: 1799년부터 1815년까지 나폴레옹이 통치하던 프랑스가 관련된 전쟁(제2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포함)을 의미하거나, 제3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부터 시작하는 것으로 정의되기도 한다.[3]


제2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1798-1802)은 나폴레옹 집권 시기에도 발발했기 때문에, 프랑스 혁명 전쟁에 포함되기도 하고 나폴레옹 전쟁에 포함되기도 한다.[3] 어떤 경우에는 나폴레옹이 직접 일으킨 전쟁이 아니라 프랑스 총재정부로부터 물려받은 전쟁으로 간주되어 나폴레옹 전쟁으로 불리지 않기도 한다.

'대프랑스 동맹 전쟁'은 대프랑스 동맹 당사국이 관련된 전쟁만을 의미하므로,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에 포함된 모든 전쟁을 포함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스위스 침공(1798), 슈테클리크리크(1802), 반도 전쟁(1807-1814), 러시아 침공(1812) 등은 대프랑스 동맹 전쟁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대 프랑스 전쟁"이라는 용어는 1792년부터 1815년까지의 거의 지속적인 전쟁 기간을 지칭하기 위해 영국 역사학에서 사용되기도 한다.[7] 역사학자 마이크 래포트는 1792년부터 1815년까지의 전체 기간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프랑스 전쟁"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2. 1. 어원

"대프랑스 동맹"이라는 용어는 1803년 프랑스 호민원 보고서에서 처음 사용된 사례를 찾을 수 있다. 이 보고서의 제목은 ''Résultats des guerres, des négociations et des traités qui ont préced́é et suivi la coalition contre la France'' ("프랑스에 대한 동맹의 전후 전쟁, 협상 및 조약의 결과")였다.[4] 1793년 4월, 뒤무리에 장군이 네르빈덴 전투에서 패배하고 오스트리아로 망명하면서 프랑스에 큰 절망감을 안겨주었다. 당시 상황에 대해 "Les événements de cette époque sont les plus pénibles à décrire de tous ceux qui ont signalé ''les guerres de la coalition''." ("그 시대의 사건들은 '동맹 전쟁'을 특징짓는 모든 사건들 중 묘사하기 가장 고통스럽다." [강조 추가])라고 언급되었다.[4]

1805년 1월, ''잘츠부르크 인텔리겐츠블라트''는 "Das Staatsinteresse von Baiern bei dem dritten Koalitions-Kriege" ("바이에른의 제3차 동맹 전쟁에서의 국익")를 논하며 동맹 전쟁에 번호를 매긴 최초의 사례 중 하나였다.[5] 비록 제3차 동맹이 그 당시에 결성되었지만, 전쟁은 아직 발발하지 않았다. 오스트리아 신문은 이웃 바이에른 선제후국이 오스트리아가 이끄는 동맹보다는 프랑스 제국 편에 설 가능성이 높은 이유에 대해 논의했다. 1805년 9월 30일, 울름 전역이 시작된 지 며칠 후, 나폴레옹 황제는 스트라스부르에서 군인들에게 연설을 시작하면서 "Soldats, la guerre de la troisième coalition est commencée." ("병사들이여, 제3차 동맹 전쟁이 시작되었다.")라고 말했다.[6]

2. 2. 다른 용어와의 비교

"대프랑스 동맹 전쟁"이라는 용어는 프랑스 혁명 전쟁나폴레옹 전쟁과 구별된다. 프랑스 혁명 전쟁은 1792년부터 1799년 브뤼메르 18일 쿠데타로 나폴레옹이 권력을 잡기 전까지 혁명 프랑스가 관련된 모든 전쟁을 포함한다. 반면, 나폴레옹 전쟁은 1799년부터 1815년까지 나폴레옹이 통치하던 프랑스가 관련된 전쟁(제2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포함)을 의미하거나, 제3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부터 시작하는 것으로 정의되기도 한다.[3]

제2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1798-1802)은 나폴레옹 집권 시기에도 발발했기 때문에, 프랑스 혁명 전쟁에 포함되기도 하고 나폴레옹 전쟁에 포함되기도 한다.[3] 어떤 경우에는 나폴레옹이 직접 일으킨 전쟁이 아니라 프랑스 총재정부로부터 물려받은 전쟁으로 간주되어 나폴레옹 전쟁으로 불리지 않기도 한다.

'대프랑스 동맹 전쟁'은 대프랑스 동맹 당사국이 관련된 전쟁만을 의미하므로,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에 포함된 모든 전쟁을 포함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스위스 침공(1798), 슈테클리크리크(1802), 반도 전쟁(1807-1814), 러시아 침공(1812) 등은 대프랑스 동맹 전쟁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대 프랑스 전쟁"이라는 용어는 1792년부터 1815년까지의 거의 지속적인 전쟁 기간을 지칭하기 위해 영국 역사학에서 사용되기도 한다.[7] 역사학자 마이크 래포트는 1792년부터 1815년까지의 전체 기간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프랑스 전쟁"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3. 동맹국

(1792–1797)제2차
(1798–1802)제3차
(1803–1806)제4차
(1806–1807)제5차
(1809)제6차
(1813–1814)제7차
(1815) 영국 신성 로마 제국colspan=5 style="background:#C0C0C0" data-sort-value=1 | 오스트리아style="background:#C0C0C0" data-sort-value=2 | 프로이센colspan=2 style="background:#C0C0C0" data-sort-value=2 |style="background:#C0C0C0" data-sort-value=2 | 사르데냐colspan=2 style="background:#C0C0C0" data-sort-value=2 | 포르투갈colspan=2 style="background:#C0C0C0" data-sort-value=2 | 스페인colspan=3 style="background:#C0C0C0" data-sort-value=2 | 오스만 제국style="background:#C0C0C0" data-sort-value=2 |colspan=5 style="background:#C0C0C0" data-sort-value=2 | 러시아style="background:#C0C0C0" data-sort-value=2 |style="background:#C0C0C0" data-sort-value=2 | 토스카나style="background:#C0C0C0" data-sort-value=2 |colspan=4 style="background:#C0C0C0" data-sort-value=2 | 몰타style="background:#C0C0C0" data-sort-value=2 |colspan=5 style="background:#C0C0C0" data-sort-value=2 | 나폴리colspan=4 style="background:#C0C0C0" data-sort-value=2 | 시칠리아colspan=2 style="background:#C0C0C0" data-sort-value=2 | 네덜란드colspan=4 style="background:#C0C0C0" data-sort-value=2 | 스웨덴colspan=2 style="background:#C0C0C0" data-sort-value=2 |style="background:#C0C0C0" data-sort-value=2 | 스위스style="background:#C0C0C0" data-sort-value=2 colspan=6 | 바덴colspan=2 style="background:#C0C0C0" data-sort-value=2 |style="background:#C0C0C0" data-sort-value=2 | 바이에른colspan=2 style="background:#C0C0C0" data-sort-value=2 | 나사우colspan=3 style="background:#C0C0C0" data-sort-value=2 | 작센style="background:#C0C0C0" data-sort-value=2 |style="background:#C0C0C0" data-sort-value=2 | 뷔르템베르크colspan=2 style="background:#C0C0C0" data-sort-value=2 |style="background:#C0C0C0" data-sort-value=2 | 블랙 브라운슈바이크 하노버


3. 1. 제1차 대프랑스 동맹 (1792년 ~ 1797년)



제1차 대프랑스 동맹(1792년 ~ 1797년)은 프랑스 혁명에 대항하여 유럽의 여러 국가들이 프랑스를 견제하기 위해 결성한 동맹이다.

제1차 대프랑스 동맹 (1792년 ~ 1797년) 구성원
국가참여 여부
영국
신성 로마 제국
프로이센 (1795년까지)
사르데냐 (1796년까지)
포르투갈
스페인 (1795년까지)
나폴리
네덜란드 (1795년까지)
하노버


3. 2. 제2차 대프랑스 동맹 (1798년 ~ 1802년)

1798년 12월 24일부터 1801년까지 지속된 제2차 대프랑스 동맹은 프랑스 혁명 세력에 대항하기 위해 결성된 두 번째 동맹이었다. 주요 참전국은 영국, 러시아, 오스트리아였다. 이 외에도 오스만 제국, 포르투갈, 나폴리, 교황령 등이 동맹에 참여하였다.

제2차 대프랑스 동맹 (1798년 ~ 1802년) 주요 참전국
국가참여 여부
영국
오스트리아
러시아예 (1799년까지)
오스만 제국예 (1801년까지)
포르투갈예 (1801년까지)
나폴리예 (1801년까지)
사르데냐
토스카나예 (1801년까지)
몰타예 (1798년까지)



러시아는 1799년에 동맹에서 탈퇴했고, 다른 국가들도 1801년까지 프랑스와 평화 조약을 맺으면서 동맹은 사실상 와해되었다.

3. 3. 제3차 대프랑스 동맹 (1803년 ~ 1806년)

1805년 4월 11일부터 1806년까지 지속된 제3차 대프랑스 동맹에는 영국, 러시아, 오스트리아가 주도적으로 참여했다. 이 외에도 나폴리, 사르데냐, 스웨덴, 시칠리아 등이 동맹에 가담하였다.

제3차 대프랑스 동맹 구성원
구성원
영국
오스트리아
러시아
나폴리
시칠리아
사르데냐
스웨덴


3. 4. 제4차 대프랑스 동맹 (1806년 ~ 1807년)

1806년 10월 6일부터 1807년 7월 7일까지 프로이센 왕국, 러시아 제국, 대영 제국, 작센 왕국, 스웨덴, 시칠리아 왕국 등이 제4차 대프랑스 동맹에 참여하였다.

제4차 대프랑스 동맹 (1806년 ~ 1807년)
국가참전 여부
대영 제국
프로이센
러시아
작센예 (1806년 12월까지)
스웨덴
시칠리아
나사우


3. 5. 제5차 대프랑스 동맹 (1809년)

1809년 4월 9일부터 1809년 10월 14일까지 지속된 제5차 대프랑스 동맹에는 영국, 오스트리아, 스페인, 포르투갈, 시칠리아, 사르데냐가 참여하였다.

제5차 대프랑스 동맹 주요 참여국
국가참여 여부
영국
오스트리아
스페인
포르투갈
시칠리아
사르데냐


3. 6. 제6차 대프랑스 동맹 (1812년 ~ 1814년)

제6차 대프랑스 동맹 (1812년 ~ 1814년) 구성원
국가참전 여부
영국
러시아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스웨덴
스페인
포르투갈
사르데냐
시칠리아
네덜란드
바이에른 (1813년 10월부터)
바덴 (1813년 10월부터)
뷔르템베르크 (1813년 10월부터)
작센 (1813년 10월부터)
나사우
블랙 브라운슈바이크
하노버



제6차 동맹은 나폴레옹이 1814년에 패배한 후 해산되었고, 빈 회의에서 당사국 간의 새로운 세력 균형이 확립되었다.[1]

3. 7. 제7차 대프랑스 동맹 (1815년)

1815년 3월 25일부터 7월 8일까지 존속한 제7차 대프랑스 동맹은 나폴레옹의 복귀에 맞서 유럽 강대국들이 결성한 마지막 동맹이었다. 영국, 러시아, 오스트리아, 프로이센을 중심으로, 스페인, 사르데냐, 포르투갈, 스웨덴, 네덜란드 등 여러 국가들이 참여하였다.

제7차 대프랑스 동맹 (1815년) 주요 참전국
국가참여 여부
영국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러시아
사르데냐
포르투갈
스페인
스웨덴
네덜란드
토스카나
시칠리아
스위스


4. 역사

동맹기간주요 내용
제1차 대프랑스 동맹1793년 - 1797년프랑스 혁명에 대한 주변 군주국의 개입 시도.
제2차 대프랑스 동맹1798년 12월 24일 - 1801년프랑스의 이집트 원정에 대한 대응.
제3차 대프랑스 동맹1805년 4월 11일 - 1806년나폴레옹의 황제 즉위에 대한 대응 및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의 패배.
제4차 대프랑스 동맹1806년 10월 6일 - 1807년 7월 7일프로이센 중심의 동맹, 예나-아우어슈테트 전투에서의 패배.
제5차 대프랑스 동맹1809년 4월 9일 - 1809년 10월 14일오스트리아 중심의 동맹, 바그람 전투에서의 패배.
제6차 대프랑스 동맹1812년 - 1814년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 실패 이후 결성, 라이프치히 전투에서의 승리.
제7차 대프랑스 동맹1815년 3월 25일 - 1815년 7월 8일나폴레옹의 재집권에 대한 대응, 워털루 전투에서의 최종 승리.


5. 각주

출력할 내용이 없다. 주어진 원본 소스는 모두 제거해야 하는 템플릿 형태이므로, 위키텍스트로 변환할 내용이 존재하지 않는다.

참조

[1] 서적 Early Modern Military History, 1450–1815 Palgrave Macmillan UK 2004
[2] 서적 Napoleon and the Transformation of Europe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6-05-27
[3] 간행물 Encarta-encyclopedie Winkler Prins Microsoft Corporation/Het Spectrum 1993–2002
[4] 서적 Résultats des guerres, des négociations et des traités qui ont préced́é et suivi la coalition contre la France https://books.google[...] Badouin 2016-05-27
[5] 간행물 Intelligenzblatt von Salzburg: 1805 https://books.google[...] Verlag des Zeitungs-Comtoirs 2016-05-27
[6] 서적 L'histoire de France depuis 1789 jusqu'en 1848 racontée à mes petits-enfants https://books.google[...] Primento 2016-05-27
[7] 서적 The Second Hundred Years' War, 1689–1815
[8] 서적 Napoleon and the Transformation of Europe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6-05-27
[9] 간행물 Encarta-encyclopedie Winkler Prins Microsoft Corporation/Het Spectrum 1993–2002
[10] 서적 Résultats des guerres, des négociations et des traités qui ont préced́é et suivi la coalition contre la France https://books.google[...] Badouin 2016-05-27
[11] 간행물 Intelligenzblatt von Salzburg: 1805 https://books.google[...] Verlag des Zeitungs-Comtoirs 2016-05-27
[12] 서적 L'histoire de France depuis 1789 jusqu'en 1848 racontée à mes petits-enfants https://books.google[...] Primento 2016-05-27
[13]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