펠릭스 가타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펠릭스 가타리는 프랑스의 정신분석학자, 철학자, 사회운동가이다. 1950년대 초 자크 라캉에게 정신분석을 배우고, 라 보르드 병원에서 평생 근무하며 제도적 정신 치료 개혁 운동을 펼쳤다. 1968년 5월 혁명 이후 질 들뢰즈를 만나 공동 저술을 시작했으며, 1992년 사망할 때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가타리는 스키조분석, 분자 혁명, 세 가지 생태학 등의 사상을 제시했으며, 질 들뢰즈와 함께 쓴 《반-오이디푸스》, 《천 개의 고원》 등은 그의 대표적인 저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아즈주 출신 - 루이 프랑수아 드 부플레르 공작
루이 프랑수아 드 부플레르 공작은 프랑스의 군인이자 외교관으로, 여러 전쟁에서 뛰어난 군사적 지휘 능력으로 프랑스 원수와 공작 작위를 받았으며, 레이스윅 조약 협상에도 참여하는 등 외교 분야에서도 활동했다. - 우아즈주 출신 - 발랑탱 아우이
발랑탱 아우이는 18세기 프랑스의 시각 장애인 교육 개척자이며, 점자를 개발하고 시각 장애 청소년 학교를 설립하여 시각 장애인 교육에 기여했다. -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자 - 노엄 촘스키
노엄 촘스키는 변형생성문법 이론으로 언어학에 혁명을 일으키고 인지 과학 등 여러 학문에 영향을 미쳤으며, 미국 외교 정책과 자본주의를 비판하는 저명한 지식인이자 사회운동가이다. -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자 - 피에르조제프 프루동
피에르조제프 프루동은 19세기 프랑스의 사회주의 사상가이자 무정부주의자로, 사유 재산 제도를 비판하고 노동자 협동조합에 기반한 자유로운 사회를 옹호했으며, 반유대주의와 여성 차별적인 견해로 비판받았다. - 프랑스의 반자본주의자 - 미셸 푸코
미셸 푸코는 프랑스의 철학자, 역사가, 사회학자로서 권력, 지식, 담론 등을 탐구하며 서양 사상과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반자본주의자 - 질 들뢰즈
질 들뢰즈는 20세기 후반 프랑스의 철학자로, 스피노자, 니체, 베르그송 등의 사상을 재해석하고 차이, 반복, 탈영토화 등의 개념을 통해 포스트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에 영향을 미쳤으며, 형이상학, 인식론, 윤리, 미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현대 사상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펠릭스 가타리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피에르펠릭스 가타리 |
출생일 | 1930년 3월 30일 |
출생지 | 프랑스 오아즈주 빌뇌브레사블롱 |
사망일 | 1992년 8월 29일 |
사망지 | 프랑스 루아르에셰르주 쿠르셰베르니 라 보르드 병원 |
로마자 표기 | Piereu-Pellikeuseu Gwatari |
학력 | |
모교 | 파리 대학교 |
직업 및 소속 | |
소속 | 파리 8대학교 |
분야 | 정신분석학 마르크스 철학 정치철학 언어철학 기호학 |
사상 | |
주요 관심사 | 정신분석학 정신 의학 정치철학 생태학 기호학 |
학파 | 대륙 철학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프로이트-마르크스주의 정신분석학 포스트 구조주의 |
주요 사상 | 집합체 욕망-생산 탈영토화 생태철학 분열분석 |
영향 | 지그문트 프로이트 카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니체 자크 라캉 R. D. 레잉 루이 알튀세르 장폴 사르트르 질 들뢰즈 |
영향받은 인물 | 질 들뢰즈 브라이언 마수미 안토니오 네그리 브라이언 레이놀즈 마이클 하트 닉 랜드 마르셀라 알타우스-레이드 |
기타 정보 |
2. 생애
펠릭스 가타리는 1930년 4월 30일 프랑스 파리 북서부 빌뇌브 레 사블롱의 노동자 계층 가정에서 태어났다.[16][3] 그의 아버지는 공장 관리자였다.[4] 10대 시절부터 트로츠키주의 정치 활동에 참여했으며,[4] 1950년대 초 자크 라캉에게서 정신분석학 훈련을 받았다.[16] 이후 라캉의 제자 장 우리의 감독 하에 보르도 병원에서 정신과 의사로 평생 근무하였다.[16] 보르도 병원은 철학,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의 학생들이 모여 대화하는 장소였다.[16]
가타리는 10대 시절 페르낭 우리를 통해 장 우리를 만나 정신분석학을 공부하게 되었으며, 파리 제8대학교 정신분석학 코스에서 자크 라캉에게서 배웠다. 1968년 5월 혁명 이후 질 들뢰즈를 만났다.[15] 그는 정치범 구제 운동을 추진하는 한편, 블루아 근교 라 보르드 병원에서 분석가로 근무하며 정신의학 개혁 운동을 벌였다.
이론적 저서로는 『정신분석과 횡단성』, 『분자 혁명』[15], 마르셀 프루스트에 관한 논문 『기계적 무의식』 등이 있다. 자전적 작품으로는 『리틀 네로』가 있으며, 예술 작품과 수학을 논한 저서로는 『분열 분석적 지도 작성법』이 있다.
1992년 8월 29일, 그리스 텔레비전과 인터뷰를 한 지 2주 후[18] 심장마비로 보르도 병원에서 사망하였다.[19][20]
2. 1. 라 보르드 병원
자크 라캉의 제자 장 우리가 감독한 라 보르드 실험 정신과 병원에서 펠릭스 가타리는 평생 동안 근무하였다.[5] 라 보르드는 철학, 심리학, 민족학(ethnology), 사회복지 등 여러 분야의 학생들이 토론하는 장소였다.라 보르드 병원에서는 고전적인 분석가와 피분석자의 관계를 중단하고, 집단 치료에서 열린 대립을 선호하는 새로운 방향을 개발했다. 프로이트 학파의 개인주의적 분석 방식과는 달리, 이러한 관행은 복잡한 상호 작용 속에서 여러 주체의 역동성을 연구했다. 이는 가타리가 철학, 민족학(ethnology), 언어학, 건축 등 광범위한 지적 및 문화 영역에 대한 더 넓은 철학적 탐구와 정치적 참여를 하도록 이끌었다.[5]
가타리는 환자들을 병원 활동, 클럽 활동에 책임 있는 참여를 시켜 집합적 주체화의 거점 구축을 목표로 하는 제도적 정신 치료를 행하였다. 이는 개인의 확립보다 집단과 개인 사이에 나타나는 그 국면의 주체성을 만들고자 한 것이었다.
2. 2. 1960년대–1970년대
1955년부터 1965년까지 가타리는 트로츠키주의 신문인 《공산주의의 길》(La Voie Communiste)의 편집과 기고에 참여했다.[6] 그는 반식민지 투쟁과 이탈리아 오토노미스트들을 지지했다. 1965년 11월, 가타리는 여러 정신과 의사들과 함께 기관 정신치료 협회(G.T.P.S.I.)를 설립했다. 동시에 그는 다른 활동가들과 F.G.E.R.I.(기관 연구 및 조사 그룹 연합)와 그들의 검토지 《연구》(Recherche)를 창간하여 철학, 정신 분석, 민족학, 교육, 수학, 건축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했다. F.G.E.R.I.는 가타리의 다양한 정치적, 문화적 참여를 보여주었다.- 젊은 히스패닉 그룹
- 프랑스-중국 우정(대중 공산의 시대)
- 알제리와 베트남 전쟁 반대 활동
- U.N.E.F.를 포함한 M.N.E.F. 참여
- 심리학 학문 지원 사무소(B.A.P.U.) 정책
- 대학 연구 그룹(G.T.U.) 조직
- 정신과 남성 간호사를 위한 교육 방법 활동 센터(C.E.M.E.A.)의 교육 과정 재구성
- 간호사 친목회(Amicales d'infirmiers)(1958년) 결성
- 건축 연구
- "학생 및 젊은 노동자"를 위한 주간 병원 건설 프로젝트
1967년, 가타리는 OSARLA(라틴 아메리카 혁명 연대 및 지원 기구)의 창립자 중 한 명이었다. 1968년, 가타리는 다니엘 콘-벤디트, 장-자크 르벨, 줄리안 벡을 만났으며, 3월 22일 운동부터 1968년 5월 프랑스 시위에 참여했다. 1968년 이후, 가타리는 뱅센 대학교에서 질 들뢰즈를 만났다. 이후 그는 반-오이디푸스(1972)의 기초를 마련했는데, 미셸 푸코는 이 책의 서문에서 "파시즘이 아닌 삶에 대한 소개"라고 묘사했다. 1973년, 가타리는 동성애에 관한 《연구》호 발행으로 "공공 도덕에 대한 모욕" 혐의로 기소되어 벌금형을 선고받았다.[7] 1977년, 그는 "새로운 자유 공간"을 위해 CINEL을 설립했고, 1980년대에는 그의 "에코소피"를 통해 환경 운동에 참여했다.
2. 3. 1980년대-1990년대
1980년대에 가타리는 그의 "에코소피"를 통해 환경 운동에 참여했다.[14] 가타리는 자본주의 하에서 생산되는 주요 상품은 주체성 자체라고 보았다.[8] 그는 지속적인 상품과 경험의 구매를 통해 새로운 욕망을 가진 소비 주체를 생산하는 것이 소비 사회를 만드는 전제 조건이라고 분석했다.[8]1992년 8월 29일, 그리스 텔레비전의 요르고스 벨초스가 기획한 인터뷰 2주 후, 가타리는 라 보르드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11][12][13]
1995년, 가타리의 유작인 『카오소피(Chaosophy)』가 출판되었다. 이 책에는 실험적인 라 보르드 클리닉의 책임자로서의 가타리의 활동과 들뢰즈와의 협업에 관한 수필과 인터뷰가 수록되어 있으며, Deleuze와 공동 집필한 "욕망 기계를 위한 대차대조표 프로그램"과 "모두가 파시스트가 되고 싶어 한다"와 같은 수필이 포함되어 있다. 이 책은 분석에 대한 보다 실험적이고 집단적인 접근 방식을 추구하지만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을 발전시키는 과정인 가타리의 "스키조분석" 이론에 대한 소개를 제공한다.
1996년, 가타리의 수필, 강의, 인터뷰를 모은 또 다른 책인 『소프트 전복(Soft Subversions)』이 출판되었다. 이 책은 1980년대("겨울 시대")를 거치면서 그의 사상과 활동의 발전 과정을 추적한다. 예술, 영화, 청소년 문화, 경제 및 권력 형성에 대한 그의 분석은 주체를 해방시키고 세계 자본주의("통합된 세계 자본주의"라고 부름)의 표준화 및 동질화 과정에 대한 정치적, 창조적 저항을 위한 새로운 지평을 열고자 하는 "미시정치", "스키조분석", "여성됨"과 같은 개념들을 발전시킨다. 예를 들어 그는 "미시정치"라는 용어를 사회적 관행(욕망과 제도의 표현에 있어 어느 정도의 유연성이 있는 무의식적 경제)을 관찰하는 특정 수준을 구분하고, 실제로 분리된 세계에서 "다른 것의 담론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의 개입 영역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했다.[14]
3. 사상
가타리는 분자 혁명( La révolution moléculaire프랑스어, 1977, 1980)을 통해 개인과 집단의 욕망이 억압적인 사회 구조를 변화시키는 혁명적인 힘을 갖는다고 보았다. 1980년 판에는 1977년 판과 상당히 다른 수필들이 포함되어 있다. 그는 개인의 무의식과 사회적 관계, 정치적 권력 구조를 연결하여 분석함으로써 혁명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했다.
3. 1. 분자 혁명
《La révolution moléculaire프랑스어》(1977, 1980)는 가타리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개인과 집단의 욕망이 억압적인 사회 구조를 변화시키는 혁명적인 힘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1980년 판에는 1977년 판과 상당히 다른 수필들이 포함되어 있다. 가타리는 개인의 무의식과 사회적 관계, 정치적 권력 구조를 연결하여 분석함으로써 혁명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했다.4. 저서
펠릭스 가타리는 다양한 주제에 걸쳐 많은 저서를 남겼다. 그의 저작들은 단독 저서와 공저로 나눌 수 있으며, 사후 출판된 저서들도 있다.
'''단독 저서'''로는 La révolution moléculaire프랑스어 (分子革命――欲望社会のミクロ分析|분자 혁명일본어, 1977)가 있으며, 1980년 판에는 1977년 판과 다른 수필들이 포함되어 있다. Les années d'hiver, 1980–1985프랑스어 (闘走機械|투쟁 기계일본어, 1986), Chaosmose프랑스어(カオスモーズ|카오스모제일본어, 1992)가 출간되었다. L'Inconscient machinique. Essais de schizo-analyse프랑스어(機械状無意識――スキゾ分析|기계적 무의식일본어, 1979)는 스키조 분석에 대한 에세이를 담고 있다.[16]
Les Trois Ecologies프랑스어(세 가지 생태학한국어, 1989)는 환경, 사회, 정신의 생태학을 다루었고, 같은 해 Cartographies schizoanalytiques프랑스어(分裂分析的地図作成法|분열분석적 지도 작성법일본어)도 출판되었다.
사후 출판된 저서로는 Lignes de fuite. Pour un autre monde de possibles프랑스어(人はなぜ記号に従属するのか――新たな世界の可能性を求めて|인간은 왜 기호에 종속되는가일본어, 1979, 2011년 출판),[17] Soixante-cinq rêves de Franz Kafka프랑스어(カフカの夢分析|카프카의 꿈 분석일본어, 1985, 2007년 출판), De Leros à La Borde프랑스어(精神病院と社会のはざまで――分析的実践と社会的実践の交差路|정신병원과 사회의 경계에서일본어, 1989-1992, 2012년 출판), Qu'est-ce que l'écosophie ?프랑스어(エコゾフィーとは何か――ガタリが遺したもの|에코소피란 무엇인가일본어, 1985-1992, 2013년 출판), 시집 Ritournelles프랑스어(リトルネロ|리토르넬로일본어, 2000, 2007년 출판) 등이 있다.
'''공저'''로는 질 들뢰즈와 함께 쓴 『반-오이디푸스』(1972), 『카프카: 소수자 문학을 향하여』(1975), 『천 개의 고원』(1980), 『철학이란 무엇인가?』(1991) 등이 있다.[4],[7],[10],[19], 이 외에도 토니 네그리와 함께 쓴 『자유의 새로운 공간』(1985), 장 우리, 프랑수아 토스켈과 함께 쓴 《제도와 정치의 실천》(1985), 수엘리 롤니크와 함께 쓴 『미시 정치』(1986) 등이 있다.
4. 1. 단독 저서
- La révolution moléculaire프랑스어 (1977, 1980). 1980년판에는 1977년판과 상당히 다른 수필들이 포함되어 있다.
- * 分子革命――欲望社会のミクロ分析|분시카쿠메이 요쿠보샤카이노 미쿠로분세키일본어 法政大学出版局|호세이 대학 출판국일본어, 1988년; [개제] 精神と記号|세이신토키고일본어 法政大学出版局|호세이 대학 출판국일본어, 1996년
- Les années d'hiver, 1980–1985프랑스어 (1986).
- * 闘走機械|도소키카이일본어 書肆山田|쇼라이샤일본어, 1996년
- Chaosmose프랑스어 (1992)
- * カオスモーズ|카오스모즈일본어 河出書房新社|가와데 쇼보 신샤일본어, 2004년
- L'Inconscient machinique. Essais de schizo-analyse프랑스어 (1979).
- * 機械状無意識――スキゾ分析|기카이조무이시키 스키조분세키일본어 法政大学出版局|호세이 대학 출판국일본어, 1990년
- Les Trois Ecologies프랑스어 (1989)
- * 세 가지 생태학한국어 동문선 (2003)
- Chaosmose프랑스어 (1992)
- * 카오스모제한국어 동문선, (2003)
- Lignes de fuite. Pour un autre monde de possibles프랑스어 (1979, 사후 출판).
- * 人はなぜ記号に従属するのか――新たな世界の可能性を求めて|히토와나제키고니주조쿠스루노카 아라타나세카이노카노세이오모토메테일본어 青土社|세이토샤일본어, 2014년
- Soixante-cinq rêves de Franz Kafka프랑스어 (1985, 사후 출판)
- * カフカの夢分析|가후카노유메분세키일본어 水声社|수세이샤일본어, 2008년
- Cartographies schizoanalytiques프랑스어 (1989).
- * 分裂分析的地図作成法|분레쓰분세키테키치즈사쿠세이호일본어 紀伊國屋書店|키오쿠니야 서점일본어, 1998년
- Les Trois Écologies프랑스어 (1989)
- * 三つのエコロジー|미쓰노에코로지일본어 大村書店|오무라 서점일본어, 1991년; 平凡社ライブラリー|헤이본샤 라이브러리일본어 2008년
- Ritournelles프랑스어 (사후 출판, 시), (2000) ; (2007)
- * リトルネロ|리토루네로일본어 みすず書房|미스즈 서방일본어, 2014년
- De Leros à La Borde프랑스어 (1989-1992, 사후 출판)
- * 精神病院と社会のはざまで――分析的実践と社会的実践の交差路|세이신뵤인토샤카이노하자마데 분세키테키짓센토샤카이테키짓센노코사로일본어 水声社|수세이샤일본어, 2012년
- Qu'est-ce que l'écosophie ?프랑스어 (1985-1992, 사후 출판)
- * エコゾフィーとは何か――ガタリが遺したもの|에코조피토와나니카 가타리가노코시타모노일본어 青土社|세이토샤일본어, 2015년
4. 2. 질 들뢰즈와의 공저
질 들뢰즈와 함께 다음의 책들을 저술했다.- 『반-오이디푸스』(1972): 『자본주의와 정신분열』의 첫 번째 권으로, 정신분석학을 비판하고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욕망의 흐름을 분석한다.
- 『카프카: 소수자 문학을 향하여』(1975): 프란츠 카프카의 작품을 '소수자 문학'이라는 개념으로 분석하며, 주류 문학에 대한 전복적인 문학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 『천 개의 고원』(1980): 『자본주의와 정신분열』의 두 번째 권으로, '리좀'(Rhizome)이라는 개념을 통해 탈중심적이고 다원적인 사유를 제시한다.
- 『철학이란 무엇인가?』(1991): 철학, 과학, 예술의 관계를 탐구하고, 철학의 역할을 '개념 창조'로 규정한다.
4. 3. 기타 공저
- 질 들뢰즈와 함께 쓴 《앙티-외디프. 자본주의와 정신분열증 (1)》(1972)은 프랑스에서 출판되었으며, 이후 일본에서 여러 번역본으로 출간되었다.[4]
- 질 들뢰즈와 함께 쓴 《카프카. 마이너 문학을 위하여》(1975)는 프랑스에서 출판되었으며, 일본에서 여러 번역본으로 출간되었다.[7]
- 질 들뢰즈와 함께 쓴 《리좀》(1976)은 프랑스에서 출판되었으며, 이후 《천 개의 고원》에 수록되었다. 일본에서는 별도로 번역 및 출판되었다.[10]
- 질 들뢰즈와 함께 쓴 《정치와 정신분석》(1977)은 일본에서 번역 출간되었다.[14]
- 질 들뢰즈와 함께 쓴 《천 개의 고원. 자본주의와 정신분열증 (2)》(1980)는 프랑스에서 출판되었으며, 일본에서 번역 및 문고판으로 출간되었다.[19]
- 토니 네그리와 함께 쓴 《자유의 새로운 공간》(1985)은 프랑스에서 출판되었으며, 일본에서 여러 번역본으로 출간되었다.
- 장 우리, 프랑수아 토스켈과 함께 쓴 《제도와 정치의 실천》(1985)은 프랑스에서 출판되었으며, 일본에서 번역 및 해설과 함께 출간되었다.
- 수엘리 롤니크와 함께 쓴 《미시 정치》(1986)는 브라질에서 초판이 출판되었고, 프랑스어 번역본이 출간되었으며, 일본에서도 번역 출간되었다.
- 질 들뢰즈와 함께 쓴 《철학이란 무엇인가?》(1991)는 프랑스에서 출판되었으며, 일본에서 번역 및 문고판으로 출간되었다.
참조
[1]
논문
Machinations deleuzo-guattariennes
https://www.cairn-in[...]
P.U.F.
2012-10-01
[2]
서적
Marx Through Post-Structuralism: Lyotard, Derrida, Foucault, Deleuze
Continuum
[3]
문서
[4]
논문
Desire was everywhere. Review of Dosse F. 2010, Gilles Deleuze and Felix Guattari. Intersecting Lives. Columbia, translated by Deborah Glassman
2010
[5]
서적
Disalienation. Politics, Philosophy and Radical Psychiatry in Postwar Franc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
문서
[7]
서적
A User's Guide to Capitalism and Schizophrenia: Deviations from Deleuze and Guattari
https://archive.org/[...]
MIT Press
[8]
서적
Betting on Macau: Casino Capitalism and China's Consumer Revolutio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23
[9]
문서
[10]
문서
[11]
웹사이트
Entretien avec Félix Guattari à la télévision grecque
http://www.revue-chi[...]
2016-03-09
[12]
뉴스
Obituary: Felix Guattari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1992-08-31
[13]
뉴스
Felix Guattari, a Psychoanalyst And Philospher, Is Dead at 62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2-09-03
[14]
서적
Micropolitiques
https://books.google[...]
Empêcheurs de Penser en Rond
2007
[15]
서적
ドゥルーズ 没後20年新たなる転回
河出書房新社
[16]
문서
[17]
문서
[18]
웹사이트
Entretien avec Félix Guattari à la télévision grecque
http://www.revue-chi[...]
2016-03-09
[19]
뉴스
Obituary: Felix Guattari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1992-08-31
[20]
뉴스
Felix Guattari, a Psychoanalyst And Philospher, Is Dead at 62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2-09-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