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반제국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반제국주의는 19세기 후반 유럽 열강의 식민지 확장과 미국의 필리핀 지배에 대한 반발로 시작된 운동이다. 20세기 초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혁명을 거치며 확산되었으며,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탈식민화 과정에서 큰 역할을 했다. 초기에는 유럽의 식민주의와 미국의 필리핀 지배에 반대하는 형태로 나타났으며, 이후 식민지 민족 해방 운동과 탈식민화 과정을 거치면서 다양한 사상과 형태로 발전했다. 반제국주의는 자유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여성주의 등 다양한 이론적 기반을 가지며, 현대에는 신자유주의 세계화, 군사적 개입, 문화 제국주의 등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진다.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에 항일 운동으로 나타났으며, 해방 후 반탁 운동, 반독재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도 반제국주의적 성격이 나타났다. 현대에는 일본의 역사 왜곡, 미국의 군사적 개입, 중국의 패권주의 등에 대한 비판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상 - 무사도
    무사도는 중세 일본에서 시작하여 에도 시대에 발전한 사무라이의 윤리 및 생활 방식으로, 진실성, 충성, 명예 등을 중시하며 선종, 유교 등의 영향을 받아 체계화되었고 현대 사회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사상 - 사대주의
    사대주의는 강한 세력을 숭배하고 맹목적으로 추종하며 자국의 것을 낮춰 보는 태도로, 문화 사대주의는 자국 문화를 낮게 평가하고 강대국의 문화를 동경하여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태도를 의미하며, 주체적인 문화 정체성 확립을 저해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 정치 사이드바 - 민주사회주의
    민주사회주의는 개인의 자유로운 인격 발전을 보장하며 사회경제적 불평등 해소와 공공성 강화를 목표로, 자본주의 내 개혁을 추구하는 사회민주주의와 달리 생산 양식의 체계적 전환을 주장하며 의회 민주주의를 지향한다.
  • 정치 사이드바 - 사회당
    사회당은 사회주의를 기본 이념으로 하는 다양한 정당들의 총칭으로, 사회민주주의,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 자유사회주의, 종교사회주의 등 다양한 사상적 스펙트럼을 포괄하며, 노동자, 농민, 지식인, 사회운동가, 종교인 등 다양한 계층을 지지 기반으로 한다.
  • 공산주의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공산주의 - 낫과 망치
    낫과 망치는 농민과 노동자의 연대를 상징하는, 공산주의 국가의 주요 상징이며, 소련 국기 및 다양한 곳에 사용되었다.
반제국주의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정의제국주의에 대한 반대 또는 저항
관련 운동민족 해방 운동
역사적 배경
주요 원인제국주의 국가의 식민주의적 지배와 착취
민족주의의 발흥
불평등한 국제 관계
초기 저항제국주의에 대한 저항과 반대 운동
민족주의와 결합하여 민족 해방 운동으로 발전
주요 인물마하트마 간디
넬슨 만델라
호찌민
체 게바라
주요 사건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냉전
탈식민주의 시대
반제국주의 사상
주요 사상마르크스주의
사회주의
민족주의
세계체제론
종속이론
주요 주장제국주의는 자본주의의 필연적인 산물
제국주의는 불평등과 착취를 심화
식민지 해방과 민족 자결권 강조
제국주의의 유산 극복 필요
현대의 반제국주의
양상경제적 제국주의 비판
문화적 제국주의 비판
신식민주의 비판
국제 관계에서의 불평등 비판
관련 운동세계화 반대 운동
반전 운동
환경 운동
인권 운동
논쟁과 비판
비판반제국주의는 단순한 민족주의에 불과하다는 비판
반제국주의는 서구 문명에 대한 적대감을 조장한다는 비판
반제국주의는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비판
반론반제국주의는 제국주의의 불평등한 구조에 대한 정당한 저항
반제국주의는 다양한 형태의 차별과 억압에 대한 저항
반제국주의는 정의롭고 평등한 세계를 지향하는 운동
같이 보기
관련 주제식민주의
신식민주의
제국주의
민족 해방 운동
탈식민주의
세계화
오리엔탈리즘
자결주의
민족주의
국제 관계
외부 링크

2. 역사

반제국주의는 제국주의에 반대하는 정치, 경제, 문화적 이념 및 운동을 의미한다. 역사적으로 반제국주의는 19세기 후반 유럽 열강의 식민지 확장 정책과 미국필리핀 지배 등에 대한 반발로 본격적으로 등장했다.[98][18][76] 당시 영국과 같은 국가에서는 왕실의 과도한 영토 확장 정책과 벤저민 디즈레일리, 조셉 체임벌린과 같은 제국주의 정치가들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10]

초기 반제국주의자들은 제국주의가 자본주의 체제 내에서 자본을 해외로 확장하려는 욕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95] 이 과정에서 약소국 주민을 착취하고 인간의 존엄성을 훼손한다고 주장했다.[97] 영국의 경제학자 존 A. 홉슨은 그의 저서 ''제국주의: 연구'' (1902)를 통해 제국주의의 경제적 동기와 문제점을 분석하며 이론적 기반을 제공했고,[11][12][13] 블라디미르 레닌과 같은 마르크스주의 사상가들은 제국주의를 자본주의의 필연적인 단계로 규정하며 비판했다.[11] 이러한 이론들은 이후 반제국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제1차 세계 대전(1914~1918) 이후 제국주의에 대한 비판은 더욱 확산되었으며, 전쟁의 참화는 제국주의적 경쟁의 위험성을 드러냈다. 미국에서는 1919년 국제 연맹 가입을 거부하는 등 유럽 제국주의에 대한 전통적인 반감이 표출되기도 했다.[25]

반제국주의 운동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아시아아프리카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전개된 민족 해방 운동과 결합하면서 절정을 맞이했다. 1950년대1960년대에 걸쳐 수많은 식민지가 독립을 쟁취하는 탈식민화 과정에서 반제국주의는 핵심적인 이념적 동력이 되었다.[100][10][70]

한편, 반제국주의는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에 대한 비판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소련동유럽 국가들을 사실상의 위성국으로 삼고 동독,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등에 군사적으로 개입하거나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한 사례들은 '소비에트 제국주의'라는 비판을 받았다.[46][48] 또한, 이슬람 세계에서도 카프카스 전쟁 당시 러시아 제국주의에 맞선 저항이나 네덜란드, 미국,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등 서구 열강의 식민 지배에 맞선 다양한 지하드 운동과 같이[55], 제국주의에 저항하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저항은 범이슬람주의이슬람주의 운동으로 이어지며 현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56][57]

2. 1. 초기 반제국주의 운동 (19세기 말 ~ 20세기 초)

반제국주의 운동은 19세기 후반에 가장 활발하게 일어났다. 의식적인 정치 운동으로서 반제국주의는 이 시기 유럽에서 팽창하는 식민 제국과, 1898년 미국-스페인 전쟁 이후 미국필리핀 지배 및 정치적·경제적 간섭에 대한 반대에서 시작되었다.[98][18][76]

"반제국주의자"라는 용어는 1898년 미국이 미국-스페인 전쟁에 참전한 이후 미국에서 처음 사용되었다.[19][77] 당시 많은 활동가들은 전쟁 자체는 지지했지만, 필리핀을 비롯한 새로운 영토를 병합하는 것에는 반대했다.[20][78] 1898년 6월 15일, 보스턴에서는 미국 반제국주의 연맹이 결성되어 필리핀 획득에 반대했다.[78] 반제국주의 연맹은 제국주의가 "통치자의 동의" 원칙을 포함한 공화주의 신조를 침해한다고 보았기 때문에 영토 확장에 반대했다. 미국의 제국주의 정책에 반대한 연맹에는 앤드류 카네기, 헨리 제임스, 윌리엄 제임스, 마크 트웨인 등 유명 인사들이 참여했으며, 다음과 같은 강령을 발표했다.

: 우리는 제국주의로 알려진 정책이 자유에 적대적이며 군국주의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하며, 우리는 이러한 악으로부터 자유로웠던 것이 우리의 영광이었습니다. 우리는 워싱턴과 링컨의 땅에서 모든 인종이나 색깔의 모든 사람이 생명, 자유, 행복의 추구에 대한 권리가 있다는 것을 재확인할 필요가 생긴 것을 유감으로 생각합니다. 우리는 정부가 통치받는 자의 동의로부터 정당한 권력을 얻는다고 주장합니다. 우리는 어떤 민족의 예속도 "범죄적 침략"이며 우리 정부의 독특한 원칙에 대한 공공연한 불충실이라고 주장합니다...

: 우리는 독립선언과 미국 헌법에 충실한 모든 남성과 여성의 협력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21]

프레드 해링턴에 따르면, 반제국주의자들은 상업적, 종교적, 헌법적, 인도주의적 이유보다는 제국주의 정책 자체가 미국 독립선언, 워싱턴의 고별사, 링컨게티즈버그 연설에서 제시된 정치 원칙에 어긋난다고 보아 확장에 반대했다.[22][23][24][79][80][81]

영국 작가 존 A. 홉슨의 저서, 특히 ''제국주의: 연구'' (1902)는 미국 지식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역사가 피터 두이건과 루이스 H. 간은 홉슨이 20세기 초 제국주의에 대한 광범위한 불신을 퍼뜨리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평가한다.[15] 홉슨의 사상은 영국의 제국주의 반대자들뿐 아니라 독일, 프랑스, 미국의 자유주의자들과 고립주의 비평가들에게도 영향을 미쳤으며, 마르크스주의자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그의 주장은 서유럽과 영국 제국에 대한 미국의 불신을 심화시켰고, 영국인들이 식민 통치를 꺼리게 만들었으며,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민족주의자들이 유럽의 지배에 저항할 이론적 근거를 제공했다.[15]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1919년 국제 연맹 가입 거부는 유럽 제국주의에 대한 미국의 강한 반감을 반영했다. 미국의 교과서들은 제국주의를 세계 대전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했으며, 오랫동안 존재해 온 반영국 감정과 맞물려 영국 식민 통치의 부정적인 측면을 강조했다.[25]

영국 내에서도 반제국주의는 1890년대, 특히 자유당 내부에서 힘을 얻기 시작했다. 애덤 스미스 시대 이후 경제학자들은 제국주의가 자유무역 원칙에 위배된다고 비판했지만, 이것이 대중 운동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26] 1900년경 보어 전쟁(1899~1902)에서 영국의 행동에 대한 강한 반발이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 전쟁은 남아프리카에 정착한 네덜란드아프리카너들을 상대로 벌어졌다. 전쟁 초기 반대 여론은 미미했으나,[26] 남아프리카 화해위원회나 W. T. 스티드의 전쟁 중단 위원회 같은 영향력 있는 반전 단체들이 결성되었다. 반대 여론은 주로 자유당과 사회주의, 노동, 패비안 운동에 기반한 지식인 및 활동가들 사이에서 형성되었으며, 자유당 출신인 존 애서턴 홉슨은 이들의 사상에 큰 영향을 주었다.[27] 보어 전쟁 이후, 반제국주의자들은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영국 식민지로 관심을 돌렸다.[28] 1920년대 영국 정부는 1924년 런던의 영국 제국 박람회나 1938년 글래스고 제국 박람회 등을 통해 제국주의를 홍보했지만, 일부 지식인들은 이를 제국주의 정책 비판의 기회로 삼았다.[29]

캐나다오스트레일리아에서도 반제국주의 운동이 나타났다. 프랑스계 캐나다인들은 영국의 팽창에 반대하며 캐나다 민족주의를 우선시했고, 제국보다는 캐나다를 위해 싸우겠다고 주장했다.[30][31] 반면, 영국계 프로테스탄트 캐나다인들은 대체로 영국 제국주의를 열렬히 지지하며 보어 전쟁에 자원병을 파견했다.[32] 골드윈 스미스와 같은 일부 영국 이민자 지식인들의 반대도 있었다.[33] 캐나다의 아일랜드계 가톨릭 신자들은 프랑스계와 경쟁 관계에 있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친영적인 입장을 취했다.[34]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아일랜드계 가톨릭 신자들이 반제국주의 입장을 보였다.[30] 인도에서도 반제국주의가 빠르게 성장하여 의회의 독립 요구에서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했다.

비록 반제국주의 운동이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유럽과 미국에서 시작되었지만, 식민지 자체에서 광범위한 대중적 지지를 얻고 다양한 민족 해방 운동의 기반이 된 것은 20세기 중반 이후였다. 이러한 운동과 그들의 반제국주의 사상은 1950년대1960년대에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대부분 유럽 식민지가 독립을 쟁취하는 탈식민화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00][10][70] 초기 유럽 제국의 식민지배 과정에서 미국1898년 미국-스페인 전쟁 당시 반제국주의 사상을 이용하기도 했다.[99]

2. 2. 식민지 민족 해방 운동 (20세기 전반)

자각적인 정치 운동으로서 반제국주의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유럽 열강들이 팽창하는 식민 제국을 건설하고 1898년 이후 미국필리핀을 지배하는 것에 대한 반대 운동으로 시작되었다.[18] 미국1898년 미국-스페인 전쟁 당시 스페인 제국주의를 비판하며 반제국주의를 내세우기도 했으나[99], 이후 필리핀에 대한 정치적, 경제적 간섭을 이어갔다.[98] 이러한 제국주의에 대한 저항은 식민지 내부에서 가장 큰 지지를 얻었으며, 20세기 전반에 걸쳐 다양한 민족 해방 운동의 중요한 사상적 기반을 마련했다. 이 시기에 싹튼 민족 해방 운동은 이후 1950년대1960년대아시아아프리카의 여러 나라들이 유럽의 식민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을 이루는 탈식민화 과정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10][100]

2. 3. 탈식민화와 제3세계의 등장 (20세기 후반)

1950년대1960년대에 걸쳐 유럽의 식민 지배에서 벗어나려는 아시아아프리카 지역의 민족 해방 운동에서 반제국주의 사상은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100][10] 특히 20세기 중반 이후 식민지 민중 사이에서 광범위한 지지를 얻은 반제국주의는 다양한 민족 해방 운동의 중요한 사상적 기반을 마련했으며,[10][70] 이러한 흐름은 1950년대1960년대 아시아와 아프리카 여러 국가들이 독립을 쟁취하는 탈식민화 과정을 이끄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10][70]

2. 4. 한국의 반제국주의 운동

한국의 반제국주의 운동은 역사적으로 일제 강점기 일본 제국주의에 대한 저항에서 시작되어, 해방 이후에는 강대국들의 영향력 확대 시도에 맞서는 형태로 이어져 왔다.
일제 강점기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하에서 한국 민족은 주권 회복과 민족 해방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1919년의 3.1 운동은 전국적으로 퍼져나간 대규모 민족 저항 운동이었으며,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과 국내외에서의 외교 활동, 의열 투쟁, 무장 독립 전쟁 등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항일 운동은 한국 반제국주의 운동의 뿌리가 되었다.
해방 이후광복 이후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정세 속에서 반제국주의 운동은 새로운 양상을 띠게 되었다. 모스크바 3상회의 결정에 반발한 반탁 운동은 외세의 개입에 대한 민족적 반감을 드러냈으며, 이후 남북 분단과 한국 전쟁을 거치면서 외세의 영향력에 대한 경계심은 더욱 커졌다. 또한, 권위주의 정권 하에서 전개된 민주화 운동은 단순히 독재에 저항하는 것을 넘어, 외세 의존적인 정권 구조에 대한 비판과 민족 자주성 회복을 추구하는 반제국주의적 성격을 내포하기도 했다.
현대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반제국주의 정서는 주로 주변 강대국과의 관계 속에서 나타난다.

  • 일본: 일본의 과거 침략 전쟁과 식민 지배에 대한 반성 없는 태도, 계속되는 역사 왜곡 시도, 그리고 독도에 대한 영유권 주장은 한국 내 강력한 반일 감정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이다. 특히 2019년 한일 무역 분쟁 당시, 민주평화당 소속 독립운동가 후손 정치인들은 기자회견을 통해 아베 정부의 수출 규제 조치를 "100년 전 대한독립의 정신으로 아베 정부 경제침략을 이겨내자"고 비판하며 이를 제국주의적 행태로 규정했다.[65] 한국의 자유주의자들은 일본 정부의 이러한 행위가 자유 무역 원칙을 훼손할 뿐만 아니라, 과거 제국주의 일본 시대의 전쟁 범죄에 대한 배상을 회피하려는 의도가 담긴 '극우 제국주의적 경제침략'이라고 비판한다.[66]

  • 미국: 한미 동맹을 바탕으로 한 긴밀한 관계에도 불구하고, 주한미군 주둔 문제나 미국의 일방적인 외교 및 통상 압력 등에 대한 비판적 시각과 경계심이 존재한다. 이는 미국의 영향력 확대에 대한 반제국주의적 정서로 이어지기도 한다.

  • 중국: 중국의 급격한 부상과 함께 나타나는 패권주의적 태도, 동북공정과 같은 역사 왜곡 문제, 그리고 최근 한국의 고유 문화를 중국 문화의 일부로 편입하려는 시도(문화 전유)[67] 등에 대한 반감과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는 중국의 영향력 확대에 대한 경계심과 반발로 나타나며, 특히 한국 자유주의자들 사이에서도 이러한 문화적 제국주의 행태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67]


이처럼 한국의 반제국주의는 과거의 역사적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에도 주변 강대국과의 관계 속에서 다양한 형태로 표출되고 있다.

3. 이론 및 사상

반제국주의는 특정 국가가 다른 국가나 민족을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으로 지배하려는 제국주의 정책과 사상에 반대하는 다양한 이론과 실천을 포괄한다. '제국주의'(Imperialism영어)라는 용어 자체는 1870년대 후반 영국에서 총리 벤저민 디즈레일리의 공격적인 제국 확장 정책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사용하면서 등장했다.[10][70] 이후 조지프 체임벌린과 같이 제국주의를 옹호하는 이들도 이 용어를 받아들였으며, 제국주의는 이상주의자선 활동으로 포장되기도 했지만 점차 정치적 이익 추구나 자본주의적 탐욕과 결부되어 이해되었다.[11][12][71][72]

반제국주의 사상의 핵심에는 제국주의가 자본주의와 깊은 관련이 있다는 인식이 자리 잡고 있다.[95] 많은 이론가들은 자본주의 체제 내에서 이윤을 극대화하려는 자본가들이 국내 시장을 넘어 해외로 자본과 상품 시장을 확장하려는 과정에서 제국주의적 침략과 지배가 나타난다고 분석한다.[96] 과거 스페인, 영국, 일본 등의 식민 제국 건설이나 미국의 태평양 지역 지배 역시 자본주의적 팽창 욕구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는 평가가 일반적이다.[96]

이러한 자본주의와 제국주의의 연관성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한 대표적인 인물로는 영국의 경제학자 존 A. 홉슨과 러시아의 혁명가 블라디미르 레닌을 꼽을 수 있다.[11][12][71][72] 홉슨은 자본주의 내 부의 불균형이 과잉 자본과 상품을 낳아 해외 투자처와 시장을 찾게 만들면서 제국주의를 유발한다고 분석했으며,[14][15][16][17][74][75] 레닌은 제국주의를 독점 금융 자본이 지배하는 자본주의의 필연적이고 가장 높은 단계로 규정하고 '정치·경제의 불균등 발전'(Неравномерное экономическое и политическое развитиеru) 법칙을 통해 제국주의 열강 간의 모순과 혁명의 가능성을 설명했다.[35][102][104][105] (상세 내용은 각 하위 섹션 참조: #자유주의적 반제국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적 반제국주의)

이처럼 다양한 이론적 접근이 존재하지만, 반제국주의는 본질적으로 제국주의가 식민지 및 약소국 주민들을 착취하고 억압하며 인간의 존엄성을 짓밟는 행위에 반대한다는 공통된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다.[97]

반제국주의는 자유주의마르크스-레닌주의 외에도 다양한 사상적 흐름 속에서 나타난다. 여성주의 진영에서는 전쟁과 군사주의, 가부장제가 제국주의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비판하며(상세 내용은 여성주의적 반제국주의 참조), 우파적 자유지상주의자 중 일부는 국가의 해외 개입 자체를 반대하는 비간섭주의 입장에서 반제국주의를 주장하기도 한다(상세 내용은 우파적 반제국주의 참조). 이슬람주의 역시 역사적으로 서구 제국주의에 대한 저항을 중요한 동력으로 삼아왔으며, 현대에도 많은 이슬람주의 단체들이 반제국주의를 내세운다(상세 내용은 이슬람주의와 반제국주의 참조). 이 외에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군산복합체의 영향력 증대와 관련하여 제기된 '전시 경제의 영구화' 개념처럼, 제국주의를 현대 자본주의 국가의 군사주의적 경향과 연결하여 분석하는 시각도 존재한다.[43][44][45]

3. 1. 자유주의적 반제국주의

자유주의적 반제국주의는 반자본주의를 지지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사회주의적 반제국주의와 구별된다.[66] 자유주의자들은 주로 자유 무역 원칙, 공화주의 신념, 평화주의 등을 근거로 제국주의에 반대한다.

"반제국주의자"라는 용어는 미국이 스페인-미국 전쟁에 참전한 1898년 이후 처음 사용되었다.[19] 당시 많은 활동가들은 전쟁 자체는 지지했지만, 필리핀 등 새로운 영토를 병합하는 것에는 반대했다.[20] 1898년 6월 15일 보스턴에서는 필리핀 획득에 반대하기 위해 미국 반제국주의 연맹이 결성되었다. 이들은 제국주의가 "통치자의 동의" 원칙을 포함한 미국의 공화주의 신념을 침해한다고 보았다. 연맹에는 앤드류 카네기, 헨리 제임스, 윌리엄 제임스, 마크 트웨인 같은 유명 인사들이 참여했으며, "어떤 민족을 예속시키는 것은 '범죄적 침략'이며 우리 정부 원칙에 대한 공공연한 불충실"이라고 주장했다.[21] 이들은 제국주의 정책이 독립선언, 워싱턴의 고별사, 링컨게티즈버그 연설 등 미국의 핵심 정치 교리에 어긋난다고 생각했다.[22][23][24] 영국 작가 존 A. 홉슨의 저서, 특히 ''제국주의: 연구'' (1902)는 미국 지식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홉슨의 사상은 제국주의에 대한 광범위한 불신을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미국의 자유주의자들과 고립주의적 비평가들의 생각에도 영향을 주었다.[15]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연맹 가입 거부에는 유럽 제국주의에 대한 미국의 강한 반감이 반영되었고, 미국 교과서들은 제국주의를 전쟁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했다.[25] 현대 미국 현대 자유주의자 중 일부는 데니스 쿠시니치처럼 비간섭주의를 지지하기도 한다.

영국에서는 1890년대 자유당을 중심으로 반제국주의 정서가 나타났다. 애덤 스미스 이래 경제학자들은 제국주의가 자유무역 원칙에 위배된다고 비판했지만, 대중 운동으로 이어지지는 못했다.[26] 보어 전쟁(1899~1902) 당시 영국의 행동에 대한 반발이 주요 계기가 되었다. W. T. 스티드의 '전쟁 중단 위원회' 등 영향력 있는 단체들이 결성되었고, 자유당뿐 아니라 사회주의, 노동, 패비언 운동가들도 제국주의에 반대했다. 자유당 출신 존 애서턴 홉슨은 이들의 영향을 받아 중요한 저술을 남겼다.[27] 보어 전쟁 이후 반제국주의자들은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영국 식민지로 관심을 돌렸고,[28]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정부가 주최한 영국 제국 박람회 등을 비판하는 데 목소리를 냈다.[29]

캐나다와 오스트레일리아에서도 반제국주의 운동이 있었다. 프랑스계 캐나다인들은 영국의 확장에 반대하며 캐나다 민족주의를 우선시했고,[30] 제국보다는 캐나다를 위해 싸우겠다고 주장했다.[31] 반면 영국계 프로테스탄트 캐나다인들은 대체로 제국주의를 지지하며 보어 전쟁에 자원병을 파견했다.[32] 골드윈 스미스와 같은 일부 영국 이민자들은 반대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33]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아일랜드계 가톨릭 신자들이 제국주의에 반대했다.[30]

대한민국 자유주의자들은 역사적으로 중국일본의 제국주의에 반대해왔으며, 이는 특히 "반일 운동"과 깊은 관련이 있다. 2019년 8월 14일, 민주평화당 소속 독립운동가 후손 정치인들은 기자회견을 열어 "100년 전 대한독립의 정신으로 아베 정부의 경제침략을 이겨내자"고 촉구했다.[65] 이들은 한일 무역 분쟁 당시 일본 정부의 조치가 자유 무역 원칙을 훼손한 극우 제국주의적 '경제침략'이라고 비판했다. 이는 일본 정부가 과거 제국주의 일본 시절의 전쟁 범죄에 대한 한국인 피해자 배상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한국 경제에 부당한 피해를 입히려 했다는 인식에 기반한다.[66] 또한 일부 대한민국 자유주의자들은 중국인들의 한국 문화 전유 시도에도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67]

3. 2. 마르크스-레닌주의적 반제국주의

러시아 혁명가 블라디미르 레닌. 레닌에게 제국주의는 자본주의의 가장 발전된 단계이자 마지막 단계였다.


라틴 아메리카 혁명가 체 게바라. 그는 제국주의를 극복하기 위해 그 본질을 이해해야 하는 자본주의적 지정학적 통제와 억압 시스템으로 보았다.


카를 마르크스는 『자본론』(1867~1894)에서 제국주의를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의 전사적(前史的) 단계의 일부로 언급했다.[35] 이후 블라디미르 레닌은 1917년 저서 『제국주의론』(원제: 제국주의, 자본주의의 최고 단계)에서 제국주의를 "자본주의의 최고 단계"로 정의했다. 이 단계에서는 독점 금융 자본이 지배적인 형태가 되어 국가와 기업이 식민주의를 통해 전 세계의 자원과 시장을 확보하기 위한 경쟁을 벌이게 된다고 보았다.[35][36] 레닌의 제국주의 이론은 이후 많은 마르크스주의자들에게 받아들여졌다.

레닌은 자본주의의 '정치·경제의 불균등 발전'(Неравномерное экономическое и политическое развитие|네라브노메르노예 에코노미체스코예 이 폴리티체스코예 라즈비티예ru) 법칙을 정식화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자본주의 고유의 불균등성(사적 소유, 이윤 추구, 생산의 무정부성)으로 인해 소규모 생산자는 몰락하고 이익은 소수 대자본에 집중된다. 그 결과 독점자본주의가 형성되며, 이는 원료 공급지와 상품 판매 시장을 확보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제국주의로 나아간다.[102] 레닌은 영국인도 식민화가 시작된 1850년대, 프랑스 등 유럽 대륙 국가들은 1860년대 말부터 제국주의 단계로 진입했다고 분석했다. 다만 이 시기는 제국주의가 완전히 성숙하지 않았기에, 카를 마르크스 시대에는 세계 혁명론이 여전히 유효했다고 보았다.[103] 자본주의 국가들이 상호의존성을 유지하는 초기 단계에서는 일국 혁명이 '자본주의 세계의 공고한 연합'에 의해 진압될 수 있으며, 1871년 파리 코뮌의 진압이 그 사례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제국주의 팽창이 심화되고 국가 간 경쟁이 격화되면, 제국주의 국가들은 협력 대신 세계 시장과 식민지를 재분할하기 위한 투쟁에 돌입한다. 레닌은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쟁이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는 참상을 낳을 것이라며, 제국주의를 '인류 역사상 가장 광적이고 야만적인 체제'라고 비판했다.[104] 제국주의 국가 간 대립과 세계 재분할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약한 고리'가 발생하며, 이곳에서 혁명이 성공할 가능성이 열린다고 보았다. 제국주의 열강들이 상호 경쟁으로 인해 혁명에 효과적으로 공동 대응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레닌은 제1차 세계대전이 제국주의적 재분할의 결과이며, 당시 러시아 제국이 바로 그 '약한 고리'에 해당한다고 진단했다. 따라서 제국주의 시대에는 세계 혁명론보다 '약한 고리'를 집중 공략하는 일국 혁명이 더 현실적인 전략이라고 주장했다. 이오시프 스탈린은 이 이론을 계승하여 레프 트로츠키의 영구혁명론을 비판하는 주요 근거로 삼았다.[105]

레닌은 『제국주의, 자본주의의 최고 단계』에서 제국주의로 이어지는 자본주의 발전의 다섯 가지 특징을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38][87]

# 생산과 자본의 집중으로 국가적 및 다국적 독점과 카르텔이 지배하게 된다.

# 산업 자본 대신 금융 자본이 지배적인 형태가 되며, 산업 자본가들은 금융 기관에 의존하게 된다.

# 상품 수출보다 금융 자본 수출이 더 중요해진다.

# 다국적 카르텔에 의해 세계 경제가 분할된다.

# 강대국들이 식민지를 통해 세계를 정치적으로 분할하고 투자를 독점한다.

또한 레닌은 제국주의 국가들이 식민지에서 얻은 초과이윤의 일부를 국내 노동자들에게 복지 혜택 등으로 분배하고, 노사협조주의를 조장하여 계급 투쟁을 약화시킨다고 분석했다. 이 과정에서 자본가와 타협하는 '노동귀족'(Arbeiteraristokratie|아르바이터아리스토크라티de)이 등장하며, 이들은 사회민주주의와 같은 기회주의 노선을 통해 혁명을 방해한다고 비판했다.

유럽에서의 혁명 실패 이후, 레닌과 볼셰비키는 제국주의 열강의 각축장이자 '약한 고리'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은 아시아, 특히 중국을 새로운 혁명의 중심지로 주목했다. 이에 따라 1920년 코민테른은 중국 공산당 창당을 지시했고(1921년 창당), 소련은 반제국주의 연대라는 명분 하에 쑨원의 중국 국민당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 등에 자금을 지원하기도 하였다.[106]

이러한 이론적 배경 속에서 마르크스-레닌주의는 '민족 모순'이라는 개념을 발전시켰다. 제국주의에 의한 약소 민족 억압(민족 모순)은 본질적으로 자본주의의 계급 모순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았다. 즉, 민족 모순은 계급 모순의 특수한 형태이며, 따라서 약소 민족의 민족해방운동은 제국주의의 '약한 고리'를 공략하는 중요한 계급 투쟁의 일부로 간주되었다. 이에 따라 마르크스-레닌주의는 식민지 민족 해방 운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장려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다.

체 게바라는 제국주의를 자본주의의 마지막 단계이자 세계 시스템으로 규정하며, 이를 타도하기 위한 세계적 투쟁을 강조했다. 그는 제국주의가 자본, 원자재, 노동력을 착취하고 종속을 강요하는 시스템임을 지적하며, 억압받는 민족들이 제국주의의 기반을 무너뜨리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42]

마르크스-레닌주의자들은 일반적으로 전쟁을 제국주의적 이익 추구의 수단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반전 운동과 반제국주의를 밀접하게 연관시킨다. 이들은 평화주의적 반전 운동을 넘어 전쟁의 근본 원인인 자본주의와 제국주의 자체를 비판하고 타도하는 투쟁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39][88]

20세기 소비에트 연방은 스스로를 반제국주의의 기수로 내세우며 제3세계의 민족 해방 운동과 혁명 조직을 지원했다. 그러나 아나키스트들을 비롯한 여러 비판 세력은 소련의 대외 정책, 특히 동유럽 위성 국가들에 대한 간섭과 아프가니스탄 침공 등을 들어 소련 역시 제국주의적 행태를 보인다고 비판했다. 마오쩌둥은 이러한 소련의 정책을 비판하며 사회 제국주의라는 개념을 제시하기도 했다.[40]

현대에 와서도 "반제국주의"라는 용어는 주로 마르크스-레닌주의자들이나 그와 유사한 이념적 경향을 가진 반자본주의 단체들에 의해 사용되며, 이들은 계급 분석에 기반하여 제국주의에 반대하는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41][90]

3. 3. 여성주의적 반제국주의

일부 여성주의 이론에서는 반제국주의적 관점을 견지하기도 한다. 이러한 관점은 성적 관계에서의 가부장적 태도나 행위, 그리고 전쟁과 같은 폭력적 충돌을 남성 중심의 거대한 헤게모니가 만들어낸 결과물로 파악하는 것을 핵심 주장으로 삼는다.

국제관계론에서의 페미니즘 이론 역시 때때로 반제국주의 담론으로 분류된다. 이 이론가들은 성차별과 가부장제가 전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며, 특히 남성성 개념과 전쟁 수행 방식의 연관성을 지적한다. 또한, 근대 서구 사회에서 나타난 남성과 여성 간의 성차별적 사고방식이, 서구 국가와 비서구 사회 간의 식민주의와 같은 인종차별주의적 사고방식과 연결되어 있다고 본다. 따라서 이들은 정부가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해야 하며, 흔히 여성적인 특성으로 여겨지는 애정, 공감, 양보 등의 가치를 존중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러한 여성주의적 반제국주의 이론은 여성운동가이자 여성학 교수인 앤 틱너( Ann Ticknereng )와 신시아 엔롤( Cynthia Enloeeng )에 의해 주로 발전되었다. 벨 훅스( bell hookseng ) 역시 특히 흑인 여성에 대한 애정과 고정관념의 문제를 중심으로 이러한 논의에 기여했다.

3. 4. 우파적 반제국주의

소수의 우익 세력 중에는 반미적이고 반제국주의적인 성향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 중 우파적 자유지상주의자 일부는 국가나 정부의 개입 최소화 원칙에 따라 해외 군사 행동에 반대하며 반제국주의 성향을 띤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저스틴 라이몬드( Justin Raimondoeng )와 론 폴( Ron Pauleng ) 등이 있다.

현대 사상의 흐름에서 논란의 여지는 있지만, 구보수주의 역시 우파적 반제국주의 경향과 연결된다. 앤드류 베이스비치, 팻 부캐넌, 그리고 앞서 언급된 저스틴 레이몬드와 론 폴 등은 미국의 제국주의적 외교 정책이 자국의 최선의 이익이나 고립주의 전통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사회보수주의와도 연관성을 보인다.

그 외에도 우익 민족주의자들이나 종교 우익 근본주의 세력 중 일부가 반제국주의적 성향을 보이기도 한다.[107] 예를 들어, 이란의 호메이니주의는 역사적으로 미국의 개입과 영향력에 대한 광범위한 반감을 바탕으로 지지를 얻었다. 또한 인도의 자마트-이-이슬라미 힌드는 2009년 12월 '반제국주의 캠페인'이라는 이름으로 10일간의 전국적인 캠페인을 시작하기도 했다.[91]

3. 5. 이슬람주의와 반제국주의

카프카스 전쟁 당시 러시아 제국군에 맞서 살타 마을을 방어하는 카프카스 이마마트의 무자히딘.


18세기와 19세기 이슬람 세계에서는 식민주의제국주의에 맞선 다양한 저항 운동이 일어났다. 대표적으로 카프카스 전쟁(1763~1864년) 당시 러시아 제국에 대항한 카프카스 이마마트와 체르케스 연합의 지하드가 있다. 이 운동은 가지 뮬라, 함자트 베크, 샤밀, 하지 케란디코 베르제그, 젬불라트 볼레토코 등이 이끌었다. 이 외에도 네덜란드의 인도네시아 식민화에 맞선 파드리 전쟁, 자바 전쟁, 아체 전쟁, 미국에 맞선 모로 반란, 사이이드 아흐마드 샤히드의 남아시아 지하드 운동, 수단의 마흐디스트 국가, 영국 식민주의에 맞선 아라비아의 ''무와히딘'', 알제리에서 프랑스에 맞선 에미르 압드 알-카디르의 군사 반란, 영국 라지에 맞선 파슈툰 부족의 북서부 국경 지방 봉기, 이탈리아 파시스트에 맞선 리비아오마르 무크타르의 지하드 등이 주요 반제국주의 운동으로 꼽힌다. 이러한 운동들은 이슬람 국가 수립과 방어, 코란과 순나에 기반한 샤리아(이슬람 율법) 시행, 미신과 지역적 관습 타파 등을 주요 목표로 삼았다.[55]

이맘 무함마드 라시드 리다. 그의 사상은 하산 알반나, 사이이드 꾸똔 등에게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반식민지 운동은 19세기 후반 범이슬람주의의 부상에 영향을 주었다. 범이슬람주의는 무슬림 세계 전역에서 반제국주의를 내세우는 이슬람주의 단체들의 등장을 촉진했는데, 대표적인 예가 무슬림 형제단과 자마트-이 이슬라미이다.[56] 시리아-이집트 출신의 이슬람주의 이론가이자 살라피 신학자인 무함마드 라시드 리다(1865~1935)는 이전의 무장 이슬람 부흥 운동에 큰 영향을 받았으며, 유럽 제국주의 열강에 강력히 반대했다. 그는 식민주의 침략으로부터 이슬람 세계를 지키기 위해 무장 지하드를 촉구했고, 샤리아를 시행하는 이슬람 국가 건설을 위한 정치 프로그램을 제시했다. 또한, 살라피야 운동을 통해 ''살라프 알-살리흐''(경건한 선조)의 가치로 복귀할 것을 주장하며, 세속주의민족주의 같은 서구 사상과 서구의 문화 제국주의를 비판했다.[57][58]

이탈리아제국주의에 맞서 리비아 무자히딘을 이끈 오마르 무크타르.


라시드 리다 이후 이슬람주의적 반제국주의는 이집트 무슬림 형제단의 창시자 하산 알반나, 남아시아의 혁명적 이슬람주의 지도자 사이이드 아불 알라 마우두디, 그리고 이집트의 지하디스트 이론가 사이이드 꾸똔 등으로 이어졌다. 마우두디는 서구가 쇠퇴하고 있으며 이슬람의 부흥은 필연적이라고 보았다. 그는 서구 식민주의를 무신론과 동일시하며, 무슬림들이 영적, 문화적, 경제적, 군사적 주권을 되찾기 위해 제국주의 세력에 맞서 지하드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의 저서 『알 지하드 필 이슬람』에서 마우두디는 제국주의를 종교적으로 반박하며, 제국주의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제국주의의 기본적인 특징은 특정 국가 또는 국가의 지배력이다... 따라서 제국주의의 문은 다른 국적의 사람들에게 닫혀 있으므로, 그들은 제국주의의 운영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없다. 이로 인해 피지배 국가의 시스템과 성격에 다른 결함이 발생한다. 그들은 성격이 약해지고 자존감과 정의감을 잃는다... (피지배 국가의) 성격은 매우 비열한 수준으로 떨어져 오랫동안 자치를 달성하고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할 수 없게 된다."[60]

이집트의 지하드주의 이론가 사이이드 꾸똔. 그는 서구 제국주의를 십자군 정신의 연장선으로 보았다.


마우두디와 라시드 리다의 영향을 받은 사이이드 꾸똔은 이들의 사상을 더욱 발전시켰다. 그는 제국주의 세력뿐만 아니라 무슬림 세계 내의 동맹 정권들에 맞서 영원한 이슬람 혁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꾸똔은 이 혁명이 이슬람 국가를 건설하고 타우히드(이슬람 유일신 사상)를 수호하는 이념적 선봉대에 의해 무장 지하드로 수행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그의 사상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슬람 세계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냉전 시대에 무슬림 형제단과 자마트-이 이슬라미의 이슬람주의 지식인들은 강력한 반공주의 입장을 취하며, 사회주의마르크스주의를 비판하고 좌파를 소비에트 제국주의의 대리인으로 비난하기도 했다.[59] 꾸똔은 세속적 서구 정권의 제국주의 정책을 역사적인 "십자군 정신"의 연속으로 간주했다.[63] 그는 코란 2장 120절 "{''유대인들도 그리스도인들도 너희(오, 예언자여)가 그들의 방식을 따르지 않는 한 결코 너희를 기쁘게 여기지 않을 것이다...''}"를 주석하며, 유대-기독교 세계와 무슬림 공동체 사이의 갈등은 본질적으로 이념적인 것이며, 시온주의, 기독교 제국주의, 공산주의 등은 이념적 근거에서 이슬람과 싸우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 대립이 단순한 영토나 경제 자원, 군사적 지배를 둘러싼 것이 아니라고 강조했다.[64]

사이이드 꾸똔의 사상에 영향을 받은 알카에다와 같은 현대 지하드주의 운동은 스스로를 무슬림을 서구 제국주의와 그 동맹 세력의 압제로부터 지키기 위해 지하드를 수행하는 "세계 혁명적 선봉대"로 규정한다.[62] 한편, 인도의 자마트-이슬라미 힌드는 2009년 12월, 10일간의 전국적인 반제국주의 캠페인을 벌이기도 했다.[61][91]

4. 현대의 반제국주의

현대의 반제국주의는 과거 식민주의 시대와는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직접적인 정치적 지배 대신 신식민주의적 경제 종속, 군사적 개입을 통한 패권주의, 그리고 문화 제국주의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현대의 제국주의적 경향에 대한 저항이 주를 이룬다. 특히 강대국의 영향력 확대 시도에 대한 반발과 자국의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주권을 지키려는 움직임이 현대 반제국주의의 핵심적인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4. 1. 군사적 개입과 패권주의에 대한 저항

서방에서 공급한 스팅어 미사일을 사용하여 아프가니스탄 무자헤딘이 소련 헬리콥터를 처음으로 격추한 모습.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의 전환점으로 널리 여겨짐


소련의 영향권 아래 있던 국가들은 형식적으로는 독립 국가였고 자체 정책을 수립하는 별도의 정부를 가졌지만, 실제로는 소련이 설정한 한계 내에서만 정책 결정이 가능했다. 이러한 한계는 소련군의 개입 위협과 바르샤바 조약 기구를 통해 강제되었다. 대표적인 군사 개입 사례로는 1953년 동독 봉기, 1956년 헝가리 혁명,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그리고 1979년부터 1989년까지 이어진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등이 있다. 이들 동유럽 국가들은 사실상 소련의 위성국으로 간주되었다.

소련은 과거 제국들이 보여왔던 팽창주의적 경향을 답습했다는 비판을 받는다.[46][48] 일부에서는 '소비에트 제국'이라는 개념을 사용하는데, 이는 공산주의가 기존의 제국주의 이데올로기(기독교, 군주제 등)를 대체했을 뿐, 본질적으로는 고전적, 식민지적 제국의 형태를 벗어나지 못했다는 시각을 반영한다. 이러한 개념은 리처드 파이프스의 1957년 저서 ''소비에트 연방의 형성: 공산주의와 민족주의, 1917-1923''에서 본격적으로 제기된 것으로 보이며, 이후 연구를 통해 다양한 관점들이 더해졌다.[47] 많은 학자들은 소련이 다국적 제국의 요소와 국가의 요소를 모두 가진 복합적인 체제였다고 분석한다.[46] 또한 소련이 과거 제국주의 열강들과 유사한 방식의 식민주의를 실행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48][49][50][51][52][53][54]

4. 2. 문화 제국주의에 대한 경계

대한민국 자유주의자들은 중국인들의 한국 문화 수용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인다.[67] 이는 특정 문화가 다른 문화를 일방적으로 흡수하거나 지배하려는 문화 제국주의에 대한 경계심을 반영하며, 한국 문화의 고유한 가치와 정체성을 보호하려는 반제국주의적 정서와 연결된다.

5. 비판 및 논쟁

안토니오 네그리(Antonio Negri)와 마이클 하트(Michael Hardt)는 전통적인 반제국주의가 더 이상 오늘날의 현실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68][92] 그들은 저서 『엠파이어』(Empire)에서, 제국주의는 더 이상 특정 국가나 주권 국가에 의해 주도되는 것이 아니라고 본다. 대신 현대의 "제국"은 모든 국가, 기업, 미디어, 대중 및 지식 문화, 군사력 등이 얽힌 복합적인 네트워크이며, 따라서 전통적인 반제국주의 방법론과 전략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프랑스의 철학자 베르나르-앙리 레비(Bernard-Henri Lévy)는 그의 저서 「Left in Dark Times」[93]에서 현대의 반제국주의가 종종 위장된 반미주의에 불과하거나, 제3세계의 지도자들이 국내 문제로부터 대중의 시선을 돌리기 위해 이용하는 선동 구호일 수 있다고 비판했다.

한편, 에스토니아(Estonia)의 정치학자 마리아 맬크소(Maria Mälksoo)는 반제국주의 운동과 관련된 탈식민주의 연구가 러시아 제국주의와 식민주의를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하며, 이를 탈식민주의 연구의 "많은 맹점 중 하나"라고 주장했다.[69]

6. 한국 사회와 반제국주의

(내용 없음 -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한국 사회와 반제국주의'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습니다.)

참조

[1] 서적 Imperialism: The Story and Significance of a Political Word, 1840–1960
[2]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Sociology of the Middle East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1-04
[3] 서적 Pan-Islam: History and Politic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3-01-04
[4] 서적 The New Central Asia: The Creation of Nations https://books.google[...] New York University Press 2023-01-04
[5] 서적 The Islamic Movement in Egypt: Perceptions of International Relations 1967–81 Routledge
[6] 서적 Violent Fraternity: Indian Political Thought in the Global 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7] 서적 Polarising Javanese Society: Islamic and Other Visions, c. 1830–1930 NUS Press
[8] 서적 Pan-Islam: History and Politics Routledge
[9] 서적 The Future of Political Islam https://link.springe[...] Palgrave Macmillan 2023-01-04
[10] 서적 Imperialism: The Story and Significance of a Political Word, 1840–1960
[11] 논문 Words for Scholars: The Semantics of 'Imperialism' 2008-09
[12] 논문 "Imperialism": An Historiographical Revision 1992-03
[13] 논문 Globalism, Hegemonism and British Power: J. A. Hobson and Alfred Zimmern Reconsidered 2004-07
[14] 서적 Towards a new liberal internationalism: the international theory of JA Hobson
[15] 서적 Burden of Empire: An Appraisal of Western Colonialism in Africa South of the Sahara https://books.google[...] Hoover Press 2018-05-01
[16] 논문 Capitalism, Aristocracy and Empire: Some 'Classical' Theories of Imperialism Revisited 2007-03
[17] 논문 Globalism, Hegemonism and British Power: J. A. Hobson and Alfred Zimmern Reconsidered 2004-07
[18] 서적
[19] 서적 Twelve against Empire: The Anti-Imperialists, 1898–1900
[20] 서적 Expansionists of 1898: The Acquisition of Hawaii and the Spanish Islands
[21] 웹사이트 Platform of the American Antilmperialist League, 1899 http://www.fordham.e[...] Fordham University 2013-02-02
[22] 서적
[23] 서적 Response to Imperialism: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American War, 1899–1902
[24] 서적 Anti-Imperialism in the United States: The Great Debate, 1890–1920
[25] 서적 The Impact of the war on America: six lectures by members of the faculty of Cornell university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18-05-01
[26] 논문 The rise of anti-imperialism in England https://www.jstor.or[...] 1922
[27] 서적 Imperial Sceptics: British Critics of Empire, 1850–1920 https://books.google[...]
[28] 서적 Critics of Empire: British Radical Attitudes to Colonialism in Africa 1895–1914
[29] 논문 ‘Come and See the Empire by the All Red Route!’: Anti-Imperialism and Exhibitions in Interwar Britain 2010
[30] 논문 Class, birthplace, loyalty: Australian attitudes to the Boer War 1978
[31] 서적 Imperialism and Nationalism, 1884–1914: a conflict in Canadian thought
[32] 서적 War with a Silver Lining: Canadian Protestant Churches and the South African War, 1899–1902 McGill-Queen's Press-MQUP
[33] 논문 Goldwin Smith and Anti-imperialism 1962
[34] 논문 The De-Greening of the Irish: Toronto’s Irish‑Catholic Press, Imperialism, and the Forging of a New Identity, 1887–1914 1989
[35] 서적 Imperialism
[36] 서적 Colonialism The Penguin Dictiona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1998
[37] 서적 Imperialism The Penguin Dictiona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1998
[38] 웹사이트 Lenin: Imperialism, the Highest Stage of Capitalism http://www.marxists.[...] 2011-02-13
[39] 웹사이트 Weekly Worker 403 Thursday October 11 2001 https://web.archive.[...] 2022-01-11
[40] 서적 Battling Western Imperialism: Mao, Stalin, and the United States 1997
[41] 서적 Marxist Theories of Imperialism: A Critical Survey 1990
[42] 웹사이트 Che Guevara: Message to the Tricontinental http://www.marxists.[...] 1967-04
[43] 학술지 Edward L. Sard (1913–99), Theorist of the Permanent War Economy https://www.tandfonl[...] 2018-01-02
[44] 서적 Max Schachtman and his Left. A Socialist Odyssey through the 'American Century' Humanities Press 1994
[44] 간행물 Trotskyism after Trotsky? C'est moi! 1999-04
[45] 웹사이트 Tony Cliff: Permanent War Economy (May 1957) https://www.marxists[...]
[46] 학술지 Soviet Empire as "Family Resemblance" 2006
[46] 서적 Kazakhstan: Ethnicity, Language and Power Routledge 2007
[47] 서적 Struggle Over Identity: The Official and the Alternative "Belarusianness"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10-01-01
[48] 학술지 Soviet Colonialism in Central Asia 1953
[49] 서적 Soviet Postcolonial Studies: A View from the Western Borderlands Routledge 2019
[50] 웹사이트 The Cotton Republic: Colonial Practices in Soviet Uzbekistan? https://web.archive.[...] Central Eurasian Studies Society 2019-03-23
[51] 서적 20th Century Baltic Drama: Postcolonial Narratives, Decolonial Options Aisthesis Verlag 2016
[52] 학술지 "Colonizers with Party Cards" Soviet Internal Colonialism in Central Asia, 1917–39 https://muse.jhu.edu[...] Slavica Publishers 2014
[53] 학술지 It is Colonialism After All: Some Epistemological Remarks. https://rcin.org.pl/[...] Institute of Literary Research of the Polish Academy of Sciences 2014
[54] 학술지 Soviet Colonialism in the Baltic States: A Note on the Nature of Modern Colonialism https://web.archive.[...] 1964-06
[55] 서적 Islam and the European Empir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56] 서적 Cold Wars: Asia, the Middle East,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57] 서적 The 20th Century: A Retrospective Routledge 2018
[58] 서적 Islamic Fundamentalism Since 1945 Routledg 2014
[59] 학술지 Anti-colonial connectivity between Islamicate movements in the Middle East and South Asia: the Muslim Brotherhood and Jamati Islam Routledge 2022-10-21
[60] 서적 Al Jihad Fil Islam http://www.islamicst[...] Syed Khalid Farooq Maududi
[61] 웹사이트 Jamaat to launch nation-wide 'anti-imperialism' campaign https://zeenews.indi[...] 2009-12-10
[62] 웹사이트 Al Qaeda and ISIS: From Revolution to Apocalypse https://philosophyno[...] 2015
[63] 서적 Milestones: Special Edition Maktabah Booksellers and Publications 2006
[64] 서적 Fi Zilal al-Quran https://archive.org/[...] 2016-12-07
[65] 웹사이트 독립운동가 후손 민주당 의원 7명 "아베는 새로운 한반도 장애물" https://www.hani.co.[...] 2019-08-14
[66] 웹사이트 정부, '日경제보복' WTO 긴급 상정…"자유무역 원칙 위배" https://www.yonhapne[...] 2019-07-10
[67] 웹사이트 이재명 측 "한복 넘보는 중국 문화공정, 이대로 방치하지 않겠다" https://www.chosun.c[...] 2022-02-05
[68] 서적 Empir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1
[69] 학술지 The Postcolonial Moment in Russia's War Against Ukraine https://doi.org/10.1[...] 2023
[70] 서적 Imperialism: The Story and Significance of a Political Word, 1840-1960 2010
[71] 간행물 Words for Scholars: The Semantics of 'Imperialism' 2008-09
[72] 간행물 "Imperialism": An Historiographical Revision 1992-03
[73] 간행물 Globalism, Hegemonism and British Power: J. A. Hobson and Alfred Zimmern Reconsidered 2004-07
[74] 간행물 Capitalism, Aristocracy and Empire: Some 'Classical' Theories of Imperialism Revisited 2007-03
[75] 간행물 Globalism, Hegemonism and British Power: J. A. Hobson and Alfred Zimmern Reconsidered 2004-07
[76] 서적 1935
[77] 서적 Twelve against Empire: The Anti-Imperialists, 1898—1900 1968
[78] 서적 Expansionists of 1898: The Acquisition of Hawaii and the Spanish Islands 1936
[79] 서적 1935
[80] 서적 Response to Imperialism: The United States and the Philippine-American War, 1899—1902 1978
[81] 서적 Anti-Imperialism in the United States: The Great Debate, 1890—1920 1970
[82]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history
[83] 서적 The modern history of Somaliland: from nation to state
[84]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history
[85] 간행물 The Failure of The Daraawiish State: The Clash Between Somali Clanship and State System 1993-12
[86] 웹사이트 Message to the Tricontinental http://www.marxists.[...] 1967-04
[87] 웹사이트 Imperialism, the Highest Stage of Capitalism http://www.marxists.[...] 2011-02-13
[88] 웹사이트 http://www.cpgb.org.[...]
[89] 서적 Battling Western imperialism: Mao, Stalin, and the United States 1997
[90] 서적 Marxist theories of imperialism: a critical survey 1990
[91] 웹사이트 http://www.zeenews.c[...]
[92] 서적 Empir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1
[93] 서적 Left in Dark Times, A Stand Against the New Barbarism Random House 2008
[94] 서적 Imperialism: The Story and Significance of a Political Word (1840-1960)
[95] 간행물 "Imperialism": An Historiographical Revision
[96] 서적 Words for Scholars: The Semantics of 'Imperialism'
[97] 서적 "Globalism, Hegemonism and British Power: J. A. Hobson and Alfred Zimmern Reconsidered"
[98] 서적 Twelve against Empire: The Anti-Imperialists
[99] 서적 Expansionists of 1898: The Acquisition of Hawaii and the Spanish Islands
[100]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history》
[101] 웹사이트 http://www.marxists.[...]
[102] 서적 제국주의론 백산서당 1988
[103] 서적 제국주의론 백산서당 1988
[104] 서적 제국주의론 백산서당 1988
[105] 서적 Письмо т. Ермаковскому
[106] 논문 National Self-Determination, as Understood by Lenin and the Bolsheviks http://talpykla.isto[...] 2008
[107] 웹사이트 Jamaat to launch nation-wide anti-imperialism campaign http://zeenews.india[...]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