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편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편곤은 자루와 타격 부분(곡물)이 이음새로 연결된 무기로, 곡물을 탈곡하는 농기구에서 유래하여 무기로 발전했다. 11세기 서유럽에서 방어구의 중장비화에 대응하기 위해 타격 무기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모닝스타와 같은 형태로 발전하기도 했다. 편곤은 유연한 움직임으로 높은 타격력을 낼 수 있지만, 다루기 어렵고 밀집된 전법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중국, 일본, 한국 등 아시아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편곤이 존재하며, 현대 한국에서는 전통 무예로 보존되고 있다.

2. 어원

3. 역사

원래는 곡물탈곡에 사용되던 연장이 기원으로, , 보리를 주식으로 하는 문화권에서 사용되던 농기구이다. 중국에서 무기로서의 성립은 빨랐으며, 『묵자』에는 당시 기원전의 전국 시대에 공성전에서의 방어 무기로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다는 기술이 있다. 서유럽에서는 11세기에 들어 본격적인 무기로서의 발전을 보게 된다.

11세기 서유럽에서는 방어구의 중장비화가 진행되어, 더욱 강력한 무기가 요구되었다. 그래서 딱딱한 방어구에도 효과를 발휘하는 타격 무기의 개발이 진행되는 가운데, 편곤도 본격적인 무기로서 발전했다. 금속으로의 보강이나, 곡물의 총 금속화, 스파이크를 붙이는 등의 타격력을 높이는 개량이 이루어졌으며, 발전형으로 경량화와 타격력 강화를 양립시킨 모닝스타가 생겨났다. 그 후, 더욱 기병전에 적합한 파이크 등의 무기가 나타나 전장의 주무기로서는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다만, 농기구로 사용이 계속되었던 점도 있어, 보조 무기나 농민의 무기로서 근대까지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16세기 농민 반란군


중세 후기에는 긴 자루에 경첩으로 연결된 원통형 타격 부위를 가진 편곤이 여러 작품에 무기로 등장한다. 이는 두 손으로 사용하는 농업용 곡물 탈곡기였으며, 군 복무에 징집되거나 봉기에 참여한 농민군이 즉석 무기로 사용하기도 했다.[1][2][3] 1420년부터 1497년까지 후스파는 이러한 유형의 편곤으로 무장한 농민 보병을 다수 투입했다.[1][2][3]

일부 편곤은 타격 부위에 스터드나 스파이크가 박혀 있거나 갑옷을 입은 기사가 사용하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무기로 특별히 제작 또는 개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4] 이러한 개조된 편곤은 16세기 초 독일 농민 전쟁에서 사용되었다.[5][6] 15, 16, 17세기의 여러 독일 무술 교본(''Fechtbücher'')에는 농민 편곤(스파이크 유무 관계없이) 사용법이나 방어법에 대한 그림과 설명이 실려 있다.[7][8][9][10]

중세 후기에는 긴 자루에 경첩으로 연결된 원통형 타격 부위를 가진 편곤이 등장하는데, 이는 농업용 곡물 탈곡기를 즉석 무기로 사용한 것이다. 후스파는 이러한 편곤으로 무장한 농민 보병을 대거 투입하여 기사단에 대항했다.(1420년~1497년)[1][2][3] 독일 농민 전쟁 시기(16세기 초) 농민군이 사용한 편곤 중에는 타격 부위에 스터드나 스파이크가 박혀 있어 대인 살상력을 높인 것도 있었다.[5][6] 15세기에서 17세기 초 독일의 무술 교본에는 농민 편곤 사용법이나 방어법이 그림과 함께 실려 있기도 하다.[7][8][9][10]

다른 유형의 유럽 편곤은 나무 자루에 체인, 밧줄, 가죽 등으로 하나 이상의 타격 부위를 연결한 더 짧은 무기였다. 뾰족하거나 뾰족하지 않은 머리와 자루에 가죽이나 밧줄 연결이 있는 ''kisten''은 루스 영토에서 10세기에 증명되었으며, 아마도 아바르 또는 하자르로부터 채택되었을 것이다. 이 무기는 11~13세기에 중앙 및 동유럽으로 확산되었고,[11] 그 후 12~13세기에 서유럽으로 더 널리 확산되었다.[12] 중세 군사 편곤(프랑스어 플레오 다르메/fléau d'armes프랑스어, 독일어 크릭스플레겔/Kriegsflegelde)은 일반적으로 나무 자루에 체인으로 하나 이상의 쇠로 덮인 나무 막대를 연결하거나,[13] 나무 막대 대신 금속 공이나 모닝스타를 연결한 형태(케텐모르겐슈테른/Kettenmorgensternde)였다.[14]

편곤은 만화나 영화 등에서 "전형적인 중세 무기"로 자주 등장하지만, 실제 역사적 자료는 다른 무기에 비해 드물다.[12] 진품 여부에 대한 논란도 있었으나,[15][16][17] 최근 연구에 따르면 개인 소장품 중 진품으로 추정되는 예시가 존재하며, 독일, 프랑스, 체코 자료에서 관련 삽화가 발견되기도 했다.[18] 그러나, 여러 자료를 종합했을 때, 편곤이 전쟁에서 사용된 경우는 드물었던 것으로 보인다.[12] 적절한 훈련 없이는 사용하기 위험하고, 타격 후 다음 공격까지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도 지적된다.[16][18]

중국에서는 소자곤, 긴 것을 장소자곤이라고 부르며, 그 구조상 연병기로 분류되어 송나라 시대에 자주 사용되었다.[19][20][21] 또한, 두 개의 같은 길이의 곤봉을 연결한 쌍절곤이나 세 개의 곤봉을 연결한 삼절곤 등, 더 많은 절을 가진 다절곤 등도 있다. 일본에서는 플레일(flail)은 사용되지 않았지만, 유절목이라고 불리는 모닝스타와 비슷한 형태의 것이 있었고, 분동쇄 등 플레일 계통의 쇄물이 등장했다. 한국에는 편곤이라는 무기가 있다.

3. 1. 농기구에서 무기로

편곤은 본래 곡물의 탈곡에 사용되던 연장(농기구)으로, 쌀, 보리를 주식으로 하는 문화권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중국에서는 기원전 전국시대에 이미 공성전의 방어 무기로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묵자』에 남아있다.

서유럽에서는 11세기에 방어구가 중장비화되면서 더 강력한 무기가 필요해졌고, 이에 따라 편곤도 딱딱한 방어구에 효과적인 타격 무기로 발전했다. 금속 보강, 곡물 부분의 금속화, 스파이크 부착 등 타격력을 높이는 개량이 이루어졌으며,모닝스타와 같은 발전된 형태도 나타났다. 이후 기병전에 더 적합한 파이크 등의 무기가 등장하면서 주력 무기 자리에서는 밀려났지만, 농기구로서의 사용은 계속되었기 때문에 보조 무기나 농민들의 무기로서 근대까지 그 명맥을 유지했다.

중세 후기에는 긴 자루에 경첩으로 연결된 원통형 타격 부위를 가진 편곤이 여러 작품에 무기로 등장한다. 이는 두 손으로 사용하는 농업용 곡물 탈곡기였으며, 군 복무에 징집되거나 봉기에 참여한 농민군이 즉석 무기로 사용하기도 했다.[1][2][3] 1420년부터 1497년까지 후스파는 이러한 유형의 편곤으로 무장한 농민 보병을 다수 투입했다.[1][2][3]

일부 편곤은 타격 부위에 스터드나 스파이크가 박혀 있거나 갑옷을 입은 기사가 사용하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무기로 특별히 제작 또는 개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4] 이러한 개조된 편곤은 16세기 초 독일 농민 전쟁에서 사용되었다.[5][6] 15, 16, 17세기의 여러 독일 무술 교본(''Fechtbücher'')에는 농민 편곤(스파이크 유무 관계없이) 사용법이나 방어법에 대한 그림과 설명이 실려 있다.[7][8][9][10]

3. 2. 중세 유럽의 편곤

서유럽에서는 11세기경부터 편곤이 본격적인 무기로서 발전하기 시작했다. 이는 방어구의 중장비화에 따라 갑옷을 입은 기사에게도 효과적인 타격 무기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금속 보강, 스파이크 부착 등 타격력을 높이는 개량이 이루어졌으며, 모닝스타와 같은 발전형 무기가 등장하기도 했다.

중세 후기에는 긴 자루에 경첩으로 연결된 원통형 타격 부위를 가진 편곤이 등장하는데, 이는 농업용 곡물 탈곡기를 즉석 무기로 사용한 것이다. 후스파는 이러한 편곤으로 무장한 농민 보병을 대거 투입하여 기사단에 대항했다.(1420년~1497년)[1][2][3] 독일 농민 전쟁 시기(16세기 초) 농민군이 사용한 편곤 중에는 타격 부위에 스터드나 스파이크가 박혀 있어 대인 살상력을 높인 것도 있었다.[5][6] 15세기에서 17세기 초 독일의 무술 교본에는 농민 편곤 사용법이나 방어법이 그림과 함께 실려 있기도 하다.[7][8][9][10]

다른 유형의 유럽 편곤은 나무 자루에 체인, 밧줄, 가죽 등으로 하나 이상의 타격 부위를 연결한 더 짧은 무기였다. 뾰족하거나 뾰족하지 않은 머리와 자루에 가죽이나 밧줄 연결이 있는 ''kisten''은 루스 영토에서 10세기에 증명되었으며, 아마도 아바르 또는 하자르로부터 채택되었을 것이다. 이 무기는 11~13세기에 중앙 및 동유럽으로 확산되었고,[11] 그 후 12~13세기에 서유럽으로 더 널리 확산되었다.[12] 중세 군사 편곤(프랑스어 플레오 다르메/fléau d'armes프랑스어, 독일어 크릭스플레겔/Kriegsflegelde)은 일반적으로 나무 자루에 체인으로 하나 이상의 쇠로 덮인 나무 막대를 연결하거나,[13] 나무 막대 대신 금속 공이나 모닝스타를 연결한 형태(케텐모르겐슈테른/Kettenmorgensternde)였다.[14]

편곤은 만화나 영화 등에서 "전형적인 중세 무기"로 자주 등장하지만, 실제 역사적 자료는 다른 무기에 비해 드물다.[12] 진품 여부에 대한 논란도 있었으나,[15][16][17] 최근 연구에 따르면 개인 소장품 중 진품으로 추정되는 예시가 존재하며, 독일, 프랑스, 체코 자료에서 관련 삽화가 발견되기도 했다.[18] 그러나, 여러 자료를 종합했을 때, 편곤이 전쟁에서 사용된 경우는 드물었던 것으로 보인다.[12] 적절한 훈련 없이는 사용하기 위험하고, 타격 후 다음 공격까지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도 지적된다.[16][18]

3. 3. 아시아의 편곤

중국에서는 소자곤, 긴 것을 장소자곤이라고 부르며, 그 구조상 연병기로 분류되어 송나라 시대에 자주 사용되었다.[19][20][21] 또한, 두 개의 같은 길이의 곤봉을 연결한 쌍절곤이나 세 개의 곤봉을 연결한 삼절곤 등, 더 많은 절을 가진 다절곤 등도 있다. 일본에서는 플레일(flail)은 사용되지 않았지만, 유절목이라고 불리는 모닝스타와 비슷한 형태의 것이 있었고, 분동쇄 등 플레일 계통의 쇄물이 등장했다. 한국에는 편곤이라는 무기가 있다.

4. 구조와 특징

편곤은 자루가 되는 긴 곤봉과 곡물이라고 불리는 타격 부분, 그리고 이들을 접합하는 이음새로 구성된다. 이음새에는 사슬이나 금속 고리가 사용되지만, 가죽이나 끈을 사용한 것도 있다. 많은 편곤에서는 곡물이 자루와 1대1로 짝을 이루지만, 여러 개의 곡물을 하나의 자루에 연결한 것도 있다. 특히 곡물이 봉 모양인 것을 편곤이라 하고, 구형의 곡물과 긴 이음새를 가진 종류를 모닝스타라고 구분하여 부르기도 한다.

곡물의 유연한 움직임이 이 무기의 큰 특징이다. 자루를 잡고 휘둘러서 때리는 것으로 곡물은 이음새를 축으로 가속된다. 이것에 의해 높은 타격력을 낼 수 있음과 동시에, 방어하기 어려운 공격이 된다. 하지만 이 움직임은 단점이기도 하여, 일반적인 타격용 곤봉류에 비해 다루기 어렵고, 조작을 잘못하면 주변이나 자신조차 상처를 입힐 수 있다. 특히 이음새를 길게 하면 위력은 올라가지만 다루기는 더욱 어려워진다. 또한, 이 무기의 구조상, 집단에서의 밀집 전법이나 난전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타격 무기는 튼튼한 갑옷을 착용한 상대에게도 데미지를 줄 수 있다. 편곤은 후스파와 같은 농민군이 기사에게 대항할 때 중요한 역할을 했다.

4. 1. 장점

편곤은 자루와 타격 부분(곡물)이 이음새로 연결되어 유연하게 움직이는 무기이다. 이음새는 사슬, 금속 고리, 가죽, 끈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곡물의 유연한 움직임은 이음새를 축으로 가속되어 높은 타격력을 내며, 방어하기 어려운 공격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타격력은 튼튼한 갑옷을 착용한 상대에게도 효과적이다. 특히 후스파와 같은 농민군이 기사에게 대항할 때 중요한 역할을 했다. 곡물이 봉 모양인 것을 편곤, 구형의 곡물과 긴 이음새를 가진 종류를 모닝스타라고 구분하기도 한다.

4. 2. 단점

편곤은 다루기 어려운 무기로, 숙련되지 않은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 자신이나 주변 사람을 다치게 할 위험이 있다.[12][16][18] 특히 이음새가 길수록 위력은 강해지지만, 그만큼 다루기 어려워져 숙련된 기술이 요구된다. 또한, 넓은 공간을 휘두르며 사용해야 하므로 밀집된 대형이나 난전에서는 사용하기 부적합하다.[12]

5. 종류

5. 1. 형태에 따른 분류

중세 후기에는 특별한 형태의 편곤이 여러 작품에 무기로 등장하는데, 이는 매우 긴 자루에 경첩으로 연결된 원통형의 타격 부위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경우, 이는 두 손으로 사용하는 농업용 곡물 탈곡기였으며, 때로는 군 복무에 징집되거나 대중 봉기에 참여한 농민 군대에 의해 즉석 무기로 사용되었다.[1][2][3] 예를 들어, 1420년부터 1497년까지의 기간 동안, 후스파는 이러한 유형의 편곤으로 무장한 많은 수의 농민 보병을 투입했다. 이러한 무기 중 일부는 타격 부위에 대인용 스터드나 스파이크가 박혀 있거나, 갑옷을 입은 기사가 사용하는 것으로 묘사되어, 무기로 특별히 제작되었거나 적어도 개조되었음을 시사한다.[4] 이러한 개조된 편곤은 16세기 초 독일 농민 전쟁에서 사용되었다.[5][6] 15, 16, 17세기의 여러 독일 무술 교본(''Fechtbücher'')에는 농민 편곤(스파이크 유무에 관계없이)을 사용하는 방법이나 공격받을 때 방어하는 방법에 대한 그림과 강습이 실려 있다.[7][8][9][10]

다른 유형의 유럽 철퇴는 나무 자루가 체인, 밧줄 또는 가죽으로 하나 이상의 타격부와 연결된 더 짧은 무기이다. 뾰족하거나 뾰족하지 않은 머리와 자루에 가죽이나 밧줄 연결이 있는 ''kisten''은 루스 영토에서 10세기에 증명되었으며, 아마도 아바르 또는 하자르로부터 채택되었을 것이다. 이 무기는 11~13세기에 중앙 및 동유럽으로 확산되었고,[11] 그 후 12~13세기에 서유럽으로 더 널리 확산되었다.[12] 중세 군사 철퇴(프랑스어 fléau d'armes프랑스어, 독일어 Kriegsflegelde)는 일반적으로 나무 자루가 길이의 체인으로 하나 이상의 쇠로 덮인 나무 막대와 연결되어 있었거나,[13] 나무 막대 대신 하나 이상의 금속 공이나 모닝스타가 있는 Kettenmorgensternde("체인 모닝스타")이었을 수 있다.[14] 15세기부터 17세기 초까지의 예술 작품은 이러한 무기의 대부분이 3피트 이상인 자루를 가지고 두 손으로 휘두르는 것을 보여주지만, 몇몇은 한 손으로 사용하거나 두 손으로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짧은 자루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손 철퇴의 현대적 재현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가 1452년경에 그린 헤라클리우스와 호스로에스의 전투의 세 개의 구형 타격부가 있는 짧은 철퇴의 세부 묘사


벨트에 ru을 찬 리투아니아 후사르. 오르샤 전투 그림의 세부 묘사, 1520–1534


만화, 영화 및 롤플레잉 게임과 같은 허구 작품에서 "전형적인 중세 무기"로 매우 흔하게 등장하지만, 농민 철퇴의 kisten 또는 파생물을 제외한 철퇴에 대한 역사적 정보는 다른 동시대 무기보다 드물지만, 서유럽, 중유럽 및 남유럽의 군사 묘사 및 설명에 대한 주목할 만한 시각적 및 텍스트 자료가 존재한다. 발견하기가 특히 쉽지는 않지만 말이다.[12] 일부는 진품 표본의 희소성과 예술에서 묘사되는 비현실적인 방식, 박물관에 있는 조각 중 19세기의 위조품으로 밝혀진 수 때문에 철퇴가 전혀 무기로 사용되었는지 의문을 제기한다.[15][16][17] 그러나 이러한 제한적이고 다소 선정적인 연구는 현재 대부분 반박되었다.[12] Waldman (2005)은 개인 소장품에서 볼과 체인 철퇴의 몇 가지 진품일 가능성이 있는 예를 문서화했으며, 독일, 프랑스 및 체코 자료에서 복원된 몇 가지 삽화를 문서화했다.[18] 철퇴에 대한 수많은 자료를 종합한 보다 포괄적인 학술 기사조차도 그러한 무기가 개념으로 알려져 있었더라도 전쟁에서의 사용은 기껏해야 드물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한다.[12] 철퇴는 적절한 훈련과 경험이 없는 경우 사용자가 위험할 수 있다고 언급되며,[16] 이는 타격을 가하더라도 사용자가 다음 휘두르기를 준비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음을 의미한다.[18]

5. 2. 지역에 따른 분류

아시아에서는 원래 벼를 타작하는 데 사용되던 짧은 편곤이 쌍절곤이나 삼절곤과 같은 무기로 개조되었다.[19][20][21] 중국에서는 긴 자루가 달린 농민용 편곤과 매우 유사한 무기를 이절곤이라고 부르며, 한국에는 편곤이라는 무기가 있다.[19][20][21] 일본에도 작은 쇠사슬 달린 쇠구슬 편곤의 일종인 치기리키가 있다.

18세기와 19세기에는 긴 자루가 달린 편곤이 인도에서 사용되었다. 피트 리버스 박물관에 소장된 한 예시는 쇠못이 박힌 나무 구슬 모양의 머리를 가지고 있다. 영국 왕립 무기 박물관 소장품 중 다른 하나는 별도의 사슬로 연결된 두 개의 쇠못 박힌 쇠구슬을 가지고 있다.

러시아에서 범죄자 처벌에 사용되었던 채찍이나 매인 크누트는 편곤에서 파생되었다. 그것은 여러 형태로 제조되었으며 그 효과가 너무 심각하여 그것의 모든 힘에 노출된 사람은 거의 살아남지 못했다. 니콜라이 1세는 크누트를 더 약한 채찍으로 대체했다.[22]

6. 현대 한국에서의 편곤

대한민국에서는 전통 무예의 한 종류로 편곤이 보존되고 있으며, 무예 시범 등에서 활용되기도 한다. 전통 무예로서의 편곤은 조선시대 무예도보통지에 기록된 내용을 바탕으로 복원, 전승되고 있다.

참조

[1] 서적 Medieval Costume, Armour and Weapons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2014-05-05
[2] 간행물 The Hussite Wars 1419-36 Osprey MAA 409 2004
[3] 미디어 Wagenburg der Hussiten.jpg Hussites massacre.jpg
[4] 웹사이트 Colored plate depicting knights fighting with two-handed flails. http://www.h-u-m-rue[...] 2016-01-19
[5] 간행물 Armies of the German Peasant's War 1524-26 Osprey MAA 384 2003
[6] 미디어 German Peasants War.jpg
[7] 웹사이트 Talhoffer Fechtbuch (MS 78.A.15) Folio 60r http://wiktenauer.co[...] 2016-02-01
[8] 웹사이트 Talhoffer Fechtbuch (MS 78.A.15) Folio 60v http://wiktenauer.co[...] 2016-02-01
[9] 웹사이트 Ein new Kůnstliches Fechtbuch im Rappier - Figure 88 http://wiktenauer.co[...] 2016-02-01
[10] 웹사이트 New Kůnstliches Fechtbuch - Page 108 http://wiktenauer.co[...] 2016-02-01
[11] 논문 Early medieval war-flails (kistens) from Polish lands http://rcin.org.pl/C[...]
[12] 논문 Fantastic Flails and Where to Find Them: The Body of Evidence for the Existence of Flails in the Early and High Medieval Eras in Western, Central, and Southern Europe https://www.mdpi.com[...] 2024-03
[13] 서적 The art of attack: Being a study in the development of weapons and appliances of offence,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age of gunpowder https://archive.org/[...] W. Holmes, ltd., Printers
[14] 서적 Medieval military technology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5] 웹사이트 The Curious Case of the Weapon that Didn't Exist http://www.publicmed[...] 2016-06-01
[16] 서적 Medieval weapons an illustrated history of their impact https://archive.org/[...] ABC-CLIO
[17] 웹사이트 Military Flail http://www.metmuseum[...] Metropolitan Museum of Art
[18] 서적 Hafted weapons in medieval and Renaissance Europe the evolution of European staff weapons between 1200 and 1650 https://archive.org/[...] Brill
[19]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iN :: 지식과 내가 함께 커가는 곳 http://kin.naver.com[...] Kin.naver.com 2012-12-18
[20]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http://100.naver.com[...] 100.naver.com 2012-12-18
[21] 웹사이트 VOTE! http://dvdprime.dong[...] Dvdprime.donga.com 2012-12-18
[22] 서적 Weapons, a brief discourse on hand-weapons other than fire-arms London, H. Re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