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이크는 3~7미터에 달하는 긴 창으로, 고대부터 근세까지 다양한 시대와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마케도니아 왕국에서 시작되어 스위스 용병을 통해 서유럽 전역으로 퍼졌으며, 화기 발달 전까지 보병의 주력 무기로 활용되었다. 파이크는 밀집 대형을 이루어 보병과 기병에 대항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테르시오와 같은 전술에서 창병과 사수가 함께 운용되기도 했다. 17세기 말 총검의 등장으로 파이크는 점차 쇠퇴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에서는 물자 부족으로 홈 가드에 지급되기도 했다.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다양한 형태의 창이 사용되었으며, 임진왜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파이크 | |
---|---|
개요 | |
종류 | 장창 |
사용 | 보병 |
역사 | |
최초 사용 국가 | 스위스 |
최초 사용 시기 | 1422년 6월 30일 (알베드 전투) |
특징 | 손잡이가 긴 창, 밀라노 공국 기병 격퇴 |
영향 | 주요 병기화, 스위스군 유럽 최강 군대 등극 |
형태 및 구조 | |
분류 | 장창 |
특징 | 긴 자루와 창날 |
사용법 | |
주로 사용한 병과 | 보병 |
전술적 역할 | 적 기병 저지 및 적 보병 견제 |
관련 무기 | |
유사 무기 | 창, 할버드 |
파생 무기 | 스피어 |
2. 역사
창의 역사는 매우 길다. 고대부터 창과 비슷한 무기가 사용되었으며, 마케도니아 왕국에서는 사리사라는 장창이 사용되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마케도니아 군대는 파랑크스를 통해 이를 활용했다. 대왕 사후 사리사는 더욱 길어졌지만, 기동성이 떨어지는 약점으로 인해 로마 공화정의 레기온에 대항하지 못하고 사라졌다.
15세기 초, 스위스 군은 할버드와 배틀액스를 주로 사용했으나, 기병의 랜스에 취약하여 1422년 아르베도 전투에서 패배한 후 파이크 중심 전술로 전환했다. 이후 스위스 군은 프랑스 등에서 용병으로 고용되어 파이크를 서유럽 전역에 퍼뜨렸다. 프랑스군은 스위스 용병을 대량 채용하여 스페인군에 이어 육군 강국으로 군림했다.
화기가 발명된 후에도 파이크의 중요성은 변함없었다. 머스킷을 장비한 부대는 장전이나 대형 변경 시 파이크 병의 지원을 받아야 했다. 창을 든 보병들은 밀집 대형 또는 횡대를 이루어 전진하며, 보병에게는 창 밀어붙이기 전술(Push of pike)로, 기병에게는 창 방어벽으로 대항했다. 창 밀어붙이기 전술은 어깨 높이로 창을 들고 전진하여 백병전을 벌이는 방식으로, 많은 사상자를 냈다.[8] [9]
비잔티움 제국이나 중국의 여러 제국에서는 고대부터 중세, 근세까지 긴 자루의 창이 계속 사용되었다.
17세기 말, 플린트락식 머스킷총과 총검의 발명 및 보급으로 창은 점차 소총과 총검에 대체되었다. 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에서는 물자 부족으로 후방 부대인 홈 가드에 윈스턴 처칠의 제안으로 "홈 가드 파이크"가 지급되기도 했다.
2. 1. 고대
고대에는 조직적인 전쟁에서 매우 긴 창이 사용되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아버지인 필리포스 2세가 도입한 사리사는 고대 마케도니아 군대의 주력 무기로, 여러 나라에서 수 세기 동안 전쟁을 지배했다.[3] 그러나 마케도니아 왕국이 몰락하면서 사리사는 거의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사리사는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더욱 길어졌지만, 기동성이 떨어지는 약점이 있었다. 결국 로마의 투창과 글라디우스로 무장한 레기온에 대항하지 못하고 사라졌다.
고대 중국에서는 전국 시대부터 창과 장창이 사용되었다. 진나라와 한나라에서는 도끼창과 극이 널리 사용되었는데, 이 무기들은 찌르는 창에 베는 칼날이 달린 형태였다. 한나라는 5.5m의 장창과 창, 6.7m의 장창을 제작하여 흉노와의 전쟁에 사용했다.[3]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갈리아 전기에서 헬베티이족이 방패 위로 창이 튀어나온 촘촘한 방진과 같은 대형으로 싸웠다고 기록했다.
2. 2. 중세 유럽
중세 시대에 파이크의 주요 사용자는 플랑드르인이나 저지대 스코틀랜드인과 같은 도시 민병대였다. 예를 들어, 스코틀랜드인들은 스코틀랜드 독립 전쟁 중 여러 전투에서 ''실트론(schiltron)''으로 알려진 창병 진형을 사용했고,[2] 플랑드르인들은 금박차 전투에서 ''겔돈(geldon)'' 장창을 사용하여 프랑스 기사들의 공격을 저지했다.[2] 이러한 진형은 기마 무장병의 공격에 강했지만, 궁수와 석궁병에게는 취약했다.14세기 말, 밀라노 공국에서도 파이크가 확산되었다. 1391년 칙령은 파이크의 길이를 최소 3.05m로 규정했고, 1397년 칙령은 보병 절반이 파이크로 무장하도록 했다.[2]
15세기 초, 스위스 군은 할버드와 배틀액스를 주로 사용했으나, 기병의 랜스에 취약하여 아르베도 전투에서 패배한 후 파이크 중심 전술로 전환했다.[10][11] 이후 스위스 군은 프랑스 등에서 용병으로 고용되어 파이크를 서유럽 전역에 퍼뜨렸다.[12]
2. 3. 근세 유럽
15세기 후반부터 16세기 후반까지, 스위스 용병들은 창 전투에 르네상스를 불러일으켰다. 독일 란츠크네흐트는 스위스의 창 사용법을 채택했다. 스위스와 란츠크네흐트는 슈바벤 전쟁과 이탈리아 전쟁 등에서 맞서 싸웠다.
16세기에는 스페인의 테르시오(Tercio)가 창병, 아르케뷰스 사수, 기병을 조합한 전술로 유럽 보병 전술의 표준이 되었다.

잉글랜드 내전 동안 신모델군은 창병과 사수를 조합하여 운용했다. 1658년, 올리버 크롬웰은 프랑스 동맹군을 지원하기 위해 신모델군 병력을 플랑드르로 파병했을 때 사수와 창병의 수를 동일하게 배치했다.
17세기 말, 플린트락식 머스킷총과 총검의 발명 및 보급으로 창은 점차 소총과 총검에 대체되었다. 소켓식 총검은 총검을 장착한 상태에서도 사격이 가능했기 때문에, 기병 돌격에 효과적이면서도 화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해주었다.
2. 4. 동아시아
고대 일본에서는 나기나타와 야리가 검보다 많이 사용되었다. 중세 일본에서는 16세기 후반부터 파이크병들이 군대의 주력이 되었다. 비잔티움 제국이나 중국의 여러 제국에서는 고대 이후 중세・근세까지 긴 자루의 창이 계속 사용되었다.[3]2. 5. 그 외의 지역 및 시대
미국 독립 전쟁 (1775-1783) 동안, 현지 대장장이가 만든 "참호 창"은 대륙군과 부속 민병대 부대가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총검을 충분히 확보할 때까지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다.[4] 나폴레옹 전쟁 시기에는 러시아 민병대가 단축된 창을 사용했다.19세기 아일랜드, 러시아, 중국, 오스트레일리아와 같은 국가에서 화기를 사용할 수 없는 절망적인 농민 반란군이 창을 사용했다. 존 브라운은 많은 수의 창을 구입하여 하퍼스페리 습격에 가져왔다.
미국 남북 전쟁(1861-1865) 동안 미합중국 연방은 1862년에 20개 연대의 창병을 모집할 계획이었다. 1862년 4월, 모든 남부연합 보병 연대에 창병 두 개 중대를 포함하는 계획이 로버트 E. 리의 지지 아래 승인되었으나, 많은 창이 생산되었지만 전투에서 사용된 적이 없어 군대에 창병을 포함시키는 계획은 폐기되었다.

"탑승 창"이라고 불리는 짧은 창은 19세기 후반까지 군함에서 탑승 부대를 격퇴하는 데 사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에서는 물자 부족으로 후방 부대인 홈 가드에 윈스턴 처칠의 제안으로 "홈 가드 파이크"가 지급된 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용 무기는 창이 "향토 방위대의 계급에서 거의 보편적인 분노와 혐오감을 불러일으켜 병사들의 사기를 저하시키고 양원 의회에서 질문이 제기되게 만들었기" 때문에 창고에서 나오지 않았다. 낡은 리-엔필드 소총 총검 칼날을 강철 튜브에 용접하여 만든 창은 전쟁 차관인 헨리 페이지 크로프트의 이름을 따서 "크로프트의 창"이라는 이름을 얻었는데, 그는 그것이 "조용하고 효과적인 무기"라고 말하며 이 실패를 변호했다.
3. 디자인
파이크는 3~7미터(약 10~23피트) 길이의 긴 무기였다. 보통 창이 전투에서 한 손으로 다루기에는 너무 길어지면 파이크가 되었다.[1] 무게는 약 2~6kg(약 4~13파운드)였으며, 16세기 군사 저술가인 존 스미스 경은 무거운 파이크보다 가벼운 파이크를 추천했다.[1] 파이크는 나무 자루에 철이나 강철 창날이 달려 있었고, 창날 근처의 자루는 종종 "뺨"(cheeks) 또는 랭겟(langets)이라고 불리는 금속 조각으로 보강되었다. 이러한 무기의 극단적인 길이 때문에, 끝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점점 가늘어지는 잘 말린 물푸레나무와 같은 강한 나무가 자루에 사용되었다. 하지만 자루가 처지거나 약간 구부러지는 것은 항상 파이크를 다룰 때의 문제였다.
4. 전술
창을 든 보병들은 주로 빈틈없이 밀집한 대형 또는 횡대를 이루어 전진했으며, 보병에 대해서는 창을 밀어붙이는 전술(Push of pike)로, 기병에 대해서는 창으로 만든 방어벽으로 대항했다.[8] [9]
창을 밀어붙이는 전술(Push of pike)이란 어깨 높이로 창을 들고, 작은 찌르기로 제압하면서 서로의 몸이 접촉할 때까지 전진하는 전투 방식이었다. 접촉 후에는 백병전용 무기와 밀치기를 병용한 전투가 벌어졌고, 일반적으로 한쪽의 대열이 붕괴할 때까지 계속되었으며, 많은 사상자를 수반했다.
숙련된 병사들은 창을 공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훈련을 받았다. 각 열의 창병들은 창을 들고 적 보병에게 전열에서 4~5겹의 창끝을 겨누도록 하였다. 창병의 주요 임무는 돌격해 오는 기병이나 보병을 저지하는 것이었지만, 종종 아군 궁수나 기병의 지원, 후퇴하는 아군의 지원 등에도 참여했다.
하지만, 이러한 창병 대형은 약점도 있었다. 병사들은 모두 앞을 향해 전진하고 있었기 때문에 대형의 취약한 측면이나 후면을 보호하기 위해 빠르고 효율적으로 방향을 바꿀 수 없었다. 또한 플로든 전투에서 스코틀랜드군이 뼈아픈 대가를 치른 것처럼 고르지 않은 지형에서는 결속력을 유지할 수 없었다. 무거운 창을 든 거대한 병력 집단은 직선적인 이동 외에는 어떤 방식으로든 기동하기 어려웠다.
5. 현대의 창
오늘날 창은 보병 연대의 깃발을 운반하는 의식적인 역할에서만 사용되며,[7] 명예 포병대의 창병 및 소총병 중대나 이탈리아 퀴리날레 궁전에서 이탈리아 공화국 대통령 경호 근무 중인 일부 보병 부대에서 사용된다.[7]
참조
[1]
웹사이트
Everything you ever wanted to know about Pikes but were afraid to ask...
http://www.renaissan[...]
2014-08-04
[2]
서적
"Castrum paene in mundo singulare". Scritti per Aldo Settia in occasione del novantesimo compleanno
https://www.academia[...]
Sagep Editori
2023-09-22
[3]
Youtube
An Army Reborn (Terracotta Army) Documentary Video
https://www.youtube.[...]
2017-08-12
[4]
서적
Armies of the Great Northern War: 1700-1720
Osprey
2019
[5]
서적
The Later Thirty Years War: From the Battle of Wittstock to the Treaty of Westphalia
Praeger
2003-02
[6]
서적
All The King's Armies: A Military History of the English Civil War: 1642-1651
Spellmount
2007-07
[7]
Youtube
Cambio della guardia al Quirinale – Infantry Passing out Parade
https://www.youtube.[...]
[8]
웹사이트
http://bcw-project.o[...]
[9]
웹사이트
http://www.gerards.o[...]
[10]
서적
戦場のスイス兵 1300‐1500
新紀元社
[11]
서적
戦場のスイス兵 1300‐1500
新紀元社
[12]
서적
戦場のスイス兵 1300‐1500
新紀元社
[13]
서적
무기와 방어구 / 서양편
도서출판 들녘
2000-11-15
[14]
문서
알베도 전투 관련 다른 견해
[15]
문서
앞의 책, 121-122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