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일렉시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대 일렉시티는 현대자동차에서 생산하는 전기 버스 시리즈이다. 플러그인 전기 버스, 수소연료전지 버스, 굴절 버스, 2층 버스, 중형 버스 등 다양한 모델이 있으며, 대한민국 대부분의 특별시, 광역시 및 여러 시에서 운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층 버스 - 볼보 B7TL
볼보 B7TL은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많이 사용된 볼보의 2층 버스 섀시로, 2006년 소음 규제로 생산이 중단되고 볼보 B9TL과 볼보 B5LH로 대체되었다. - 2층 버스 - 볼보 B9TL
볼보 B9TL은 볼보에서 제작한 2축 또는 3축 저상 버스 섀시로, 르노 트럭에서 설계한 9.3리터 엔진을 탑재하고 아시아 태평양 지역 등에서 다양한 차체를 장착하여 운행되었으며, 2축 및 3축 모델은 각각 볼보 B5TL과 볼보 B8L로 대체되었다. - 미디버스 - 현대 그린시티
현대 그린시티는 현대자동차에서 2010년부터 생산한 중형 버스로,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페이스리프트의 단축형 모델이며 여러 차례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디젤 및 CNG 엔진 모델로 판매되었으나, 2024년 1월 저상버스 출고 의무화로 고상버스 생산이 중단되었다. - 미디버스 - 자일대우 BS
자일대우 BS는 자일대우버스에서 생산한 후부 엔진-후륜 구동 방식의 도시형 버스로, 다양한 모델과 엔진 종류로 출시되어 여러 국가에서 운행되었으나 저상버스 의무제로 단종되었다. - 전기버스 - 에디슨 화이버드
에디슨 화이버드는 한국화이바에서 2014년에 출시한 탄소섬유 강화 복합소재를 사용한 버스 모델이며, 전기버스 모델은 ZF제 휠인 전기모터와 병렬연결 방식의 배터리 팩을 적용했고, 1세대 모델은 단종되었으며 일본에도 수출되었다. - 전기버스 - 하이거 하이퍼스
하이거 하이퍼스는 하이거 버스에서 생산하는 버스 모델로, 대한민국 여러 지역의 운송 업체에서 자일대우 BS110 EV, 현대 일렉시티 등과 경쟁하며 운행된다.
현대 일렉시티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현대 일렉시티 |
제조사 | 현대자동차 |
생산 년도 | 2017년 11월 24일~ |
조립 | 대한민국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봉동읍 완주산단5로 163 (용암리 800) 전주공장 |
차종 | 현대 일렉시티 : 준대형버스 현대 일렉시티 타운 : 중형버스 현대 일렉시티 더블데커 : 2층버스 |
선행 차량 | 현대 일렉시티 : 현대 에어로시티 현대 일렉시티 타운 : 현대 그린시티 |
크기 | |
전폭 | 2,490mm |
전고 | 3,995mm |
기술 정보 | |
연료 | 전기 수소연료전지 |
차대 | 프레임 |
기타 |
2. 역사
현대 일렉시티는 2017년 현대자동차의 상용차 모터쇼인 현대 트럭 & 버스 메가페어에서 최초로 공개되었고, 2017년 11월 24일에 정식 출시되었다.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을 기초로 하여 제작되었다.
2018년 동계 올림픽과 2018년 동계 패럴림픽 기간 동안 강릉역~강릉올림픽파크 간 셔틀버스로 수소연료전지버스(FCEV) 모델이 시범 운행되었다. 2019년에는 현대자동차 최초의 양산형 굴절버스 모델이 출시되었으며, 세종도시교통공사에서 처음으로 도입했다. 2020년 10월에는 국산 버스 최초의 2층 전기버스 모델(일렉시티 더블데커)이 공개되었다. 2023년 1월에는 중형 전기버스 모델인 "일렉시티 타운"이 출시되었다.
2023년 12월 1일, 현대자동차는 아이오닉 5 N과 더불어 일렉시티 타운을 유니버스처럼 일본 시장에 투입한다고 밝혔다. 2024년 5월, 일본 버스테크 포럼을 통해 일본형 일렉시티 타운이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2. 1. 개발 및 출시
2017년 5월 현대자동차의 상용차 모터쇼인 현대 트럭 & 버스 메가페어에서 최초로 공개되었으며, 2017년 11월 24일에 정식으로 출시되었다. 부산 대진여객과 동남여객에 최초로 인도되었다.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을 기초로 하여 제작되었다.2. 2. 모델 확장 및 개선
2018년 동계 올림픽과 2018년 동계 패럴림픽 기간 동안 강릉역~강릉올림픽파크 간 셔틀버스로 수소연료전지버스(FCEV) 모델이 시범 운행되었다.[1] 2018년 10월 22일에는 울산여객에서 전국 시내버스 최초로 일렉시티 FCEV 시제차 1대를 현대자동차에서 임차해 시범 운행했다.[2] 2019년에는 현대자동차 최초의 양산형 굴절버스 모델이 출시되었으며, 세종도시교통공사에서 처음으로 도입했다.[3]2020년 2월부터 생산된 차량은 콜부저음이 변경되고 패찰에 제작월이 추가되었다. 2020년 10월에는 국산 버스 최초의 2층 전기버스 모델(일렉시티 더블데커)이 공개되었다.[4] 2020년 11월에는 헤드램프 아이라인 색상이 변경된 2021년식이 출시되었다. 2021년 4월에는 인천선진교통에서 광역버스 최초로 2층 전기버스를 출고했다.
2021년 10월에는 후미등 및 손잡이 색상이 변경된 2022년식이 출시되었다. 2022년에는 외부 승·하차 감지센서 및 비상밸브가 추가되었다.
2023년 1월에는 중형 전기버스 모델인 "일렉시티 타운"이 부일교통에 최초로 인도되었다. 2023년 6월에는 비상등 및 방향 지시등 작동 시 사이드 마커 램프 점멸 기능이 추가되었다.[5] 2024년 5월 17일부터 일렉시티 타운의 대량 양산이 시작되었다.[10]
2. 3. 해외 진출
2023년 12월 1일 장재훈 현대자동차 사장이 아사히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아이오닉 5 N과 더불어 일렉시티 타운을 유니버스처럼 일본 시장에 투입한다고 밝혔다. 일렉시티 타운의 일본 출시는 2024년 하반기로 언급되었다.[11] 닛케이의 기사에 따르면, 일본 시장에선 2024년 10월에 출시될 예정이다.2024년 5월, 일본 버스테크 포럼을 통해 일본형 일렉시티 타운이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일본형 일렉시티 타운은 대한민국 내수형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가진다.[11]
- 좌측통행에 맞게 출입문과 운전석의 위치가 바뀌었다.
- 일본 현지에 맞춰서 충전 잭 규격은 차데모 방식이며, 충전지 용량은 145kWh이다.
- 외관은 내수형과 다르게 조수석 사이드미러에 LED 리피터가 장착되지 않는 대신, 일본 법규에 맞게 측면 비상문이 장착되었다.
- 실내는 내수형이 M800 2단 카스테레오를 사용하고 봉이 금속제 회색 봉인 반면, 일본 수출형은 ST1에 들어간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사용한다.
- 일본 수출형은 봉 색상이 그린시티 미개선형처럼 주황색이며, 좌석 색상은 파란색이다.
- 일본 수출형은 출입문 레버가 주차 브레이크 옆에 장착되었으며 비상 제동 버튼이 설치되었다.
3. 모델 종류
현대 일렉시티는 용도와 환경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모델을 갖추고 있다.
- 일반 모델 (플러그인 전기버스): 2017년에 처음 공개되어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모델이다.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한 번 충전으로 159km(128kWh 배터리) 또는 319km(256kWh 배터리)를 주행할 수 있다. 천연가스버스를 도입하기 어려운 지역에서 대안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 수소연료전지버스 (FCEV): 2018년 동계 올림픽에서 셔틀버스로 시범 운행된 후, 서울, 울산 등 주요 도시에서 시범 운행을 거쳐 정식 도입되었다. 현재 모든 특별시/광역시에서 운행 중이다.
- 굴절버스: 2019년에 출시된 모델로, 세종도시교통공사와 인천공항운영서비스에서 운행 중이다.
- 2층버스 (일렉시티 더블데커): 2020년에 출시된 국내 최초의 2층 저상버스 EV 모델이다. 71개의 좌석과 2대의 휠체어 탑승 공간을 갖추고 있으며, 1회 충전으로 최대 400km까지 주행 가능하다. 현대 유니버스 부품 일부를 사용한다.
- 중형버스 (일렉시티 타운): 2021년 서울 모빌리티 쇼에서 처음 공개되었으며, 2024년부터 대량 양산을 시작했다. 2024년 하반기에는 일본 시장에도 출시될 예정이다. 일본형 모델은 좌측통행에 맞게 운전석과 출입문 위치가 바뀌었고, 차데모 충전 잭 규격과 145kWh 용량의 충전지를 적용하는 등 현지화되었다.
3. 1. 일반 모델 (플러그인 전기버스)
2017년 현대자동차의 상용차 모터쇼인 현대 트럭 & 버스 메가페어에서 최초로 공개되었으며, 2017년 11월 24일에 정식으로 출시되었다.[1]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을 기초로 하여 조립했다. 좌석은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표준형과 다른 27석이다. 한 번 충전했을 때 항속거리는 128kWh 배터리 159km와 256kWh 배터리 319km가량 주행이 가능하다.플러그인식 순수 전기버스 차량과 수소연료전지버스(FCEV) 차량 두 가지가 있다.
경제성을 이유로[2][3] 천연가스버스를 도입하지 않는 몇몇 소규모 기초자치단체에서도 천연가스버스의 대안으로 플러그인 방식 일렉시티를 도입하고 있다.
2020년 2월부터 생산된 차량은 패찰에 제작월도 추가되고 콜부저음이 변경됐다. 그 해 11월은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헤드램프 아이라인 색상이 '''검은색'''에서 '''무색'''으로 변경된 2021년식이 선보였다.
2021년 10월에 약간의 부분변경을 실시하여 후미등이 '''6등식 타입'''에서 '''8등식 타입'''으로 변경됐으며, 순수 전기버스 모델은 기본 단색손잡이 사양의 색상이 '''연두색'''에서 '''연회색'''으로 변경된 2022년식이 선보였다.
2022년에 외부 승·하차 감지센서 밑에는 노란색 비상밸브가 추가됐으며, 순수 전기버스 모델은 타는문 바로 뒤 창문 구석에 들어간다. 이로 인해 순수 전기버스 모델의 타는문 바로 뒤 창문이 통유리로 변경됐다.
2023년 6월식 버스부터 비상등, 방향 지시등을 켤 때 사이드 마커 램프가 점멸되는 기능이 추가됐다.[5]
플러그인 전기버스 모델의 운행 지역은 다음과 같다.
3. 2. 수소연료전지버스 (FCEV)
현대 일렉시티의 수소연료전지버스(FCEV) 모델은 플러그인 전기버스와 함께 현대 일렉시티의 두 가지 주요 모델 중 하나이다.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강릉역~강릉올림픽파크 간 셔틀버스로 장애인과 노약자 수송을 담당하며 시범 운행되었다.[1] 이후 서울, 울산 등 주요 도시에서 시범 운행을 거쳐 정식 도입되었다.[2]2018년 10월 22일 울산여객에서 전국 시내버스 최초로 일렉시티 FCEV 시제차 1대를 임차하여 시범 운행했고,[3] 2019년 12월에 3대를 정식 도입했다. 2018년 11월에는 삼성여객이 수도권 최초로 일렉시티 FCEV 시제차 1대를 임차하여 2019년 8월 30일까지 1년간 405번 노선에서 주중 한정으로 시범 운행했다. 이 차량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 현대자동차그룹 본사에 설치된 수소 충전소에서 충전했다.[4] 2020년 6월에는 현대자동차 상용차 공장이 있는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에도 수소 충전소가 설치되어 전주시의 시내버스에서도 FCEV가 운행 중이다.[5]
현재 FCEV는 모든 특/광역시에서 운행 중이다.
; 수소연료전지버스(FCEV) 운행 지역
지역 | 운행 회사 |
---|---|
서울특별시 | 국회의사당 셔틀버스, 경찰청 경력 수송 버스, 대원여객, 다모아자동차, 공항버스, 정평운수, 송파상운, 김포교통, 영인운수 |
인천광역시 | 인천공항운영서비스, 신흥교통, 성원운수, 삼환교통, 마니교통, 시영운수, 세운교통, 미추홀교통, 선진여객, 명진교통, 인천제물포교통, 원진운수, 대인교통, 송도버스, 해성운수 |
대전광역시 | 대전승합, 계룡버스, 산호교통, 동인여객, 대전운수 |
세종특별자치시 | 세종교통, 세종도시교통공사 |
대구광역시 | 신흥버스, 우주교통, 달구벌버스, 현대교통, 세한여객, 성보교통 |
울산광역시 | 울산여객, 한성교통, 학성버스, 대우여객, 남성여객 |
부산광역시 | 대도운수, 동진여객, 동원여객, 삼성여객, 대진여객, 삼화PTS |
광주광역시 | 대진운수, 대창운수, 대원시내버스, 현대교통, 을로운수, 라정시내버스 |
경기도 | 경원여객, 협진여객, 평택여객, 서울고속, 진명여객, 이천시내버스, 여산교통, 진아교통, 양주교통 |
제주특별자치도 | 삼화여객 |
충청북도 | 삼화버스공사, 우진교통, 충주교통, 한성운수, 청주교통, 동양교통, 청신운수, 음성교통 |
충청남도 | 온양교통, 아산여객, 서령버스, 당진여객, 새천안교통, 보성여객, 삼안여객 |
경상남도 | 대운교통, 동양교통, 마창여객, 마인버스, 창원버스, 진해여객, 신양여객, (주)세원, 동부교통, 신흥여객, 가야IBS, 통영교통, 동아여객 |
전북특별자치도 | 호남고속, 전일여객, 제일여객, 성진여객, 부안스마일교통, 부안여객, 시민여객, 익산여객, 광일여객, 안전여객, 신흥여객 |
전라남도 | 여수여객, 동양교통, 오동운수, 광양교통 |
강원특별자치도 | 강원여객, 대도여객, 동신운수 |
경상북도 | 새천년미소, 일선교통, 구미버스 |
3. 3. 굴절버스
铰接巴士|교접버스중국어 모델은 2019년에 현대자동차에서 최초로 양산한 형태로, 세종도시교통공사에서 처음으로 도입했다.[1][2][3] 인천공항운영서비스에서도 운행 중이다.
3. 4. 2층버스 (일렉시티 더블데커)
2020년 10월에 국산 버스 최초로 개발한 2층 저상버스 EV 모델이며, 정식 명칭은 일렉시티 더블데커이다.[4] 2021년 4월 인천선진교통이 광역버스 최초로 출고하면서 본격적으로 판매되기 시작했다.전체 높이는 3,955mm이며, 1층 실내 높이는 183cm, 2층 실내 높이는 170cm이다. 출입문은 전문 글라이딩, 중문 플러그인 도어가 적용되었다. 총 71개의 좌석과 2대의 휠체어 탑승 공간을 갖추고 있다. 에어 서스펜션과 스테빌라이져 바를 기본으로 장착하여 안전성을 확보했다. 384kWh 수냉식 리튬 폴리머 배터리를 적용하여 1회 충전 시 최대 400km까지 주행 가능하다. 현대 유니버스의 부품 일부를 사용한다.
지역 | 업체 |
---|---|
서울특별시 | 서울시티투어버스 |
인천광역시 | 신동아교통 |
대전광역시 | 대전비알티 |
경기도 | 포천교통, 김포운수, 경기고속, 대원고속, 대원운수, 경남여객, 평안운수, 경진여객, 명성운수, 경원여객, 용남고속, 화성여객 |
3. 5. 중형버스 (일렉시티 타운)
2021년 11월 25일에 열린 서울 모빌리티 쇼 프레스데이[6]에서 현대자동차는 일렉시티의 단축형 모델인 "일렉시티 타운" 출시를 예고했다.[7] 2022년 9월부터 일렉시티 타운의 전국 순회 전시를 시작했으며, 2022년 10월 서울에서 열린 그린 비즈니스위크 2022[8] 및 대구에서 열린 2022 대구 국제 미래 모빌리티 엑스포에서 일렉시티 타운의 양산형을 공개했다.[9] 2023년 1월 경기도 부천시 시내버스 업체인 부일교통에서 최초로 일렉시티 타운을 출고했다. 다만 일렉시티 타운은 출시 후에도 시험 생산 수준으로 생산하다가, 2024년 5월 17일부터 대량 양산을 시작했다.[10]2023년 12월 1일 장재훈 현대자동차 사장은 아사히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아이오닉 5 N과 함께 일렉시티 타운을 유니버스처럼 일본 시장에 투입한다고 밝혔다. 일렉시티 타운의 일본 출시는 2024년 하반기로 예정되어 있다. 닛케이의 기사에 따르면, 일본 시장 출시일은 2024년 10월이다.
2024년 5월, 일본 버스테크 포럼을 통해 일본형 일렉시티 타운을 처음 공개했다. 대한민국 내수형과 비교하면 좌측통행에 맞게 출입문과 운전석 위치가 바뀌었고, 일본 현지 사정에 맞춰 충전 잭 규격은 차데모, 충전지 용량은 145kWh이다. 외관도 내수형과 달리 조수석 사이드미러에 LED 리피터가 없고, 일본 법규에 따라 측면 비상문이 설치되었다. 실내는 내수형이 M800 2단 카스테레오를 사용하고 금속제 회색봉을 사용하는 반면, 일본 수출형은 ST1에 들어간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사용하고 봉 색상은 그린시티 미개선형처럼 주황색, 좌석 색상은 파란색이며 출입문 레버는 주차 브레이크 옆에, 비상제동 버튼이 설치되는 등 대한민국 내수형과 차이가 있다.[11]
; 도입 현황
지역 | 운수업체 |
---|---|
서울특별시 | 번창교통, 갈현운수, 마포운수, 신림운수, 청록운수, 낙산운수, 광일운수, 합정운수, 구의교통, 서초교통, 청암운수, 진양교통 |
인천광역시 | 삼환운수, 신동아교통, 성원운수, 도영운수 |
대전광역시 | 계룡버스, 대전버스 |
부산광역시 | 남부여객, 삼진운수, 삼진마을버스 |
경기도 | 부일교통, 율전마을버스, 포천상운, 금강고속, 포천교통, 경원여객, 오산교통, 대덕운수, 양주교통, 풍양운수, 평촌교통, 대성운수, 신암교통, 신일산운수, 학운교통, 흥안마을버스, 성우운수, 녹색교통, 신도양, 영상교통, 대양운수, 학의운수, 사랑교통, 포천교통, 성남마을버스, 가평교통 |
강원특별자치도 | 금강고속, 정선 와와버스 |
충청북도 | 충주교통, 삼화버스공사, 신흥운수 |
전북특별자치도 | 대한고속 |
전라남도 | 영광교통, 광양교통, 보성교통, 낭주교통 |
광주광역시 | 을로운수, 동화운수 |
경상북도 | 청송버스, 영주여객 |
경상남도 | 신흥여객 |
충청남도 | 경익버스 |
4. 도입 현황
전국 대부분의 특별시, 광역시에서 일반 일렉시티(플러그인) 모델이 운행 중이다.[1][2][3] 수소연료전지버스(FCEV) 모델은 전국 모든 특별/광역시에서 운행 중이다.
경제성을 이유로 CNG 버스 도입이 어려운 소규모 기초자치단체에서도 플러그인 방식 일렉시티를 도입하고 있다.
5. 경쟁 차종
6. 갤러리
참조
[1]
뉴스
아산시 천연가스버스 도입 공염불
https://news.naver.c[...]
뉴시스
[2]
뉴스
강릉 천연가스 버스 도입 '불투명'
https://www.g1tv.co.[...]
G1강원민방
[3]
뉴스
CNG 시내버스 도입 난항 ‘환경올림픽’ 난망
http://www.kado.net/[...]
강원도민일보
[4]
문서
현대 2층버스 명칭 변경 과정
[5]
문서
버스 방향지시등 및 비상등 작동 방식
[6]
문서
모터쇼 프레스데이 설명
[7]
뉴스
서울모빌리티쇼, 내년 국내에서 펼쳐질 전기차 경쟁 예고하다
https://www.business[...]
비즈니스 포스트
[8]
뉴스
도심 구석구석 누빌 '일렉시티 타운' 최초 공개...VR로 아이오닉6 체험도
https://n.news.naver[...]
머니투데이
[9]
뉴스
현대자동차의 중형 저상 전기버스를 소개합니다
https://n.news.naver[...]
뉴스1
[10]
뉴스
저가 중국산, 점유율 50% 육박…K전기버스, 고성능 신차 띄운다
https://n.news.naver[...]
서울경제
[1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gall.dcinsid[...]
2024-06-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