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포위접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위접종은 감염된 환자의 주변인에게 백신을 접종하여 질병 확산을 막는 전략이다. 접촉자 추적 조사를 통해 감염 가능성이 높은 사람을 찾아 백신을 접종하며, 지리적 표적 예방 접종을 시행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백신은 접종 후 면역력 형성까지 시간이 걸리지만, 포위접종은 2차 접촉자까지 백신을 접종하여 추가 감염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전염병 발생 시 보건 당국은 포위접종과 대규모 접종 중 더 효과적인 전략을 선택해야 한다. 포위접종은 천연두 박멸에 사용되었으며, 에볼라 유행 시에도 활용되어 효과를 입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방 접종 - 집단 면역
    집단 면역은 감염병 면역력을 가진 사람들이 많아져 면역 없는 사람도 보호받는 현상으로, 예방 접종으로 유도하여 전염병 확산 억제 및 질병 근절에 기여하지만, 백신 접종률 저하, 바이러스 변이, 백신 의무화 논쟁 등의 과제가 있다.
  • 예방 접종 - 예방접종
    예방접종은 백신을 사용하여 항원항체반응을 유도, 전염병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후천 면역 시스템을 활성화하여 집단 면역을 형성, 질병 확산을 막는 방법으로, 세계 보건 기구(WHO)는 25종류 감염병에 효과적인 백신을 보고하고 있으며, 백신의 안전성 논란과 반대 운동도 존재한다.
포위접종
개요
알레르기 반응을 치료하기 위해 환자에게 주사를 놓는 미국 해군 병원 군단
백신 접종
유형의료 개입
질병전염병
목표감염 가능성이 높은 사람들에게 백신을 접종하여 질병 확산 억제
상세 정보
설명포위 접종은 감염 가능성이 높은 사람들에게 백신을 접종하여 질병의 확산을 억제하는 전략이다.
대상 질병천연두
에볼라 바이러스
효과에볼라 바이러스 질병에 대한 통제 전략으로 효과적이다.
참고 자료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 링 백신 접종

2. 의학적 사용

어떤 사람이 질병에 걸리면, 감염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가족, 이웃, 친구 등에게 예방접종을 해야 한다. 여러 층의 접촉자(접촉자, 접촉자의 접촉자, 접촉자의 접촉자의 접촉자 등)에게 예방 접종을 할 수 있다.[3]

특정 전염병이 발생했을 때, 보건국은 포위접종과 대규모 접종 중 어느 것이 더 나은 전략인지 고려해야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접촉자만 접종하는 것이 나을 수도 있으며, 인구통계 및 사용 가능한 백신 수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법을 써야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질병으로부터 최대한 보호받을 수 있다.[19]

1962년 베를린에서 디프테리아 유행에 대응하기 위한 포위 접종

2. 1. 접촉자 추적 및 지리적 표적 예방 접종

누군가가 아플 때, 감염된 것으로 보이는 주변 사람들에게 백신을 접종한다. 백신 접종 대상에는 질병 전파 정도에 따라 감염 가능성이 있는 가족, 이웃, 친구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접촉자들은 1차 접촉자, 2차 접촉자, 3차 접촉자 등으로 분류하여 백신을 접종할 수 있다.[16] 포위접종을 위해서는 접촉자 추적 조사를 통해 감염되었거나 감염될 가능성이 높은 사람을 찾아야 한다. 이는 매우 어려운 작업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지리적 표적예방접종(geographically-targeted reactive vaccination)이라 하여 발병 지역의 모든 사람에게 백신을 접종해야 할 수도 있다. 마을 경계가 지리적으로 서로 가까울 경우, 접촉자를 일일이 추적하기보다는 질병이 발생한 지역사회 전체에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18]

대부분의 백신은 체내 면역 체계를 형성하는 데 수 주가 걸리므로 접종 직후 바로 질병으로부터 보호해주지 않는다.[17] 그러나 포위접종을 통해 환자의 접촉자가 감염되었더라도, 접촉자의 접촉자인 2차 접촉자에게도 백신을 접종함으로써 추가 감염 확산을 막을 수 있다. 몇몇 백신은 접종 직후부터 바로 질병으로부터 보호해주기도 하는데, 이 경우 포위접종 전략을 사용하면 감염 확산을 방지하는 데 더욱 효과적이다.[18]

2. 2. 백신 효과와 사후 노출 예방

많은 백신은 면역력을 유도하는 데 몇 주가 걸리므로 즉각적인 보호를 제공하지 않는다.[4] 그러나 일부 환자의 접촉자가 이미 감염된 경우에도 포위 접종은 바이러스가 환자의 접촉자의 접촉자에게 다시 전파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일부 백신은 감염 직후에 투여해도 보호할 수 있는데, 이러한 사후 노출 예방을 제공하는 백신에 포위 접종이 다소 더 효과적이다.[5]

3. 장점

누군가가 아플 때, 감염된 것으로 보이는 주변 사람들에게 백신을 놓는다. 백신을 맞는 주변 사람의 범위에는 질병의 전파 정도에 따라 감염 가능성이 있는 가족, 이웃, 친구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접촉자들을 1차 접촉자, 2차 접촉자, 3차 접촉자 등으로 적절하게 분류하여 백신을 접종할 수 있다.[16] 따라서 포위접종을 위해서는 접촉자 추적 조사를 통해 감염되었거나 감염될 가능성이 높은 사람을 찾아야 한다. 이는 매우 어려운 작업으로, 어떤 경우에는 지리적 표적예방접종(geographically-targeted reactive vaccination)이라 하여 발병 지역의 모든 사람에게 백신을 놓아야 하는 경우도 있다. 만일 마을 경계들이 지리적으로 서로 가까울 경우 접촉자들을 일일이 찾아서 추적하기보다는 질병이 발발한 지역사회 전체에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18]

대부분의 백신은 체내에 면역 체계를 구축하는 데 수 주가 걸리므로 접종 직후부터 바로 병으로부터 보호해주지는 않는다.[17] 하지만 포위접종을 통해 예방접종을 할 시 환자의 접촉자가 감염되었더라도 접촉자의 접촉자인 2차 접촉자도 백신을 맞음으로써 추가 감염 확산을 막을 수 있다. 몇몇 백신은 접종 직후부터 바로 병으로부터 보호해주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포위접종 전략을 쓰면 감염 확산을 방지하는 데 더욱 효과적이다.[18]

특정 전염병이 발발했을 때, 보건국은 포위접종 및 대규모 접종 중 어느 것이 더 나은 전략인지 고민해야 한다. 특정한 경우에는 접촉자만 접종하는 것이 나을 수도 있으며, 인구통계 및 사용 가능한 백신 수를 고려하여 다양한 방법을 써야 부작용을 최소로 줄이면서 가장 크게 병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19] 발병 가능성에 대응할 때, 보건 당국은 포위 접종과 대량 예방 접종 중 어느 것이 최선인지 고려해야 한다. 일부 발병의 경우, 직접 노출된 사람만 예방 접종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 가변적인 요인(예: 인구 통계 및 사용 가능한 백신)에 따라 동일한 수의 사람들이 질병으로부터 보호받으면서 한 방법이 다른 방법보다 안전하고 부작용을 경험하는 사람이 더 적을 수 있다.[6]

4. 역사

포위접종은 19세기 후반 잉글랜드의 레스터에서 사용되었으며,[7] 20세기 중반 천연두를 근절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8][9] 천연두 박멸에는 포위접종 전략이 주로 사용되었다.[20][21]

4. 1. 에볼라 유행

2014년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 당시 포위접종 전략을 실험적으로 사용하였다.[22][23]

2018년 콩고 민주 공화국 서부 에볼라 유행 때 콩고 민주 공화국 보건부는 포위접종 전략을 사용하였다. 감염자의 직접 접촉자와 그의 2차 접촉자 등 감염 가능성이 가장 높은 사람을 선별하여 rVSV-ZEBOV 백신을 접종하여 에볼라 확산을 저지하는 데 성공하였다.[24]

2018년부터 유행하기 시작한 콩고 민주 공화국 동부의 키부 에볼라 유행에는 포위접종이 적극적으로 사용되어 9만명 이상이 백신을 접종받았다. 2019년 4월 세계 보건 기구(WHO)는 콩고 민주 공화국 국립연구소의 연구를 인용하여 에볼라 백신 투여와 미투여를 비교하였을 때 에볼라 전염을 막는 데 대략 97.5% 정도의 효율이 있다고 발표하였다.[25][26]

5. 대한민국에서의 포위 접종

대한민국에서 포위접종이 구체적으로 언급되거나 사용된 사례는 현재 자료에서 확인되지 않는다. 그러나 포위접종의 일반적인 고려 사항은 대한민국의 백신 접종 전략에도 적용될 수 있다.

5. 1. 고려 사항

누군가가 아플 때, 감염된 것으로 보이는 주변 사람들에게 백신을 놓는다. 백신을 접종하는 주변인의 범위에는 질병의 전파 정도에 따라 감염 가능성이 있는 가족, 이웃, 친구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접촉자들을 1차 접촉자, 2차 접촉자, 3차 접촉자 등으로 분류하여 백신을 접종할 수 있다.[16] 따라서 포위접종을 위해서는 접촉자 추적 조사를 통해 감염되었거나 감염될 가능성이 높은 사람을 찾아야 한다. 이는 매우 어려운 작업으로, 어떤 경우에는 지리적 표적예방접종(geographically-targeted reactive vaccination)이라 하여 발병 지역의 모든 사람에게 백신을 놓아야 하는 경우도 있다. 만일 마을 경계들이 지리적으로 서로 가까울 경우, 접촉자들을 일일이 찾기보다는 질병이 발생한 지역사회 전체에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18]

대부분의 백신은 체내에 면역 체계를 구축하는 데 수 주가 걸리므로 접종 직후 바로 병으로부터 보호해주지는 않는다.[17] 하지만 포위접종을 통해 예방접종을 하면 환자의 접촉자가 감염되었더라도 그 접촉자의 접촉자인 2차 접촉자도 백신을 맞아 추가 감염 확산을 막을 수 있다. 몇몇 백신은 접종 직후부터 바로 병으로부터 보호해주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포위접종 전략을 쓰면 감염 확산을 방지하는 데 더욱 효과적이다.[18]

특정 전염병이 발생했을 때, 보건국은 포위접종과 대규모 접종 중 어느 것이 더 나은 전략인지 고민해야 한다. 특정한 경우에는 접촉자만 접종하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으며, 인구 통계 및 사용 가능한 백신 수를 고려하여 다양한 방법을 써야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가장 크게 병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19]

참조

[1] 논문 Effectiveness of Ring Vaccination as Control Strategy for Ebola Virus Disease 2016
[2] 웹사이트 Ring Vaccination | Smallpox | CDC https://www.cdc.gov/[...] 2019-11-29
[3] 웹사이트 Ring Vaccination: Smallpox {{!}} CDC https://www.cdc.gov/[...]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2019-02-15
[4] 웹사이트 Understanding How Vaccines Work {{!}} CDC https://www.cdc.gov/[...]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2019-03-13
[5] 논문 Considerations for use of Ebola vaccine during an emergency response. 2017-09-07
[6] 논문 Frequency of Adverse Events after Vaccination with Different Vaccinia Strains 2006-08-01
[7] 논문 Smallpox Vaccine: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https://www.ncbi.nlm[...] 2003-04
[8] 논문 The global eradication of smallpox
[9] 간행물 World on the verge of an effective Ebola vaccine http://who.int/medi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07-31
[10] 웹사이트 Ebola vaccine is 'potential game-changer' https://www.bbc.co.u[...] BBC News Health 2015-07-31
[11] 논문 Efficacy and effectiveness of an rVSV-vectored vaccine expressing Ebola surface glycoprotein: interim results from the Guinea ring vaccination cluster-randomised trial 2015-07-31
[12] 뉴스 Can The New Ebola Vaccine Stop The Latest Outbreak? https://www.npr.org/[...] 2018-05-15
[13] 웹사이트 As Ebola outbreak rages, vaccine is 97.5% effective, protecting over 90K people https://arstechnica.[...] 2019-04-16
[14] 웹사이트 Ebola Ring Vaccination Results 12 April 2019 https://www.who.int/[...] 2019-04-12
[15] 논문 Effectiveness of Ring Vaccination as Control Strategy for Ebola Virus Disease 2016
[16] 웹인용 Ring Vaccination: Smallpox {{!}} CDC https://www.cdc.gov/[...]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2019-02-15
[17] 웹인용 Understanding How Vaccines Work {{!}} CDC https://www.cdc.gov/[...]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2019-03-13
[18] 논문 Considerations for use of Ebola vaccine during an emergency response. 2017-09-07
[19] 논문 Frequency of Adverse Events after Vaccination with Different Vaccinia Strains 2006-08-01
[20] 논문 The global eradication of smallpox
[21] 웹인용 World on the verge of an effective Ebola vaccine http://who.int/medi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07-31
[22] 웹인용 Ebola vaccine is 'potential game-changer' https://www.bbc.co.u[...] BBC 2015-07-31
[23] 논문 Efficacy and effectiveness of an rVSV-vectored vaccine expressing Ebola surface glycoprotein: interim results from the Guinea ring vaccination cluster-randomised trial 2015-07-31
[24] 뉴스 Can The New Ebola Vaccine Stop The Latest Outbreak? https://www.npr.org/[...] 2018-05-15
[25] 웹인용 As Ebola outbreak rages, vaccine is 97.5% effective, protecting over 90K people https://arstechnica.[...] 2019-04-16
[26] 웹인용 Ebola Ring Vaccination Results 12 April 2019 https://www.who.int/[...] 2019-04-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