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포인팅 벡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인팅 벡터는 1883년 존 헨리 포인팅에 의해 유도되었으며, 전자기장이 공간에서 전달하는 에너지의 방향과 속도를 나타내는 벡터이다. 전기장 '''E'''와 자기장 '''H'''의 외적으로 정의되며, 국제단위계에서는 \mathbf{S} = \frac{1}{\mu_0} \mathbf{E} \times \mathbf{B}로 표현된다. 포인팅 벡터의 크기는 에너지 선속 밀도와 같으며, 방향은 에너지 전달 방향과 일치한다. 포인팅 정리는 전자기장의 에너지 보존 법칙을 나타내며, 동축 케이블과 같은 시스템에서의 전력 흐름을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전자기장의 운동량 밀도와 복사 압력과도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벡터 - 영벡터
  • 벡터 - 스칼라곱
    스칼라곱은 n차원 유클리드 공간에서 두 벡터 간의 연산으로 스칼라 값을 결과로 가지며, 대수적 정의와 기하학적 정의를 통해 벡터의 길이와 각도를 정의하고 역학, 코사인 법칙, 내적 공간, 함수, 행렬 등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
  • 광학 - 광자
    광자는 전자기파의 기본 입자이자 빛의 입자적 성질을 나타내는 양자이며, 전하를 띠지 않고 에너지와 운동량을 가지며 다양한 기술 분야에 응용된다.
  • 광학 - 굴절
    굴절은 빛이 한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진행할 때 속도 변화로 인해 진행 방향이 꺾이는 현상이며, 렌즈, 프리즘, 광섬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전자기학 - 전력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되며, 발전소에서 생산되어 송전 및 배전을 통해 소비자에게 공급되고, 에너지 저장 기술을 통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산업, 상업, 가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소비된다.
  • 전자기학 - 절연체
    절연체는 전기 전도성을 막아 전기의 흐름을 제어하고 안전을 확보하며, 밴드 이론에 따라 큰 띠틈을 가져 외부 전압이 띠틈을 넘어서면 절연 파괴가 발생하며, 유리에서 세라믹, 고분자 복합 재료 등으로 제작되어 전선, 케이블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포인팅 벡터

2. 역사

1883년 영국의 물리학자 존 헨리 포인팅(John Henry Poynting)이 처음으로 유도하였다.[20]

3. 정의

포인팅 벡터(S)는 전기장(E)과 자기장(H)의 외적으로 정의된다.[4][5][6] 국제단위계(SI)에서 포인팅 벡터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mathbf{S} = \frac{1}{\mu_0} \mathbf{E} \times \mathbf{B}

CGS 단위계에서는 1/\mu_0 대신 c/4\pi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포인팅 벡터 \mathbf{S}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7]

:\mathbf{S} = \mathbf{E} \times \mathbf{H},

여기서,


  • '''E'''는 전기장 벡터
  • '''H'''는 자화장 벡터


이 표현은 '아브라함 형식'이라고 불리며 널리 사용된다. 포인팅 벡터는 보통 '''S''' 또는 '''N'''으로 표시된다.

간단히 말해, 포인팅 벡터 '''S'''는 전자기장이 전달하는 전력의 방향과 속도를 나타낸다.

"미시적" 버전의 맥스웰 방정식에서는, 다음과 같이 전기장 '''E'''와 자기 선속 밀도 '''B'''를 사용하여 정의한다.

:\mathbf{S} = \frac{1}{\mu_0} \mathbf{E} \times \mathbf{B},

여기서

  • ''μ''0는 진공 투자율
  • '''E'''는 전기장 벡터
  • '''B'''는 자기 선속


이것은 포인팅 벡터의 일반적인 표현이다.[14]

4. 성질

포인팅 벡터의 크기는 전자기장의 에너지 선속 밀도(단위 시간 및 단위 면적 당 에너지)의 크기와 같다. 포인팅 벡터의 방향은 에너지가 전달되는 방향과 같으며, 항상 전기장자기장과 수직이다.[4][5][6]

포인팅 벡터 \(\mathbf{S}\)는 보통 \(\mathbf{S}\) 또는 \(\mathbf{N}\)으로 표시되며, 전기장 벡터 \(\mathbf{E}\)와 자화장 \(\mathbf{H}\)의 외적으로 정의된다. 이를 아브라함 형식이라고도 부르며 가장 널리 사용된다.

:\(\mathbf{S} = \mathbf{E} \times \mathbf{H}\)

간단히 말해, 포인팅 벡터 \(\mathbf{S}\)는 공간에서 전자기장이 전달하는 에너지, 즉 전력의 방향과 속도를 나타낸다.

전자기장의 선형 운동량 밀도는 \(S/c^2\)로 주어지며, 여기서 \(S\)는 포인팅 벡터의 크기, \(c\)는 자유 공간에서의 빛의 속도이다. 전자기파가 표면에 가하는 복사 압력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P_\mathrm{rad} = \frac{\langle S\rangle}{\mathrm{c}}\)

전자기장이 진동하면서 포인팅 벡터의 세기는 시간에 따라 변동한다. 이 세기의 시간 평균은 복사속 밀도라고 불린다.

:\(\boldsymbol{I} = \left\langle \boldsymbol{S} \right\rangle_T =\frac{1}{2T}\int_0^T \boldsymbol{S}\, dt\)

포인팅 벡터는 전자기장의 에너지뿐만 아니라 운동량각운동량과도 연관되어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참조)

4. 1. 전자기장의 운동량과 각운동량

포인팅 벡터는 전자기장의 에너지뿐만 아니라 운동량 \(\mathbf p\)와 각운동량 \(\mathbf L\)과도 다음과 같이 연관되어 있다.

:\(\mathbf p = \mu_0 \epsilon_0 \int_V \mathbf{S}d\tau\)

:\(\mathbf L = \mathbf{r} \times \mathbf p = \mu_0 \epsilon_0 \int_V (\mathbf{r} \times \mathbf{S})d\tau\)

포인팅 벡터의 공간 적분 \(\int_V \boldsymbol{S}\, dV\)는 전자기장이 가진 운동량으로 해석된다.

5. 포인팅 정리

'''포인팅 정리'''(Poynting's theorem영어)는 전자기장을 포함한 계에서의 에너지 보존 법칙이다. 전자기장이 한 일의 양은 전자기장이 잃게 되는 에너지의 양과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포인팅 정리의 적분형은 다음과 같다.

:\frac{dW}{dt} = - \frac{d}{dt}\int_V \frac{1}{2}(\epsilon_0 E^2 + \frac{1}{\mu_0}B^2) d\tau - \frac{1}{\mu_0}\oint_S (\mathbf{E} \times \mathbf{B}) \cdot d\mathbf{a}

포인팅 정리의 미분형은 다음과 같다.

:\frac{\partial}{\partial t}(u_{mech} + u_{em}) = - \nabla \cdot \mathbf{S}

6. 동축 케이블에서의 전력 흐름 (예시)

600px


350px


반지름이 ''R''1인 내부 도체와 내부 반지름이 ''R''2인 외부 도체 사이에서, 동축 케이블은 상대 유전율 ''ε''r을 갖는 이상적인 유전체로 채워져 있다. 이때, 비자성(투자율 ''μ'' = ''μ''0)이고 손실이 없는(완벽한 도체) 도체를 가정하며, 이는 일반적인 실제 동축 케이블에 대한 좋은 근사치이다.

중심 도체는 전압 ''V''를 가지며, 오른쪽으로 전류 ''I''가 흐르므로, 총 전력 흐름은 ''P'' = ''V'' · ''I''가 된다. 포인팅 벡터를 통해 동축 케이블 내부의 전기장 및 자기장 관점에서 전력 흐름을 분석할 수 있다.

전기장은 각 도체 내부에서 0이지만, 도체 사이(R_1 < r < R_2)에서는 방사형 방향으로 존재하며, (가우스 법칙에 의해)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진다.

:E_r(r) = \frac{W}{r}

''W''는 r = R_2에서 R_1까지 전기장을 적분하여 구할 수 있으며, 이는 전압 ''V''의 음수와 같다.

:-V = \int_{R_2}^{R_1} \frac{W}{r} dr = -W \ln \left(\frac{R_2}{R_1}\right)

따라서:

:W = \frac{V}{\ln(R_2/R_1)}

자기장은 ''θ'' 방향 성분만 0이 아니며, ''R''1과 ''R''2 사이의 모든 반지름에서 중심 도체를 감싸는 벡터장이다. 도체 내부에서 자기장은 0일 수도 있지만, 이 영역에서는 전기장이 0이므로 포인팅 벡터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동축 케이블 외부에서는 자기장이 0인데, 이는 중심 도체의 +''I''와 외부 도체의 −''I''로 인해 순 전류가 0이 되고, 전기장 또한 0이기 때문이다. ''R''1에서 ''R''2 영역에서 암페어 법칙을 적용하면, 반지름 ''r''에서 다음과 같다.

:\begin{align}

I = \oint_C \mathbf{H} \cdot ds &= 2 \pi r H_\theta(r) \\

H_\theta(r) &= \frac {I}{2 \pi r}

\end{align}

방사형 방향의 전기장과 접선 방향의 자기장으로부터, 이들의 외적으로 주어지는 포인팅 벡터는 동축 케이블 방향( ''Z'' 방향) 성분만 0이 아니다. ''r''만의 함수인 '''S'''(r)은 다음과 같다.

:S_z(r) = E_r(r) H_\theta(r) = \frac{W}{r} \frac {I}{2 \pi r} = \frac{W \, I} {2 \pi r^2}

여기서 ''W''는 위에서 구한 중심 도체 전압 ''V''의 함수이다. 동축 케이블을 따라 흐르는 총 전력은 도체 사이의 케이블 전체 단면 '''A'''에 대해 적분하여 계산할 수 있다.

:\begin{align}

P_\text{tot}

&= \iint_\mathbf{A} S_z (r, \theta)\, dA = \int_{R_2}^{R_1} 2 \pi r dr S_z(r) \\

&= \int_{R_2}^{R_1} \frac{W\, I}{r} dr = W\, I\, \ln \left(\frac{R_2}{R_1}\right).

\end{align}

''W''에 대한 식을 대입하면:

:P_\mathrm{tot} = I \ln \left(\frac{R_2}{R_1}\right) \frac{V}{\ln(R_2/R_1)} = V \, I

즉, 포인팅 벡터를 동축 케이블 단면으로 적분하여 얻은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과 정확히 일치한다.

''P'' = ''V'' · ''I'' 결과가 해석적으로 계산될 수 있는 다른 예로는 직교 좌표계를 사용하는 평행판 전송선[8]과 쌍극 원통 좌표계를 사용하는 2선 전송선[9]이 있다.

7. 평면파

등방성 무손실 매질에서 전파하는 평면파에서 순간 포인팅 벡터는 항상 전파 방향을 가리키는 동시에 크기가 빠르게 진동한다. 평면파에서 자기장 '''H'''(''r'',''t'')의 크기는 전기장 벡터 '''E'''(''r'',''t'')의 크기를 매질의 고유 임피던스인 ''η''로 나눈 값과 같다는 점을 고려하면 간단하게 알 수 있다.

:|\mathbf{H}| = \frac

{\eta},

여기서 |'''A'''|는 '''A'''의 벡터 노름을 나타낸다. '''E'''와 '''H'''는 서로 직각을 이루므로 두 벡터의 외적의 크기는 두 벡터 크기의 곱이다. 일반성을 잃지 않고 전기장 방향을 ''X''로, 자기장 방향을 ''Y''로 잡으면, '''E'''와 '''H'''의 외적으로 주어진 순간 포인팅 벡터는 양의 ''Z'' 방향이 된다.

:\left|\mathsf{S_z}\right| = \left|\mathsf{E_x} \mathsf{H_y}\right| = \frac{\left|\mathsf{E_x}\right|^2}{\eta}.

그런 다음 평면파의 시간 평균 전력을 구하려면 파동 주기(파동의 역 주파수)에 대한 평균을 구해야 한다.

:\left\langle\mathsf{S_z}\right\rangle = \frac{\left\langle\left|\mathsf{E_x}\right|^2\right\rangle}{\eta} = \frac{\mathsf{E_\text{rms}^2}}{\eta},

여기서 ''E''rms는 제곱 평균 제곱근 (RMS) 전기장 진폭이다. ''E''(''t'')가 어떤 주파수에서 최고 진폭 ''E''peak로 사인파로 변하는 중요한 경우에 ''E''rms\mathsf{E_{peak}} / \sqrt{2}이며, 평균 포인팅 벡터는 다음과 같다.

:\left\langle\mathsf{S_z}\right\rangle = \frac{\mathsf{E_{peak}^2}}{2\eta}.

이것은 평면파의 에너지 플럭스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 사인파 전기장 진폭은 대부분 최고 값으로 표현되며 복잡한 문제는 일반적으로 한 번에 하나의 주파수만 고려하여 해결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E''rms를 사용하는 식은 완전히 일반적이며, 예를 들어 RMS 진폭을 측정할 수 있지만 "피크" 진폭이 의미가 없는 잡음의 경우에 적용된다. 자유 공간에서 고유 임피던스 ''η''는 단순히 자유 공간 임피던스 ''η''0 ≈377Ω로 주어진다. 지정된 유전율 ''ε''r을 갖는 비자성 유전체(광학 주파수에서 모든 투명 재료와 같은) 또는 굴절률 \mathsf{n} = \sqrt{\epsilon_r}인 재료가 있는 광학에서 고유 임피던스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eta = \frac{\eta_0}{\sqrt{\epsilon_r}}.

광학에서 표면을 가로지르는 복사 플럭스의 값, 즉 해당 표면에 수직인 방향의 평균 포인팅 벡터 성분은 기술적으로 복사조도라고 하며, 더 자주 단순히 ''세기''라고 한다.

8. 정적 장에서의 포인팅 벡터

정적 전계에서의 포인팅 벡터. '''E'''는 전기장, '''H'''는 자기장, '''S'''는 포인팅 벡터를 나타낸다.


정적 전계에서 포인팅 벡터를 고려하면 맥스웰 방정식의 상대론적 특성이 드러나고, 로렌츠 힘의 자기적 성분 ''q''('''v''' × '''B''')영어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그림은 영구 자석에 의해 생성된 '''H'''장(지면 안쪽 방향) 안에 위치한 원통형 커패시터에서의 포인팅 벡터를 보여준다. 정적인 전기장과 자기장만 존재하지만, 포인팅 벡터를 계산하면 시계 방향의 전자기 에너지 순환이 나타나며, 시작과 끝이 없다.

이러한 순환하는 에너지 흐름이 비물리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이는 각운동량 보존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자유 공간에서 전자기파의 운동량은 그 전력을 빛의 속도 ''c''로 나눈 값과 같다. 따라서, 전자기 에너지의 순환 흐름은 각운동량을 의미한다.[19] 만약 전하를 띤 커패시터의 두 판 사이에 전선을 연결한다면, 커패시터가 방전될 때 방전 전류와 교차하는 자기장으로 인해 해당 전선에 로렌츠 힘이 작용할 것이다. 그 힘은 중심 축에 접선 방향으로 작용하여 시스템에 각운동량을 더할 것이다. 그 각운동량은 커패시터가 방전되기 전에 순환하는, 포인팅 벡터에 의해 드러나는 "숨겨진" 각운동량과 일치할 것이다.

9. 복사압

전자기장의 선형 운동량 밀도는 ''S''/''c''2이며, 여기서 ''S''는 포인팅 벡터의 크기이고, ''c''는 자유 공간에서의 빛의 속도이다. 전자기파가 표면에 가하는 복사압은 다음과 같다.

:P_\mathrm{rad} = \frac{\langle S\rangle}{\mathrm{c}}.[12]

참조

[1] 서적 Electromagnetic Theory https://books.google[...] McGraw-Hill
[2] 웹사이트 Пойнтинга вектор http://femto.com.ua/[...] 2022-02-21
[3] 서적 Oliver Heaviside: The Life, Work, and Times of an Electrical Genius of the Victorian Age JHU Press
[4] 논문 On the Transfer of Energy in the Electromagnetic Field
[5] 서적 Electromagnetism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6] 서적 Introduction to Electrodynamics https://books.google[...] Addison-Wesley
[7] 논문 Four Poynting Theorems
[8] 논문 An Introduction to the Poynting Vector
[9] 논문 DC Power Transported by Two Infinite Parallel Wires
[10] 논문 Momentum of an Electromagnetic Wave in Dielectric Media
[11] 논문 Ein Theorem über die Wechselwirkungen in Endlichen Entfernungen http://resolver.sub.[...]
[12] 서적 Classical Electrodynamic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3] 웹사이트 K. McDonald's Physics Examples - Railgun https://physics.prin[...] 2021-02-14
[14] 서적 Modern Electrodynam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논문 Poynting's Theorem and Energy Conservation in the Propagation of Light in Bounded Media
[16] 서적 Time-Harmonic Electromagnetic Fields https://books.google[...] McGraw-Hill
[17] 서적 Engineering Electromagnetics https://books.google[...] McGraw-Hill
[18] 서적 Foundations of Electromagnetic Theory https://books.google[...] Addison-Wesley
[19] 서적 The Feynman Lectures on Physics https://feynmanlectu[...] Basic Books
[20] 저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