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도널드 맥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폴 도널드 맥린은 미국의 의사이자 신경생리학자로, 뇌의 진화와 기능에 대한 연구로 유명하다. 그는 예일 대학교에서 의학 학위를 받았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의관으로 복무했다. 맥린은 하버드 의과대학 등에서 연구를 수행하며 1952년 "변연계"라는 용어를 도입했고, 이후 삼위일체 뇌 이론을 정립했다. 이 이론은 인간의 뇌를 파충류 복합체, 변연계, 신피질로 구분하며, 뇌의 진화적 측면을 설명한다. 맥린은 국립 정신 건강 연구소에서 연구소를 운영하며 뇌 진화 및 행동 연구를 수행했고, 다양한 상을 수상했다. 그는 은퇴 후 2007년 사망했으며, 그의 연구는 뇌과학, 정신의학,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생리학자 - 찰스 브렌턴 허긴스
찰스 브렌턴 허긴스는 캐나다 출신의 생화학자이자 외과의사로, 호르몬 요법을 통해 전립선암과 유방암 치료에 기여한 공로로 1966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으며, 시카고 대학교에서 암 치료 분야에 획기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의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생리학자 - 허버트 스펜서 개서
허버트 스펜서 개서는 인체 신경 세포 작용 연구로 1944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생리학자로, 여러 대학에서 교수와 록펠러 연구소 소장을 역임하며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쳤다. - 미국의 신경과학자 - 닐 엘가 밀러
닐 엘가 밀러는 행동주의와 정신분석을 통합하고 공포 조건화 학습, 동기 부여 연구, 바이오피드백 분야에 기여한 미국의 심리학자로, 예일 대학교와 록펠러 대학교에서 교수를 역임하고 미국 심리학회 회장과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을 지냈다. - 미국의 신경과학자 - 마틴 챌피
미국의 생물학자 마틴 챌피는 녹색 형광 단백질(GFP)의 발견 및 개발에 기여한 공로로 2008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현재 컬럼비아 대학교 생물학과 교수이자 미국세포생물학회 회장이다. - 워싱턴 대학교 동문 - 제임스 M. 케인
제임스 M. 케인은 미국의 소설가이자 시나리오 작가, 저널리스트로, 《우편배달부는 두 번 벨을 울린다》, 《이중 배상》 등의 필름 누아르 스타일 소설로 명성을 얻었으며 미국 작가 연맹 설립 운동에도 참여했다. - 워싱턴 대학교 동문 - 호프 솔로
호프 솔로는 미국의 여자 축구 골키퍼로, 고등학교 시절 공격수로 활약하다 골키퍼로 전향하여 미국 여자 프로 축구 리그와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며 올림픽 금메달, 월드컵 우승 등을 기록했다.
폴 도널드 맥린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폴 도널드 맥린 |
로마자 표기 | Pol Donaldeu Maeklin |
출생 | 1913년 1월 1일 |
출생지 | 펜실베이니아주 펠햄 |
사망 | 2007년 5월 25일 (94세) |
사망지 | 매사추세츠주 벨몬트 |
국적 | 미국 |
학력 | |
모교 | 예일 대학교 (B.A.) 예일 의과대학 (M.D.) |
경력 | |
직업 | 의사, 신경과학자 |
근무 기관 | 미국 국립정신보건원 (NIMH) 예일 대학교 |
연구 분야 | |
연구 분야 | 뇌 진화, 정신생리학 |
주목할만한 아이디어 | 삼위일체 뇌 가설 |
수상 | |
수상 | 졸라상 (1972) 골드만-라키치상 (1979) 미국 정신병리학 협회 쇨칭거상 (1980) 정신 의학 연구 협회 A.E. 베넷 상 (1983) 국제 신경정신약리학 대학 재단 명예상 (1985) |
2. 생애
폴 도널드 맥린은 의학, 신경과학 분야에서 활동한 인물이다. 그의 생애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시기 | 주요 활동 |
---|---|
1935년 | 예일 대학교 영문학 학사 학위 취득 |
1940년 | 예일 대학교 의학 학위 취득 |
1942년 ~ 1946년 | 제2차 세계 대전 미국 육군 군의관 복무 |
1946년 | 시애틀 의료 활동, 워싱턴 대학교 의과대학 임상직 |
1947년 ~ 1949년 | 하버드 의과대학/매사추세츠 종합 병원 연구, 변연계 용어 도입 |
1949년 | 예일 의과대학 교수, 삼위일체 뇌 이론 연구 시작 |
1956년 | 생리학 부교수 |
1957년 | 국립 정신 건강 연구소 (NIMH) 신경생리학 연구소 변연계 섹션 책임자 |
1964년 | 신경 및 정신 질환 연구 협회 우수 연구상 수상 |
1966년 | 뉴욕 의학 아카데미 토머스 윌리엄 새먼 강좌 |
1971년 ~ 1985년 | NIMH 뇌 진화 및 행동 연구소 소장 |
1972년 | NIH G. 버로스 미더 강좌상 수상 |
1985년 | 은퇴 |
2007년 | 메릴랜드주 포토맥에서 사망 |
맥린의 연구는 칼 세이건, 아서 쾨슬러 등 대중 작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그의 뇌 및 행동 연구 자료는 [http://oculus.nlm.nih.gov/cgi/f/findaid/findaid-idx?c=nlmfindaid;cc=nlmfindaid;view=reslist;subview=standard;didno=maclean534 국립 의학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폴 D. 맥린은 뉴욕주 필립스에서 장로교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1935년 예일 대학교에서 영문학으로 학사 학위를 받았고,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할 계획이었으나 가족의 질병으로 인해 에든버러에서 1년 동안 예비 의학 과정을 이수했다. 맥린은 1940년 예일 대학교에서 의학 학위를 받았다.2. 2.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맥린은 1942년부터 1946년까지 미국 육군에서 군의관으로 복무했다. 뉴질랜드의 예일대 39사단 병원 여단에서 복무하면서 어베릴 리보우 박사와 함께 디프테리아 간균이 열대성 궤양의 원인임을 밝혀 예방 및 치료에 기여했다.2. 3. 의학 연구 경력
전역 후 맥린은 시애틀에서 의료 활동을 했고, 워싱턴 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임상직을 맡았다. 1947년부터 1949년까지 하버드 의과대학/매사추세츠 종합 병원에서 미국 공중 보건국 펠로우로 스탠리 콥 박사와 함께 정신운동성 간질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고, 1952년 "변연계"라는 용어를 도입했다.1949년, 예일 의과대학의 생리학 및 정신의학 공동 교수로 임명되었다. 예일 재직 기간 동안 존 펄턴 박사와 함께 감정의 뇌 메커니즘을 연구했고, 삼위일체 뇌 이론을 정의하기 시작했다.
1956년에는 생리학 부교수가 되었다. 스위스 취리히의 생리학 연구소에서 국립 과학 재단 선임 박사후 연구 펠로우십을 받았다.
1957년, 국립 보건원으로 가서 국립 정신 건강 연구소(NIMH) 신경생리학 연구소의 변연계 섹션 책임자가 되었다. 1971년, 메릴랜드주 풀스빌에 새로 설립된 NIMH의 뇌 진화 및 행동 연구소 소장이 되어 1985년까지 재직했다.
2. 4. 수상 경력
- 1964년 신경 및 정신 질환 연구 협회로부터 뛰어난 연구상을 받았다.
- 1966년 뉴욕 의학 아카데미에서 토마스 윌리엄 살몬 강좌를 했다.
- 1972년 NIH로부터 G. 버로스 미더 강좌상을 받았다.
2. 5. 은퇴 및 사망
맥린은 국립 정신 건강 연구소(NIMH) 신경생리학과의 선임 연구 과학자 명예 교수라는 국립 보건원(NIH)의 영예와 함께 은퇴했다. 2007년 12월 26일 메릴랜드주 포토맥에서 사망했다.3. 삼위일체 뇌 이론
맥린의 삼위일체뇌 이론은 인간의 뇌가 진화 과정에서 파충류 복합체(간뇌 영역), 변연계, 신피질(대뇌 피질)의 세 층으로 구성되었다고 제안한다. 맥린은 1949년 예일 의과대학 생리학 및 정신의학 공동 교수로 재직하면서 감정의 뇌 메커니즘을 연구하며 이 이론을 정의하기 시작했다.
3. 1. 파충류 복합체 (Reptilian Complex)
맥린의 진화론적 삼중 뇌 이론인 삼위일체뇌는 인간의 뇌가 실제로는 세 개의 뇌가 하나로 결합되어 있다고 제안했다. 파충류 복합체로 언급되는 간뇌 영역, 변연계, 신피질로 언급되는 대뇌 피질로 대별된다.3. 2. 변연계 (Limbic System)
맥린(MacLean)의 삼위일체뇌(Triune Brain) 이론에 따르면, 인간의 뇌는 세 개의 뇌가 하나로 결합된 형태이며, 변연계는 그 중 하나이다. 변연계는 감정, 기억, 동기 부여 등을 담당하는 영역으로, 포유류에서 발달했다.3. 3. 신피질 (Neocortex)
맥린의 진화론적 삼중 뇌 이론인 삼위일체뇌는 인간의 뇌가 세 개의 뇌가 하나로 결합되어 있다고 제안했는데, 여기서 신피질은 대뇌 피질에 해당한다. 신피질은 인간에게서 가장 발달한 뇌 영역으로, 언어, 추론, 계획 등 고차원적인 인지 기능을 담당한다.4. 현대 생물학적 관점
5. 영향
맥린의 아이디어는 칼 세이건과 아서 쾨슬러와 같은 대중 작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그의 연구는 뇌과학, 정신의학,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국립 의학 도서관에는 맥린의 연구 자료, 서신, 사진 등이 보관되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