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오르테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라오르테스는 메디아의 왕으로, 아버지 데이오케스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그는 페르시아를 정복하고 메디아 왕국을 확장했으며, 신아시리아 제국과 충돌하여 전쟁 중 사망했다. 헤로도토스는 그가 22년 동안 통치했다고 기록했지만, 다른 자료에서는 이를 뒷받침하지 않는다. 프라오르테스는 메디아의 족장 카슈타리티와 동일 인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이에 대한 논쟁도 있다. 그의 뒤는 아들 키악사레스가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7세기 아시아의 통치자 - 아케메네스
아케메네스는 아케메네스 왕조의 시조로 여겨지지만 역사적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다리우스 1세는 그를 선조로 내세워 왕위의 정당성을 주장했으나, 키루스 2세의 기록 부재 등으로 인해 실존 인물이 아닐 가능성도 제기된다. - 기원전 7세기 아시아의 통치자 - 아르디스 2세
아르디스 2세는 기원전 7세기에 리디아를 통치한 메르무나데스 왕조의 왕으로, 킴메르족과의 전투에서 사망한 아버지 기게스의 뒤를 이어 신아시리아 제국과의 외교를 재개하고 이오니아 도시를 공격했으나 킴메르족과 트레레스 부족의 공격으로 사망하거나 폐위되었다. - 고대 페르시아 - 테이스페스
테이스페스는 아케메네스 왕조의 초기 인물로 다리우스 1세와 키루스 2세가 선조로 칭했으며, 그의 생애와 관련하여 영토 분배설과 헤로도토스의 기록이 존재하고 이름의 어원에 대한 다양한 가설이 존재하지만 진위 여부는 논쟁 중이다. - 고대 페르시아 - 캄비세스 1세
캄비세스 1세는 아케메네스 왕조의 일원이며 키루스 2세의 아버지로, 메디아의 지배를 받으며 안샨을 통치했고 아스티아게스의 딸 만다네와 결혼했으며, 기원전 600년경 아버지 키루스 1세 사후 안샨의 왕이 되었다.
| 프라오르테스 | |
|---|---|
| 개요 | |
| 칭호 | 메디아의 왕 |
| 재위 기간 | 기원전 678년 – 기원전 625년 |
| 이전 | 데йо케스 |
| 계승 | 키악사레스 |
| 왕조 | 메디아 왕조 |
| 종교 | 고대 이란 종교 |
| 개인 정보 | |
| 아버지 | 데йо케스 |
| 이름 정보 | |
| 페르시아 고어 | 𐎳𐎼𐎺𐎼𐎫𐎡𐏁 (Fravartiš) |
| 그리스어 | Φραόρτης (Phraórtēs) |
| 영어 | Phraortes (프라오르테스) |
2. 생애
프라오르테스는 데이오케스의 아들이었으며, 헤로도토스의 기록에 따르면 모든 메디아 부족을 단일 국가로 통합했다.[8] 그는 페르시아인과 파르티아인을 비롯한 고대 이란의 다른 민족들을 정복했으며, 22년(기원전 675년경 – 기원전 653년경) 동안 통치했다. 일부 학자들은 그가 53년(기원전 678년경 – 기원전 625년경) 동안 통치했다고 추정하기도 한다. 프라오르테스는 메디아의 족장 카슈타리티와 동일 인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동일시에 의문을 제기한다. 프라오르테스는 아들 키악사레스에게 왕위를 계승했다.[8]
2. 1. 메디아 통일과 팽창
프라오르테스는 아버지 데이오케스가 사망하자 메디아의 왕위를 계승하였다.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프라오르테스는 메디아의 여러 부족들을 통합하여 단일 국가를 형성하였다.[8] 그는 페르시아인과 파르티아인을 비롯한 고대 이란의 여러 민족들을 정복하였다.[8] 페르시아인은 메디아 왕국 내에서 특권을 부여받았다.[8]헤로도토스에 따르면 "메디아와 페르시아라는 두 강대한 부족을 거느리고 프라오르테스는 전 아시아를 지배했다"고 한다.[8] 프라오르테스는 아시리아를 공격하다가 전사하였다.[8]
2. 2. 아시리아와의 전쟁과 죽음
프라오르테스는 아버지 데이오케스가 사망하자 그 뒤를 이어 메디아의 왕위에 올랐다. 왕위에 오른 프라오르테스는 페르시아인을 공격해 복속시키는 등 메디아 왕국을 확장시키던 중 신아시리아 제국과 충돌하게 되었다.헤로도토스에 따르면 프라오르테스는 에크바타나에서 즉위한 후 곧바로 페르시아인을 상대로 원정을 벌여 그들을 복속시켰으며, 페르시아인은 메디아 왕국 내에서 특권을 부여받았다고 한다. 또한 "메디아와 페르시아라는 두 강대한 부족을 거느리고 프라오르테스는 전 아시아를 지배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프라오르테스는 재위 22년에 아시리아와의 전쟁 도중 전사하였고, 왕위는 아들 키악사레스가 이어받았다.[8] 그 후 메디아는 28년 동안 스키타이인의 지배를 받았다. 헤로도토스는 프라오르테스가 22년간 재위했다고 기록했지만, 당시의 설형 문자 사료에서는 이를 뒷받침하는 내용이 없다.
한편, 헤로도토스(1.73)는 프라오르테스의 뒤를 그의 아들 키악사레스 2세가 이었다고 기록하고 있지만, 이는 이름이 비슷한 왕위 요구자와의 오인으로 여겨진다. 역사적으로 알려진 키아크사레스는 프라오르테스보다 1세기 전에만 존재한다.
3. 역사적 기록과 해석
프라오르테스에 대한 정보는 주로 헤로도토스의 기록에 의존하고 있다. 헤로도토스는 프라오르테스가 데이오케스의 아들이며 메디아 부족을 통합하고 페르시아인과 파르티아인을 정복했다고 기록했다. 프라오르테스는 기원전 675년경부터 기원전 653년경까지 22년간 통치했다고 하나,[8] 당시 설형 문자 사료에서는 이를 뒷받침하는 내용이 명확하지 않다.
프라오르테스는 신아시리아 제국과의 전쟁 도중 전사했으며, 그의 아들 키악사레스가 왕위를 계승했다.[8]
3. 1. 카슈타리타와의 동일시 문제
아시리아어의 '카슈타리타'는 고대 페르시아어의 '후샤타리타'를 음역한 것으로, '지배자' 또는 '총독'을 의미하는 일반 명사일 수 있다.[7] '프라오르테스'라는 그리스어 이름은 '플라와르티슈'라는 인명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칼 키슈라는 도시의 총독이었던 카슈타리타와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제기된다.[7] 아시리아 왕 에사르하돈의 기원전 674년 악마 퇴치 의식 문서에는 또 다른 카슈타리타가 등장하는데, 이 인물을 프라오르테스와 동일시하는 견해도 있다.참조
[1]
서적
Pronouncing dictionary of proper names: pronunciations for more than 28,000 proper names, selected for currency, frequency, or difficulty of pronunciation
Omnigraphics
1998
[2]
서적
The Behistun Inscriptions (Old Persian Texts)
Khaneye-Farhikhtagan-e Honarhaye Sonati
[3]
서적
Old Persian: Grammar, Text, Glossary
Pizhūhishkadah-i Zabān va Gūyish bā hamkārī-i Idārah-i Kull-i Umūr-i Farhangī
[4]
백과사전
PHRAORTES
http://www.iranicaon[...]
2004-07-20
[5]
서적
The Behistun Inscriptions (Old Persian Texts)
Khaneye-Farhikhtagan-e Honarhaye Sonati
[6]
서적
Old Persian: Grammar, Text, Glossary
[7]
문서
Rollinger (2005), p. 18 - 20
[8]
서적
역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