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드 던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레드 던랩은 1880년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활약한 2루수로, 19세기 최고의 2루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1859년 펜실베이니아 필라델피아에서 태어난 던랩은 1874년 세미 프로 야구를 시작하여 1880년 클리블랜드 블루스에서 메이저 리그에 데뷔했다. 클리블랜드, 세인트루이스 마룬스, 디트로이트 울버린스, 피츠버그 앨러게니, 뉴욕 자이언츠, 워싱턴 스테이츠맨 등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1884년에는 유니온 어소시에이션에서 타율 .412를 기록하며 리그를 지배했다. 뛰어난 수비 능력과 정확한 송구로 "슈어 샷"이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1902년 가난하게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디트로이트 울버린스 선수 - 조지 브래들리
조지 브래들리는 1875년부터 1888년까지 메이저 리그에서 투수와 3루수로 활약했으며, 1876년 메이저 리그 최초의 노히트 노런을 기록하고 16번의 완봉승을 달성한 야구 선수이다. - 디트로이트 울버린스 선수 - 네드 핸런
네드 핸런은 19세기 후반~20세기 초 미국의 프로 야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 뛰어난 외야수였으며, 감독으로서는 혁신적인 전략을 통해 여러 팀을 리그 정상으로 이끌었고, 수많은 명감독을 배출하여 야구계에 큰 영향을 미쳐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19세기 야구 선수 - 조 켈리 (1871년)
조 켈리 (1871년)는 1891년 메이저리그에 데뷔하여 통산 타율 0.317을 기록하고 1896년 도루왕을 차지했으며, 신시내티 레즈 감독을 역임하고 1971년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야구 선수이다. - 19세기 야구 선수 - 호너스 와그너
호너스 와그너는 독일 이민자 출신으로 21시즌 동안 내셔널 리그에서 활약하며 여러 차례 타격왕, 타점왕, 도루왕을 차지했고, 피츠버그 파이리츠를 월드 시리즈 우승으로 이끌었으며,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미국의 야구 선수이다. - 1902년 사망 - 새뮤얼 버틀러 (소설가)
새뮤얼 버틀러는 유토피아 소설 『이어원』으로 유명하고 진화론 비판 및 독특한 신학 사상을 제시한 빅토리아 시대 영국의 소설가이자 작가, 철학자, 음악가이다. - 1902년 사망 - 에밀 졸라
에밀 졸라는 19세기 프랑스 자연주의 문학의 대표 작가이자 비평가, 사회 운동가로, 《루공마카르 총서》를 통해 제2제정 시대 프랑스 사회를 묘사했으며 드레퓌스 사건 당시 《나는 고발한다!》를 발표하여 사회적 반향을 일으켰다.
프레드 던랩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프레더릭 C. "슈어 샷" 던랩 |
원어 이름 | Frederick C. "Sure Shot" Dunlap |
출생일 | 1859년 5월 21일 |
출생지 |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
사망일 | 1902년 12월 1일 |
사망지 |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
포지션 | 2루수 |
타격 | 우 |
투구 | 우 |
선수 경력 | |
데뷔 리그 | MLB |
데뷔일 | 1880년 5월 1일 |
데뷔 팀 | 클리블랜드 블루스 |
최종 리그 | MLB |
최종일 | 1891년 4월 20일 |
최종 팀 | 워싱턴 스테이츠먼 |
선수 활동 | 클리블랜드 블루스 (1880–1883) 세인트루이스 마룬스 (1884–1886) 디트로이트 울버린스 (1886–1887) 피츠버그 알레게니스 (1888–1890) 뉴욕 자이언츠 (1890) 워싱턴 스테이츠먼 (1891) |
통계 (MLB) | |
타율 | .292 |
홈런 | 41 |
타점 | 366 |
수상 | |
주요 수상 | 유니언 어소시에이션 타격왕 (1884) 유니언 어소시에이션 홈런왕 (1884) |
기타 수상 | 유니언 어소시에이션 득점 1위 (1884), 유니언 어소시에이션 안타 1위 (1884), 내셔널 리그 2루타 1위 (1880) |
감독 경력 | |
감독 팀 | 클리블랜드 블루스 (1882) 세인트루이스 마룬스 (1884–1885) 피츠버그 알레게니스 (1889) |
2. 초기 생애
던랩은 1859년 펜실베이니아 필라델피아에서 태어났다. 그는 10세 때 부모님을 모두 여의었다. 부모님이 돌아가신 후 학교에 다니지 않았고, 대신 야구를 하며 청소년기를 보냈다.[34] 정규 교육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던랩은 평생 글을 읽고 쓰지 못하는 문맹으로 지냈다.[6]
던랩은 1880년 5월 클리블랜드 블루스에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경력을 시작하여 12년간 선수로 활동했다. 데뷔 직후부터 리그 정상급 선수로 인정받았으며,[11][4] 클리블랜드, 세인트루이스 마룬스, 디트로이트 울버린스, 피츠버그 앨러게니 등 여러 팀을 거치며 활약했다. 특히 1884년에는 마룬스 소속으로 신생 리그였던 유니온 어소시에이션에서 타율 .412를 기록했는데, 이는 당시 메이저 리그 최고 타율이었다.[12] 그는 1884년부터 1889년까지 매년 리그 최고 연봉을 받는 선수이기도 했다.[10]
그는 1874년, 15세의 나이로 뉴저지 글로스터 시티의 글로스터 클럽에서 세미 프로 야구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1875년에는 뉴저지 캠든의 그레이허스에서 시즌을 시작했다가 필라델피아의 클레인즈 클럽으로 옮겼다. 1876년 시즌 초에는 체스터에서 뛰었으며, 이후 델라웨어 윌밍턴의 퀵스텝스에 투수로 합류했다.[1] 1877년에는 뉴욕 오번의 오번스에서 2루수로 뛰며 프로 야구 경력을 시작했다. 1878년에는 호넬스빌과 뉴욕 올버니의 팀에서 활동했으며, 1879년에도 올버니에서 계속 뛰었다.[2][3]
3.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경력
선수 시절 "슈어 샷"(Sure Shoteng)과 "2루수의 제왕"이라는 별명으로 유명했다.[6][28][7] "슈어 샷"이라는 별명은 그의 강력하고 정확한 1루 송구 능력 때문에 붙여졌다는 설이 유력하다.[37] 킹 켈리가 그의 송구를 보고 이 별명을 지어주었다고도 전해진다.[34] 그의 송구는 "풀밭에서 불과 15cm 정도 위로 날아가는 그의 휘파람 소리가 나는 송구는 1cm~2cm 이상 벗어나는 일이 거의 없었다"고 묘사될 정도였다.[6] 알프레드 헨리 스핀크는 던랩의 외야 송구가 "너무 빠르고 정확해서 공이 날아갈 때 노래하는 것 같았다"고 기록했다.[34] 다른 설명으로는 1880년 7월 10일, 시카고 화이트 스타킹스의 21연승을 저지하는 끝내기 2점 홈런을 친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8]
던랩은 넓은 수비 범위와 다이빙 캐치 후에도 정확하고 강하게 송구하는 능력으로 명성이 높았다.[6] 또한 양손잡이여서 양손 모두 능숙하게 공을 다루었으며, 선수 생활 내내 수비용 글러브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34]
선수 생활 말년에는 피츠버그 앨러게니, 뉴욕 자이언츠(PL), 워싱턴 스테이츠맨 등에서 뛰었으나 점차 기량이 하락했다. 1891년 4월, 워싱턴 스테이츠맨 소속으로 경기 중 베이스로 슬라이딩하다가 다리가 부러지는 심각한 부상을 입었고,[11][28] 이후 구단과의 급여 지급 문제 등으로 갈등을 겪다가 결국 프로 선수로 복귀하지 못하고 은퇴했다.[29]
3. 1. 클리블랜드 블루스 (1880-1883)
1880년 5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클리블랜드 블루스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데뷔 시즌인 1880년에 그는 즉시 리그 최고의 선수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다. 이 해 내셔널 리그(NL)에서 2루타(27개) 1위를 기록했고, 추가 베이스 히트(40개)와 출루(132)에서는 2위를 기록하며 팀의 리드오프 타자 역할을 수행했다.[11][4] 수비에서도 뛰어난 모습을 보여 2루수 어시스트(290개) 부문에서 내셔널 리그 1위를 차지했다.[11] 당시 21세의 나이로 85경기에 모두 출전했다.
던랩은 블루스에서 4시즌 동안 활약하며 내셔널 리그 최고의 타자이자 수비형 2루수 중 한 명으로 꾸준히 인정받았다. 1881년에는 총 156개의 루타를 기록하여 NL 2위에 올랐고, 타율 0.325와 장타율 0.444는 각각 리그 5위에 해당했다. 1882년에는 선수 겸 감독을 맡아 전력이 부족했던 팀을 5위로 이끌었으며, 스스로도 .325의 타율을 기록하며 팀의 중심 역할을 했다. 수비에서는 NL 2루수 중 어시스트(297개)와 수비율(0.925)에서 1위를 기록했다.[11] 클리블랜드 시절에는 타격보다 수비에서의 활약이 더 두드러진다는 평가도 있었다.
클리블랜드에서의 마지막 해인 1883년에는 타율 0.326, 출루율 0.361, 장타율 0.452를 기록하며 각 부문에서 리그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수비에서는 리그 2루수 중 풋아웃(304개) 1위, 어시스트(290개) 3위, 수비율(0.911) 3위를 기록했다.[11] 던랩은 1880년대 초 클리블랜드 팀의 스타 선수였으며, 그의 중요성에 대해 한 기자는 "던랩 없는 마룬스는 햄릿의 멜랑콜리한 덴마크인 없는 연극과 같다"고 평가하기도 했다.[5]
3. 2. 세인트루이스 마룬스 (1884-1886)
1883년 11월, 던랩은 신생 리그인 유니온 어소시에이션 소속의 세인트루이스 마룬스와 계약을 맺었다. 그는 이 새로운 리그로 이적한 선수 중 가장 유명한 스타였다. 계약 조건으로 던랩은 연봉 3400USD(선수금 1000USD 포함)를 받았는데,[9] 이는 당시 모든 야구 선수 중 최고 금액이었다.[2] 그는 1884년부터 1889년까지 매년 최고 연봉을 받는 야구 선수로 기록되었다.[10]
던랩은 1884년부터 1886년까지 세인트루이스 마룬스에서 2루수로 활약했으며, 1884년 시즌 중 일부 기간 동안에는 팀의 감독직을 겸임하기도 했다. 1884년 시즌 동안 마룬스와 던랩은 유니온 어소시에이션을 압도했다. 팀은 94승 19패라는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고, 던랩 개인은 타격과 수비 대부분의 주요 부문에서 리그 1위를 차지했다.
부문 | 기록 | 리그 순위 |
---|---|---|
타율 | .412 | 1위 |
출루율 | .448 | 1위 |
장타율 | .621 | 1위 |
득점 | 160 | 1위 |
안타 | 185 | 1위 |
총 루타 | 279 | 1위 |
홈런 | 13 | 1위 |
장타 | 60 | 1위 |
2루수 보살 | 300 | 1위 |
2루수 척살 | 341 | 1위 |
2루수 수비율 | .926 | 1위 |
2루수 수비 범위 | 6.41 | 1위 |
던랩의 1884년 타율 .412는 당시 유니온 어소시에이션, 내셔널 리그, 아메리칸 어소시에이션을 통틀어 가장 높은 기록이었으며,[12] 메이저 리그 역사상 최고 타율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또한 그의 160득점은 메이저 리그 역사상 단일 시즌 최다 득점 기록 중 하나로 남아 있다.[2] 다만 일부 야구 역사가들은 유니온 어소시에이션의 선수층이 얇았다는 점을 들어 던랩의 1884년 기록을 다소 평가절하하기도 한다.[13]
유니온 어소시에이션은 창설 1년 만인 1885년에 해체되었고, 세인트루이스 마룬스는 내셔널 리그에 합류했다. 던랩의 타율은 1885년에 .270으로 크게 하락했지만(142포인트 하락), 그는 여전히 리그 최고의 수비형 2루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다. 그는 1885년 내셔널 리그 2루수 부문에서 수비율 .934로 1위를 차지했으며, 보살(374), 척살(314), 수비 범위(6.49)에서는 2위를 기록했다.[11]
던랩은 1886년에도 마룬스 소속으로 뛰었으며, 5월 24일에는 사이클링 히트를 달성하는 기록을 세웠다. 그러나 이 시기 마룬스는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팀이 해체될 수도 있다는 소문이 돌았다.[18]
3. 3. 디트로이트 울버린스 (1886-1887)

1886년 8월 초, 던랩은 당시 최고가인 4700USD에 디트로이트 울버린스로 이적했다.[18][14][15] 디트로이트 구단은 세인트루이스 마룬스에 이적료를 지불하는 것 외에도, 던랩에게 두 시즌 동안 연봉 4500USD를 지급하는 계약을 체결했으며, 1886년과 1887년 11월 1일에 각각 1500USD를 선불로 지급하기로 했다.[18] 시즌 중반의 이적은 마룬스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 한 매체는 "던랩의 디트로이트 이적은 그 자체로는 작은 일이지만, 야구계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커서 현재의 상황을 거의 뒤집어 놓을 정도입니다. 그는 세인트루이스 클럽의 핵심 선수였고, 그의 판매는 마룬스의 해산을 확실하게 만들었습니다."라고 평가했다.[17] 디트로이트 구단은 과감한 "사업적 행보"와 "배짱과 기업가 정신"에 대해 칭찬을 받았다.[17] ''The Sporting News''는 당시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던랩이 디트로이트에 합류했고 이제 그 팀은 시간과 세상이 변하듯이 리그 우승기를 휘날릴 것입니다. 세인트루이스 유니온 팀이 사라진 날부터 던랩은 세인트루이스에서 호감을 얻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아메리카가 지금까지 알고 있는 최고의 2루수라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사람은 아무도 없었습니다."[16]
던랩 역시 "마룬스를 떠나기 위해 두 시즌 동안 노력했다"며 이적에 만족감을 나타냈다.[17] 디트로이트에서 이적에 대한 반응이 대체로 긍정적이었지만, ''Detroit Free Press''는 던랩이 "분열자"이자 "사고뭉치"라는 평판이 있다는 점에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18] 1886 시즌 던랩은 통산 최고 기록인 393개의 어시스트로 내셔널 리그를 이끌었는데, 이는 리그 내 어떤 포지션의 선수보다 많은 수치였다.
1887년 던랩은 뛰어난 2루 수비로 디트로이트 울버린스가 79승 45패의 기록으로 내셔널 리그 우승을 차지하는 데 기여했다. 그는 수비율(.948)에서 NL 2루수 중 1위를 기록했고, 수비 범위 지수(6.72)에서도 2위를 기록했다.[11] 또한 1887년 월드 시리즈에서 아메리칸 어소시에이션 챔피언인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를 상대로 11경기에 출전했다. 디트로이트는 이 시리즈에서 10승 5패로 승리했다. 1887 시즌이 끝날 무렵, ''Sporting Life''는 디트로이트의 우승에 대한 던랩의 기여를 높이 평가했다. "던랩은 2루수의 왕이며, 일류 올라운드 선수입니다. 그의 1886년 수비율은 .931로 3위를 기록했습니다. 이번 시즌 그는 .949로 1위를 기록했습니다. ... 던랩은 경기장에서 가장 활동적인 선수 중 한 명이며, 킥커와 코치로서의 능력 때문에 팀에 큰 가치를 제공합니다."[1]
월드 시리즈 마지막 경기가 열리기 전, 높은 연봉의 선수단을 구성했던 디트로이트가 던랩의 연봉 부담을 덜기 위해 그를 피츠버그로 이적시키기 위한 협상을 벌이고 있다는 소문이 돌았다.[19] 던랩은 1887년 11월, 디트로이트 구단이 피츠버그로부터 받을 이적료의 절반을 자신에게 지불하지 않으면 이적에 동의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그는 "나는 아무것도 얻지 못하고 팔리는 것에 질렸고, 내 은행 계좌가 이러한 이적을 통해 혜택을 받을 때가 되었습니다."라고 말했다.[20] 그는 ''뉴욕 타임스'' 기자에게 자신이 재정적으로 어렵지 않으며,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경기를 거부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디트로이트 구단에게 "내 이적을 위해 확보된 돈의 절반을 주거나, 내가 원하는 곳으로 가게 해주거나, 아니면 작년에 나와 맺은 계약을 이행하라"는 세 가지 선택지를 제시했다.[20]
1888년 1월, 던랩은 결국 이적에 동의했고, 디트로이트가 피츠버그로부터 받은 이적료 5000USD 중 2000USD를 받았다.[21]
3. 4. 피츠버그 앨러게니스 (1888-1890)
던랩은 1888년부터 1890년까지 피츠버그 앨러게니에서 선수로 뛰었으며, 1889년 시즌의 일부 기간 동안에는 앨러게니의 선수 겸 감독을 맡았다. 피츠버그에서 보낸 3년 동안 던랩의 공격력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앨러게니에서의 타율은 1888년 0.262에서 1889년 0.235로 떨어졌다. 하지만 이러한 타격 부진에도 불구하고, 그는 여전히 리그 최고의 수비 능력을 갖춘 2루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다. 1888년 던랩은 수비율(.940)과 수비 범위(6.33)에서 리그 2루수 중 2위를 기록했고, 그의 메이저 리그 마지막 풀 시즌이었던 1889년에는 .950의 수비율로 내셔널 리그 전체 1위를 차지했으며, 이는 던랩 개인 경력 최고의 기록이기도 했다.[11]1890년 시즌 시작 전, 던랩은 앨러게니의 님믹 사장과 연봉 문제로 장기간 협상을 벌였다. 1890년 3월 말, ''피츠버그 디스패치''는 양측이 합의에 도달했으며 "던랩이 피츠버그 리그 클럽에서 예전 포지션을 맡을 것이 확실해 보인다"고 보도했다.[24] 당시 님믹 사장은 "나는 던랩 씨와 오랫동안 이야기를 나눴고, 이번 시즌에 우리와 함께 뛰기로 합의했습니다. 물론 조건은 작년보다 낮았습니다. 즉, 그는 5000USD보다 훨씬 적은 돈을 받고 뛸 것입니다. 그는 나에게 매우 만족스러운 이유로 계약서에 서명하지 않았습니다 ... 우리는 그가 훌륭한 선수라는 것을 알고 있으며 우리와 함께 기꺼이 남으려고 합니다."라고 언급했다.[24]
그러나 1890년 시즌이 시작된 후 첫 17경기에서 던랩의 타율은 .172까지 떨어졌고, 결국 5월 15일 앨러게니에서 방출되었다. 이러한 결정에는 단순히 타율 부진뿐만 아니라, 당시 피츠버그의 감독이었던 가이 헤커와의 불화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피츠버그 디스패치''는 헤커 감독이 "던랩은 내가 만난 사람 중 가장 함께하기 어려운 사람입니다. 그는 우리의 서부 원정 전체 기간 동안 모든 사람을 곤경에 빠뜨렸습니다."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25] 한편, 일각에서는 던랩의 방출이 그의 3500USD에 달하는 연봉과, 백업 2루수였던 헨리 영먼이 단 1050USD의 연봉으로 계약했다는 경제적인 이유 때문이라고 추측하기도 했다.[25]
3. 5. 뉴욕 자이언츠와 워싱턴 스테이츠맨 (1890-1891)
던랩은 1890년 5월 말에 선수 연맹의 뉴욕 자이언츠로 이적했다.[11] 당시, ''스포팅 라이프''의 워싱턴 특파원은 던랩이 그의 새로운 팀에 불운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예측하며 다음과 같이 썼다. "프레드는 훌륭한 선수이지만, 그를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는 불운은 그가 어디를 가든 느껴질 것이다. 이 근처에는 그의 행보를 남다른 관심으로 지켜본 많은 사람들이 있으며, 그들은 그를 불운아라고 단정하는 것을 주저하지 않는다."[26] 던랩은 자이언츠에서 단 한 경기에 출전했으며, 7월에는 더 이상 경기에 나서지 않고 남은 여름을 애틀랜틱 시티, 뉴저지에서 보낼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는 1891년에 "인생 최고의 경기를 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고 전해진다.[27]던랩은 1891년 아메리칸 협회의 워싱턴 스테이츠맨에서 선수 경력을 마감했다. 그는 1891년 4월 20일, 베이스로 슬라이딩하던 중 다리가 부러지는 부상을 당하기 전까지 스테이츠맨 소속으로 단 8경기에 출전했다.[11][28] 1891년 6월 초, 워싱턴 구단은 그에게 급여 지급을 중단하겠다고 통보했다. 던랩은 이에 반발하여 고충 처리를 제기하며, 경기 중 부상을 당했으므로 최소한 절반의 급여는 계속 지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워싱턴 구단은 이를 거부했고, 던랩은 이후 다시는 프로 야구 선수로 뛰지 못했다.[29]
4. 선수 경력 이후
야구계에서 은퇴할 당시 던랩은 10만달러의 재산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1890년대에 필라델피아에서 건축 사업을 시작하여 여러 부동산을 소유하기도 했다.[6][7] 그러나 미국의 스포츠 주간지 ''Sporting Lifeeng''는 던랩이 "1892년 레이싱 게임에 빠져 야구계를 떠났고, 야구로 모은 상당한 재산을 잃었다"고 보도했다.[31] 다른 기록에 따르면 주식 시장 투자 실패로 전 재산을 잃었다고도 한다.[22] 결국 1902년 7월, ''Philadelphia Timeseng''는 던랩이 "빈털터리가 되었다"고 보도했다.[30]
1902년 12월, 던랩은 43세의 나이로 가난 속에서 외롭게 세상을 떠났다. ''Sporting Lifeeng''는 "그의 인생 마지막 2년은 필라델피아의 한 하숙집에서 비참한 가난과 정신적 암울함 속에서 보냈다"고 전했다.[31] 그의 시신은 영안실의 한 경찰관이 알아보고 던랩일 것이라고 추측했으며, 이후 동료 선수였던 레이브 크로스가 영안실로 와서 시신이 던랩임을 최종 확인했다.[6][32] 그의 장례식에는 과거 야구 동료들이 거의 참석하지 않았으며, 참석했던 한 전직 선수는 "던랩의 장례식에는 관을 운구할 친구조차 부족해서 마부들에게 부탁해야 할 정도였다"고 회상했다.[34]
던랩의 사망 후, ''Sporting Lifeeng''의 편집장 윌리엄 A. 펠론 주니어(William A. Phelon, Jr.eng)는 다음과 같은 추도사를 남겼다:
프레드 던랩이 저 세상으로 갔다. 한때 최고 수준의 연봉을 받았던 그가 이렇게 떠나다니! ... 던랩은 정말 훌륭한 야구 선수였고, 엄청난 연봉을 받는 스타였다! ... 던랩은 10년 전 유행했던 진정한 스타일의 내야수였다. 어떤 땅볼도 놓치지 않을 것 같은 단단하고 다부진 체격이었고, 필요할 때는 날카로운 타구를 우아하게 처리할 줄 알았다. 지금처럼 글러브가 있었다면, 던니(던랩의 애칭)는 그때보다 훨씬 더 놀라운 선수였을 것이다.[33]
5. 유산 및 평가
프레드 던랩은 선수 시절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야구 역사상 뛰어난 2루수 중 한 명으로 꾸준히 언급된다. 당대 인물들은 그를 최고의 2루수로 칭송했으며, 현대의 세이버매트릭스 분석가들 사이에서도 그의 기량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그의 기록과 위상에 대해서는 시대적 배경과 분석 방법에 따라 다소 상이한 견해가 존재한다.
5. 1. 당대 최고의 2루수
던랩은 선수 시절 "슈어 샷"(Sure Shot)과 "2루수의 제왕"이라는 별명으로 널리 알려졌다.[6][28][7] "슈어 샷"이라는 별명은 대부분 그의 강력하고 정확한 1루 송구 능력 때문에 붙여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37] 킹 켈리는 던랩의 송구를 보고 이 별명을 지어주었다고 전해진다.[34] 한 기록에 따르면, 던랩은 끊임없는 연습을 통해 양손 중 어느 손으로든 뜨거운 땅볼을 잡아낸 뒤, 그 자리에서 바로 던지는 능력이 뛰어났다고 한다. 잔디 위를 스치듯 낮게 날아가는 그의 송구는 목표 지점에서 1~2cm 이상 벗어나는 법이 거의 없었다고 묘사된다.[6]던랩의 경기를 직접 본 알프레드 헨리 스핀크는 던랩이 외야에서 공을 잡아 홈 플레이트로 던지는 송구가 "너무 빠르고 정확해서 공이 날아갈 때 노래하는 것 같았다"고 기록했다.[34] 그는 당시 다른 선수들이 잡기 어려운 공까지 처리할 수 있는 넓은 수비 범위를 자랑했으며, 다이빙 캐치 후 땅에 엎드린 상태에서도 1루수의 손이 얼얼할 정도로 강하게 공을 던질 수 있었다고 한다.[6] 던랩은 양손잡이였으며, 양손 모두 동일한 기술과 정확성으로 공을 잡고 던질 수 있었다. 또한 선수 시절 동안 장갑을 전혀 착용하지 않았다는 점도 특징이다.[34]
"슈어 샷" 별명의 유래에 대해서는 다른 설명도 존재한다. 홈런의 역사를 다룬 책에서 마크 리보스키는 이 별명이 1880년 7월 10일 시카고 화이트 스타킹스와의 경기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했다. 당시 화이트 스타킹스는 21연승을 달리고 있었으나, 던랩이 9회 말에 끝내기 2점 홈런을 치면서 연승이 중단되었다. 리보스키는 "클리블랜드에서 들린 이 샷 때문에 던랩은 '슈어 샷'이라는 별명을 얻었다"고 썼다.[8]
던랩은 여러 현대 및 근대 자료에서 19세기 최고의 2루수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1910년 야구 역사 관련 저서에서 ''더 스포팅 뉴스''의 창립자인 알프레드 헨리 스핀크는 "나는 모든 위대한 2루수들을 보아왔다... 나는 던랩이 역사상 가장 위대한 2루수였다고 자유롭게 말할 수 있다"고 단언했다.[34] 세인트루이스와 클리블랜드에서 메이저 리그 팀을 소유하고 관리했던 스탠리 로빈슨은 더 나아가 "그는 가장 위대한 2루수일 뿐만 아니라, 게임의 모든 면을 고려할 때 아마도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선수였을 것"이라고 평가했다.[34] 던랩과 동시대에 활동했던 샘 크레인 역시 1912년 신문 칼럼에서 던랩을 최고의 2루수로 꼽으며 "프레드 던랩은 당대 최고의 2루수로 인정받았으며, 모든 면에서 훌륭했다. 나는 그가 프레드 페퍼보다 뛰어났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35] 1878년부터 1894년까지 선수로 활약한 명예의 전당 헌액자 존 몽고메리 워드는 1910년 야구 역사상 가장 위대한 내야수에 대한 글에서 프레드 페퍼를 던랩보다 약간 더 높게 평가하면서도, "프레드 던랩은 왕이었다. 던랩은 1887년 디트로이트 클럽에서 64경기 동안 .953이라는 기록적인 수비율을 기록했으며, 쉽고 우아함의 화신이었다. 그는 한 손으로 공을 잡는 경향이 있어 관중을 의식하는 선수처럼 보였지만, 어쨌든 성공했고 어디를 가든 큰 인기를 끌었다"고 언급했다.[36]
2008년 현대적인 세이버매트릭스 방식을 사용한 책에서 저자 윌리엄 F. 맥닐은 던랩을 19세기 최고의 공격형 2루수, 두 번째로 뛰어난 수비형 2루수, 그리고 종합적으로 가장 뛰어난 2루수로 결론지었다.[37] 던랩의 2루수로서 통산 레인지 팩터 6.31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역사상 다섯 번째로 높은 기록이다.[38] 그러나 야구 통계 분석가 빌 제임스는 2001년 저서 ''새로운 빌 제임스 역사 야구 개요''에서 던랩을 역대 89번째 2루수(19세기에 주로 활동한 선수 중 8위)로 평가하며, "진정한 메이저 리그에서 정통적인 스타는 아니었지만, 좋은 2루수였고 .275 타자였다"고 기술했다.[39]
5. 2. 논란과 재평가
1884년 유니온 협회의 세인트루이스 마룬스에서 던랩은 타율 .412를 기록하는 등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었다.[11] 이는 당시 메이저 리그 최고 기록이었고,[12] 160득점은 메이저 리그 역사상 가장 높은 단일 시즌 기록 중 하나로 남아 있다.[2] 그러나 일부 야구 역사가들은 유니온 협회의 선수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았다는 점을 들어 이 기록의 가치를 평가절하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13] 실제로 유니온 협회가 1년 만에 해체되고 팀이 내셔널 리그에 합류한 1885년, 던랩의 타율은 .270으로 크게 하락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리그 최고의 수비형 2루수 중 한 명으로 꾸준히 인정받았다. 1885년 내셔널 리그 2루수 부문에서 수비율 1위(.934)를 차지했으며, 보살(374)과 아웃(314)에서는 2위를 기록했다.[11]던랩은 동시대 인물들로부터 매우 높은 평가를 받았다. ''더 스포팅 뉴스''의 창립자 알프레드 헨리 스핑크는 1910년 자신의 저서에서 "나는 모든 위대한 2루수들을 보아왔다... 나는 던랩이 역사상 가장 위대한 2루수였다고 자유롭게 말할 수 있다"고 단언했다.[34] 스탠리 로빈슨은 한 걸음 더 나아가 "그는 가장 위대한 2루수일 뿐만 아니라, 게임의 모든 면에서 볼 때, 아마도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선수였을 것이다"라고 극찬했다.[34] 동료 선수였던 샘 크레인 역시 1912년 신문 칼럼에서 던랩을 최고의 2루수로 꼽았다.[35] 명예의 전당 헌액자인 존 몽고메리 워드는 프레드 페퍼를 던랩보다 약간 더 높게 평가하면서도, 던랩을 "왕"이라 칭하며 그의 수비 능력과 인기를 높이 샀다.[36]
현대의 세이버메트릭스 분석에서도 던랩은 긍정적인 재평가를 받고 있다. 2008년 윌리엄 F. 맥닐은 던랩이 19세기 최고의 공격형 2루수, 두 번째로 뛰어난 수비형 2루수이며, 종합적으로 가장 뛰어난 2루수라고 결론 내렸다.[37] 그의 통산 2루수 레인지 팩터(6.31)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역사상 다섯 번째로 높은 기록으로, 뛰어난 수비 범위를 증명한다.[38] 반면, 저명한 야구 통계학자 빌 제임스는 2001년 저서 ''새로운 빌 제임스 역사 야구 개요''에서 던랩을 역대 89위의 2루수로 평가하며, "진정한 메이저 리그에서 정통적인 스타는 아니었지만, 좋은 2루수였고 .275 타자였다"고 다소 유보적인 시각을 보이기도 했다.[39]
6. 주요 기록
12시즌 동안 945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92 (3974타수 1159안타), 759득점, 2242루타, 533루타, 41홈런, 366타점, 85도루, 283볼넷, 출루율 .340, 장타율 .406을 기록했다. 통산 수비율은 .924이다.[11]
※ 숫자 뒤의 "*"는 기록 불명확한 부분이 있음을 나타낸다.
- 수위 타자: 1884년
- 최다 안타: 1884년
- 최다 홈런: 1884년
- 최다 득점: 1884년
- 자살 (2루수) 리그 최다: 1883년, 1884년
- 보살 (2루수) 리그 최다: 1880년, 1882년, 1884, 1886년
- 최고 수비율 (2루수): 1884, 1885년, 1889년
- 사이클링 히트: 1886년 5월 24일
※1884년 기록은 모두 유니온 어소시에이션에서의 기록이다.
참조
[1]
뉴스
The Victors: Sketch of the Men Who Now Wear the Dauvray Medals
http://www.la84found[...]
1877-11-01
[2]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American Sports: A-F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3]
웹사이트
Fred Dunlap Minor League Statistics
https://www.baseball[...]
2014-03-09
[4]
뉴스
In And Out-Door Sports. Turf, Field, Stream and Table
1880-06-28
[5]
서적
The Beer and Whisky League
Globe Pequot
[6]
서적
The Complete Armchair book of Baseball
https://archive.org/[...]
Sterling Publishing Company, Inc.
[7]
뉴스
Fred Dunlap Buried: The Former "King of Second Basemen" Laid To Rest
1902-12-05
[8]
서적
The Complete History of the Home Run
Citadel Press
[9]
뉴스
Sporting Matters: Fred Dunlap Leaves the Cleveland Base Ball Club To Weep and To Mourn
https://secure.pqarc[...]
2011-08-26
[10]
뉴스
July 1918
http://www.la84found[...]
1918-07-01
[11]
웹사이트
Fred Dunlap Statistics and History
https://www.baseball[...]
2014-03-09
[12]
서적
Base Ball on the Western Reserve
McFarland
[13]
서적
The New Bill James Historical Baseball Abstract
Simon and Schuster
[14]
뉴스
Dunlap's New Position
https://timesmachine[...]
1886-08-07
[15]
뉴스
A Prince of Ball Players: Fred Dunlap Released By St. Louis For $4,700
1886-08-16
[16]
뉴스
untitled
1886-08-16
[17]
뉴스
What Next? the Detroit Management Cause a Tumult in the Base Ball World; Rumored That St. Louis Will Drop Out and Pittsburgh Come Into the League
https://pqasb.pqarch[...]
2017-07-06
[18]
뉴스
Dunlap for Detroit: The Famous Player Secured by President Marsh
https://pqasb.pqarch[...]
1886-08-07
[19]
뉴스
First and Last: The Games of the World's Championship Series Lost in St. Louis; President Stearns Denies the Story That Dunlap Is Sold
https://pqasb.pqarch[...]
1887-10-27
[20]
뉴스
Dunlap on His Mettle
https://timesmachine[...]
1887-11-17
[21]
뉴스
Dunlap Goes to Pittsburg
https://timesmachine[...]
1888-01-04
[22]
서적
Base Ball in Philadelphia: A History of the Early Game, 1831–1900
McFarland
[23]
뉴스
Dunny To Leave Us: The Fine Second Baseman to be Transferred to Pittsburgh; The Cranks of That City Delighted with the Deal
https://pqasb.pqarch[...]
1887-11-05
[24]
뉴스
Sporting Matters: Base Ball; Dunlap and Conway
https://pqasb.pqarch[...]
2017-07-06
[25]
뉴스
Dunlap Released by Pittsburg
https://pqasb.pqarch[...]
1890-05-17
[26]
뉴스
Dunlap a Jonah?
http://www.la84found[...]
1890-05-31
[27]
뉴스
Notes and Gossip (column 2)
http://www.la84found[...]
1890-07-19
[28]
서적
Nineteenth Century Stars
Society for American Baseball Research
[29]
뉴스
Fred Dunlap Released by Washington: Dunny Has a Grievance
1891-06-20
[30]
뉴스
Quaker Quips
http://www.la84found[...]
1902-07-12
[31]
뉴스
Dunlap Dead: The Once Famous Star Second Baseman Ends His Days After Years of Gloom and Poverty in a Hospital
http://library.la84.[...]
1902-12-01
[32]
뉴스
Famous Baseball Player Is Dead
https://pqasb.pqarch[...]
2017-07-06
[33]
뉴스
Fred Dunlap's Death Recalls Memories of the Old Days to Every Fan -- How the Old Second Baseman Ranked With McPhee, Pfeffer and the Other Stars
http://www.la84found[...]
1902-12-27
[34]
서적
The National Game
The National Game Publishing Co.
[35]
뉴스
Comiskey's Immortals
http://www.la84found[...]
1912-01-06
[36]
뉴스
Were Star Infielders: Players of Older Generation Have Not Been Excelled
The Washington Post
1910-03-06
[37]
서적
All-Stars for All Time: A Sabermetric Ranking of the Major League Best, 1876–2007
McFarland
[38]
웹사이트
Career Leaders & Records for Range Factor/Game as 2B
https://www.baseball[...]
2014-03-24
[39]
서적
The New Bill James Historical Baseball Abstract
https://archive.org/[...]
The Free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