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바이노그나투스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로바이노그나투스류는 진수궁류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키노그나티아와 자매군 관계를 이룬다. 프로바이노그나투스류의 계통 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는 연구자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 룸쿠이아, 엑테니니온, 알레오돈, 키니쿠오돈, 프로바이노그나투스, 트루시도키노돈, 테리오헤르페톤, 트리티레돈과, 브라질로돈과, 트리티로돈과, 포유류형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최근 연구에서는 룸쿠이아가 가장 기저에 위치하며, 키니쿠오돈, 프로바이노그나투스과, 엑테니니과, 프로테리오돈, 프로조스트로돈류 등이 포함된 분기도를 제시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프로바이노그나투스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Probainognathia |
명명자 | 홉슨, 1990년 |
화석 범위 | 삼첩기 중기 - 홀로세 |
하위 그룹 |
2. 분류
Ruta, Botha-Brink, Mitchell 및 Benton (2013)은 키노돈트 관계에 대한 가설을 제시하는 분기도를 다음과 같이 작성했다.[4]
{| class="wikitable"
|-
! 진수궁류
|-
|
{| class="wikitable"
|-
| †키노그나티아
|-
! '''프로바이노그나투스류'''
|-
|
{| class="wikitable"
|-
| †''룸쿠이아''
|-
|
{| class="wikitable"
|-
| †''엑테니니온''
|-
|
{| class="wikitable"
|-
|
†알레오돈 |
†키니쿠오돈 |
|-
|
{| class="wikitable"
|-
| †''프로바이노그나투스''
|-
|
{| class="wikitable"
|-
| †''트루시도키노돈''
|-
|
{| class="wikitable"
|-
| †''테리오헤르페톤''
|-
|
{| class="wikitable"
|-
! †트리티레돈과
|-
|
{| class="wikitable"
|-
| †''리오그란디아''
|-
|
{| class="wikitable"
|-
|
†찰리미니아 |
†엘리오테리움 |
|-
|
†디아르트로그나투스 |
†파키게네루스 |
|}
|}
|}
|-
|
{| class="wikitable"
|-
! †브라질로돈과
|-
|
†브라질리테리움 |
†브라질로돈 |
|-
|
{| class="wikitable"
|-
! †트리티로돈과
|-
|
{| class="wikitable"
|-
| †''올리고키푸스''
|-
|
{| class="wikitable"
|-
| †''카옌타테리움''
|-
|
†트리티로돈 |
†비에노테리움 |
|}
|}
|-
! 포유류형류
|-
|
{| class="wikitable"
|-
| †''시노코노돈''
|-
|
†모르가누코돈 |
포유류 |
|}
|}
|}
|}
|}
|}
|}
|}
|}
Stefanello 등 (2023)의 분기도는 다음과 같다.[5]
{| class="wikitable"
|-
! 프로바이노그나투스류
|-
|
{| class="wikitable"
|-
| ''룸쿠이아''
|-
|
{| class="wikitable"
|-
| ''키니쿠오돈''
|-
|
{| class="wikitable"
|-
! 프로바이노그나투스과
|-
|
|}
|-
|
{| class="wikitable"
|-
| 엑테니니과
|-
|
{| class="wikitable"
|-
| ''프로테리오돈''
|-
! 프로조스트로돈류
|-
|
{| class="wikitable"
|-
! 프로조스트로돈과
|-
|
프로조스트로돈 |
의테리움 |
|-
|
{| class="wikitable"
|-
| ''테리오헤르페톤''
|-
|
{| class="wikitable"
|-
| ''이라자테리움''
|-
|
{| class="wikitable"
|-
| ''리오그란디아''
|-
|
{| class="wikitable"
|-
|
디아르트로그나투스 |
파키게네루스 |
|-
|
{| class="wikitable"
|-
| 트리티로돈과
|-
|
{| class="wikitable"
|-
| ''보투카라이테리움''
|-
|
브라질로돈 |
포유류형류 |
|}
|}
|}
|}
|}
|}
|}
|}
|}
|}
|}
2. 1. 주요 분류군
유키노돈류의 두 가지 주요 하위 분류군 중 하나로, 다른 하나는 키노그나투스류(Cynognathia)이다. 초기 프로바이노그나투스류는 육식성이거나 곤충을 먹는 동물이었지만, 일부 그룹은 결국 초식성으로 진화했다. 최초이자 가장 기초적인 프로바이노그나투스류는 중기 트라이아스기 (아니시안 시대)의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서식했던 ''룸쿠이아''(Lumkuia)였다. 프로바이노그나투스류가 번성한 것은 후기 트라이아스기의 노리아 시대 중반 이후였다. 대량 절멸(트라이아스기-쥐라기 경계)를 살아남은 프로바이노그나투스류 그룹은 세 개였는데, 그 중 두 개는 쥐라기 또는 백악기까지 살아남은 트리텔레돈과(Tritheledontidae)와 트리티로돈과였고, 나머지 하나는 포유류로 진화하는 포유류형류였다.2. 2. 포유류로의 진화
유키노돈류는 프로바이노그나투스류(Cynognathia)와 함께 키노돈트를 이루는 두 개의 주요 하위 분류군 중 하나이다. 초기 프로바이노그나투스류는 육식성이거나 곤충을 먹는 동물이었지만, 일부 그룹은 이후 초식성으로 진화했다. 최초이자 가장 기초적인 프로바이노그나투스류는 중기 트라이아스기 (아니시안 시대)의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서식했던 ''룸쿠이아''(Lumkuia)였다. 프로바이노그나투스류가 번성한 것은 후기 트라이아스기의 노리아 시대 중반 이후였다. 대량 절멸(트라이아스기-쥐라기 경계)에서 살아남은 프로바이노그나투스류 그룹은 세 개였는데, 트리텔레돈과(Tritheledontidae)와 트리티로돈과는 쥐라기 또는 백악기까지 살아남았고, 나머지 하나는 포유류로 진화하는 포유류형류였다.3. 계통 관계
다음은 루타(Ruta), 보타-브링크(Botha-Brink), 미첼(Mitchell) 및 벤튼(Benton) (2013)의 분기도로, 키노돈 관계에 대한 하나의 가설을 보여준다.[4]
{| class="wikitable"
|-
! 진수궁류
|-
|
{| class="wikitable"
|-
| †'''키노그나티아'''
|-
! '''프로바이노그나투스류'''
|-
|
{| class="wikitable"
|-
| †''룸쿠이아''
|-
|
{| class="wikitable"
|-
| †''엑테니니온''
|-
|
{| class="wikitable"
|-
|
†알레오돈 |
†키니쿠오돈 |
|-
|
{| class="wikitable"
|-
| †''프로바이노그나투스''
|-
|
{| class="wikitable"
|-
| †''트루시도키노돈''
|-
|
{| class="wikitable"
|-
| †''테리오헤르페톤''
|-
|
{| class="wikitable"
|-
! †트리티레돈과
|-
|
{| class="wikitable"
|-
| †''리오그란디아''
|-
|
{| class="wikitable"
|-
|
†찰리미니아 |
†엘리오테리움 |
|-
|
†디아르트로그나투스 |
†파키게네루스 |
|}
|}
|}
|-
|
{| class="wikitable"
|-
! †브라질로돈과
|-
|
†브라질리테리움 |
†브라질로돈 |
|-
|
{| class="wikitable"
|-
! †트리티로돈과
|-
|
{| class="wikitable"
|-
| †''올리고키푸스''
|-
|
{| class="wikitable"
|-
| †''카옌타테리움''
|-
|
†트리티로돈 |
†비에노테리움 |
|}
|}
|-
! 포유류형류
|-
|
{| class="wikitable"
|-
| †''시노코노돈''
|-
|
†모르가누코돈 |
포유류 |
|}
|}
|}
|}
|}
|}
|}
|}
|}
|}
스테파넬로(Stefanello) 등 (2023)의 분기도:[5]
{| class="wikitable"
|-
! 프로바이노그나투스류
|-
|
{| class="wikitable"
|-
| ''룸쿠이아''
|-
|
{| class="wikitable"
|-
| ''키니쿠오돈''
|-
|
{| class="wikitable"
|-
! 프로바이노그나투스과
|-
|
|}
|-
|
{| class="wikitable"
|-
| 엑테니니과
|-
|
{| class="wikitable"
|-
| ''프로테리오돈''
|-
! 프로조스트로돈류
|-
|
{| class="wikitable"
|-
! 프로조스트로돈과
|-
|
프로조스트로돈 |
의테리움 |
|-
|
{| class="wikitable"
|-
| ''테리오헤르페톤''
|-
|
{| class="wikitable"
|-
| ''이라자테리움''
|-
|
{| class="wikitable"
|-
| ''리오그란디아''
|-
|
{| class="wikitable"
|-
|
디아르트로그나투스 |
파키게네루스 |
|-
|
{| class="wikitable"
|-
| 트리티로돈과
|-
|
{| class="wikitable"
|-
| ''보투카라이테리움''
|-
|
브라질로돈 |
포유류형류 |
|}
|}
|}
|}
|}
|}
|}
|}
|}
|}
|}
다음은 Ruta, Botha-Brink, Mitchell and Benton (2013)에 기반한 키노돈류의 유연 가설을 나타낸다.[9]
{| class="wikitable"
|-
! 유키노돈류
|-
|
{| class="wikitable"
|-
| †'''키노그나투스류'''
|-
! '''프로바이노그나투스류'''
|-
|
{| class="wikitable"
|-
| †''Lumkuia''
|-
|
{| class="wikitable"
|-
| †''Ecteninion''
|-
|
{| class="wikitable"
|-
|
†Aleodon |
†Chiniquodon |
|-
|
{| class="wikitable"
|-
| †''Probainognathus''
|-
|
{| class="wikitable"
|-
| †''Trucidocynodon''
|-
|
{| class="wikitable"
|-
| †''Therioherpeton''
|-
|
{| class="wikitable"
|-
! †Tritheledontidae
|-
|
{| class="wikitable"
|-
| †''Riograndia''
|-
|
{| class="wikitable"
|-
|
†Chaliminia |
†Elliotherium |
|-
|
†Diarthrognathus |
†Pachygenelus |
|}
|}
|-
|
{| class="wikitable"
|-
! †Brasilodontidae
|-
|
†Brasilitherium |
†Brasilodon |
|-
|
{| class="wikitable"
|-
! †Tritylodontidae
|-
|
{| class="wikitable"
|-
| †''Oligokyphus''
|-
|
{| class="wikitable"
|-
| †''Kayentatherium''
|-
|
†Tritylodon |
†Bienotherium |
|}
|}
|-
! 포유류형류
|-
|
{| class="wikitable"
|-
| †''Sinoconodon''
|-
|
†Morganucodon |
포유류 |
|}
|}
|}
|}
|}
|}
|}
|}
|}
|}
|}
참조
[1]
논문
The Triassic eucynodont ''Candelariodon barberenai'' revisited and the early diversity of stem prozostrodontians
2017
[2]
간행물
The Late Triassic Record of Cynodonts: Time of Innovations in the Mammalian Lineage
http://link.springer[...]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1-05-24
[3]
웹사이트
The slow and fast steps to becoming a mammal
http://www.technolog[...]
[4]
논문
The radiation of cynodonts and the ground plan of mammalian morphological diversity
[5]
논문
A complete skull of a stem mammal from the Late Triassic of Brazil illuminates the early evolution of prozostrodontian cynodonts
2023
[6]
논문
The Triassic eucynodont ''Candelariodon barberenai'' revisited and the early diversity of stem prozostrodontians
2017
[7]
간행물
The Late Triassic Record of Cynodonts: Time of Innovations in the Mammalian Lineage
http://link.springer[...]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1-05-24
[8]
웹사이트
The slow and fast steps to becoming a mammal
http://www.technolog[...]
Neurotechnology
2021-12-06
[9]
논문
The radiation of cynodonts and the ground plan of mammalian morphological diversity
[10]
서적
The Late Triassic Record of Cynodonts: Time of Innovations in the Mammalian Lineage
https://doi.org/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