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성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성호는 대한제국 군인 출신으로, 일제강점기에는 관료로 활동했다. 1904년 대한제국 육군 보병 참위로 임관하여 진위대에서 복무했으며, 육군연성학교에서 근무했으나 1907년 군대 해산으로 참위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함경북도 도참사를 역임하고,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지냈다. 2002년 친일파 708인 명단,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 친일인명사전 수록 예정자 명단, 2007년 친일반민족행위자 195인 명단에 모두 포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제국의 군인 - 김좌진
김좌진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 청산리 전투에서 일본군을 격파하고 한국독립당 회장을 역임했으며,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수훈받았다. - 대한제국의 군인 - 권동진
권동진은 조선 말기 개화파 관료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을미사변 가담 후 천도교에 입교, 3·1 운동 민족대표, 신간회 부회장을 역임하고 광복 후 우익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반탁운동을 전개했다. - 육군 장교 - 마원춘
마원춘은 북한의 건축가이자 정치인으로, 김정일·김정은 부자의 별장 등 주요 건축물을 설계했으며, 김정은 집권 후 핵심 실세로 부상했다가 좌천 및 복귀를 겪었다. - 육군 장교 - 리덩후이
리덩후이는 중화민국의 정치인으로, 장징궈 총통에 의해 발탁되어 총통직을 승계한 후 대만의 민주화 개혁을 주도하며 '대만 민주주의의 아버지'로 불리지만, 양안 관계에서는 양국론을 제시하여 중화인민공화국과 긴장 관계를 형성하기도 하고 퇴임 후에는 대만 독립 운동을 지지했다. - 함경북도 출신 - 오극렬
오극렬은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3대에 걸쳐 북한 핵심 요직을 역임한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군사 및 정치 분야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며 불법 활동 의혹으로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 - 함경북도 출신 - 김동하 (1918년)
김동하는 일제강점기 만주군 장교이자 대한민국 해병대 창설에 참여한 군인, 정치인으로, 5·16 군사정변에 가담하여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을 역임했으나 반혁명사건에 연루되었고, 만주군 복무 경력으로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다.
피성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피성호 |
원래 이름 | 皮性鎬 |
사망일 | 1927년 11월 8일 |
출생지 | 조선 함경북도 종성군 |
거주지 | 대한제국 한성부 일제강점기 함경북도 종성군 일제강점기 함경북도 청진시 |
직책 | |
직책 | 前 조선총독부 함경북도 도의회 청진시 참사위원 |
겸임 | 前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
임기 | 1915년 3월 16일 ~ 1920년 8월 26일 |
정치 | |
정당 | 무소속 |
총독 | 데라우치 마사타케 (조선 주재 일본 총독) 하세가와 요시미치 (조선 주재 일본 총독) 사이토 마코토 (조선 주재 일본 총독) |
군주 | 무쓰히토 (일본) 요시히토 (일본) |
총리 | 오쿠마 시게노부 (일본 총리) 데라우치 마사타케 (일본 총리) 하라 다카시 (일본 총리) |
군 복무 | |
군대 | 대한제국 육군 |
복무 기간 | 1904년 7월 7일 ~ 1907년 9월 3일 |
계급 | 대한제국 육군 보병 참위 |
근무 | 대한제국 육군 진위대 |
지휘 | 대한제국 육군 진위대 제5연대 제3대대 예하 소대장 |
서훈 | |
훈장 | 다이쇼 대례 기념장 |
2. 대한제국 군인 시절
1904년 7월 7일 대한제국 육군 보병 참위에 임관되었으며, 같은 해 7월 16일 진위대 제5연대 제3대대에 배속되었다. 1905년 4월 18일부터 1906년 1월 16일까지 육군연성학교에서 근무하였으나, 1907년 9월 3일 대한제국 군대 해산으로 인해 육군 참위직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1904년 7월 7일 대한제국 육군 보병 참위로 임관되었으며, 같은 해 7월 16일 진위대 제5연대 제3대대에 배속되었다. 1905년 4월 18일부터 1906년 1월 16일까지 육군연성학교에서 근무하는 등 대한제국 육군 장교로 복무했다. 그러나 1907년 9월 3일 대한제국 군대 해산으로 인해 육군 참위직에서 물러났다.
3. 일제강점기 관료 생활
이후 일제강점기에는 함경북도 종성군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1921년 중추원 편제가 개편되면서 지방의 유력자들도 참의로 발탁되기 시작했다.
3. 1. 함경북도 도참사
1915년부터 1920년까지 조선총독부 체제에서 함경북도 도참사를 맡았다. 도참사는 도지사 자문을 위해 도 참여관 외에 별도로 둔 직책으로, 주로 해당 지역의 유지들이 임명되었다. 1915년 11월 10일 일본 정부로부터 대례기념장을 수여받을 당시 이미 도참사로 기록되어 있어 그 이전부터 재직한 것으로 추정된다.
3. 2. 중추원 참의
피성호는 1924년 4월 27일부터 1927년 4월 26일까지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역임했다. 1921년 중추원 편제가 개편되면서 지방의 유력자들도 참의로 발탁되기 시작했는데, 피성호는 함경북도 지역 대표 격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1924년 10월 1일부터 10월 19일까지 열린 북선연락지방물산공진회(北鮮聯絡地方物産共進會) 출품인 총대(總代)로도 활동했다. 1927년 참의직에서 물러나면서 정7위에 서위되었고, 얼마 후 사망했다.
4. 사망 이후
피성호는 1927년 중추원 참의직에서 물러나면서 정7위에 서위되었고, 얼마 후 사망했다.
4. 1. 친일반민족행위 규정
2002년 친일파 708인 명단과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2007년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에 모두 포함되었다.4. 2. 친일파 명단 등재
2002년 발표된 친일파 708인 명단과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공개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2007년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에 모두 포함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