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은 일제강점기 친일반민족행위자들을 분류한 명단이다. 이 명단은 정치, 통치 기구, 경제·사회, 문화, 해외 등 다양한 부문으로 나뉘어 있으며, 매국, 수작, 습작, 중추원, 관료, 사법, 군인·헌병, 경찰·밀정, 경제, 교육, 정치·사회 단체, 학술, 언론, 종교, 중국 지역, 일본 지역 등으로 세분화되어 있다. 명단에는 총 195명이 등재될 예정이었으나, 최종 발표된 명단에는 176명이 포함되었다.
1919년 3·1 운동 이후 일제가 이른바 '문화정치기'에 민족분열정책을 펼칠 때, 일제에 협력하여 민족에게 해를 끼친 인물들을 주로 다루고 있다. 조사 대상은 1919년 3·1 운동부터 1937년 중일 전쟁 발발까지 활동했던 인물들이다.
2. 정치 부문 (80명)
이 섹션에는 매국, 수작, 습작, 중추원 4가지 분야의 인물들이 포함되어 있다.2. 1. 매국 (2명)
조선의 국권을 일제에 넘기는 데 적극적으로 가담한 인물들이다.
2. 1. 1. 해당 인물 목록
2. 2. 수작 (29명)
다음은 일제로부터 작위를 받은 29명의 인물 목록이다.2. 2. 1. 해당 인물 목록
김병익 (金炳翊) | 박용대 (朴容大) | 이재완 (李載完) |
김영철 (金永哲) | 박제빈 (朴齊斌) | 이정로 (李正魯) |
김종한 (金宗漢) | 성기운 (成岐運) | 이하영 (李夏榮) |
김춘희 (金春熙) | 윤택영 (尹澤榮) | 장석주 (張錫周) |
민상호 (閔商鎬) | 이근상 (李根湘) | 조동윤 (趙東潤) |
민영규 (閔泳奎) | 이근호 (李根澔) | 조민희 (趙民熙) |
민영기 (閔泳綺) | 이완용 (李完鎔) | 조희연 (趙羲淵) |
민영린 (閔泳璘) | 이용태 (李容泰) | |
민영휘 (閔泳徽) | 이윤용 (李允用) | |
민형식 (閔炯植) | 이재각 (李載覺) | |
박기양 (朴箕陽) | 이재극 (李載克) |
2. 3. 습작 (3명)
고희경, 권태환, 장인원은 일제로부터 작위를 받은 후 이를 승계한 인물들이다.2. 3. 1. 해당 인물 목록
2. 4. 중추원 (46명)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자문기관인 중추원 참의로 활동한 인물들이다. 중추원은 형식적으로는 조선인 관리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기관이었지만, 실제로는 일제의 식민 통치를 정당화하고 조선인들의 협력을 유도하는 역할을 했다.2. 4. 1. 해당 인물 목록
- 강병옥 (康秉鈺)
- 김교성 (金敎聲)
- 김명규 (金命圭)
- 김연상 (金然尙)
- 김영한 (金榮漢)
- 김제하 (金濟河)
- 김준용 (金準用)
- 김필희 (金弼熙)
- 김현수 (金顯洙)
- 김희작 (金熙綽)
- 나수연 (羅壽淵)
- 남규희 (南奎熙)
- 노창안 (盧蒼顔)
- 박봉주 (朴鳳柱)
- 박승봉 (朴勝鳳)
- 박이양 (朴彛陽)
- 박제환 (朴齊瓛)
- 박흥규 (朴興奎)
- 박희양 (朴熙陽)
- 방인혁 (龐寅赫)
- 송지헌 (宋之憲)
- 신석우 (申錫雨)
- 신응희 (申應熙)
- 신태유 (申泰游)
- 오재풍 (吳在豊)
- 유빈겸 (兪斌兼)
- 유흥세 (柳興世)
- 윤정현 (尹定鉉)
- 이건춘 (李建春)
- 이기승 (李基升)
- 이도익 (李度翼)
- 이만규 (李晩奎)
- 이택현 (李澤鉉)
- 이항직 (李恒稙)
- 정동식 (鄭東植)
- 정병조 (鄭丙朝)
- 정재학 (鄭在學)
- 정진홍 (鄭鎭弘)
- 조병건 (趙秉健)
- 조영희 (趙英熙)
- 천장욱 (千章郁)
- 최석하 (崔錫夏)
- 피성호 (皮性鎬)
- 한상봉 (韓相鳳)
- 허진 (許璡)
- 현은 (玄檃)
3. 통치 기구 부문 (48명)
일제강점하 조선총독부와 산하 기관, 사법부, 일본군과 헌병, 경찰과 밀정 등 통치 기구에서 활동하며 일제의 식민 통치에 협력한 인물들을 다룬다. 하위 섹션에서 관료, 사법, 군인·헌병, 경찰·밀정에 대한 내용을 상세하게 다루고 있다.
3. 1. 관료 (14명)
조선총독부 및 그 산하 기관에서 관료로 근무한 인물들이다.3. 1. 1. 해당 인물 목록
wikitext
3. 2. 사법 (6명)
일제강점기 사법부에서 판사, 검사 등으로 활동하며 일제의 식민 통치에 협력한 인물들이다. 명단은 다음과 같다.
3. 2. 1. 해당 인물 목록
3. 3. 군인·헌병 (9명)
일제강점기에 일본군 또는 헌병으로 복무하며 독립운동 탄압 등에 가담한 9명의 명단이다.이름 | 생몰년 | 주요 이력 | 당시 계급 | 비고 |
---|---|---|---|---|
강대철 | ? ~ ? | 일본군 헌병 | 상등병 | |
김응조 | 1896 ~ ? | 일본군 헌병, 밀정 | 오장 | |
김정렬 | 1917 ~ 1992 | 만주군 장교, 대한민국 국군 장성 | 대위 | |
김홍준 | 1916 ~ ? | 일본군 장교 | 대위 | |
박정희 | 1917 ~ 1979 | 만주군 장교, 대한민국 대통령 | 중위 | |
석원호 | 1911 ~ ? | 일본군 헌병 | 군조 | |
유승렬 | ? ~ ? | 일본군 장교, 만주군 장교 | 대위 | |
이병학 | 1896 ~ ? | 일본군 헌병 | 상등병 | |
이영일 | 1903 ~ ? | 일본군 헌병 | 군조 |
3. 4. 경찰·밀정 (19명)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에는 일제강점기 당시 경찰 또는 밀정으로 활동하며, 독립운동가들을 감시, 체포, 고문하는 등 일제의 식민 통치에 적극 협력한 인물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은 일제의 앞잡이 노릇을 하며 민족의 독립을 억압하는 데 앞장섰다.4. 경제ㆍ사회 부문 (14명)
경제·사회 부문에서는 일제강점기 경제 및 사회 분야에서 일제에 협력한 14명의 인물들이 포함되었다. 이들은 경제, 교육, 정치·사회 단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일제의 식민 통치에 적극적으로 협력했다.
경제 분야에서는 일제와 결탁하여 부를 축적하고, 일제의 경제 정책에 협력한 인물들이 포함되었다. 교육 분야에서는 일제의 식민지 교육 정책에 따라 친일 인재 양성에 앞장선 인물이 포함되었다. 정치·사회 단체 분야에서는 일제강점기에 친일 단체에서 활동하며 일제의 식민 통치를 옹호하고 조선인들의 협력을 선동한 인물들이 포함되었다.
분야 | 명단 |
---|---|
경제 | 김영택 (金泳澤), 박경석 (朴經錫), 방규환 (方奎煥), 예종석 (芮宗錫), 장홍식 (張弘植), 홍충현 (洪忠鉉) |
교육 | 현헌 |
정치·사회 단체 | 김재곤 (金載坤), 박기순 (朴基順), 박영래 (朴榮來), 유두환 (柳斗煥), 윤시병 (尹始炳), 윤필오 (尹弼五), 조희붕 (趙羲鵬) |
4. 1. 경제 (6명)
경제 분야에서는 일제와 결탁하여 부를 축적하고, 일제의 경제 정책에 협력한 인물들이 포함되었다.4. 1. 1. 해당 인물 목록
4. 2. 교육 (1명)
현헌은 일제의 식민지 교육 정책에 따라 친일 인재 양성에 앞장선 인물이다.4. 2. 1. 해당 인물 목록
4. 3. 정치·사회 단체 (7명)
일제강점기에 친일 단체에서 활동하며 일제의 식민 통치를 옹호하고 조선인들의 협력을 선동한 인물들의 명단은 다음과 같다.
4. 3. 1. 해당 인물 목록
5. 문화 부문 (16명)
문화 부문에서는 일제강점기 문화 예술 분야에서 활동하며 일제의 식민 정책에 협력한 16명의 인물들을 다룬다. 이들은 학술, 언론, 종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5. 1. 학술 (2명)
학술 분야에서는 일제의 식민 사관을 옹호하고 친일 논리를 전파한 인물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 명단에는 유맹, 유정수 2명이 포함되어 있다.5. 1. 1. 해당 인물 목록
5. 2. 언론 (8명)
언론 분야에서는 일제의 검열과 통제 아래 친일적인 기사를 작성하고, 조선인들의 사상을 통제하는 데 앞장선 8명의 인물들이 포함되었다.
5. 2. 1. 해당 인물 목록
5. 3. 종교 (6명)
종교 분야에서는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종교를 통해 일제의 식민 통치를 정당화한 인물들이 포함되었다.6. 해외 (37명)
해외에서 일제의 침략 전쟁과 식민 통치에 협력한 인물들을 다룬다.
6. 1. 중국 지역 (33명)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에는 중국 지역에서 활동한 인물들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제공된 소스 자료가 비어있으므로, 해당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6. 2. 일본 지역 (4명)
일본 지역에서는 일제의 침략 전쟁에 협력하거나, 재일 조선인 사회를 통제하고 일제에 협력하도록 유도한 인물들이 포함되었다.6. 2. 1. 해당 인물 목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