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브라반트 공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라반트 공국은 959년 로타링기아 분할 이후 성립된 봉건 영지로, 현재 벨기에, 네덜란드, 브뤼셀 지역에 걸쳐 있었다. 1183년에서 1184년 사이 공식적으로 공국으로 인정받았으며,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1세가 브라반트 공작의 세습 칭호를 부여했다. 1430년 부르고뉴 공국에, 1477년에는 합스부르크 가문에 귀속되었다.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으로 북부 지역은 네덜란드 공화국에, 남부는 스페인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를 받다가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가문으로 이관되었다. 1795년 프랑스 혁명군에게 점령당하며 소멸되었다. 브라반트 공국의 주요 도시로는 뢰번, 브뤼셀, 앤트워프, 스헤르토헨보스 등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라반트 공국 - 브라반트 공작
  • 브라반트 - 안트베르펜주
    안트베르펜주는 벨기에의 주로, 스헬데 강을 따라 안트베르펜 항을 중심으로 화학, 다이아몬드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으며, 네덜란드어를 사용하고 가톨릭 신자가 다수를 차지하며, 안트베르펜 시를 포함한 역사 도시와 캄피네 지역 등의 관광 명소를 갖추고 있다.
  • 브라반트 - 노르트브라반트주
    노르트브라반트주는 네덜란드 남부에 위치하며 브라반트 공작령에서 기원하여 역사적 배경과 도시화, 자연 경관, 균형 잡힌 경제, 하이테크 산업, 독특한 방언, 다양한 문화, 풍부한 요리를 자랑하는 지역이다.
  • 네덜란드 17주 - 홀란트 백국
    홀란트 백국은 중세 시대 네덜란드 지역에 존재했던 국가로, 1101년 플로리스 2세가 홀란트 백작으로 기록되면서 처음 등장했으며, 숲 지역을 의미하는 'holt lant'에서 유래하여 네덜란드 공화국의 중심지로 성장했으나 1795년 해체되어 노르트홀란트주와 자위트홀란트주로 나뉘었다.
  • 네덜란드 17주 - 아르투아 백국
    아르투아 백국은 프랑스 북부에 위치한 역사적 지역으로, 플랑드르 백국과 부르고뉴 공국을 거쳐 프랑스 왕실, 합스부르크 가문으로 소유권이 변경되었으며, 프랑스-스페인 전쟁을 통해 프랑스에 귀속되었다.
브라반트 공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네덜란드어: Hertogdom Brabant
프랑스어: Duché de Brabant
라틴어: Ducatus Brabantiae
일반 명칭브라반트
시대중세
지위공국
통치자 작위브라반트 공작
첫 번째 통치자앙리 1세
첫 번째 통치자 재임 기간1183/1184–1235년
마지막 통치자프란츠 1세
마지막 통치자 재임 기간1792–1797년
국가 상태신성 로마 제국의 국가
부르고뉴령 네덜란드의 일부 (1430–1482년)
합스부르크 네덜란드의 일부 (1482–1794년)
남부 네덜란드의 일부 (1648–1794년)
제국신성 로마 제국
정부 형태봉건제 공국
건국1183년
멸망1794년
존속 기간1183/1190–1406/1797년
역사적 사건
사건 1부르고뉴 공국에 상속됨
사건 1 날짜1430년
사건 2합스부르크 가문에 상속됨
사건 2 날짜1482년
사건 3합스부르크 스페인에 상속됨
사건 3 날짜1556년
사건 4뮌스터 조약
사건 4 날짜1648년 1월 30일
사건 5라슈타트 조약
사건 5 날짜1714년 3월 7일
종료 사건스프리몽 전투
종료 날짜9월 18일
국기 및 문장
브라반트 공국의 깃발
브라반트 공작의 문장
브라반트 공국의 문장
표어Were di
수도
수도브뤼셀
인접 국가
이전 국가브라반트 방백국
이전 국가 깃발Die hertoge van Brabant.svg
이전 국가 테두리아니오
다음 국가 1부르고뉴령 네덜란드
다음 국가 1 깃발Banner of the Burgundian Cross of Burgundy.svg
다음 국가 2네덜란드 공화국
다음 국가 2 깃발Statenvlag.svg
다음 국가 4디레 (데파르트망)
다음 국가 4 깃발Flag of France.svg
다음 국가 3되네트
다음 국가 3 깃발Flag of France.svg
종교
종교로마 가톨릭교회
현재 국가
현재 국가벨기에
네덜란드
기타

2. 역사

브라반트 백국은 로타링기아 공국 내의 봉건 영지로서 성립되어 959년 로타링기아의 분할 후 하로타링기아에 포함되었다. 이 땅은 중부 프랑크 왕국과 신성 로마 제국을 구성하는 일부가 되었다. 1085년에서 1086년경, 로타링기아 팔라틴 백작 에르만 2세의 사후, 이 영지는 루뱅 백작 앙리 3세에게 할양되었다.

1183년에서 1184년 사이에 브라반트 공국이 공식으로 성립되었다. 브라반트 공작의 세습 칭호는 신성로마 황제 프리드리히 1세가 브라반트 공작 앙리 1세(하 로타링기아 공작 고드프루아 3세 드 루벤의 아들)를 위해 세워졌다. 브라반트 공국에 해당되는 나라는 덴드르 강과 젠 강 사이의 영토로 한정됐음에도 불구하고, 브뤼셀의 서쪽에 위치하고, 이 나라의 이름은 13세기 이후 공작의 관리하에 있던 나라 전체에 적용되었다.

1190년 고드프루아 3세 사후 앙리 1세가 하 로타링기아 공작이 되었으나 사실상 영토에 대한 권력은 없었다. 의정서에 의하면 그의 자손 전원은 그 결과 브라반트 공작 및 하 로타링기아 공작이라고 부르게 되었으며, 흔히 로티에르 공작(Duke of Lothier)으로 불렀다.

1288년 보린겐 전투 후, 브라반트 공작은 림뷔르흐 공국과 오톨무즈(당시 리에주 사교령의 일부)를 얻었다. 1354년 자유 특권이 브라반트 공작 장 3세에 의해 브라반트 여러 도시의 시민에게 내려졌다. 1430년 하 로타링기아, 브라반트, 림뷔르흐 의 각 공작령은 부르고뉴의 선량공 필리프에게 계승되었다. 1477년 이 칭호는 부르고뉴 여공 마리 드 부르고뉴가 합스부르크 가문의 막시밀리안과 결혼하면서 합스부르크 가문의 세습이 되었다. 브라반트의 그 후 역사는 저지대 여러 나라 또는 네덜란드 17주 역사의 일부가 되었다.

80년 전쟁에서 북부주(현재 노르트브라반트주)는 네덜란드군 관리하에 들어갔다.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 후, 네덜란드 공화국의 독립이 비준되어 북 브라반트는 공식으로 연방정부가 다스리는 영토로써 양도되었다.

남쪽은 남부 네덜란드로써 스페인,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하에 남았다. 1714년 지배권이 합스부르크 가문의 별개 계통인 오스트리아-합스부르크 가문으로 이관되었다. 1795년 남부 네덜란드가 프랑스 혁명군에게 점령되면서 브라반트 공국은 소멸되었다. 옛 영토는 되네세스(안트베르펜주), 딜(후에 브라반트주)로 재편되었다.

1477년 브라반트 공국, 리에주 주교령의 역사 지도.

2. 1. 초기 역사

브라반트 백국은 로타링기아 공국 내의 봉건 영지로서 성립되어 959년 로타링기아의 분할 후 하로타링기아에 포함되었다. 이 땅은 중부 프랑크 왕국과 신성 로마 제국을 구성하는 일부가 되었다. 1085년에서 1086년경, 로타링기아 팔라틴 백작 에르만 2세의 사후, 이 영지는 루뱅 백작 앙리 3세에게 할양되었다.

1183년에서 1184년 사이에 브라반트 공국이 공식으로 성립되었다. 브라반트 공작의 세습 칭호는 신성로마 황제 프리드리히 1세가 브라반트 공작 앙리 1세(하 로타링기아 공작 고드프루아 3세 드 루벤의 아들)를 위해 세워졌다. 브라반트 공국에 해당되는 나라는 덴드르 강과 젠 강 사이의 영토로 한정됐음에도 불구하고, 브뤼셀의 서쪽에 위치하고, 이 나라의 이름은 13세기 이후 공작의 관리하에 있던 나라 전체에 적용되었다.

1190년 고드프루아 3세 사후 앙리 1세가 하 로타링기아 공작이 되었으나 사실상 영토에 대한 권력은 없었다. 의정서에 의하면 그의 자손 전원은 그 결과 브라반트 공작 및 하 로타링기아 공작이라고 부르게 되었으며, 흔히 로티에르 공작(Duke of Lothier)으로 불렀다.

1288년 보린겐 전투 후, 브라반트 공작은 림뷔르흐 공국과 오톨무즈(당시 리에주 사교령의 일부)를 얻었다. 1354년 자유 특권이 브라반트 공작 장 3세에 의해 브라반트 여러 도시의 시민에게 내려졌다. 1430년 하 로타링기아, 브라반트, 림뷔르흐 의 각 공작령은 부르고뉴의 선량공 필리프에게 계승되었다. 1477년 이 칭호는 부르고뉴 여공 마리 드 부르고뉴가 합스부르크 가문의 막시밀리안의 결혼의 지참금으로 가져 갔기에 합스부르크 가문의 세습이 되었다. 브라반트의 그 후 역사는 저지대 여러 나라 또는 네덜란드 17주 역사의 일부가 되었다.

80년 전쟁에서 북부주(현재 노르트브라반트주)는 네덜란드군 관리하에 들어갔다.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 후, 네덜란드 공화국의 독립이 비준되어 북 브라반트는 공식으로 연방정부가 다스리는 영토로써 양도되었다.

남쪽은 남부 네덜란드로써 스페인,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하에 남았다. 1714년 지배권이 합스부르크 가문의 별개 계통인 오스트리아-합스부르크 가문으로 이관되었다. 1795년 남부 네덜란드가 프랑스 혁명군에게 점령되면서 브라반트 공국은 소멸되었다. 예전 영토는 되네세스(안트베르펜주), 딜(후에 브라반트주)로 재편되었다.

2. 2. 뢰번 백작령과 브라반트 랑그라프령

브라반트 백작령은 로타링기아 공국 내의 봉건 영지로서, 959년 로타링기아가 분할된 이후 하 로타링기아에 속하게 되면서 중부 프랑크 왕국과 신성 로마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1085년에서 1086년 사이, 전임 브라반트 변경백이자 로타링기아 선제후였던 헬만 2세가 사망한 후, 이 영토는 루뱅 백작 앙리 3세에게 할당되었다.

1183년에서 1184년 사이,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1세는 브라반트 공의 세습 칭호를 만들고 브라반트 공작 앙리 1세(고드프루아 3세의 아들)를 위해 브라반트 공국을 공식적으로 성립시켰다. 당시 브라반트 공국은 덴드르 강과 젠 강 사이, 브뤼셀 서쪽에 위치한 작은 영토였으나, 13세기 이후 공작의 통치하에 있는 모든 영토를 지칭하는 이름으로 사용되었다.

1190년 고드프루아 3세 사후, 앙리 1세는 하 로타링기아 공작이 되었으나, 실질적인 영토 권력은 없는 칭호였다. 의정서에 따라 그의 자손들은 브라반트 공작 및 하 로타링기아 공작으로 불렸으며, 앙리 3세 때 카스티야 왕 알폰소 10세에 의해 하 로타링기아 공은 로시에르 공(의례적인 칭호)으로 변경되었다.

1288년 보르딩겐 전투 이후, 브라반트 공작은 림뷔르크 공국과 오트 뫼즈(당시 리에주 주교령의 일부)를 획득했다. 1354년에는 브라반트 공작 장 3세가 브라반트 여러 도시의 시민들에게 자유 특권(Joyous Entry)을 부여했다. 1430년, 로타링기아, 브라반트, 림뷔르크의 각 공작령은 부르고뉴 공작 필리프 3세(선공)에게 계승되었다. 1477년 부르고뉴 여공 마리 드 부르고뉴와 합스부르크가의 막시밀리안의 결혼으로, 이 칭호들은 그의 장남 필리프 아름다운 공 이후 합스부르크가의 세습이 되었다. 이후 브라반트의 역사는 네덜란드 17주의 역사와 함께하게 된다.

80년 전쟁에서 북부 주(현재의 노르트브라반트주)는 네덜란드군의 통치하에 들어갔으며,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 이후 네덜란드 연합 공화국의 독립이 승인되면서 북브라반트는 공식적으로 연방 정부가 다스리는 영토로 양도되었다. 남부는 남 네덜란드로서 스페인 합스부르크가의 지배하에 남았고, 왕가 단절 후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을 거쳐 1714년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가로 지배권이 넘어갔다. 1795년 프랑스 혁명군에 의해 남부 네덜란드가 점령되면서 브라반트 공국은 소멸되었고, 옛 영토는 듀 네트(Deux-Nèthes, 프랑스 제1제정의 행정 구역, 현재의 안트베르펜주)와 디르(Dyle, 프랑스 제1제정기 행정 구역, 후의 브라방 주)로 재편되었다.

2. 3. 브라반트 공국의 성립과 발전

브라반트 백작령은 로타링기아 공국 내의 봉건 영지로 성립되어, 959년 로타링기아 분할 이후 하 로타링기아에 포함되었다. 이 지역은 중부 프랑크 왕국과 신성 로마 제국을 구성하는 일부가 되었다. 1085년에서 1086년경, 전임 브라반트 변경백이자 로타링기아 선제후였던 헬만 2세 사후, 이 영토는 루뱅 백작 앙리 3세에게 할당되었다.

1183년에서 1184년, 신성 로마 황제 프리드리히 1세가 브라반트 공작 앙리 1세(하 로타링기아 공작 고드프루아 3세 드 루벤(Godfrey III of Leuven, Duke of Lower Lotharingia)의 아들)를 위해 브라반트 공국을 공식적으로 성립시키고 세습 칭호를 부여했다. 브라반트 공국에 해당되는 영토는 덴드르 강과 젠 강 사이의 영토로 한정되었지만, 브뤼셀 서쪽에 위치했고, 13세기 이후 공작의 통치하에 전체 영토에 브라반트라는 명칭이 적용되었다.

1190년 고드프루아 3세 사후, 앙리 1세가 하 로타링기아 공작이 되었으나, 사실상 영토에 대한 권력은 없는 공작위였다. 의정서에 따르면, 그의 자손들은 모두 브라반트 공작 및 하 로타링기아 공작으로 불렸으며, 흔히 로티에르 공작(Duke of Lothier)으로 불렸다.

1288년 보린겐 전투(Battle of Worringen) 후, 브라반트 공작은 림뷔르흐 공국(duchy of Limburg)과 오톨무즈(Overmaas; 당시 리에주 사교령의 일부)를 얻었다. 1354년 브라반트 공작 장 3세(John III, Duke of Brabant)는 브라반트 여러 도시의 시민에게 자유 특권(Blijde Inkomst)을 부여했다. 1430년 하 로타링기아, 브라반트, 림뷔르흐 의 각 공작령은 부르고뉴의 선량공 필리프에게 계승되었다. 1477년 부르고뉴 여공 마리 드 부르고뉴가 합스부르크 가문의 막시밀리안과 결혼하면서 합스부르크 가문의 세습이 되었다. 브라반트의 그 후 역사는 저지대 여러 나라 또는 네덜란드 17주 역사의 일부가 되었다.

80년 전쟁(1568년-1648년)에서 북부주(현재 노르트브라반트주)는 네덜란드군 관리하에 들어갔다.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 후, 네덜란드 공화국의 독립이 비준되어 북 브라반트는 공식으로 연방정부가 다스리는 영토로써 양도되었다.

남부는 남부 네덜란드로써 스페인,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하에 남았다. 1714년 지배권이 합스부르크 가문의 별개 계통인 오스트리아-합스부르크 가문으로 이관되었다. 1795년 남부 네덜란드가 프랑스 혁명군에게 점령되면서 브라반트 공국은 소멸되었다. 예전 영토는 되네세스(Deux-Nèthes, 프랑스 제1제정의 지방행정구획의 한곳. 현재 안트베르펜주), 딜(Dyle, 프랑스 제1제정 시대의 지방행정구획. 후에 브라반트주)로 재편되었다.

2. 4. 부르고뉴와 합스부르크 시대

브라반트 백국은 로타링기아 공국 내의 봉건 영지로 성립되어 959년 로타링기아 분할 이후 하로타링기아에 포함되었다. 이로 인해 이 땅은 중부 프랑크 왕국과 신성 로마 제국을 구성하는 일부가 되었다. 1085년에서 1086년경, 전임 브라반트 변경백이자 로타링기아 선제후였던 헬만 2세 사후, 이 영지는 루뱅 백작 앙리 3세에게 할양되었다.

1183년에서 1184년 브라반트 공국이 공식으로 성립되었다. 브라반트 공작의 세습칭호는 신성로마 황제 프리드리히 1세가 브라반트 공작 앙리 1세(하 로타링기아 공작 고드프루아 3세의 아들)를 위해 세워졌다. 브라반트 공국에 해당되는 나라는 아주 작았지만, 덴드르 강과 젠 강 사이의 영토로 한정됐음에도 불구하고, 브뤼셀의 서쪽에 위치하고, 이 나라의 이름은 13세기 이후 공작의 관리하에 있던 나라 전체에 적용되었다.

1190년 고드프루아 3세 사후 앙리 1세가 하 로타링기아 공작이 되었으나, 사실상 영토에 대한 권력은 없는 공작위였다. 의정서에 의하면 그의 자손 전원은 그 결과 브라반트 공작 및 하 로타링기아 공작이라고 불리게 되었으며, 흔히 로티에르 공작(Duke of Lothier)으로 부른다.

브라반트 공국의 지도; 영토는 현재 노르트브라반트주, 3개 벨기에 지방 안트베르펜, 브라방왈롱주플람스브라반트주, 브뤼셀 수도권 지역 등을 합친 것과 비슷하거나 더 크다.


1288년 보린겐 전투 후, 브라반트 공작은 림뷔르흐 공국과 오톨무즈(당시 리에주 사교령의 일부)를 얻었다. 1354년 자유 특권이 브라반트 공작 장 3세에 의해 브라반트 여러 도시의 시민에게 내려졌다. 1430년 하 로타링기아, 브라반트, 림뷔르흐 의 각 공작령은 부르고뉴의 선량공 필리프에게 계승되었다. 1477년 이 칭호는 부르고뉴 여공 마리 드 부르고뉴가 합스부르크 가문의 막시밀리안과 결혼하면서 그의 장남 필리프 아름다운 공 이후 합스부르크 가문의 세습이 되었다. 브라반트의 그 후 역사는 저지대 여러 나라 또는 네덜란드 17주 역사의 일부가 되었다.

80년 전쟁(1568년-1648년)에서 북부주(현재 노르트브라반트주)는 네덜란드군 관리하에 들어갔다.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 후, 네덜란드 공화국의 독립이 비준되어 북 브라반트는 공식으로 연방정부가 다스리는 영토로써 양도되었다.

남쪽은 남부 네덜란드로써 스페인,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하에 남았다. 1714년 지배권이 합스부르크 가문의 별개 계통인 오스트리아-합스부르크 가문으로 이관되었다. 1795년 남부 네덜란드가 프랑스 혁명군에게 점령되면서 브라반트 공국은 소멸되었다. 예전 영토는 되네세스(프랑스 제1제정의 지방행정구획의 한곳. 현재 안트베르펜주), 딜(프랑스 제1제정 시대의 지방행정구획. 후에 브라반트주)로 재편되었다.

2. 5. 80년 전쟁과 분할

브라반트 백국은 로타링기아 공국 내의 봉건 영지로서 성립되어 959년 로타링기아의 분할 후 하로타링기아 내에 포함되었다. 이 땅은 중부 프랑크 왕국과 신성 로마 제국을 구성하는 일부가 되었다. 1085년부터 1086년경, 로타링기아 선제후 헬만 2세 사후, 이 영지는 루뱅 백작 앙리 3세에게 할양되었다.

브라반트 공국은 1183년부터 1184년에 공식적으로 성립되었다. 브라반트 공작의 세습칭호는 신성로마 황제 프리드리히 1세가 브라반트 공작 앙리 1세(하 로타링기아 공작 고드프루아 3세 드 루벤의 아들)를 위해 세워졌다. 브라반트 공국에 해당되는 나라는 아주 작았지만, 덴드르 강과 젠 강 사이의 영토로 한정됐음에도 불구하고, 브뤼셀의 서쪽에 위치하고, 이 나라의 이름은 13세기 이후 공작의 관리하에 있던 나라 전체에 적용되었다.

1190년 고드프루아 3세 사후 앙리 1세가 하 로타링기아 공작이 되었으나, 사실상 영토에 대한 권력은 없는 공작위였다. 의정서에 의하면 그의 자손 전원은 브라반트 공작 및 하 로타링기아 공작이라고 불렸으며, 흔히 로티에르 공작으로 불렸다.

1288년 보린겐 전투 후, 브라반트 공작은 림뷔르흐 공국과 오톨무즈를 얻었다. 1354년 자유 특권이 브라반트 공작 장 3세에 의해 브라반트 여러 도시의 시민에게 내려졌다. 1430년 하 로타링기아, 브라반트, 림뷔르흐 의 각 공작령은 부르고뉴의 선량공 필리프에게 계승되었다. 1477년 이 칭호는 부르고뉴 여공 마리 드 부르고뉴가 합스부르크 가문의 막시밀리안과 결혼하면서 합스부르크 가문의 세습이 되었다.

80년 전쟁(1568년-1648년)에서 북부주(현재 노르트브라반트주)는 네덜란드군 관리하에 들어갔다.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 후, 네덜란드 공화국의 독립이 비준되어 북 브라반트는 공식으로 연방정부가 다스리는 영토로써 양도되었다.

남쪽은 남부 네덜란드로써 스페인,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하에 남았다. 1714년 지배권이 합스부르크 가문의 별개 계통인 오스트리아-합스부르크 가문으로 이관되었다. 1795년 남부 네덜란드가 프랑스 혁명군에게 점령되면서 브라반트 공국은 소멸되었다. 옛 영토는 되네세스(안트베르펜주)와 딜(브라반트주)로 재편되었다.

''Novissima et Accuratissima Brabantiae Ducatus Tabula'' (브라반트 공국의 가장 새롭고 정확한 지도); 헨드릭 혼디우스(Hendrik Hondius) 작, 1629년

2. 6. 프랑스 혁명과 소멸

브라반트 공국은 1795년 프랑스 혁명군에 의해 남부 네덜란드가 점령되면서 소멸했다. 옛 영토는 프랑스 제1제정의 행정 구역인 되네세스(Deux-Nèthes, 현재 안트베르펜주)와 딜(Dyle, 후일 브라반트주)로 재편되었다.

80년 전쟁(1568년-1648년) 동안 브라반트 공국의 북부 지역(현재 노르트브라반트주)은 네덜란드 군의 통제 하에 놓였다.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으로 네덜란드 공화국의 독립이 승인되면서 북 브라반트는 공식적으로 연방 정부가 다스리는 영토로 양도되었다.

남부 지역은 남부 네덜란드로서 스페인 합스부르크가의 지배를 받았다. 1714년 지배권은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가로 이관되었다.

3. 지리

1477년 브라반트 공국과 리에주 주교령

브라반트 공국(형용사: 브라반트 또는 브라반틴)은 역사적으로 각자의 수도를 가진 네 부분으로 나뉘어 있었다.[1] 네 수도는 뢰번, 브뤼셀, 앤트워프 그리고 스헤르토헨보스였다.[1] 스헤르토헨보스가 건설되기 전에는 티넨이 네 번째 수도였다.[1]

그 영토는 본질적으로 오늘날 벨기에의 세 주인 플랑드르 브라반트, 왈롱 브라반트 및 앤트워프 주; 브뤼셀 수도권; 그리고 오늘날 네덜란드의 노르트브라반트 주의 대부분을 포함했다.

4. 브라반트의 사자

현대 벨기에 국기의 색깔은 브라반트의 문장에서 유래한다. 문장은 "검은 바탕에 금색 사자, 발톱과 혀는 빨강"(''Sable a lion or armed and langued gules'')이다. 즉, 검은색 바탕에 붉은 발톱과 혀를 가진 금색 사자가 그려져 있다.

플로리스 드 메로드 레프다엘 남작이 알베르트 7세 대공의 장례식에서 제작한 브라반트 사자


아마도 루뱅 백작 람베르트 1세(재위 1003~1015년)가 처음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 사자는 1306년 케르펜(Kerpen)의 도시 인장에 림뷔르크의 붉은 사자와 함께 기록되어 있다. 현재까지도 브라반트 사자는 플랑드르 브라반트와 발롱 브라반트, 그리고 네덜란드의 노르트브라반트 주의 문장에서 주요 문장 요소로 사용되고 있다.

5. 브라반트의 도시

브라반트에는 성벽으로 둘러싸인 도시와 성벽이 없는 도시가 있었다. 성벽이 없는 도시는 성벽을 건설할 권리가 없었다. 성벽으로 둘러싸인 지역에서는 무역이 허용되었고, 이 권리는 일반적으로 인구 증가와 주요 마을, 그리고 후일 도시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성벽이 없는 도시들도 시장을 열 권리가 있었으며, 넓은 시장 광장에서 시장을 열었다. 이는 시장을 열 권리가 없었고 시장 광장도 없었던 주변 마을과 구분되는 특징이었다. 성벽이 없다는 것은 또한 이러한 곳들 중 일부가 전쟁과 네덜란드 독립 전쟁 동안 큰 피해를 입었다는 것을 의미했다.

'''뢰번 지역'''


  • 뢰번: 브라반트 공국의 원래 영역의 수도였던 도시로, 1425년부터 대학 도시였다.
  • 티넨: 뢰번의 동쪽에 위치하며, 역사적으로 리르디스트와 함께 네 개의 지역 수도 다음으로 큰 도시 중 하나였다.
  • 조틀뢰우: 티넨의 동쪽에 위치하며 브라반트 공국의 경계 근처에 있다. 번영했던 상업 도시였으며, 리에주와의 국경 근처에서 가장 큰 주둔지이기도 했다. 늪지가 조틀뢰우와 리에주를 갈라놓고 있다.
  • 란덴: 조틀뢰우의 남동쪽에 위치한 작은 주둔 도시이다. 하지만, 이곳의 남서쪽 근처에는 란덴의 페팽, 그의 아내 메츠의 이타/Itta de Metz프랑스어(성녀 이다), 그리고 그들의 딸인 성녀 니벨의 게르트루드뿐만 아니라 성 바보와 성 베가 등 많은 저명한 인물들이 살았다.
  • 아뉘: 란덴의 남쪽에 위치한 작은 주둔 도시였다.
  • 아르쇼 : 뢰번의 북동쪽에 위치하며, 한때 아르쇼 공국의 수도였다. "데메르" 양식의 고딕 건축으로 유명한 아름다운 건축물들이 있으며, 교회와 다른 중요한 건물들은 지역에서 나는 붉은 돌을 사용했다.
  • 셰르펀헤우벨: 아르쇼의 동쪽에 위치하며, 저지대 국가에서 유일한 바로크 양식의 도시였다. 현재까지도 중요한 순례지이다.
  • 지켐: 셰르펀헤우벨의 북쪽에 위치한 도시로, 네덜란드 독립 전쟁 중 파괴되어 그 이후로 '시골스럽고 미개발된 성격'을 유지하고 있다. 지역의 붉은 돌로 지어진 교회와 마아흐덴토렌(성모 마리아의 탑)은 지켐의 과거를 보여주는 인상적인 건물이다. 지켐은 한때 디스트 남작령의 일부였다.
  • 디스트: 셰르펜헤우벨의 동쪽에 위치하며, 네 개의 수도 다음으로 브라반트에서 가장 큰 도시 중 하나였고 중요한 양조 도시였다. 오늘날에도 과거의 많은 기념물들을 관광 명소로 보유하고 있다. 지켐과 브레다처럼 나사우 도시이다. 디스트는 또한 디스트 남작령과 그 영토의 수도였다.
  • 할렌: 제1차 세계 대전 중 "은빛 투구의 전투"가 벌어진 작은 주둔 도시로, 벨기에 왕립 기병대의 승리로 끝났다.
  • 조드와뉴: 티넨의 남쪽에 위치하며, 도시와 그 주변 지역은 흰색 돌로 유명하여 아름다운 전원 풍경을 자랑한다. 이 지역과 왈롱 브라반트의 다른 지역에서는 많은 전투가 벌어졌다.
  • 젬블루: 조드와뉴의 남서쪽에 위치하며, 젬블루 수도원의 아름다운 건물들로 유명하다.
  • 도르마알/Dormaalnl: 조틀뢰우 남쪽에 위치한다. 도시 권리를 가지고 있었지만 실제로 도시로 발전하지 못했고 마을로 간주될 수 있다.


'''브뤼셀 지역'''

  • 브뤼셀: 브라반트 공국의 수도이자, 과거 네덜란드 17주와 네덜란드 17주 남부의 수도였다. 현재는 벨기에 왕국의 수도이기도 하다. 왕실이 있었기 때문에 '귀족들의 도시'로 알려져 있다.

  • 니벨: 브뤼셀 남쪽에 위치하며, 생제르트르드 대성당으로 유명하다. 니벨의 성녀 제르트르드의 출생지이기도 하다.

  • 브라뇌르알뢰: 브뤼셀 남쪽에 위치하며, 워털루 전투가 벌어진 곳으로 유명하다. 당시 교회는 전투에서 발생한 사상자들을 위한 병원으로 사용되었다.

  • 제납: 니벨 동쪽에 위치하며, 시장 광장 주변으로 발전한 매력적인 구시가지를 가진 작은 도시이다.

  • 라 율프: 브라뇌르알뢰 북동쪽에 위치하며, 자체 소규모 영지 내에서 시장을 열고 사법권을 행사할 수 있었다. 최근에는 어니스트 솔베이의 거주지로 더 잘 알려져 있다.

  • 오베리즈: 브뤼셀 남동쪽에 위치하며, 자체 무역 시장과 베기나주, 옷감 상점을 가지고 있어 역사적으로 중요했지만, 도시는 큰 시장 광장 너머로 확장되지 않았다.

  • 테르뷔렌: 브뤼셀 동쪽에 위치하며, 브라반트 공작들과 합스부르크가의 전원 주택이었다. 옛 귀족 가문의 고풍스러운 저택들이 테르뷔렌을 특징짓는다. 최근에는 테르뷔렌 공원에 콩고 박물관이 위치해 있다.

  • 뒤스부르크: 테르뷔렌 남동쪽에 위치하며, 쿠덴베르크 수도원의 지배를 받아 도시로 발전하지 못했다.

  • 메르흐템: 브뤼셀 북서쪽에 위치하며, 비교적 작은 성벽 없는 도시였다.

  • 아세: 브뤼셀 서쪽에 위치하며, 더 큰 성벽 없는 도시 중 하나였다. 오늘날에는 오래된 병원과 시장 광장이 있다.

  • 와브르: 조도앵 서쪽에 위치하며, 현재는 왈롱 브라방의 수도이다.


'''앤트워프 지역'''

  • 앤트워프: 이 지역의 수도이자 브라반트 지역(브레다 백작령과 베르헌오프줌 변경백작령 포함)의 주교좌였다. 오늘날 앤트워프는 구시가지에 많은 훌륭한 상인 저택들이 남아 있는 무역과 상업의 도시이다.

  • 릴: 앤트워프의 남동쪽에 위치하며,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 부모의 결혼식 장소로 알려져 있다. 이 사건은 많은 미래의 정치적 변화를 가져왔다. 헤렌탈스는 릴의 동쪽에 위치하며, 숲 지역에 있는 도시이다. 잔드플리트는 앤트워프 북쪽에 위치하며, 남부 네덜란드를 방어하기 위해 건설된 주둔 도시이다.

  • 베르헌오프줌: 잔드플리트 북쪽에 있는 옛 요새화된 항구 도시이다.
  • 스텐베르헌: 베르헌오프줌 북쪽에 위치하며, 중요한 항구 도시였다.
  • 브레다: 앤트워프 북동쪽에 위치한 나사우 무역 도시 중 하나로, 요새화된 도시이자 중요한 군사 중심지였다(현재도 마찬가지이다).

  • 턴하우트: 법적으로는 성벽 도시였지만, 사실상 성벽이 없는 도시였다. 브라반트에서 가장 큰 성벽 없는 도시이다.
  • : 헤렌탈스 동쪽에 위치하며, 초기 및 현재의 의료 시설로 유명하다.
  • 호흐스트라텐: 안트베르펜 북동쪽에 위치하며, 호흐스트라텐 백작령의 수도였으며, 나중에는 살름 공작의 공국이 되었다.

  • 뒤펠: 안트베르펜 남쪽에 위치하며, 과거보다 현재 명성이 떨어졌다. 후기 중세의 중요한 영지였으나 전쟁으로 대부분 파괴되었다. 그 이름은 기억되고 있으며, 현재는 소형 군용 의류 휴대용 가방의 일반적인 명칭으로 사용된다.
  • 왈렘: 뒤펠 영지의 일부였으며, 마을 이상으로 성장하지 못했다.
  • 아렌돈크: 턴하우트 동쪽에 위치하며, 사냥에 사용하기 위한 매와 독수리 훈련으로 유명하다.

  • 메헬렌은 헤이스트-옵덴베르흐, 게스텔 지역과 함께 독립적인 국가를 형성했다.
  • 빌럼스타트, 헤르트루이덴베르흐, 클룬데르트는 홀란드 백작령의 일부였다.


'''스헤르토헨보스 지역'''

  • 스헤르토헨보스: 브라반트 지역의 중심 도시이자 주교좌가 있던 곳이다.[2]
  • 헤우즈던: 헤르토헨보스의 북서쪽에 위치하며, 군사적으로 "정복 불가능한 도시"로 여겨졌다. 옛 홀란트 백작령과 겔더른 백작령의 경계 근처에 있다.[2]
  • 헬몬트: 겔더른 백작에 대한 군사적 방어선으로 건설되었으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대규모 수성 요새가 있다.[2]
  • 라벤슈타인: 헤르토헨보스의 동쪽에 위치한다. 브라반트 공작의 봉신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1397년 클레베 공국의 일부가 되었다. 1795년까지 독립 영토로 남았다. 후대의 클레베 공국 공작은 그의 누이인 앤 클레브스를 잉글랜드로 보내 헨리 8세의 두 명의 생존한 왕비 중 한 명이 되게 했다.[2]
  • 메겜 (현재 메헌): 라벤슈타인의 북서쪽에 위치한다. 원래는 같은 이름의 백작령의 수도로 독립적인 작은 도시였으며, 후에 브라반트에 반독립적인 관계를 맺었다. 1357년 도시 권한을 부여받았다.[2]
  • 그라브: 라벤슈타인의 남동쪽에 위치한 브라반트 북동쪽의 작은 주둔 도시이자 '쿠이크 땅'의 수도였다. 1233년 도시 권한을 부여받았다. 그라브의 영주들은 때때로 브라반트 공작의 라이벌인 겔더른 공국 공작들과 연합했다. 1648년 '스타츠-브라반트'의 일부가 되었다.[2]
  • 아인트호벤: 유럽 최초의 '계획 도시' 중 하나로 시작한 직후인 1232년에 도시 권한을 부여받았다. 웅장한 성벽은 80년 전쟁에서 파괴되었고, 결코 재건되지 않았다.[2]
  • 오이르쇼트[2]
  • 오이스테르위크[2]
  • 발위크[2]
  • 뷔흐트[2]

5. 1. 뢰번 지역


  • 뢰번: 브라반트 공국의 원래 영역의 수도였던 도시로, 1425년부터 대학 도시였다.
  • 티넨: 뢰번의 동쪽에 위치하며, 역사적으로 리르디스트와 함께 네 개의 지역 수도 다음으로 큰 도시 중 하나였다.
  • 조틀뢰우: 티넨의 동쪽에 위치하며 브라반트 공국의 경계 근처에 있다. 번영했던 상업 도시였으며, 리에주와의 국경 근처에서 가장 큰 주둔지이기도 했다. 늪지가 조틀뢰우와 리에주를 갈라놓고 있다.
  • 란덴: 조틀뢰우의 남동쪽에 위치한 작은 주둔 도시이다. 하지만, 이곳의 남서쪽 근처에는 란덴의 페팽, 그의 아내 메츠의 이타/Itta de Metz프랑스어(성녀 이다), 그리고 그들의 딸인 성녀 니벨의 게르트루드뿐만 아니라 성 바보와 성 베가 등 많은 저명한 인물들이 살았다.
  • 아뉘: 란덴의 남쪽에 위치한 작은 주둔 도시였다.
  • 아르쇼 : 뢰번의 북동쪽에 위치하며, 한때 아르쇼 공국의 수도였다. "데메르" 양식의 고딕 건축으로 유명한 아름다운 건축물들이 있으며, 교회와 다른 중요한 건물들은 지역에서 나는 붉은 돌을 사용했다.
  • 셰르펀헤우벨: 아르쇼의 동쪽에 위치하며, 저지대 국가에서 유일한 바로크 양식의 도시였다. 현재까지도 중요한 순례지이다.
  • 지켐: 셰르펀헤우벨의 북쪽에 위치한 도시로, 네덜란드 독립 전쟁 중 파괴되어 그 이후로 '시골스럽고 미개발된 성격'을 유지하고 있다. 지역의 붉은 돌로 지어진 교회와 마아흐덴토렌(성모 마리아의 탑)은 지켐의 과거를 보여주는 인상적인 건물이다. 지켐은 한때 디스트 남작령의 일부였다.
  • 디스트: 셰르펜헤우벨의 동쪽에 위치하며, 네 개의 수도 다음으로 브라반트에서 가장 큰 도시 중 하나였고 중요한 양조 도시였다. 오늘날에도 과거의 많은 기념물들을 관광 명소로 보유하고 있다. 지켐과 브레다처럼 나사우 도시이다. 디스트는 또한 디스트 남작령과 그 영토의 수도였다.
  • 할렌: 제1차 세계 대전 중 "은빛 투구의 전투"가 벌어진 작은 주둔 도시로, 벨기에 왕립 기병대의 승리로 끝났다.
  • 조드와뉴: 티넨의 남쪽에 위치하며, 도시와 그 주변 지역은 흰색 돌로 유명하여 아름다운 전원 풍경을 자랑한다. 이 지역과 왈롱 브라반트의 다른 지역에서는 많은 전투가 벌어졌다.
  • 젬블루: 조드와뉴의 남서쪽에 위치하며, 젬블루 수도원의 아름다운 건물들로 유명하다.
  • 도르마알/Dormaalnl: 조틀뢰우 남쪽에 위치한다. 도시 권리를 가지고 있었지만 실제로 도시로 발전하지 못했고 마을로 간주될 수 있다.

5. 2. 브뤼셀 지역

브뤼셀(City of Brussels)은 브라반트 공국의 수도이자, 과거 네덜란드 17주와 네덜란드 17주 남부의 수도였다. 현재는 벨기에 왕국의 수도이기도 하다. 왕실이 있었기 때문에 '귀족들의 도시'로 알려져 있다.

빌보르데(Vilvoorde)는 브뤼셀 북쪽에 위치하며, 1779년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최초의 현대식 교도소가 이곳에 문을 열었다.

니벨(Nivelles)은 브뤼셀 남쪽에 위치하며, 생제르트르드 대성당(Collegiate Church of Saint Gertrude)으로 유명하다. 니벨의 성녀 제르트르드(Saint Gertrude of Nivelles)의 출생지이기도 하다.

브라뇌르알뢰(Braine-l'Alleud)는 브뤼셀 남쪽에 위치하며, 워털루 전투(Battle of Waterloo)가 벌어진 곳으로 유명하다. 당시 교회는 전투에서 발생한 사상자들을 위한 병원으로 사용되었다.

제납(Genappe)은 니벨 동쪽에 위치하며, 시장 광장 주변으로 발전한 매력적인 구시가지를 가진 작은 도시이다.

라 율프(La Hulpe)는 브라뇌르알뢰 북동쪽에 위치하며, 자체 소규모 영지 내에서 시장을 열고 사법권을 행사할 수 있었다. 최근에는 어니스트 솔베이(Ernest Solvay)의 거주지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오베리즈(Overijse)는 브뤼셀 남동쪽에 위치하며, 자체 무역 시장과 베기나주(Béguinage), 옷감 상점을 가지고 있어 역사적으로 중요했지만, 도시는 큰 시장 광장 너머로 확장되지 않았다.

테르뷔렌(Tervuren)은 브뤼셀 동쪽에 위치하며, 브라반트 공작들과 합스부르크가의 전원 주택이었다. 옛 귀족 가문의 고풍스러운 저택들이 테르뷔렌을 특징짓는다. 최근에는 테르뷔렌 공원에 콩고 박물관이 위치해 있다.

뒤스부르크는 테르뷔렌 남동쪽에 위치하며, 쿠덴베르크 수도원(Coudenberg)의 지배를 받아 도시로 발전하지 못했다.

메르흐템(Merchtem)은 브뤼셀 북서쪽에 위치하며, 비교적 작은 성벽 없는 도시였다.

아세(Asse)는 브뤼셀 서쪽에 위치하며, 더 큰 성벽 없는 도시 중 하나였다. 오늘날에는 오래된 병원과 시장 광장이 있다.

와브르(Wavre)는 조도앵 서쪽에 위치하며, 현재는 왈롱 브라방의 수도이다.

5. 3. 앤트워프 지역

앤트워프는 이 지역의 수도이자 브라반트 지역(브레다 백작령과 베르헌오프줌 변경백작령 포함)의 주교좌였다. 오늘날 앤트워프는 구시가지에 많은 훌륭한 상인 저택들이 남아 있는 무역과 상업의 도시이다.

릴은 앤트워프의 남동쪽에 위치하며,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 부모의 결혼식 장소로 알려져 있다. 이 사건은 많은 미래의 정치적 변화를 가져왔다. 헤렌탈스는 릴의 동쪽에 위치하며, 숲 지역에 있는 도시이다. 잔드플리트는 앤트워프 북쪽에 위치하며, 남부 네덜란드를 방어하기 위해 건설된 주둔 도시이다.

베르헌오프줌은 잔드플리트 북쪽에 있는 옛 요새화된 항구 도시이다. 스텐베르헌은 베르헌오프줌 북쪽에 위치하며, 중요한 항구 도시였다. 브레다는 앤트워프 북동쪽에 위치한 나사우 무역 도시 중 하나로, 요새화된 도시이자 중요한 군사 중심지였다(현재도 마찬가지이다).

턴하우트는 법적으로는 성벽 도시였지만, 사실상 성벽이 없는 도시였다. 브라반트에서 가장 큰 성벽 없는 도시이다. 은 헤렌탈스 동쪽에 위치하며, 초기 및 현재의 의료 시설로 유명하다. 호흐스트라텐은 안트베르펜 북동쪽에 위치하며, 호흐스트라텐 백작령의 수도였으며, 나중에는 살름 공작의 공국이 되었다.

뒤펠은 안트베르펜 남쪽에 위치하며, 과거보다 현재 명성이 떨어졌다. 후기 중세의 중요한 영지였으나 전쟁으로 대부분 파괴되었다. 그 이름은 기억되고 있으며, 현재는 소형 군용 의류 휴대용 가방의 일반적인 명칭으로 사용된다. 왈렘은 뒤펠 영지의 일부였으며, 마을 이상으로 성장하지 못했다. 아렌돈크는 턴하우트 동쪽에 위치하며, 사냥에 사용하기 위한 매와 독수리 훈련으로 유명하다.

메헬렌은 헤이스트-옵덴베르흐, 게스텔 지역과 함께 독립적인 국가를 형성했다. 빌럼스타트, 헤르트루이덴베르흐, 클룬데르트는 홀란드 백작령의 일부였다.

5. 4. 스헤르토헨보스 지역


  • 헤르토헨보스(’s-Hertogenbosch): 브라반트 지역의 중심 도시이자 주교좌가 있던 곳이다.[2]
  • 헤우즈던: 헤르토헨보스의 북서쪽에 위치하며, 군사적으로 "정복 불가능한 도시"로 여겨졌다. 옛 홀란트 백작령과 겔더른 백작령의 경계 근처에 있다.[2]
  • 헬몬트: 겔더른 백작에 대한 군사적 방어선으로 건설되었으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대규모 수성 요새가 있다.[2]
  • 라벤슈타인: 헤르토헨보스의 동쪽에 위치한다. 브라반트 공작의 봉신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1397년 클레베 공국의 일부가 되었다. 1795년까지 독립 영토로 남았다. 후대의 클레베 공국 공작은 그의 누이인 앤 클레브스를 잉글랜드로 보내 헨리 8세의 두 명의 생존한 왕비 중 한 명이 되게 했다.[2]
  • 메겜 (현재 메헌): 라벤슈타인의 북서쪽에 위치한다. 원래는 같은 이름의 백작령의 수도로 독립적인 작은 도시였으며, 후에 브라반트에 반독립적인 관계를 맺었다. 1357년 도시 권한을 부여받았다.[2]
  • 그라브: 라벤슈타인의 남동쪽에 위치한 브라반트 북동쪽의 작은 주둔 도시이자 '쿠이크 땅'의 수도였다. 1233년 도시 권한을 부여받았다. 그라브의 영주들은 때때로 브라반트 공작의 라이벌인 겔더른 공국 공작들과 연합했다. 1648년 '스타츠-브라반트'의 일부가 되었다.[2]
  • 아인트호벤: 유럽 최초의 '계획 도시' 중 하나로 시작한 직후인 1232년에 도시 권한을 부여받았다. 웅장한 성벽은 80년 전쟁에서 파괴되었고, 결코 재건되지 않았다.[2]
  • 오이르쇼트(Oirschot)[2]
  • 오이스테르위크(Oisterwijk)[2]
  • 발위크(Waalwijk)[2]
  • 뷔흐트(Vught)[2]

참조

[1] 서적 Modern History Or the Present State of All Nations https://books.google[...]
[2] 웹사이트 Alfabetisch overzicht van de stadsrechten in Nederland http://www.stadsrech[...] 2016-07-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