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핀란드 언어투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핀란드 언어투쟁은 핀란드에서 스웨덴어와 핀란드어의 지위 다툼을 말한다. 스웨덴 제국 시기 스웨덴어가 행정 및 교육 언어였으나, 19세기 핀란드 민족주의가 대두되면서 핀란드어의 위상이 높아졌다. 핀란드 대공국 시기 스웨덴어를 옹호하는 스베코마니아와 핀란드어를 옹호하는 페노마니아의 갈등이 심화되었고, 1863년 핀란드어가 스웨덴어와 동등한 공용어로 인정받았다. 핀란드의 독립 이후에도 언어 갈등은 지속되었으며, 1919년 헌법은 핀란드어와 스웨덴어를 동등한 공용어로 규정했다. 20세기 후반에도 학교에서의 스웨덴어 의무 교육 문제 등 언어 분쟁은 계속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란드어 - 메앤키엘리
    메앤키엘리는 스웨덴 북부 토르네 강 계곡에서 쓰이는 핀란드어 기반의 소수 언어로, 스웨덴어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으로 발전했으며, 스웨덴 소수 언어로 인정받아 보존 노력이 이어지고 있고, 핀란드어 방언인지 독립적인 언어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 핀란드어 - 핀란드어 철자법
    핀란드어 철자법은 핀란드어의 문자와 발음을 규정하는 체계로, ISO 기본 라틴 문자 외에 Ä, Ö, Å 등을 사용하며, B, C, F, Q, W, X, Z 등은 주로 외래어에 쓰인다.
  • 핀란드의 사회사 - 바크스투가
    바크스투가는 스웨덴 예테보리 북쪽에서 발견되는 언덕 경사면 오두막집으로, 작은 면적과 낮은 층, 땅 속에 묻힌 벽을 특징으로 하며 하층민의 주거 공간이나 교구의 빈민 구제 방식으로 활용되었으나 빈곤 완화로 사라졌다.
  • 핀란드의 사회사 - 적위대 행진곡
    적위대 행진곡은 핀란드 인민이 내각의 억압에 저항하며 인민민주주의 쟁취를 염원하고, 억압에 굴하지 않고 적위대 깃발 아래 뭉쳐 싸우며 미래의 인민민주주의에 대한 희망을 노래하는 곡이다.
핀란드 언어투쟁
개요
명칭핀란드 언어 투쟁
스웨덴어Finska språkstriden (핀스카 스프라크스트리덴)
핀란드어Suomen kielitaistelu (수오멘 키엘리타이스텔루)
시기19세기
장소핀란드
원인핀란드 내 스웨덴어와 핀란드어의 지위 및 사용에 대한 갈등
목표핀란드어의 공용어 지위 확보
핀란드 문화 및 정체성 강화
배경
스웨덴어의 지배적 지위핀란드는 오랫동안 스웨덴의 지배를 받아왔으며, 스웨덴어가 행정, 교육, 문화 등 사회 전반에서 지배적인 언어로 사용됨.
핀란드 인구의 소수가 스웨덴어를 모국어로 사용했으며, 이들은 사회 엘리트 계층을 형성함.
핀란드 민족주의의 부상19세기 핀란드 민족주의가 부상하면서 핀란드어의 지위 향상과 핀란드 문화의 발전이 중요하게 여겨짐.
주요 사건 및 인물
스넬만요한 빌헬름 스넬만 (Johan Vilhelm Snellman): 핀란드 철학자이자 정치가로, 핀란드어의 지위 향상을 옹호하고 핀란드 민족주의 운동을 이끔.
핀란드어 교육 확대, 핀란드어 문학 발전 등을 주장함.
핀란드 문학 협회 설립1831년 핀란드 문학 협회 (Suomalaisen Kirjallisuuden Seura)가 설립되어 핀란드어 문학 및 문화 연구를 장려함.
언어 칙령1863년 언어 칙령 (språkförordningen): 핀란드어를 스웨덴어와 동등한 공용어로 인정하는 법령이 발표됨.
핀란드어 사용 권리 확대 및 핀란드어 교육 강화에 기여함.
페노마니아 운동핀란드어를 옹호하고 핀란드 민족주의를 고취하는 페노마니아 (Fennomania)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됨.
결과 및 영향
핀란드어의 지위 강화핀란드어는 점차 스웨덴어와 동등한 지위를 확보하고, 핀란드 사회에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함.
핀란드 문화 발전핀란드어 문학, 예술, 음악 등이 발전하고 핀란드 문화 정체성이 강화됨.
사회적 갈등언어 투쟁은 핀란드 사회 내에서 스웨덴어 사용자와 핀란드어 사용자 간의 갈등을 야기하기도 함.
핀란드 독립핀란드 언어 투쟁은 핀란드 민족주의 운동의 중요한 부분이었으며, 1917년 핀란드 독립에 기여함.
현대적 의의
언어 권리핀란드 언어 투쟁은 소수 언어의 권리 옹호 및 다문화 사회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례로 평가됨.
문화 정체성핀란드 문화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핀란드 사회의 다양성을 이해하는 데 기여함.

2. 배경

스웨덴 왕국 시기 핀란드의 행정 및 교육 언어는 스웨덴어였으며, 핀란드에서 고등 교육을 받기 위해서는 스웨덴어를 배워야 했다. 핀란드 유산층은 핀란드어를 "농노들이나 사용하는 언어"로 간주하였다.[12][13] 미카엘 아그리콜라는 1500년대에 Abckiria를 시작으로 핀란드어로 저술을 시작하였고, 1759년에는 1734년 민법전의 핀란드어 번역본(''Ruotzin waldacunnan laki'')이 출판되었지만, 행정상의 공식 언어가 스웨덴어였기 때문에 이러한 핀란드어 출판물은 법적 출판물로서의 공식적인 지위를 얻지 못했다.[14] 스웨덴 농민들이 핀란드 해안 지역으로 이주하여 정착한 것도 스웨덴어의 위상을 높였다.[12][13]

핀란드 전쟁 (1809년) 결과, 스웨덴은 핀란드를 러시아에 할양하였다. 핀란드는 러시아 제국 내에서 자치권을 얻은 핀란드 대공국이 되었다.[15] 러시아 통치 하에서도 핀란드의 법률은 크게 변경되지 않았으며, 스웨덴어는 계속해서 행정 언어로 사용되었다.[14]

19세기 후반, 핀란드의 교육 수준을 높이고자 했던 스웨덴어 화자 요한 빌헬름 스넬만은 러시아어나 핀란드어를 사용하던 교육 수준이 높은 계층 다수의 언어 전환에 대해 우려하였고, 그로 인해 1850년대 분쟁의 주요 주도자가 되었다.[16] 그는 1860년에 사크리스 토펠리우스에게 다음과 같이 썼다. ''"제 관점은 이렇습니다: 러시아어와 핀란드어 중 무엇이 이길지는 오직 신만이 압니다. 저는 감히 아무것도 희망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스웨덴어가 패배하리라는 것은 확실히 압니다"''.[16] 엘리아스 뢴로트는 최초의 핀란드어-스웨덴어 사전(''Finsk-Svenskt lexikon'')을 1880년에 완성해냈다.[17]

2. 1. 스웨덴의 핀란드 지배

스웨덴 왕국 시기 핀란드의 행정 및 교육 언어는 스웨덴어였으며, 핀란드에서 고등 교육을 받기 위해서는 스웨덴어를 배워야 했다. 핀란드 유산층은 핀란드어를 "농노들이나 사용하는 언어"로 간주하였다.[12][13] 미카엘 아그리콜라는 1500년대에 Abckiria를 시작으로 핀란드어로 저술을 시작하였고, 1759년에는 1734년 민법전의 핀란드어 번역본(''Ruotzin waldacunnan laki'')이 출판되었지만, 행정상의 공식 언어가 스웨덴어였기 때문에 이러한 핀란드어 출판물은 법적 출판물로서의 공식적인 지위를 얻지 못했다.[14] 스웨덴 농민들이 핀란드 해안 지역으로 이주하여 정착한 것도 스웨덴어의 위상을 높였다.[12][13]

2. 2. 러시아의 핀란드 지배

핀란드 전쟁 (1809년) 결과, 스웨덴은 핀란드를 러시아에 할양하였다. 핀란드는 러시아 제국 내에서 자치권을 얻은 핀란드 대공국이 되었다.[15] 러시아 통치 하에서도 핀란드의 법률은 크게 변경되지 않았으며, 스웨덴어는 계속해서 행정 언어로 사용되었다.[14]

19세기 후반, 핀란드의 교육 수준을 높이고자 했던 스웨덴어 화자 요한 빌헬름 스넬만은 러시아어나 핀란드어를 사용하던 교육 수준이 높은 계층 다수의 언어 전환에 대해 우려하였고, 그로 인해 1850년대 분쟁의 주요 주도자가 되었다.[16] 그는 1860년에 사크리스 토펠리우스에게 다음과 같이 썼다. ''"제 관점은 이렇습니다: 러시아어와 핀란드어 중 무엇이 이길지는 오직 신만이 압니다. 저는 감히 아무것도 희망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스웨덴어가 패배하리라는 것은 확실히 압니다"''.[16] 엘리아스 뢴로트는 최초의 핀란드어-스웨덴어 사전(''Finsk-Svenskt lexikon'')을 1880년에 완성해냈다.[17]

3. 19세기 핀란드 민족주의와 언어 분쟁

19세기 페노마니아 운동과 핀란드 민족주의가 부상하면서 핀란드 사회에서 핀란드어가 다시 우세한 언어가 되었다. 19세기 중반 이후 스웨덴어를 사용하는 핀란드 상류층이 의도적으로 핀란드 문화와 언어를 촉진하기 시작하였고, 이는 핀란드 민족주의에 크게 기여했다. 요한 빌헬름 스넬만은 스웨덴계였으며 나중에 귀족이 되었다. 이 핀란드 스웨덴인들은 페노만으로 알려졌으며, 가족 이름을 핀란드화하고, 핀란드어를 배우고, 공공 장소와 가정에서 모두 핀란드어를 사용하는 것을 강조했다. 페노마니아 운동에 동참한 스웨덴어 사용 핀란드인들은 자기 성씨를 핀란드어화 하였으며, 핀란드어를 공부하였고, 가정과 공공 장소 모두에서 핀란드어를 사용하였다.

탐페레의 묘지, 스웨덴 성씨 'Kyander'와 핀란드화된 'Kiianmies'를 보여준다.


그러나 스웨덴어를 사용하는 또 다른 집단인 스베코마니아는 스웨덴어의 공용어 지위를 지키고자 하였고, 페노마니아 운동과 개혁에 반대하였다.

1863년 알렉산드르 2세(AsK 26/1863)는 핀란드어가 스웨덴어와 동등한 지위에 놓인 공용어라고 판결하였다.[18][19][20] 그 후 핀란드어는 법률 및 국가 기관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될 수 있었다.[7][11][8] 한 세대만에 핀란드어 사용은 핀란드 정부와 사회에서 우세해졌다.

3. 1. 페노마니아 운동과 스베코마니아 운동

19세기 페노마니아 운동과 핀란드 민족주의가 부상하면서 핀란드 사회에서 핀란드어가 다시 우세한 언어가 되었다.[18][19][20] 19세기 중반 이후 스웨덴어를 사용하는 핀란드 상류층은 의도적으로 핀란드 문화와 언어를 촉진하기 시작하였고, 이는 핀란드 민족주의에 크게 기여했다.[7][11][8] 페노마니아 운동에 동참한 스웨덴어 사용 핀란드인들은 자기 성씨를 핀란드어화 하였으며, 핀란드어를 공부하였고, 가정과 공공 장소 모두에서 핀란드어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스웨덴어를 사용하는 또 다른 집단인 스베코만은 스웨덴어의 공용어 지위를 지키고자 하였고, 페노마니아 운동과 개혁에 반대하였다.

1863년 알렉산드르 2세는 핀란드어가 스웨덴어와 동등한 지위에 놓인 공용어라고 판결하였다. 그 후 핀란드어는 법률 및 국가 기관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될 수 있었다. 한 세대만에 핀란드어 사용은 핀란드 정부와 사회에서 우세해졌다.

니콜라이 2세는 핀란드의 러시아화를 통해 공식 언어를 러시아어로 변경하려고 시도하였지만, 핀란드인은 1905년 총파업을 이끌어내 러시아화를 중단해냈다.

3. 2. 1863년 언어 법령

19세기 페노마니아 운동과 핀란드 민족주의가 부상하면서 핀란드 사회에서 핀란드어가 다시 우세한 언어가 되었다.[18][19][20] 스웨덴어를 사용하는 핀란드 상류층은 의도적으로 핀란드 문화와 언어를 촉진하였고,이는 핀란드 민족주의에 크게 기여했다.[7][11][8] 페노마니아 운동에 동참한 스웨덴어 사용 핀란드인들은 자기 성씨를 핀란드어화 하였으며, 핀란드어를 공부하였고, 가정과 공공 장소 모두에서 핀란드어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스웨덴어를 사용하는 또 다른 집단인 스베코마니아는 스웨덴어의 공용어 지위를 지키고자 하였고, 페노마니아 운동과 개혁에 반대하였다.

1863년 알렉산드르 2세는 핀란드어가 스웨덴어와 동등한 지위에 놓인 공용어라고 판결하였다.[18][19][20] 그 후 핀란드어는 법률 및 국가 기관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될 수 있었다. 한 세대만에 핀란드어 사용은 핀란드 정부와 사회에서 우세해졌다.

4. 20세기 초 핀란드의 독립과 언어 분쟁의 심화

1905년 총파업니콜라이 2세의 핀란드 러시아화 정책에 대한 저항이었다. 핀란드 독립 이후, 핀란드 내전과 올란드 위기로 인해 핀란드-스웨덴 관계가 악화되면서 언어 분쟁도 심화되었다. 1920년대와 1930년대 핀란드 국내 정치의 주요 특징은 스웨덴어와 핀란드어에 대한 논쟁이었다.

1919년 핀란드 헌법은 핀란드어와 스웨덴어를 동등한 공용어로 지정했지만, 언어 갈등은 계속되었다. 특히, 헬싱키 대학교를 포함한 고등 교육 기관에서 스웨덴어의 역할과 스웨덴어로 강의하는 교수의 수를 둘러싼 갈등이 있었다. 전간기 동안, 헬싱키 대학교는 핀란드어 사용을 증진시키려는 사람들과 스웨덴어 사용을 유지하려는 사람들 사이의 갈등의 장이 되었다.[9] 지리학자 배이뇌 타너는 스웨덴어의 가장 목소리 높은 옹호자 중 한 명이었다.[10] 핀란드 스웨덴 인민당이 시작한 캠페인은 1934년 10월 의회와 정부에 제출된 청원에서 스웨덴어를 옹호하는 153,914개의 서명을 수집했다.[9] 대학교의 갈등은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아이슬란드의 학자들이 각국 주재 핀란드 외교 대표에게 스웨덴어의 역할을 줄이면 북유럽의 단결이 약화될 것이라고 경고하는 서한을 보내면서 국제적인 반응을 불러일으켰다.[9]

1935년 헬싱키요한 빌헬름 스넬만 동상 앞에서 핀란드어의 지위를 요구하는 시위.


정부는 1923년 1월 1일 핀란드어와 스웨덴어를 동등한 지위로 만드는 언어 법령을 발표했다.[11]

소련과의 겨울 전쟁 (1939–1940) 이후 42만 명 이상의 카렐리야 난민의 재정착 과정에서, 스웨덴어를 사용하는 소수 민족은 새로운 핀란드어를 사용하는 정착민들이 그들의 지역 사회의 언어 균형을 바꿀 것을 두려워했다. 20세기 후반부터 학교에서의 의무적인 스웨덴어 수업 정책을 계속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어왔다.

4. 1. 1919년 헌법과 언어 갈등

1917년 핀란드가 독립한 후, 핀란드 내전과 올란드 위기로 인해 핀란드-스웨덴 간 관계가 악화되었다.[21] 1920년대와 1930년대 핀란드 국내 정치의 주요 특징은 스웨덴어와 핀란드어에 대한 논쟁이었다.

1919년 핀란드 헌법은 핀란드어와 스웨덴어를 공용어로서 동등한 지위를 보장했다.[21] 그러나 헬싱키 대학교 등 고등 교육 기관에서 스웨덴어의 역할, 특히 스웨덴어 사용 교수의 비율 등을 둘러싼 논쟁이 계속되었다.[21] 지리학자 배이뇌 타너는 가장 강경하였던 스웨덴어 옹호자 중 한명이었다.[22] 핀란드 스웨덴인당은 1934년 10월 핀란드 의회와 정부에 스웨덴어 옹호자 153,914명이 서명한 탄원서를 제출하였다.[21]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아이슬란드의 학자들은 핀란드 외교관들에게 '대학에서 스웨덴어의 비중이 감소하면 북유럽 통합이 약화될 것'이라고 경고하는 서한을 보냈으며, 이는 핀란드 대학에서 일어나는 언어투쟁에 대한 국제적 반응을 불러일으켰다.[21]

핀란드 정부는 1923년 1월 1일 핀란드어와 스웨덴어의 지위가 동등하다는 언어 법령을 발표했다.[19]

소련과의 겨울 전쟁 이후, 42만명 이상의 카리알라 난민이 핀란드로 재정착하였다. 핀란드의 스웨덴어 화자들은 핀란드어를 사용하는 난민들이 핀란드의 언어 균형을 무너뜨릴 것을 두려워하였다.

4. 2. 국제사회의 반응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학자들은 핀란드 외교관들에게 '헬싱키 대학교에서 스웨덴어의 비중이 감소하면 북유럽 통합이 약화될 것'이라고 경고하는 서한을 보냈다.[21][9] 이는 핀란드 대학에서 일어나는 언어투쟁에 대한 국제적 반응을 불러일으켰다.[21] 핀란드 정부는 1923년 1월 1일 핀란드어와 스웨덴어의 지위가 동등하다는 언어 법령을 발표했다.[19][11]

5. 20세기 후반의 언어 분쟁

겨울 전쟁(1939–1940) 이후 42만 명 이상의 카렐리야 난민의 재정착 과정에서, 스웨덴어를 사용하는 소수 민족은 새로운 핀란드어를 사용하는 정착민들이 그들의 지역 사회의 언어 균형을 바꿀 것을 두려워했다.[9] 20세기 후반부터 학교에서의 의무적인 스웨덴어 수업 정책을 계속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어왔다.

6. 현대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6. 1. 대한민국 사회의 다양성과 언어 문제

6. 2. 핀란드 사례의 교훈

참조

[1] 웹사이트 Aleksis Kivi - Kansalliskirjailija http://www.aleksiski[...] 2017-12-10
[2] 웹사이트 Suomen kielen asema http://opinnot.inter[...] Otavan Opisto 2017-12-10
[3] 웹사이트 Sprengtporten, Georg Magnus (1740 - 1819) https://kansallisbio[...] 2017-12-07
[4] 웹사이트 Suomen kieli vallan kielenä https://journal.fi/t[...] 2017-12-10
[5] 웹사이트 Snellman, Johan Vilhelm (1806 - 1881) https://kansallisbio[...] 2017-11-24
[6] 웹사이트 Lönnrot, Elias (1802 - 1884) https://kansallisbio[...] Biografiakeskus 2017-12-10
[7] 웹사이트 1863 kieliasetus http://suomifinland1[...] 2017-12-11
[8] 서적 Modern Finland: Portrait of a Flourishing Society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6-10-04
[9] 웹사이트 Universitetsadresserna http://uppslagsverke[...] 2017-11-30
[10] 웹사이트 Tanner, Väinö http://uppslagsverke[...] 2017-11-30
[11] 웹사이트 Keisarivierailu vauhditti yhteiskunnan muutosta https://yle.fi/aihe/[...] Yle 2017-12-11
[12] 웹인용 Aleksis Kivi - Kansalliskirjailija http://www.aleksiski[...] 2017-12-10
[13] 웹인용 Suomen kielen asema http://opinnot.inter[...] Otavan Opisto 2017-12-10
[14] 웹인용 Suomen kieli vallan kielenä https://journal.fi/t[...] 2017-12-10
[15] 웹인용 Sprengtporten, Georg Magnus (1740 - 1819) https://kansallisbio[...] 2017-12-07
[16] 웹인용 Snellman, Johan Vilhelm (1806 - 1881) https://kansallisbio[...] 2017-11-24
[17] 웹인용 Lönnrot, Elias (1802 - 1884) https://kansallisbio[...] Biografiakeskus 2017-12-10
[18] 웹인용 1863 kieliasetus http://suomifinland1[...] 2017-12-11
[19] 웹인용 Keisarivierailu vauhditti yhteiskunnan muutosta https://yle.fi/aihe/[...] Yle 2017-12-11
[20] 서적 Modern Finland: Portrait of a Flourishing Society https://books.google[...] McFarland
[21] 웹인용 Universitetsadresserna http://uppslagsverke[...] 2017-11-30
[22] 웹인용 Tanner, Väinö http://uppslagsverke[...] 2017-1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