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필리프 판 파레이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리프 판 파레이스는 벨기에 출신의 철학자이자 정치경제학자로, 브뤼셀 생 루이 대학교, 루뱅 가톨릭 대학교 등에서 다양한 학문을 공부했다. 그는 루뱅 가톨릭 대학교 경제, 사회, 정치 과학부 교수로 재직하며, 하버드 대학교 객원 교수, 옥스퍼드 너필드 칼리지 선임 연구원을 역임했다. 판 파레이스는 기본 소득의 제창자이자 옹호자로, 저서 『모두를 위한 진정한 자유』를 통해 기본 소득의 정당성과 실현 가능성을 제시했다. 언어 정의 개념을 통해 영어의 특권으로 인한 불의에 대처하기 위한 조치를 논의하며, 언어세와 같은 방안을 제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기에의 철학자 - 장 브리크몽
    장 브리크몽은 벨기에 출신의 과학자이자 과학적 합리성을 옹호하며, 앨런 소칼과 함께 《지적 사기》를 저술하고 프랑스 과학 정보 협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표현의 자유를 옹호하는 인물이다.
  • 벨기에의 철학자 - 시제루스
    시제루스는 13세기 파리 대학교 총장이자 철학자로, 아리스토텔레스주의와 아베로에스의 사상을 바탕으로 이성과 신앙의 관계에 대한 독자적인 견해를 제시하고 이중 진리설 옹호 비판, 지성 분리 주장을 지지하며 교황 무오류설 비판과 좋은 법의 중요성 강조 등 스콜라 철학계에 논쟁을 일으키고 후대에 문화적 영향을 미쳤다.
  • 벨기에의 경제학자 - 로베르 트리핀
    벨기에 출신 경제학자 로베르 트리핀은 브레튼 우즈 체제의 모순을 지적한 '트리핀 딜레마' 제시, 유럽 통화 시스템 개발 및 유럽 중앙 은행 설립 지지 등 국제 통화 및 금융 시스템 개혁과 유럽 통합에 기여하여 남작 작위를 받았다.
  • 벨기에의 경제학자 - 헤르만 반 롬푀이
    헤르만 반 롬푀이는 벨기에 정치인으로, 유럽 이사회 초대 의장을 역임하며 유럽 경제 위기 극복에 기여했고, 벨기에 총리, 하원 의장 등을 거쳤으며, 네덜란드어 하이쿠 작가로도 활동했다.
  • 옥스퍼드 대학교 동문 - 시아오시 투포우 5세
    시아오시 투포우 5세는 통가의 제23대 국왕으로, 외무장관을 역임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다 2006년 즉위 후 민주주의 개혁을 추진하고 권력을 이양하는 등 통가의 정치 개혁에 힘썼으나 결혼하지 않아 왕위 계승권이 있는 자녀는 없었다.
  • 옥스퍼드 대학교 동문 - 찰스 틸리
    찰스 틸리는 미국의 사회학자, 정치학자, 역사학자로, 역사 사회학, 사회 운동, 국가 형성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며 관계적, 과정 중심적 접근 방식으로 사회과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필리프 판 파레이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출생 이름Philippe Van Parijs
분야서양 철학
시대20세기 철학, 21세기 철학
출생일1951년 5월 23일
출생지브뤼셀, 벨기에
국적벨기에
학교/전통분석적 마르크스주의
좌파 자유지상주의
주요 관심사정치 철학, 정치 경제, 분배 정의
주요 아이디어보편적 기본 소득, 언어 정의, 언어세, 실질적 자유
모교UC 버클리
빌레펠트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루뱅 가톨릭 대학교
브뤼셀 생루이 대학교
소속 기관너필드 칼리지, 옥스퍼드, 루뱅 가톨릭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영향을 준 인물카를 마르크스, 존 롤스
영향을 받은 인물오페
웹사이트Van Parijs: An unconditional basic income in Europe will help end the crisis
기타 정보

2. 생애 및 학력

판 파레이스는 벨기에에서 태어나 철학, 법학, 정치경제학, 사회학, 언어학 등 다양한 학문을 공부했다. 브뤼셀에 있는 생 루이 대학교 - 브뤼셀에서, 루뱅 가톨릭 대학교 (루뱅라뇌브), 루벤 가톨릭 대학교 (루벤), 옥스퍼드, 빌레펠트, 캘리포니아 (버클리)에서 공부했다. 사회 과학 박사 학위(루뱅, 1977)와 철학 박사 학위(옥스퍼드, 1980)를 받았다. 루뱅 가톨릭 대학교(UCLouvain) 경제, 사회, 정치 과학부 교수로, 1991년부터 경제 및 사회 윤리 후버 석좌를 맡고 있다.[6] 2004년부터 2011년까지 하버드 대학교 철학과 객원 교수를 역임했으며, 2006년부터 루벤 가톨릭 대학교의 고등 철학 연구소 객원 교수, 2011년부터 옥스퍼드의 너필드 칼리지 선임 연구원을 지내고 있다.

2. 1. 학력

판 파레이스는 철학, 법학, 정치경제학, 사회학, 언어학을 생 루이 대학교 - 브뤼셀에서 공부했다. 또한 루뱅 가톨릭 대학교 (루뱅라뇌브), 루벤 가톨릭 대학교 (루벤), 옥스퍼드, 빌레펠트, 캘리포니아 (버클리)에서 공부했다. 그는 사회 과학 박사 학위(루뱅, 1977)와 철학 박사 학위(옥스퍼드, 1980)를 받았다.

2. 2. 경력

필리프 판 파레이스는 루뱅 가톨릭 대학교(UCLouvain) 경제, 사회, 정치 과학부 교수로, 1991년부터 경제 및 사회 윤리 후버 석좌를 맡고 있다.[6] 2004년부터 2011년까지 하버드 대학교 철학과 객원 교수를 역임했으며, 2006년부터 루벤 가톨릭 대학교의 고등 철학 연구소 객원 교수, 2011년부터 옥스퍼드의 너필드 칼리지 선임 연구원을 지내고 있다.

암스테르담 대학교, 맨체스터 대학교, 시에나 대학교, 퀘벡 대학교(몬트리올), 위스콘신 대학교(매디슨), 메인 대학교(오로노) 및 엑스마르세유 대학교, 유럽 대학교 연구소(피렌체),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모스크바), 리우데자네이루 연방 대학교, 중국 사회 과학원 (베이징), 킨샤사 (콩고) 가톨릭 학부, 올 소울스 칼리지(옥스퍼드), 예일 대학교, 파리 정치 대학(파리), 우루과이 가톨릭 대학교, 바르셀로나 자치 대학교 및 고등사범학교(파리)에서 객원 교수를 역임했다.

1986년 기본 소득 유럽 네트워크(BIEN)를 창립하였고, 2004년 기본 소득 지구 네트워크로 변경된 후 국제 이사회를 의장을 맡고 있다.[6] 대학교 재단의 윤리 포럼을 조정하고 있으며, 크리스 데스하우어와 함께 파비아 그룹[7]을, 폴 데 그라우에와 함께 Re-Bel 이니셔티브를 조정하고 있다.[8] 벨기에 왕립 과학 문학 미술 아카데미, 국제 철학 연구소, 유럽 과학 예술 아카데미의 회원이며, 영국 학사원의 회원이다. 2001년 벨기에 과학상인 프랑키 상을 수상했다.

3. 주요 연구 및 주장

파레이스는 기본 소득의 제창자이자 주요 옹호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는 또한 기본 소득 유럽 네트워크의 간사이기도 하다. 분석적 마르크스주의로 유명한 9월 그룹의 일원이었지만, 자신은 마르크스주의자로 생각하지 않는다.

1995년에 출간된 그의 저서, 『모두를 위한 진정한 자유: 무엇이 (도대체) 자본주의를 정당화할 수 있는가?』[16]는 기본 소득이 사회 정의와 어떻게 관련되며 어떻게 실현 가능한지를 보여주었다. 이 책 이후 기본 소득은 '공상'이 아닌 대안적이고 현실적인 정책으로 많은 찬성자와 비판자 사이에서 활발하게 논의되었다. 1978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허버트 사이먼도 파레이스의 기본 소득 이론에 주목하고 있다[17]

또한 『언어세』를 제창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2001년에는 프랑키 상을 수상했다.

3. 1. 기본 소득

판 파레이스는 ''모두를 위한 진정한 자유''(1995)에서 모든 시민에게 기본소득을 지급하는 것의 정당성과 실현 가능성을 체계적으로 제시했다.[9] 그는 기본소득이 개인에게 경제적 제약 없이 자신의 삶을 선택하고, 원하는 활동을 할 수 있는 '진정한 자유'를 제공한다고 주장한다.[10] 예를 들어, 아이를 키우거나 사업을 시작할 여유가 없다면 실제로 집에 머물기로 선택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판 파레이스는 기본소득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일자리에 대한 과세, 즉 소득 재분배를 제안한다.[10]

1995년에 출간된 그의 저서, 『모두를 위한 진정한 자유: 무엇이 (도대체) 자본주의를 정당화할 수 있는가?』[16]는 기본 소득이 사회 정의와 어떻게 관련되며 어떻게 실현 가능한지를 보여주었다. 이 책 이후 기본 소득은 '공상'이 아닌 대안적이고 현실적인 정책으로 많은 찬성자와 비판자 사이에서 활발하게 논의되었다. 1978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허버트 사이먼도 파레이스의 기본 소득 이론에 주목하고 있다[17]

3. 2. 언어 정의

판 파레이스는 언어 정의(Linguistic Justice)라는 개념을 통해 영어가 세계적인 공용어로서 누리는 특권으로부터 발생하는 불의에 대처하기 위해 다양한 조치를 논의한다.[11] 그가 제시하는 방안에는 언어세(영어를 사용하는 국가가 지불)[12], 영화 더빙 금지, 그리고 더 약한 언어를 보호하기 위한 언어 영토 원칙 시행 등이 있다.[13]

3. 3. 기타 정치적 제안

필리프 판 파레이스는 국민 기본 소득을 제안했다. 또한 부가가치세로 지급되는 EU 배당금을 제안했다.

4. 비판 및 논쟁

5. 저서

필리프 판 파레이스의 저서 목록은 다음과 같다.[14]


  • ''사회 과학의 진화적 설명''(Evolutionary Explanation in the Social Sciences) (1981)
  • ''경제 모델과 그 경쟁자''(Le Modèle économique et ses rivaux) (1990)
  • ''정의로운 사회란 무엇인가?''(Qu'est-ce qu'une société juste?) (1991)
  • ''마르크스주의 재활용''(Marxism Recycled) (1993)
  • ''모두를 위한 진정한 자유''(Real Freedom for All) (1995)
  • ''연대 구하기''(Sauver la solidarité) (1995)
  • ''연대 재건''(Refonder la solidarité) (1996)
  • ''21세기를 위한 연대''(Solidariteit voor de XXIste eeuw) (1997)
  • ''경제 및 사회 윤리''(Ethique économique et sociale) (2000, 크리스티앙 아른스페르거와 공저)
  • ''공짜 점심은 왜 잘못되었는가?''(What's Wrong with a Free Lunch?) (2001)
  • ''글로벌 정의의 개념을 향하여''(Hacia una concepción de la justicia global) (2002)
  • ''문화적 다양성과 경제적 연대'' (편집, 2004)
  • ''보편적 기본 소득''(L'Allocation universelle) (2005, 야니크 판데르보르흐트와 공저)
  • ''유럽과 세계를 위한 언어적 정의''(Linguistic Justice for Europe and for the World) (2011)
  • ''정의로운 민주주의. 롤스-마키아벨리 프로그램''(Just Democracy. The Rawls-Machiaveli Programme) (2011)
  • ''기본 소득: 자유로운 사회와 건전한 경제를 위한 급진적 제안''(Basic Income: A Radical Proposal for a Free Society and a Sane Economy) (2017)
  • 홍기빈 역, 《21세기 기본소득》, 흐름출판, 2018년.


판 파레이스 기념 논문집으로는 악셀 고세리에와 야닉 반데르보르트가 편집하고 루뱅 대학교 출판부에서 2012년에 출판된 ''정의에 대한 논쟁: 필리프 판 파레이스에게 바치는 에세이''(Arguing About Justice: Essays for Philippe Van Parijs)가 있으며, 그의 60세 생일을 기념하여 출판되었다.

6. 수상

필리프 판 파레이스는 2017년 Ailsa McKay 강연을 하였다.[15] 2001년에는 프랑키 상을 수상하였다. 1999년에는 국제 철학 연구소의 영구 회원이 되었다.

참조

[1] 논문 Libertarianism http://plato.stanfor[...] Stanford University 2014
[2] 웹사이트 Van Parijs: An unconditional basic income in Europe will help end the crisis https://www.euractiv[...] 2014-04-11
[3] 서적 Linguistic Justice for Europe and for the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4] 간행물 The world's top 50 thinkers for the Covid-19 age https://www.prospect[...] 2020-09-08
[5] 웹사이트 Philippe Van Parijs http://www.uclouvain[...]
[6] 웹사이트 About BIEN | BIEN http://basicincome.o[...]
[7] 웹사이트 Groupe Pavia -Groep - Federale kieskring. Circonscription fédérale. http://www.paviagrou[...]
[8] 웹사이트 Re-Bel initiative - Rethinking Belgium's institutions https://www.rethinki[...]
[9] 서적 Real Freedom for All, What (if anything) can justify capitalism Clarendon Press, Oxford 1995
[10] 학술지 The Political Theory of Universal Basic Income 2019-05-11
[11] 웹사이트 A Lingua Franca as Condition for Global Justice? Philippe Van Parijs on Linguistic Justice https://www.research[...] 2017-11-15
[12] 문서 Europe's three language problems http://www.uclouvain[...]
[13] 서적 Linguistic Justice for Europe and for the World http://global.oup.co[...]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14] 웹사이트 UCL - Cultural Diversity versus Economic Solidarity http://www.uclouvain[...] 2013-06-20
[15] 웹사이트 WiSE Research Centre - 2nd Ailsa McKay Annual Lecture – Registration Details https://www.caledoni[...]
[16] 서적 Real Freedom for All, What (if anything) can justify capitalism Clarendon Press, Oxford 1995
[17] 문서 UBI and the Flax Tax, A responce to the basic income by Philippe van Parijs
[18] 뉴스 “기본소득은 사람들 위한 벤처 캐피털…여성들 역량도 강화” https://news.naver.c[...] 경향신문 2018-06-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