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필리핀의 총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리핀의 총리는 필리핀에서 총리 직책의 역사와 관련된 문서를 설명한다. 1899년 헌법에 따라 정부 위원회 의장 직책이 처음 생겨났으며, 아폴리나리오 마비니가 초대 정부 위원회 의장으로 임명되었다. 이후 페드로 A. 파테르노가 마비니의 뒤를 이어 정부 위원회 의장을 역임했다. 1976년에는 헌법 개정을 통해 대통령이 총리 직함을 얻게 되었고, 페르디난드 마르코스가 총리직을 수행했다. 이후 세사르 비라타가 총리직을 이어받았으나, 1986년 코라손 아키노가 살바도르 로렐을 총리로 임명했으나, 총리직은 폐지되었다. 현재는 1987년 헌법에 따라 대통령이 정부 수반이자 국가 원수를 겸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총리 -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필리핀의 제10대 대통령으로 경제 발전과 사회 안정에 기여했으나, 계엄령 선포 후 권위주의 통치, 인권 유린, 부정 축재 등으로 논란이 많았으며 에드사 혁명으로 망명 후 사망, 영웅묘지 안장 또한 논쟁을 야기했다.
  • 필리핀의 총리 - 살바도르 라우렐
    살바도르 라우렐은 필리핀의 정치인이자 변호사로, 필리핀 부통령, 총리, 외교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1992년 대선에서 낙선한 후 2004년 림프절암으로 사망하였다.
  • 필리핀의 정치 - 필리핀 상원
    필리핀 상원은 필리핀 의회의 상원이며, 24명의 상원의원으로 구성되고, 1987년 헌법에 따라 전국 단위 선거구에서 선출된 상원 의원들이 6년 임기로 활동한다.
  • 필리핀의 정치 - 필리핀 하원
    필리핀 하원은 1900년 필리핀 위원회로 설립되어 변화를 거쳐 1987년 헌법에 따라 부활한 양원제 의회의 하원으로, 지역구 및 정당 명부 대표로 선출된 316석으로 구성되어 법률 제정, 예산 심의, 공무원 탄핵 등의 권한을 가지며 대통령의 당이 다수당을 차지하는 경향이 있다.
필리핀의 총리
직책 개요
직책필리핀 총리
스타일총리 (비공식)
각하 (공식)
각하 (공식, 외교)
거주지해당 없음
현직공석 (폐지됨)
상태정부 수반 (폐지됨)
지명권자대통령 (1899)
임명권자대통령
국민의회
임명 자격의원들의 조언과 동의 (1978-1986)
부총리해당 없음
전신직책 신설 (1899년 이전)
필리핀 대통령 (1978년)
설립일1899년 1월 2일 (1차 창설)
1978년 6월 12일 (2차 창설)
초대 총리아폴리나리오 마비니 (1차 창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2차 창설)
마지막 총리페드로 파테르노 (1차 폐지)
살바도르 로렐 (2차 폐지)
폐지일1899년 11월 13일 (1차 폐지)
1986년 3월 25일 (2차 폐지)
계승필리핀 대통령 (1899–1978; 1986–현재)
급여해당 없음
소속내각
비공식 명칭해당 없음
언어별 명칭
영어Prime Minister
스페인어Primer Ministro
필리핀어Punong Ministro
역대 총리
초대 총리 (1차)아폴리나리오 마비니
마지막 총리 (1차)페드로 파테르노
초대 총리 (2차)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마지막 총리 (2차)살바도르 로렐

2. 역사

1899년 필리핀 헌법은 정부 위원회 의장과 7명의 장관으로 구성된 정부 위원회(Consejo de Gobiernoes)를 설치했다.[2] 에밀리오 아기날도는 1899년 1월 2일 칙령을 통해 아폴리나리오 마비니를 초대 정부 위원회 의장으로 임명했으며,[3] 마비니는 사실상 총리와 동등한 직책이었다.[4][5][6]

미국-스페인 전쟁파리 조약으로 종결되면서 스페인은 필리핀을 미국에 넘겨주었으나,[7] 미국은 필리핀의 주권을 인정하지 않았다. 이는 제1 필리핀 공화국 수립으로 이어졌고, 필리핀-미국 전쟁 발발 후 마비니는 1899년 5월 7일 사임했다.[11]

페드로 A. 파테르노가 마비니의 뒤를 이어 정부 위원회 의장이 되었으나,[12] 안토니오 루나 장군과의 갈등과 미국의 공세로 인해 1899년 11월 13일 체포되면서 그의 임기는 끝났다.[12] 이후 아기날도는 파테르노의 후임자를 임명하지 않았고, 1900년 6월 21일 파테르노는 미국에 충성을 맹세했다.[17]

1899년부터 1935년 필리핀 연방 수립까지 필리핀은 미국의 통치를 받았으며, 총리직은 존재하지 않았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은 1976년 헌법 개정을 통해 총리직을 부활시켰다.[18] 1978년 임시 바타상 팜반사(IBP)가 발족되면서 마르코스는 총리직을 겸임하게 되었다.[19] 1981년 마르코스는 세사르 비라타를 총리로 임명했으나,[21] 1986년 피플 파워 혁명으로 비라타 내각은 막을 내렸다.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은 1986년 살바도르 로렐을 총리로 임명했으나,[24] 같은 해 3월 "자유 헌법"을 통해 총리직을 폐지했다.[25] 1987년 헌법에는 총리직에 대한 조항이 없으며, 대통령이 국가 원수이자 정부 수반을 겸임한다.

초상이름정당임기선거입법부대통령
1
아폴리나리오 마비니무소속1899년 1월 2일

1899년 5월 7일
1898년말롤로스 의회에밀리오 아기날도
2
페드로 파테르노무소속1899년 5월 8일

1899년 11월 13일
1899년 11월 13일부터 1978년 6월 12일까지 총리직 폐지 및 공석
3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새사회 운동(KBL)1978년 6월 12일

1981년 6월 30일
1978년임시 바타상 팜반사페르디난드 마르코스
4
세사르 비라타rowspan="2"새사회 운동(KBL)1981년 7월 28일

1986년 2월 25일
1984년정규 바타상 팜반사
5
살바도르 로렐UNIDO1986년 2월 25일

1986년 3월 25일
코라손 아키노
1986년 3월 25일 이후 총리직 폐지


2. 1. 제1공화국 (1899년)

1899년 필리핀 헌법은 정부 위원회(Consejo de Gobiernoes)라는 직책을 만들었는데, 이 위원회는 위원회 의장(Presidente del Consejo de Gobiernoes)과 7명의 장관으로 구성되었다.[2] 에밀리오 아기날도가 이끄는 혁명 정부의 의장은 1899년 1월 2일 칙령을 통해 그의 고문인 아폴리나리오 마비니를 초대 정부 위원회 의장으로 임명했다.[3] 마비니는 또한 공화국의 재무부 장관이 되었다. 위원회 의장은 사실상 총리와 동등했다.[4][5][6]

아폴리나리오 마비니, 초대 정부 위원회 의장, 총리 직으로 여겨짐.


1898년 12월 10일, 미국스페인 간의 미국-스페인 전쟁파리 조약으로 종결되었고, 스페인은 쿠바에 대한 모든 권리를 포기하고 필리핀, , 푸에르토리코를 미국에 넘겨주었다.[7] 이틀 후, 아기날도는 그의 변호사 펠리페 아곤실로에게 1898년 6월 12일 독립 선언 이후 필리핀이 더 이상 스페인 식민지가 아닌 독립 국가임을 주장하도록 명령했다.[8] 미국은 필리핀의 주권을 인정하지 않았다. 이는 1899년 1월 23일 말롤로스에서 반군 제1 필리핀 공화국이 공식적으로 수립되면서 심각한 갈등으로 이어졌다. 1월 30일까지 아기날도는 다시 아곤실로를 미국 상원에 파견하여 그들이 계획을 재고하고 대신 필리핀의 독립을 공식적으로 인정하도록 로비했다.[9]

그 후 몇 달 동안, 마비니는 전쟁 후 필리핀에 남아 있는 필리핀인과 미군 간의 적대 행위를 종식시키기 위한 협상과 같은 정치적 문제로 압박을 받았다. 휴전을 확보하기 위한 미군과의 성공적인 합의에 실패한 후, 첫 번째 발포와 함께 1899년 2월 4일 필리핀-미국 전쟁이 발발했다.[10] 혁명 정부는 말롤로스를 비우고 행정 본부를 이곳저곳으로 옮겨야 했다. 당시 정치적 반대자들의 압박과 전쟁 중 증가하는 게릴라 반군을 막지 못한 마비니는 1899년 5월 7일 직에서 물러나 미국에 항복했다.[11]

마비니가 사임하도록 강요한 정치적 반대자 중 한 명은 1898년 9월 15일부터 공화국 의회 의장이었던 페드로 A. 파테르노였다. 그는 전쟁 중 미국 공격에 대응하는 마비니의 공격적 계획에 반대하여, 필리핀이 미국의 보호령이 되고 완전한 자치를 갖는다는 내용의 평화 계획을 아기날도에게 제안했다. 이는 마비니에 의해 반대되었지만, 파테르노와 그의 동맹들은 아기날도를 설득하여 마비니 내각을 해산하도록 했다.

페드로 A. 파테르노는 1899년 5월 마비니의 뒤를 이었다. 그의 행동은 다음 달 미국에 대한 선전 포고로 이어졌다.


다음 날인 5월 8일, 아기날도는 파테르노를 정부 위원회 의장으로 임명했다.[12] 그의 임기 동안 첫 번째 움직임 중 하나는 미국 정부와의 평화 협정을 요구하는 "자치 계획" 사본을 슈먼 위원회에 초안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또한 필리핀인들이 독립의 생각을 버리고 군도에 대한 미국의 주권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었음을 명시했다.[13]

한편, 혁명 정부에 대한 파테르노의 장악과 슈먼 위원회에 대한 그의 행동은 안토니오 루나 장군, 필리핀 육군 사령관을 격분시켰다. 그는 파테르노와 다른 내각 구성원들을 체포하라고 명령했지만, 파테르노를 감옥에 보내는 데 실패했다.[13] 그의 행동으로 인해 파테르노는 1899년 6월 2일 선언서를 작성하여 미국에 대한 공식적인 선전 포고를 발표했다.[14][15] 6월 5일, 루나는 누에바 에시하에서 암살되었는데, 그의 살해 이유 중 하나는 파테르노와의 이 갈등 때문이었다고 한다.[16]

전쟁 동안, 아기날도의 거처는 미국인들이 공격적으로 변하면서 북쪽으로 계속 바뀌었다. 1899년 11월 13일, 파테르노는 벵게트에서 미군에게 체포되었고, 이로써 그는 위원회 의장직을 끝냈다.[12] 그러나 아기날도는 공화국에서 도망치느라 바빠서 파테르노의 후임자를 임명하지 않았다. 1900년 6월 21일, 파테르노는 전쟁 포로로서 군사 총독 아서 맥아더 주니어가 부여한 사면을 받아들였고, 마침내 아기날도 정부의 다른 구성원들과 함께 미국에 충성을 맹세했다.[17]


2. 2. 제4공화국 (1978년-1986년)

1976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은 헌법 국민투표를 소집하는 대통령령을 발표했다. 유권자들은 1972년부터의 계엄령 해제 여부를 투표했고, 과반수가 계엄령 유지를 승인했다. 또한, 입법 및 행정 권한을 대통령 직에 통합하는 1973년 헌법의 제6차 개정안이 비준되었다. 이 조항 중 하나는 대통령이 "총리" 직함을 얻도록 하여 1899년 이후 이 직책을 재창설하는 것이었다.[18] 마르코스는 대통령으로서 1935년 헌법에 의해 대통령에게 부여된 권한을 계속 행사했다. 개정안은 또한 임시 바타상 팜반사(임시 국회, IBP)라는 단원제 입법부와 대통령/총리가 계엄령이 해제될 ''때까지'' 입법 권한을 행사한다는 조항을 만들었다.[18][19]

1978년 4월 7일, 1973년 헌법에 따라 양원제 필리핀 의회가 폐지된 이후 바타상 팜반사에 대한 총선거가 처음으로 실시되었다. 의회의 선출직 165석 중 150석은 마르코스의 집권당인 킬루상 바공 리푸난(신사회 운동)이 장악했다.[20] 6월 12일, IBP가 발족되었고, 이는 또한 마르코스의 필리핀 총리직을 확인했다.[19]

1979년 필리핀 총리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와 영부인 이멜다 마르코스


1981년 6월 30일, 세 번째 대통령 임기를 시작하면서 마르코스는 총리로서의 권한을 공식적으로 포기했다. 그는 세사르 비라타를 후임으로 임명했다. 비라타는 전 에밀리오 아기날도 대통령의 외조카손자였으며,[21] 이전에 세계 은행 이사회의 국가 대표였다.[22] 1986년 피플 파워 혁명까지 비라타는 이 직책을 유지했다. 마르코스가 비라타에게 총리직을 맡긴 이유는 그가 주류 정치와 거리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마르코스의 재무부 장관 외에 비라타는 정치적 위협이 아니었다.[23]

수상출신 정당재임 기간대통령비고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신사회운동1978년6월 12일-
1981년6월 30일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세사르 비라타신사회운동1981년6월 30일-
1986년2월 26일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살바도르 라우렐통일 국민 민주 기구1986년2월 25일-
1986년3월 25일
코라손 아키노


2. 3. 총리직 폐지 (1986년)

코라손 아키노는 1986년 2월 말에 취임하여, 부통령이자 자신의 러닝메이트였던 살바도르 로렐을 비라타의 후임 총리로 임명했다.[24] 그러나 총리직은 1986년 3월에 공포된 포고령 제3호, 즉 "자유 헌법"에 의해 폐지되었다.[25]

이후 현재 시행 중인 1987년 헌법에는 대통령이 정부 수반이자 국가 원수를 겸임하도록 규정되어 있어, 총리직에 대한 조항은 없다.

3. 역대 총리 목록

(출생일-사망일)임기정당대통령1

아폴리나리오 마비니
(1864-1903)1899년 1월 2일 ~ 1899년 5월 7일무소속에밀리오 아기날도1899년 1월 23일 ~ 1899년 5월 7일2페드로 파테르노
(1857-1911)1899년 5월 7일 ~ 1899년 11월 13일총리직 폐지(1899년 11월 14일 ~ 1978년 6월 12일)3페르디난드 마르코스
(1917-1989)1978년 6월 12일 ~ 1981년 6월 30일신사회운동당페르디난드 마르코스4세사르 비라타
(1930- )1981년 6월 30일 ~ 1984년 7월 23일1984년 7월 23일 ~ 1986년 2월 25일5살바도르 라우렐
(1928-2004)1986년 2월 25일 ~ 1986년 3월 25일통합국민민주기구코라손 아키노총리직 폐지(1986년 3월 25일 ~ 현재)


참조

[1] 법률 Article IX, Section 12. 1973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2] 법률 Title IX, Article 73. 1899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3] 인용
[4] 인용
[5] 인용
[6] 인용
[7] 웹사이트 Treaty of Peace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Spain; December 10, 1898 http://avalon.law.ya[...] Yale 2011-04-14
[8] 인용
[9] 인용
[10] 인용
[11] 인용
[12] 인용
[13] 인용
[14] 인용
[15] 인용
[16] 인용
[17] 인용
[18] 인용
[19] 인용
[20] 인용
[21] 웹사이트 Progressive Leader of the Philippines, Cesar Virata WG 1953 http://www.wharton.u[...] The Wharton School,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1-04-14
[22] 인용
[23] 인용
[24] 인용
[25] 웹사이트 Philippines: Historical Overview http://www.aseanlawa[...] 2012-06-05
[26] 법률 Article IX, Section 3. 1973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27] 법률 Article VII, Section 2. 1973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28] 법률 Article XIII, Section 2. 1973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29] 인용
[30] 법률 Article IX, Section 9. 1973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31] 웹사이트 The Amended 1973 Constitution https://www.official[...] 1981-04-07
[32] 법률 Article IX, Section 5. 1973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33] 법률 Article IX, Section 10. 1973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34] 법률 Article IX, Section 11. 1973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35] 법률 Article IX, Section 12. 1973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36] 법률 Article IX, Section 14. 1973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37] 법률 Article IX, Section 15. 1973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38] 법률 Article IX, Section 16. 1973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39] 법률 Article VII, Section 10. 1935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