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동군의 행정 구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동군의 행정 구역은 1읍 12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동읍, 화개면, 악양면, 적량면, 횡천면, 고전면, 금남면, 진교면, 양보면, 북천면, 청암면, 옥종면, 금성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읍면은 여러 법정리를 관할한다. 북천면은 코스모스 축제로 유명하며, 하동군은 신라 시대부터 하동군으로 불렸고, 1906년 진주군 편입, 1914년 곤양군 서면과 금양면 편입, 1938년 하동읍 승격, 1989년 금성면 승격 등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동군의 행정 구역 - 악양면
    악양면은 경상남도 하동군에 위치하며 섬진강 유역의 역사적인 요충지이자 박경리의 소설 《토지》의 배경으로, 토지문학제가 개최되고 알밤, 매실 등의 특산물이 유명하다.
  • 하동군 - 악양면
    악양면은 경상남도 하동군에 위치하며 섬진강 유역의 역사적인 요충지이자 박경리의 소설 《토지》의 배경으로, 토지문학제가 개최되고 알밤, 매실 등의 특산물이 유명하다.
  • 하동군 - 하동도서관
    하동도서관은 1986년에 개관한 경상남도 하동군의 공공 도서관으로, 종합자료실, 어린이자료실, 자유열람실 등을 갖추고 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자료실을 운영하며 월요일과 공휴일에는 휴관한다.
  • 경상남도의 시군별 행정 구역 - 남해군의 행정 구역
    남해군은 1개의 읍과 9개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남해도와 창선도를 중심으로 여러 섬으로 이루어져 리아스식 해안을 가지며, 군청 소재지인 남해읍은 남해대교와 창선-삼천포대교를 통해 육지와 연결된다.
  • 경상남도의 시군별 행정 구역 - 김해시의 행정 구역
    김해시는 1개의 읍, 6개의 면, 12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행정 구역은 고유한 인구, 면적, 관할 법정동·리를 갖는다.
하동군의 행정 구역
개요
하동군의 행정 구역대한민국 경상남도 하동군
행정 구역 정보
1개 (하동읍)
12개 (악양면, 적량면, 횡천면, 고전면, 금성면, 금남면, 진교면, 양보면, 북천면, 청암면, 옥종면, 화개면)
통계 (2023년 12월 31일 기준)
인구41,748명 (20,400세대)
면적675.52km²

2. 행정 구역

하동군은 1읍 12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읍면의 상세 정보는 아래 표와 같다.[3]

읍·면한자세대인구면적(km²)법정리
하동읍河東邑4,51211,96429.5읍내리, 광평리, 비파리, 신기리, 목도리, 흥룡리, 화심리, 두곡리
화개면花開面1,4073,651134.36km2부춘리, 덕은리, 탑리, 삼신리, 정금리, 운수리, 용강리, 범왕리, 대성리
악양면岳陽面1,7503,94652.64km2미점리, 축지리, 신대리, 신성리, 신흥리, 중대리, 동매리, 등촌리, 매계리, 정동리, 정서리, 입석리, 봉대리, 평사리
적량면赤良面1,0232,31841.71km2관리, 우계리, 동리, 서리, 동산리, 고절리
횡천면橫川面9682,35734.5km2전대리, 애치리, 여의리, 횡천리, 월평리, 남산리, 학리
고전면古田面1,1942,89636.18km2범아리, 성천리, 신월리, 전도리, 대덕리, 고하리, 성평리, 명교리
금남면金南面1,7954,68743.1km2중평리, 대치리, 노량리, 송문리, 대송리, 덕천리, 진정리, 계천리, 대도리
진교면辰橋面2,9247,33649.93km2진교리, 백련리, 안심리, 고룡리, 양포리, 관곡리, 월운리, 송원리, 고이리, 술상리
양보면良甫面9672,35734.42km2운암리, 장암리, 감당리, 우복리, 통정리, 박달리, 지례리
북천면北川面9942,14532.94km2방화리, 사평리, 직전리, 옥정리, 서황리, 화정리
청암면靑岩面7921,85375.63km2평촌리, 명호리, 중이리, 상이리, 묵계리
옥종면玉宗面2,0364,49387.8km2청룡리, 월횡리, 두양리, 종화리, 문암리, 안계리, 병천리, 법대리, 대곡리, 북방리, 정수리, 양구리, 궁항리, 위태리, 회신리
금성면金星面1,5093,86622.27km2가덕리, 궁항리, 고포리, 갈사리



북천면은 가을에 코스모스 축제로 유명하며, 북천역에서 자전거로 10분 거리에 이병주 문학관이 있다.[3]

2. 1. 하동읍

하동군의 중심지로, 읍내리, 광평리, 비파리, 신기리, 목도리, 흥룡리, 화심리, 두곡리 등 8개의 법정리를 관할한다. 2024년 4월 기준으로 4,512세대, 11,964명이 거주하고 있다.[3] 면적은 29.5 km²이다.[3]

하동읍의 법정리
법정리
읍내리
광평리
비파리
신기리
목도리
흥룡리
화심리
두곡리


2. 2. 화개면

지리산 국립공원과 섬진강을 끼고 있는 지역으로, 부춘리, 덕은리, 탑리, 삼신리, 정금리, 운수리, 용강리, 범왕리, 대성리 등 9개의 법정리를 관할한다. 면적은 134.36km2이며, 2016년 12월 31일 기준으로 1,407세대, 3,651명이다.[3]

법정리
부춘리
덕은리
탑리
삼신리
정금리
운수리
용강리
범왕리
대성리


2. 3. 악양면

최참판 댁과 박경리의 소설 토지의 배경으로 유명한 악양면은 하동군에 속하며, 한자로는 岳陽面중국어으로 표기한다. 면적은 52.64km2이며, 1,750세대, 총 3,946명이 거주하고 있다.[3] 악양면은 다음과 같은 14개의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법정리
미점리
축지리
신대리
신성리
신흥리
중대리
동매리
등촌리
매계리
정동리
정서리
입석리
봉대리
평사리


2. 4. 적량면

적량면은 관리, 우계리, 동리, 서리, 동산리, 고절리의 6개 법정리를 관할한다.[3]

2. 5. 횡천면

하동군 횡천면은 전대리, 애치리, 여의리, 횡천리, 월평리, 남산리, 학리의 7개 법정리를 관할한다. 면적은 34.5km2이며, 968세대, 2,357명이 거주한다.[3]

2. 6. 고전면

고전면은 범아리, 성천리, 신월리, 전도리, 대덕리, 고하리, 성평리, 명교리 등 8개의 법정리를 관할한다.[3]

2. 7. 금남면 (하동군)

하동군 금남면은 1,795 세대, 4,687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으며 면적은 43.1km2이다.[3] 금남면은 중평리, 대치리, 노량리, 송문리, 대송리, 덕천리, 진정리, 계천리, 대도리 등 9개의 법정리를 관할한다.[3]

2. 8. 진교면

진교면은 10개의 법정리를 관할한다.

법정리
진교리
백련리
안심리
고룡리
양포리
관곡리
월운리
송원리
고이리
술상리

[3]

2. 9. 양보면

하동군 양보면은 운암리, 장암리, 감당리, 우복리, 통정리, 박달리, 지례리의 7개 법정리를 관할한다.[3]

2. 10. 북천면

하동군 북천면은 가을에 코스모스 축제로 유명하며, 방화리, 사평리, 직전리, 옥정리, 서황리, 화정리의 6개 법정리를 관할한다.[3] 면사무소 앞 마을은 북천역에서 한눈에 보일 정도로 작으며,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다.[3] 북천역에서 자전거로 10분 거리에 이병주 문학관이 있다.[3]

한자세대인구면적
北川面9942,14532.94km2


2. 11. 청암면

청암면은 75.63km2 면적에 792세대, 1,853명이 거주하고 있다. 청암면에는 평촌리, 명호리, 중이리, 상이리, 묵계리 5개의 법정리가 있다.[3]

2. 12. 옥종면

옥종면(玉宗面중국어)은 2,036세대, 4,493명의 인구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87.8km2이며, 청룡리, 월횡리, 두양리, 종화리, 문암리, 안계리, 병천리, 법대리, 대곡리, 북방리, 정수리, 양구리, 궁항리, 위태리, 회신리 등 15개의 법정리를 관할한다.[3]

2. 13. 금성면 (하동군)

金星面중국어대한민국 경상남도 하동군에 속하는 면으로, 가덕리, 궁항리, 고포리, 갈사리 4개의 법정리를 관할한다. 면적은 22.27 km²이며, 인구는 2011년 기준으로 1,509세대, 3,866명이다.[3]

금성면의 법정리
리 (里)
가덕리
궁항리
고포리
갈사리


3. 역사

1906년 일제강점기 이전까지 하동군은 현재보다 영역이 작았다. 1906년 9월 24일 진주군에서 현재의 옥종면, 청암면, 북천면 일부를 편입하면서 영역이 확장되었다.[4] 이후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해방 이후 시기를 거치면서 행정구역의 변화가 있었다.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른 행정구역 개편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하동군 정수면(正水面) 정수동옥동면(玉洞면)정수리
하동군 운곡면(雲谷面) 병천동/원매동/가덕동 일부, 청룡동, 양구동병천리, 청룡리, 양구리
하동군 북평면(北平面) 대동/추동/(정수면)동곡동, 법대동/후평동, 북방동/불동/토동대곡리, 법대리, 북방리
하동군 종화면(宗化面) 종화동/(가서면)원계동 일부, 문암동, 안계동, 월횡동가종면종화리, 문암리, 안계리, 월횡리
하동군 가서면(加西面) 두양동, 원계동 일부, 중태동두양리, 원계리, 중태리
하동군 덕양면(德陽面) 우치동/비파동, 광평동/원동, 읍동/교동/선양동, 고동동/두곡동/율동, 정동/화심동/신촌동/선장동/(전라남도 광양군 다압면)섬진리 일부, 호암동/흥룡동/묵점동덕양면비파리, 광평리, 읍내리, 두곡리, 화심리, 흥룡리
하동군 팔조면(八助面) 문도동/구통동/목도동/하저동, 궁항동/토덕동/신기동/상저동, 하여동/강선동/석교동/고절동/상여동 일부/(적량면)상동산동 일부목도리, 신기리
적량면고절리
하동군 적량면(赤良面) 상삼동동/중삼동동/하삼동동/명천동, 동점동/상서동/중서동/하서동, 신촌동/상우동/우계동/공월동, 관동, 하동산동/두전동/계동/상동산동 일부/(팔조면)상여동 일부동리, 서리, 우계리, 관리, 동산리
하동군 내횡보면 원동/상남동/중남동/하남동 일부/개인동 일부/(적량면)월곡동남산리
하동군 서양곡면(西良谷面) 통정동/신청동/구청동, 봉곡동/박달동/성치동/세곡동/반계동, 예동/화촌동, 운산동/상명암동/지산동/진암동양보면통정리, 박달리, 지례리, 운암리
하동군 외횡보면(外橫甫酉) 상서동/상동동/하성동, 감당동/시영동/역촌동/상쌍동/(내횡보면)구여동 일부, 중쌍동/하쌍동/상장동/하장동/간동우복리, 감당리, 장암리
하동군 내횡보면(內橫甫面) 온동동/온서동/수월동 일부/전두동 일부/애치동 일부, 신여동/광암동/구여동 일부/수월동 일부/토덕동 일부, 신대동/횡계동/장기동/서원동/고읍동/토덕동 일부, 답곡동/당북동/월평동/월라동/(청암면)시평동/신기동횡천면애치리, 여의리, 횡천리, 학리, 월평리
하동군 청암면(靑岩面) 전대동/(내횡보면)죽전동/전두동 일부/애치동 일부, 궁항동, 위태동, 화신동, 평촌동/반월동/중이동 일부, 묵계동, 관점동/존치동/명호동/사동, 중이동 일부, 상이동/답동전대리
청암면궁암리, 위태리, 화신리, 평촌리, 묵계리, 명호리, 중이리, 상이리
하동군 북면(北面) 계산동/직전동, 사평동/모동, 방화동북천면직전리, 사평리, 방화리
하동군 대야면(大也面) 상촌동/화정동, 중촌동/서황동, 동황동/빙옥동/신촌동/(곤양군 초량면)삼거리동 일부화정리, 서황리, 옥정리
하동군 동면(東面) 백토동/월운동/갑정동, 구영동/성평동/반석동/관곡동/송림동, 고내동/고외동/이동/신촌동, 역동/송내동/송외동/화포동, 백련동/(고현면)안심동, 상평동/하평동/(곤양군 금양면)진교동 일부동면월운리, 관곡리, 고이리, 송원리, 백련리, 진교리
하동군 악양면(岳陽面) 미점동/(덕양면)상개치동/하개치동, 축지동/축동동, 신중동/신대동, 신덕동/성두동, 상흥동/하흥동, 상중대동/하중대동, 동매동/평촌동, 등촌동, 매계동/호전동, 정동동/부계동, 정서동/상신동/상덕동악양면미점리, 축지리, 신대리, 신성리, 신흥리, 중대리, 동매리, 등촌리, 매계리, 정동리, 정서리
하동군 화개면(花開面) 봉대동/대촌동/하평동/평사동 일부, 입석동/(악양면)하덕동, 둔촌동/평사동 일부/검두동 일부, 부촌동/신기동/검두동 일부, 영당동/상덕동/중덕동, 탑촌동/가탄동, 삼신동/법하동/침점동, 정금동/대비동/중촌동/도심동, 운수동/신촌동/석문동/목압동/맥전동, 용강동/모암동, 범왕동/신흥동/호동/화천동/목통동/사시동, 대성동/사혜동/단천동/의신동/삼정동봉대리, 입석리, 평사리
화개면부춘리, 덕은리, 탑리, 삼신리, 정금리, 운수리, 용강리, 범왕리, 대성리
하동군 고현면(古縣面) 명교동, 성평동/신덕동, 고하동동/죽전동/성내동/남문동/해평동고전면명교리, 성평리, 고하리
하동군 팔조면 호화동/시목동/신월동/냉정동/사평동/양막동신월리
하동군 마전면(馬田面) 성천동/지소동, 아동/범차동, 대덕동/조진동/합진동, 전도동/월진동/선소동/신방동, 나팔동/연막동/서근내동/내도동성천리, 범아리, 대덕리, 전도리
남면갈사리
곤양군 서면(西面) 삼천동/덕포동, 영천동/계항동, 대동동, 진목동/금오동, 대송동/곶치동, 소송동/수문동/미법동, 궁항동, 광포동/명덕동/가인동, 고포동/(하동군 마전면)사포동덕천리, 계천리, 대도리, 진정리, 대송리, 송문리, 궁항리, 가덕리, 고포리
곤양군 금양면(金陽面) 노량동, 대치동, 중평동/중상동, 고색동/용호동/진교동 일부, 양포동, 안심동, 술상동금양면노량리, 대치리, 중평리, 고룡리, 양포리, 안심리, 술상리


3. 1. 일제강점기


  • 1906년 9월 24일 진주군에서 현재의 옥종면, 청암면, 북천면 일부를 편입하였다.[4]
  • 1914년 3월 1일 곤양군 서면, 금양면을 편입하였다.[5]
  • 1914년 4월 1일 하동군의 면을 새로 정하였다. (14면)[6]
  • 1917~1918년경 덕양면을 하동면으로, 내횡보면을 횡천면으로, 동면을 진교면으로 개칭하였다.
  • 1928년 4월 1일 옥동면과 가종면을 옥종면으로 합면하였다.[7] (13면)
  • 1933년 1월 1일 금양면과 남면을 폐지하고, 금남면을 설치하였다. (12면)
  • 1938년 10월 1일 하동면을 하동읍으로 승격하였다.[8] (1읍 11면)

3. 2. 해방 이후 ~ 현재

참조

[1] 웹사이트 하동통계연보 - 면적 http://stat.hadong.g[...] 2011-07-12
[2] 웹사이트 하동통계연보 - 인구 http://stat.hadong.g[...] 2011-07-12
[3] 뉴스 느린 열차마저 그곳에선 풍경이 된다 http://travel.chosun[...] 조선일보 2010-09-08
[4] 법령 칙령 제49호 地方區域整理件 1906-09-24
[5]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6] 법령 경상남도령 제2호 1914-04-01
[7] 법령 경상남도령 제1호 1928-01-28
[8]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97호 1938-09-27
[9] 법률 법률 제360호 지방자치단체의폐치분합및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55-06-29
[10] 조례 하동군 조례 제100호
[11] 조례 하동군 조례 제156호
[12]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11027호
[13] 조례 하동군 조례 제957호
[14] 조례 하동군 조례 제1053호
[15] 조례 하동군 조례 제1076호
[16] 조례 하동군 조례 제1418호
[17] 조례 하동군 조례 제1494호
[18] 조례 하동군 조례 제1632호 2002-1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