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스 (점성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우스(점성술)는 바빌로니아 점성술에서 처음 제시된 개념으로, 천체의 위치를 기준으로 삶의 다양한 영역을 나타내는 12개의 구획을 의미한다. 하우스 분할 체계에는 전체 별자리 하우스, 동분 하우스, 사분면 하우스 등 다양한 방식이 있으며, 각 하우스는 삶의 특정 영역(예: 재산, 관계, 직업 등)을 상징하고, 해당 하우스에 위치한 행성과 별자리는 그 영역에 영향을 미친다고 해석된다. 하우스는 또한 양상, 삼궁, 원소에 따라 분류되며, 헬레니즘 점성술에서는 각 하우스가 특정 행성의 지배를 받는다는 주인지위 개념이 사용된다. 한국에서는 서양 점성술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하우스 체계가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 - 십이진법
십이진법은 12를 밑으로 하는 위치 기수법으로 시간 측정이나 단위계에서 역사적으로 사용되었으며 2, 3, 4, 6으로 나누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고, 현재는 십진법이 주로 쓰이나 일부 언어에서 그 흔적이 남아 있으며 0-9와 X, E를 사용하여 표기하는 방식이 널리 쓰인다. - 12 - 쌍어궁
물고기자리는 황도 좌표 330°에서 0° 사이의 영역에 있는 별자리로, 두 마리 물고기가 끈으로 이어진 모습으로 표현되며,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황도대 별자리로 여겨졌고 그리스 신화에서는 아프로디테와 에로스가 물고기로 변신한 이야기, 점성술에서는 특정 기간에 태어난 사람들의 별자리, 그리고 기독교와 관련된 '물고기자리 시대'와 연관되어 해석된다. - 천궁도 점성술 - 천정
천정은 관측자의 머리 바로 위 천구상의 점으로, 천정각 측정의 기준 방향으로 사용되며, 태양의 위치, 기블라 관측, 천정 망원경, 천체항해, 그리고 지심 천정과 측지 천정의 구분에 활용된다. - 천궁도 점성술 - 하강점 (점성술)
- 점성술의 기술적 요소 - 천정
천정은 관측자의 머리 바로 위 천구상의 점으로, 천정각 측정의 기준 방향으로 사용되며, 태양의 위치, 기블라 관측, 천정 망원경, 천체항해, 그리고 지심 천정과 측지 천정의 구분에 활용된다. - 점성술의 기술적 요소 - 황도
황도는 지구가 태양을 공전함에 따라 지구에서 보이는 태양의 연중 겉보기 운동 경로로, 천구 적도에 대해 약 23.4° 기울어져 천문학과 점성술에서 기준면으로 사용되며, 춘분점, 추분점 결정과 일식, 월식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우스 (점성술) |
---|
2. 역사
하우스의 개념은 바빌로니아 점성술에서 유래되었다.[27] 바빌로니아인들은 천체의 출현과 남중 시간에 따른 자연 현상을 관찰했는데, 이는 황도 발견에 앞서 12 하우스 분할 체계로 발전했다.[63] 그들은 세 가지 시간 분할 체계에 따라 출생 시간을 정했다. (a) 밤을 세 부분으로 나누어 야간 경계를 설정하고, (b) 주야를 일출과 일몰을 기준으로 네 부분으로 나누며, (c) 낮 시간을 열두 부분으로 나누었다.[28]
하우스 분할에는 여러 체계가 있으며, 크게 전체 별자리, 등분, 사분면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각 체계는 계산의 용이성, 사분면 개념과의 일치, 고위도 지역에서의 적용 가능성 등에서 서로 다른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후, 이집트에서 더 나은 시간 측정 방법과 기원전 2세기경 상승점 개념이 도입되면서, 고전 서양 점성술의 하우스 체계가 형성되기 시작했다.[29][30] 바빌로니아 천문학자들은 별자리의 상승 시간을 연구하고 그들의 위도에 맞는 상승표를 계산했다.
3. 하우스 분할 체계
하우스 분할의 초기 형태는 황도를 따라 황도대 별자리와 평행하게 연결하는 것이었다. 대부분의 하우스 분할 체계는 황도를 하우스들로 분할하고, 상승점(동쪽 지평선)이 첫 번째 하우스의 시작점을 표시하며 하강점(서쪽 지평선)이 일곱 번째 하우스의 시작점을 표시한다. 그리고, 다수의 하우스 분할 체계는 중천점을 열 번째 하우스의 시작점으로, 천저점을 네 번째 하우스의 시작점으로 사용하므로 사분면 하우스 체계라고도 불린다. 몇몇 하우스 체계는 황도 대신에 천구의 적도와 동서권을 분할한다.
하우스 체계의 목적 가운데 하나는 계산의 용이함을 추구하는 것이다. 또한 (첫 번째 하우스의 시작점에 상승점이 있고 네 번째에는 천저점, 일곱 번째에는 하강점, 그리고 열 번째에는 중천점이 있는) "사분면" 개념과 상징적 가치가 일치해야 한다. (약간의 편평한 지구 표면으로 인한 문제가 남아 있지만) 그러한 체계는 고위도 지방에서 천체를 다루는 데 사용되기도 하며, 극지방에서는 한정된 의미가 부여된다.
각각의 체계는 서로 다른 절충안을 가지고 있는데, 어떠한 체계도 모든 기준을 충족시킬 수는 없다. 특히 플라치두스와 코흐 체계가 가장 널리 쓰이기는 하지만, 극권에서는 불확실한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다양한 하우스 체계의 장점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현재진행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3. 1. 전체 별자리 하우스 (Whole Sign Houses)
상승점이 있는 별자리의 0도에서 시작하여 각 하우스를 30도씩 할당하는 체계이다. 이 방식은 헬레니즘 점성술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며, 인도 점성술에서도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56] 계산이 간단하고 고위도 지역에서도 왜곡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전체 별자리(Whole Sign) 하우스 체계는 때때로 '태양의 하우스 체계'라고도 불리는데, 각 하우스는 30°씩이다. 상승점은 상승궁을 나타내며, 첫 번째 하우스는 상승점이 해당 별자리에 비해 얼마나 더 이르고 늦은지와는 상관없이 상승점이 있는 황도대 별자리의 0도에서 시작한다. 상승점 별자리의 다음 별자리는 2번째 하우스가 되며, 그 다음 별자리는 3번째 하우스가 되는 등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각각의 하우스가 하나씩의 별자리에 딱 들어 맞는다고 할 수 있다.[56]
이 체계는 기원전 2~1세기 경에 헬레니즘 점성술의 전통으로 발전되어 왔다. 그것이 인도와 중세 초기의 점성술 전통으로 전파되어왔을 수도 있는데, 이 체계의 서양에서 인도로의 전파설은 논쟁중에 있다. 중세 때 아마도 10세기경에, 전체 별자리 하우스 체계는 서양 전통에서 논의되었고, 인도에서는 현재까지 그 방식을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20세기까지 서양의 점성학적 공동체에서는 완전히 알려지지 않았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들어서 그 체계가 서양 점성술에서 재발견되었고 다시 소개되었다.[31]
동등분할 하우스와 전체 별자리 하우스 사이의 구별은 동등구간 하우스에서는 상승점의 도수가 1번째 하우스의 시작점이 되는데 반해, 전체 별자리 하우스에서는 상승점이 포함된 별자리의 시작점이 1번째 하우스의 시작점이라는데 있다.
전체 별자리 하우스 시스템이 하우스 분할의 원래 형태였으며 고대 점성가들 사이에서 지배적인 형태였다는 주장에 대한 논쟁이 있다.[32] 전체 별자리 하우스에 반대하는 한 가지 주장은 하우스를 나누는 방법을 설명할 때 어떤 고대 점성가의 텍스트에서도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반론은 암시되어 있으며, 상승점의 도수만 제시되는 고대 차트에서 유일하게 말이 되는 하우스 시스템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점성가의 위치의 경도를 알고 있다면 상승점의 도수만으로 사분면 하우스를 결정할 수 있다. 전체 별자리 하우스에 반대하는 또 다른 주장은 행성이 하우스를 거꾸로 지나갈 수 있기 때문에 (예: 특정 조건에서 행성이 8하우스에서 9하우스로 이동할 수 있음) 기본 운동의 원칙을 위반한다는 것이다.[33] 또한, 전체 별자리 하우스가 각도성의 가치를 떨어뜨린다는 우려가 있다.[32] 전체 별자리 하우스는 본질적으로 미국 주도의 운동이며, 그 이전과 이후의 헬레니즘 점성학 텍스트의 맥락을 벗어났다고 주장된다. 유럽에서는 전통 점성술과 관련이 있는 대부분의 점성가들이 실제로 전체 별자리 하우스를 채택하지 않았다.[33] 마틴 간스텐(Martin Gansten)은 발렌스(Valens)에서 하우스는 종종 별자리의 위치만으로 임시적으로 근사되었지만, 도수를 이용한 위치 계산은 더 정확하고 유용하다는 원칙으로 일관되게 유지되었다고 주장한다.[34]
3. 2. 동분 하우스 (Equal Houses)
동분 하우스 체계는 황도면을 상승점을 시작으로 30도씩 균등하게 나누는 방식이다. 이 체계에서 상승점은 1번째 하우스의 시작점이 되고, 황도대의 순서에 따라 정확히 30도 간격으로 다음 하우스들이 이어진다.[35]
동분 하우스 체계는 고위도(특히 60도 이상) 지역에서 플라시두스 체계와 같은 다른 사분면 체계들보다 더 정확하고 왜곡이 덜하다고 주장된다.[55][36]
이 체계에서는 차트의 최고점인 중천점(MC)이 반드시 10번째 하우스의 시작점이 되지는 않는다. 대신 MC는 위도에 따라 7번째에서 12번째 하우스 사이 어디에든 위치할 수 있다. MC는 일반적으로 합의된 의미를 유지하지만, 10번째 하우스의 시작점 역할은 하지 않는다. 동분 하우스 체계는 MC에 추가적인 정의와 의미를 부여하며, MC 자체에 적용되는 해석은 다른 하우스 체계와 일치한다.[50]
상승점/하강점 및 중천/IC 축은 서로 수직에서 벗어날 수 있다. (적도에서 최대 약 +-5도에서 알렉산드리아에서 약 +-15도, 극지방에서 +-90도까지). 결과적으로, 상승점에서부터 계산된 동분 하우스는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상징적으로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제10하우스 첨점에 중천을 위치시킬 수 없다. 이 지점은 야망, 경력 및 사회적 이미지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중천이 유사한 제10하우스의 첨점이 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또한 염소자리(황도대의 열 번째 별자리)와 확장되어 연결되기도 한다. 동일 하우스 시스템은 항상 MC를 경력의 가장 중요하고 우선적인 지표로 간주한다. 반면에 제10하우스 첨점은 고려되지만, 단순히 약한 두 번째 MC 첨점으로 해석된다.[50]
하우스를 분할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크게 균등 분할, 공간적 분할, 시간적 분할의 세 가지로 나뉜다. 기독교 점성술에서는 균등 분할 방법 중 하나인 이퀄 하우스가 채택되었다.
하우스명 | 읽는 법 | 개요 |
---|---|---|
Equal | 이퀄 | 가장 단순한 하우스 분할이다. 어센던트를 기점으로 30도씩 12등분한다. MC(Medium Coeli)가 10하우스에 오지 않을 수도 있다. |
3. 3. 사분면 하우스 (Quadrant Houses)
사분면 하우스 체계는 상승점, 하강점, 중천점, 천저점을 기준으로 하우스를 4등분하고, 각 사분면을 다시 3등분하는 체계이다. 이 체계는 대부분의 점성가들이 동의하는 방식으로, 첫 번째 하우스의 시작점은 상승점, 네 번째 하우스의 시작점은 천저점, 일곱 번째 하우스의 시작점은 하강점, 열 번째 하우스의 시작점은 중천점이다.[57]이러한 사분면 하우스 체계에는 플라치두스, 코흐, 포르피리오스, 레기오몬타누스, 알카비티우스 등 다양한 방식이 있다.
- 포르피리오스 하우스: 각 사분면을 3등분하는 가장 오래된 사분면 방식의 하우스 분할 체계이다. 2세기의 점성가 베티우스 발렌스가 처음으로 묘사하였다.
- 알카비티우스 하우스: 플라치두스 체계의 선행자로, 상승점부터 자오선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을 3등분한다. 레기오몬타누스 체계가 소개되기 전 유럽에서 매우 인기 있었다.
- 레기오몬타누스 하우스: 천구 적도를 12등분하고, 그 경계를 지평선의 남쪽과 북쪽을 잇는 대원을 따라 황도로 투영하는 방식이다.
- 지표점 중심(Topocentric) 하우스: 아르헨티나에서 고안된 최근의 체계로, 사람들의 삶에서 관찰되는 사건과 적합한 하우스 체계의 기하학적 평가를 통해 경험적으로 결정되었다고 주장한다. 각 하우스의 시작점은 언제나 플라치두스 체계의 해당 도수와 같다. 폴리흐-페이지 체계라고도 불린다.
- 신포르피리오스(Neo-Porphyrios) 하우스: 각 사분면의 크기에 따라 연속되는 사인곡선적 방식으로 하우스가 팽창 및 수축되는 유연성을 지닌다. 아스트롤로그(Astrolog)에서 처음 알려졌다.
- 크루신스키(Krusinski) 하우스: 1995년에 출판된 하우스 체계로, 상승점에서 천정을 두르며 지나는 대원에 기반한다. 암포라(Amphora)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62]
하우스를 분할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 방식이 있다. 크게 나누면 균등하게 분할하는 방법, 공간적으로 분할하는 방법과 시간적으로 분할하는 방법의 세 가지가 있다.
3. 3. 1. 플라치두스 (Placidus)
플라치두스(Placidus)는 현대 서양 점성술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하우스 체계이다. 이 체계는 시간 분할을 기반으로 하며, 천저점에서 지평선까지, 그리고 지평선에서 중천점까지 황도에서의 구간들을 3등분하여 2, 3, 11, 12 하우스의 시작점을 결정한다. 8, 9, 5, 6 하우스의 시작점은 반대편과 같다.[58]플라치두스 체계는 때때로 남위 66°나 북위 66° 이상의 극권에서는 정의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는 극권 지역의 특성상 해가 뜨거나 지지 않아 황도의 지평선이 정의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체계가 확장되지 않고서는 그곳에 나타나는 행성을 어느 하우스에도 배정할 수 없다. 비평가들은 이것을 플라치두스 체계의 약점으로 지적하며, 고위도 지역에 예외적인 하우스 할당을 종종 언급한다.[58]
이 체계는 17세기의 점성가 플라치두스 데 티티스의 이름을 땄지만, 13세기경 아랍 문학에서 최초로 언급되었고, 1602년에 조반니 안토니오 마기니의 저서 《일반적 방침의 주요 이동객체표》에서 처음으로 확립되었다. 최초의 문서화된 사용은 1627년 체코에서 시작되었다.[59] 이후 가톨릭교회는 태양중심설에 대항하여 프톨레마이오스의 지구중심설을 지지하고자 이 체계를 보급했다. 플라치두스의 저서는 동시대 학자들에게 신뢰성을 얻어 이 체계에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플라치두스는 영어 문화권 점성가들 사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체계로 남아있다.[47][48][49]
하우스를 분할하는 여러 방법 중 시간 분할 방식의 하나인 플라시두스 방식은 알렌 레오에 의해 채택되어 사실상 표준이 되었다. 다만, 고위도 지역에서 하우스 넓이에 극단적인 차이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52]
하우스명 | 읽는 법 | 개요 |
---|---|---|
Placidus | 플라시두스 | 하우스 분할을 시간적으로 분할하는 방법. 고위도 지방에서 일조 시간이 짧아지거나 길어지기 때문에, 하우스의 크기가 극단적으로 왜곡된다. |
3. 3. 2. 코흐 (Koch)
플라치두스 체계를 개선한 것으로, 각 사분면에 대한 적경의 균일한 증가를 기반으로 한다.[52] 발터 코흐가 개발했으며 위도 66°N에서 66°S 사이에서만 정의된다. 플라치두스보다 고위도 지역에서 더 정확하다고 알려져 있다. 미국과 독일어권 국가에서 주로 사용되지만, 중앙 유럽에서는 크루신스키(Krusiński) 하우스 시스템에 비해 인기가 다소 떨어졌다.3. 3. 3. 포르피리오스 (Porphyrios)
포르피리오스 하우스 분할 체계는 네 모서리 사이의 각 사분면을 3등분하는, 가장 오래된 사분면 방식의 하우스 분할 체계이다.[52]3. 3. 4. 레기오몬타누스 (Regiomontanus)
천구 적도를 12등분하고, 그 경계를 지평선에서 남쪽과 북쪽을 잇는 대원을 따라 황도로 투영하는 방식이다.[52]3. 3. 5. 알카비티우스 (Alchabitius)
플라치두스 체계의 선행자로, 상승점부터 자오선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을 3등분한다. 알카비티우스 하우스 시스템은 레기오몬타누스 시스템이 도입되기 전 유럽에서 매우 인기가 있었다.[52]4. 12 하우스의 의미
바빌로니아인들은 오늘날 대부분의 점성가들이 사용하는 12 하우스 분할법을 처음으로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54] 각 하우스는 동쪽 지평선 아래에서부터 순서대로 번호가 매겨지며, 삶의 특정 영역에 영향을 미친다.
현대 점성가들은 각 하우스가 해당 별자리와 관련이 있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첫 번째 하우스는 첫 번째 별자리인 양자리와 자연적인 연관성을 갖는다는 식이다. 또한, 하우스를 쌍으로 묶어 (예: 1 & 7, 2 & 8 등) 상호 보완적인 속성을 고려하기도 한다.
다음 표는 12 하우스의 의미, 관련 별자리, 라틴어 표어, 번역, 현대적 명칭, 그리고 해석을 정리한 것이다.
하우스 | 별자리 | 라틴어 표어 | 번역 | 현대적 명칭 | 해석 |
---|---|---|---|---|---|
1번째 | 양자리 | Vita | 삶 | 자신의 하우스 | 신체적 외모, 특징, 첫인상, 세상을 보는 관점, 자아, 시작, 발의 |
2번째 | 황소자리 | Lucrum | 부 | 가치의 하우스 | 유형 및 무형의 가치, 돈, 소유물, 재산, 취득물, 경작, 성장, 물질, 자부심 |
3번째 | 쌍둥이자리 | Fratres | 형제 | 소통의 하우스 | 유년기 환경, 의사소통, 행복, 지성, 업적, 형제자매, 이웃 문제, 단기 및 지역 내 여행, 운송 |
4번째 | 게자리 | Genitor | 부모 | 집과 가족의 하우스 | 조상, 유산, 고향, 초년기 기반, 환경, 어머니 또는 어머니 같은 존재, 가옥 관리인, 주기적 문제의 끝 |
5번째 | 사자자리 | Nati | 어린이 | 기쁨의 하우스 | 여가, 휴양, 즐거움, 오락, 게임, 도박, 어린이, 사랑, 성생활, 창조적 자기표현 |
6번째 | 처녀자리 | Valetudo | 건강 | 건강의 하우스 | 일상 과업, 의무, 습득 기술, 단련, 직업, 고용, 건강, 전체적 행복, 봉사, 보살핌, 애완동물, 가정의 작은 동물 |
7번째 | 천칭자리 | Uxor | 배우자 | 협력의 하우스 | 가깝고 막역한 관계, 결혼, 동업자, 협정, 동의, 외교 관계 (알려진 적과의 관계 포함), 타인을 감복시키는 매력적인 특성 |
8번째 | 전갈자리 | Mors | 죽음 | 환생의 하우스 | 죽음과 부활, 성관계, 헌신적 관계, 합동 기금 및 재정, 타인의 자원, 신비학, 영매, 금기시되는 문제, 갱생, 자기변화 |
9번째 | 사수자리 | Iter | 여행 | 철학의 하우스 | 외국 여행, 외국, 문화, 장거리 여행, 여정, 종교, 법, 도덕, 대학 교육, 지식, 확장을 통한 경험 |
10번째 | 염소자리 | Regnum | 왕국 | 사회적 지위의 하우스 | 야망, 동기부여, 경력, 사회적 지위, 정부, 권력, 아버지 또는 아버지 같은 존재, 가장, 공개적 출현, 표현 |
11번째 | 물병자리 | Benefacta | 우정 | 우정의 하우스 | 마음이 통하는 친구, 지인, 단체, 모임, 사회, 높은 수준의 유대, 직업적 이득, 행운, 희망, 바람 |
12번째 | 물고기자리 | Carcer | 감옥 | 자기파멸의 하우스 | 신비주의, 자진 투옥 (병원, 감옥 등 격리 장소), 타인에게는 보이나 자신에게는 나타나지 않는 것, 파악하기 어려운 비밀, 미지의 문제, 사생활, 피신, 반성, 자기희생, 무의식, 잠재의식, 알려지지 않은 적 |
5. 하우스의 분류
바빌로니아인들은 오늘날 대부분의 점성가가 사용하는 열두 분할을 맨 처음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54] 하우스는 동쪽 지평선의 아래로부터 순서가 매겨지며, 삶의 각 영역에 영향을 미친다.
아래 표는 열두 하우스의 한국어 이름, 전통적인 라틴어 이름과 표어, 번역된 의미, 그리고 관련된 영향을 보여준다. 이 표는 오늘날의 점성가들에게도 여전히 인정되는 하우스의 기본 개요를 나타낸다.
하우스 | 별자리 | 라틴어 표어 | 번역 | 하우스의 현대식 명칭 | 해석 |
---|---|---|---|---|---|
1번째 | 양자리 (Aries) | Vita | 삶 | 자신의 하우스 | 신체적 외모, 특징, 첫인상, 세상을 보는 관점, 자아, 시작 |
2번째 | 황소자리 (Taurus) | Lucrum | 부 | 가치의 하우스 | 가치 있는 유형 및 무형의 것, 돈, 소유물, 재산, 물질, 자부심 |
3번째 | 쌍둥이자리 (Gemini) | Fratres | 형제 | 소통의 하우스 | 유년기 환경, 의사소통, 지성, 형제자매, 이웃 문제, 단기 여행 및 운송 |
4번째 | 게자리 (Cancer) | Genitor | 부모 | 집과 가족의 하우스 | 조상, 유산, 고향, 초년기 환경, 어머니, 가옥 관리인, 주기적 문제의 끝 |
5번째 | 사자자리 (Leo) | Nati | 어린이 | 기쁨의 하우스 | 여가 활동, 즐거움, 오락, 게임, 도박, 어린이, 사랑, 성생활, 창조적 자기표현 |
6번째 | 처녀자리 (Virgo) | Valetudo | 건강 | 건강의 하우스 | 일상 과업, 습득 기술, 직업, 고용, 건강, 봉사, 애완동물 및 작은 동물 |
7번째 | 천칭자리 (Libra) | Uxor | 배우자 | 협력의 하우스 | 결혼, 동업자, 협정, 동의, 외교 관계, 다른 사람을 감복시킬 매력적인 특성 |
8번째 | 전갈자리 (Scorpio) | Mors | 죽음 | 환생의 하우스 | 죽음과 부활, 성관계, 헌신적 관계, 합동 재정, 다른 사람의 자원, 신비학, 영매, 금기, 갱생, 자기변화 |
9번째 | 사수자리 (Sagittarius) | Iter | 여행 | 철학의 하우스 | 외국 여행, 문화, 장거리 여행, 종교, 법, 도덕, 대학 교육, 지식, 경험 |
10번째 | 염소자리 (Capricorn) | Regnum | 왕국 | 사회적 지위의 하우스 | 야망, 동기부여, 경력, 사회적 지위, 정부, 권력, 아버지, 가장, 공개적 출현 |
11번째 | 물병자리 (Aquarius) | Benefacta | 우정 | 우정의 하우스 | 마음이 통하는 친구, 지인, 단체, 모임, 유대, 직업적 이득, 희망, 바람 |
12번째 | 물고기자리 (Pisces) | Carcer | 감옥 | 자기파멸의 하우스 | 신비주의, 격리 장소, 비밀, 사생활, 피신, 반성, 자기희생, 무의식, 잠재의식, 알려지지 않은 적 |
많은 현대 점성가들은 하우스가 해당 별자리와 관계가 있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첫 번째 하우스는 첫 번째 별자리인 양자리와 본연의 유사성을 갖는다는 것이다.
하우스 분할을 계산하는 데에는 다양한 접근 방식이 있으며, 어떤 하우스 시스템이 가장 정확한지에 대해 점성가들 사이에서 의견이 분분하다.[3] 하우스를 계산하려면 정확한 시간, 날짜 및 위치를 알아야 한다. 출생 점성술에서 일부 점성가들은 실제 출생 시간을 모르는 경우 정오 또는 일출 시간을 설정하여 출생 시간을 사용하지만, 그러한 차트의 정확한 해석은 기대할 수 없다.[4]
하우스 분할 방식은 다음과 같다.
- 자오선 하우스 (자전축 체계): 천구의 적도를 30º씩 분할하여 황도에 투영한다.
- 코흐 하우스: 플라치두스 체계의 복잡화된 형태로, 남위 66°와 북위 66° 사이의 위도에 한정된다.
- 찰스 E. O. 카터: 승천점의 적경에서 시작하여 각 다음 커스프에 30º의 적경을 더한다.
- 축 시스템 (적도 시스템): 천구 적도를 12개의 30° 섹터로 나눈다.
- 모리누스: 천구 적도는 12개로 나뉘며, 이 분할은 지평선의 북점과 남점을 포함하는 대원을 따라 황도에 투영된다.
- 레기오몬타누스: 주수직권 (천정 및 지평선의 동점을 포함하는 대원)을 12개로 나눈다.
- 캄파누스: 주수직권을 12개로 나누고, 이 분할점들을 지평선의 북점 및 남점을 포함하는 대원을 따라 황도에 투영한다.
- 사인파: 포르피리 하우스와 유사하지만, 각 사분면의 중간 하우스는 해당 사분면이 90도 미만을 포함하는지 또는 초과하는지에 따라 압축되거나 확장된다.
- 크루신스키-피사-괴르처: 정점과 상승점을 통과하는 대원을 기반으로 한다.
5. 1. 양상 (Modalities)
하우스는 별자리의 양상(활동궁, 고정궁, 변통궁)에 따라 앵귤러, 서큐던트, 케이던트로 분류된다.[22]
앵귤러 하우스는 시작점이며 행동을 나타낸다. 이는 활동궁 (양자리, 게자리, 천칭자리, 염소자리)와 관련이 있다. 서큐던트 하우스는 목적 지점이며 안정을 나타낸다. 이는 고정궁 (황소자리, 사자자리, 전갈자리, 물병자리)과 관련이 있다. 케이던트 하우스는 전환점이며 변화와 적응을 나타낸다. 이는 변통궁 (쌍둥이자리, 처녀자리, 사수자리, 물고기자리)와 관련이 있다.[24]
5. 2. 삼궁 (Triplicities)
하우스는 고전 원소 (불, 흙, 공기, 물)에 따라 삼궁(Triplicities)으로 묶을 수 있으며, 경험 수준과 관련된다.[23]삼분성 | 키워드 | 하우스 |
---|---|---|
불 삼분성 | 자아 | 1하우스, 5하우스, 9하우스 |
흙 삼분성 | 물질 | 2하우스, 6하우스, 10하우스 |
공기 삼분성 | 사회적, 지적인 면 | 3하우스, 7하우스, 11하우스 |
물 삼분성 | 영혼, 감정 | 4하우스, 8하우스, 12하우스 |
5. 3. 인도 점성술의 바바
인도 점성술에서 12개의 하우스는 바바(Bhava)라고 불리며, 각각 삶의 특정 영역을 나타낸다. 이 바바들은 다르마(Dharma, 의무), 아르타(Artha, 자원), 카마(Kama, 쾌락), 목샤(Moksha, 해탈)의 네 가지 범주로 나뉜다.[54]바바는 바빌로니아인들로부터 기원한 것으로, 동쪽 지평선 아래에서부터 시작하여 시계 반대 방향으로 번호가 매겨진다.[54] 각 바바는 특정 별자리 및 행성과 연관되어 있으며, 개인의 삶과 성격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첫 번째 바바는 자아를, 두 번째 바바는 재정을, 세 번째 바바는 의사소통을 나타내는 식이다.[2]
6. 주인지위 (Rulership)
헬레니즘, 베다 그리고 르네상스 점성술에서 각각의 하우스는 그것의 시작점이 있는 별자리에 대한 주인지위를 가지는 행성에 의해 통치된다.[51] 예를 들어, 만일 한 사람이 7번째 하우스의 시작점에 양자리를 갖고 있다면, 화성이 7번째 하우스의 "주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게 한 행성이 한 하우스에 배정되면, 그 사람의 삶에 있어서 그것의 본질은 해당 주제와 사건에 관련하여 아주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된다고 한다. 천궁에서 그러한 행성의 위치는 하우스 안에 있는 행성 만큼의 효력을 지닌다. 전통적인 서양 & 힌두 점성술에서, 각각의 별자리는 7개의 가시적 행성 가운데 하나가 통치한다.
게다가, 20세기 초반에 알란 레오에 의해 가장 먼저 가르쳐진 X=Y=Z 또는 행성=별자리=하우스의 학설을 따르는 일부 현대 점성가들은 특정 하우스가 해당 황도대 별자리의 주인지위를 가지는 행성에 의해 통치되거나 그것과 친화력을 지닌다고 믿는다. 예를 들면, 화성은 첫 번째 별자리인 양자리를 다스리기 때문에 1하우스의 지배자이다. 수성은 3번째 별자리인 쌍둥이 자리를 다스리기 때문에 3하우스를 다스리거나 친화성을 갖는다.[51]
이 개념은 때때로 "자연 주인지위"라고 불리며, 이전의 개념은 "우발적 주인지위"로 알려져 있다.
7. 하우스의 경향 (일본어 문서 참고)
1~6 하우스는 개인적인 사항을, 7~12 하우스는 집단적인 사항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5] 10~3 하우스는 내면적인 사항을, 4~9 하우스는 외면적인 사항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5]
마주보는 하우스끼리는 대조적이고 정반대의 사항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는데,[5]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하우스 | 의미 |
---|---|
제1하우스 | 본인의 성격 |
제7하우스 | 대인 관계, 타인에게 어떻게 보여지는가, 배우자, 라이벌 |
제2하우스 | 본인의 재능 |
제8하우스 | 배우자의 재능 |
제3하우스 | 초등 교육, 가까운 여행・국내 여행 |
제9하우스 | 고등 교육, 먼 여행・외국 여행 |
제4하우스 | 가정, 어머니 |
제10하우스 | 사회・회사, 아버지 |
제5하우스 | 연애・연인, 개인적인 취미 |
제11하우스 | 우정・친구, 서클 활동 |
제6하우스 | 건강, 고용, 신체적인 것 |
제12하우스 | 병, 병원, 격리, 정신적인 것 |
참조
[1]
서적
p. 111
1989
[2]
웹사이트
Third House of the Birth Chart: Sibling Bonds
https://astrosapient[...]
2023-07-01
[3]
서적
pp. 281-284
1978
[4]
웹사이트
What If You Don't Know The Birth Time
http://astrologyclub[...]
2016-10-28
[5]
서적
sub. tit. "Houses"
1948
[6]
서적
p. 17
1974
[7]
서적
p. 89
1978
[8]
서적
p. 10
1973
[9]
웹사이트
Astrology houses explained. A comprehensive guide for beginners
https://morinus-astr[...]
2023-02-02
[10]
웹사이트
The First House in Astrology
https://theastrocode[...]
2017-09-11
[11]
웹사이트
The Second House in Astrology
https://theastrocode[...]
2017-09-11
[12]
웹사이트
The Third House in Astrology
https://theastrocode[...]
2017-09-11
[13]
웹사이트
The Fourth House in Astrology
https://theastrocode[...]
[14]
웹사이트
The Fifth House in Astrology
https://theastrocode[...]
[15]
웹사이트
The Sixth House in Astrology
https://theastrocode[...]
[16]
웹사이트
The Seventh House in Astrology
https://theastrocode[...]
[17]
웹사이트
The Eighth House in Astrology
https://theastrocode[...]
[18]
웹사이트
The Ninth House in Astrology
https://theastrocode[...]
[19]
웹사이트
The Tenth House in Astrology
https://theastrocode[...]
[20]
웹사이트
The Eleventh House in Astrology
https://theastrocode[...]
[21]
웹사이트
The Twelfth House in Astrology — Pisces
https://eu.usatoday.[...]
2022-10-19
[22]
서적
p. 91
1978
[23]
서적
p. 114
1989
[24]
서적
Astrology for Beginners: A Simple Way to Read Your Chart
Llewellyn Publications
[25]
웹사이트
The Brihat Parashara Hora Sashtra
[26]
웹사이트
The Houses
http://astrologyclub[...]
2016-10-28
[27]
서적
p. 12
1990
[28]
서적
p. 35
1998
[29]
웹사이트
Ancient House Division
http://www.hellenist[...]
2016-08-04
[30]
서적
p. 25
1987
[31]
서적
p. 19-28
1982
[32]
웹사이트
Ep. 54 Transcript: Debating Ancient Systems of House Division
https://theastrology[...]
2022-08-26
[33]
웹사이트
The sign the whole sign and nothing but the sign
https://www.astrolog[...]
[34]
간행물
Platikos and moirikos: Ancient Horoscopic Practice in the Light of Vettius Valens’ Anthologies, International Journal of Divination and Prognostication, 4(1), 1-43
2023
[35]
뉴스
HOUSES - Astrology Booth
http://www.astrology[...]
Astrology Booth
2018-10-13
[36]
서적
1990
[37]
서적
1992
[38]
서적
1978
[39]
서적
1978
[40]
서적
1947
[41]
서적
1992
[42]
서적
2009
[43]
웹사이트
How to calculate house cusps in the Regiomontanus system?
https://morinus-astr[...]
2023-03-19
[44]
서적
The eastern origins of the Campanus (Prime Vertical) method. Evidence from al-Bīrūnī
1986
[45]
웹사이트
Sinusoidal House Systems
http://www.astrolog.[...]
[46]
웹사이트
Der Grüne Vogel
http://dergruenevoge[...]
[47]
웹사이트
How to calculate house cusps in the Placidus system?
https://morinus-astr[...]
2023-03-21
[48]
웹사이트
Astrodatabank FAQ n.5
http://www.astrodata[...]
[49]
웹사이트
Horoscope of Albrecht of Wallenstein on display in Prague
http://www.radio.cz/[...]
2007-11-13
[50]
서적
1979
[51]
서적
The Houses: Temples of the Sky
https://books.google[...]
The Wessex Astrologer Ltd
[52]
문서
[53]
서적
Encyclopedia of Astrology
Philosophical Library
1948
[54]
서적
The New Compleat Astrologer
Crescent Books, New York
1990
[55]
서적
Ibid
1990
[56]
논문
Ancient House Division
1982
[57]
서적
Teach Yourself Astrology
Hodder and Stoughton, London
1979
[58]
웹사이트
Astrodatabank FAQ n.5
http://www.astrodata[...]
[59]
URL
http://www.radio.cz/[...]
[60]
서적
Horoscopes and history
The Warburg Institute, University of London
[61]
웹사이트
지표점중심 하우스 체계의 분석
http://www.levante.o[...]
[62]
간행물
《Konstelace č. 22"》: "AMPHORA - nový systém astrologických domů{{해석|별자리 제22권: 암포라: 점성술의 새로운 하우스 체계}}(1997년), 소책자《"Amphora - algoritmy nového systému domů》{{해석|암포라: 새로운 하우스 체계의 알고리즘}}(1998년)
[63]
논문
Schmidt & Hand "On the invariance of tropical Zodiac" and "Early house divisions in the Hellenistic era"{{해석|슈미트와 핸드의《회귀황도대의 불변성에 대하여》와 《"헬레니즘 시대 초기의 하우스 분할》}}
[64]
논문
Dominion, or the System of 8 Houses
http://cura.free.f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