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통신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방송통신대학교는 1972년 개교한 대한민국 최초의 평생교육 기관으로, 국립 서울대학교 부설 한국방송통신대학으로 시작했다. 4년제 학사 과정과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전국 13개 지역대학과 시군학습관을 두고 있다.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교육대학의 4개 단과대학과 17개의 대학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4년부터는 재외 한국인과 외국인도 입학이 가능하며, 원격 수업을 통해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성미애
성미애는 서울대학교에서 가정학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며, 가정학 및 가족 관련 분야에서 다양한 학회 및 시민단체에서 활발하게 활동한 학자이다.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방송대학TV
방송대학TV는 1996년 케이블TV 채널로 개국하여 위성방송 송출을 시작했고, 디지털 전환을 거쳐 스마트 러닝 서비스를 제공한다. - 제주특별자치도의 대학교 - 제주국제대학교
제주국제대학교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영평동에 위치한 사립 대학교이며, 1973년 개교 이후 여러 차례 교명 변경을 거쳐 탐라대학교와 통합하여 현재의 이름을 사용하고, 7개의 학부와 25개의 학과 및 대학원을 운영하며, 정부 재정 지원 제한 대학으로 지정된 이력이 있다. - 제주특별자치도의 대학교 - 제주대학교
제주대학교는 1951년 제주대학원으로 설립되어 국립대학으로 전환, 제주사범학교를 흡수 통합, 제주교육대학교와 통합을 거쳐 현재 다양한 학문 분야를 교육, 연구하는 대한민국의 국립대학교이다. - 울산광역시의 대학교 - 울산대학교
울산대학교는 1969년 울산공과대학으로 설립되어 1985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된 사립 대학으로, 공업단지 발전을 위한 기술 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현대그룹의 지원을 받아 설립되었으며, 현재 11개의 단과대학과 6개의 대학원을 운영하며 다양한 분야의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제공하고 산학협력에도 힘쓰고 있다. - 울산광역시의 대학교 - 울산과학기술원
울산과학기술원은 울산 지역 고등 교육 불균형 해소와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설립된 과학기술원으로, 법인으로서 자율성과 독립성을 보장받으며 영어 강의와 기숙사형 캠퍼스 운영을 특징으로 한다.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 위치 정보 | |
| 기본 정보 | |
| 이름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 로마자 표기 | Hanguk Bangsong Tongsin Daehakgyo |
| 한자 표기 | 韓國放送通信大學校 |
| 설립일 | 1972년 3월 9일 |
| 종류 | 국립 방송통신대학 |
| 국가 | 대한민국 |
|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86 |
| 좌표 | '37.5790, 127.0028' |
| 캠퍼스 | 86 Daehak-ro, Jongro-gu, Seoul, Korea |
| 웹사이트 | www.knou.ac.kr |
| 학교 정보 | |
| 총장 | 고성환 |
| 건학 이념 | 전문성, 공공성, 개방성, 자율성 |
| 규모 | 5대학, 2대학원 |
| 교직원 수 | 전임교원: 161명(2023년) 기타교원: 100명(2023년) |
| 학생 수 | 학부: 92,070명(2023년) 대학원: 2,560명(2023년) |
| 이미지 | |
![]() | |
![]() | |
| 기타 정보 | |
| 표어 | 내 인생을 원격으로 바꾼 대학 |
2. 연혁
- 1972년 3월 9일, 대한민국 최초의 평생교육 기관으로 '''국립 서울대학교 부설 한국방송통신대학'''이 개교했다.
- 1981년 2월 24일, 초급대학과정에서 5년제 학사과정(KACU)으로 개편되었다.
- 1982년 2월 15일, 서울대학교에서 분리 독립했다.
- 1991년 12월 31일, 5년제 학사과정에서 4년제 학사과정으로 개편되었다.
- 1993년 3월 1일, '국립 한국방송통신대학'에서 '국립 한국방송통신대학교'로, '학장'에서 '총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1996년 9월 2일, 방송대학TV(OUN)가 개국하였다.
- 2001년 9월 1일, 평생대학원이 개원하였다.
- 2021년 1월 12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다.
- 2022년 3월 4일, 제8대 총장으로 고성환(국어국문학과 교수)가 취임하였다.
2. 1. 1970년대 ~ 1980년대
- 1972년 3월 9일 대한민국 최초의 평생교육 기관으로 '''국립 서울대학교 부설 한국방송통신대학'''이 개교하였다. 2년제 초급대학 과정으로 https://web.archive.org/web/20121012200341/http://he.knou.ac.kr/ 가정학과, https://web.archive.org/web/20121012200419/http://biz.knou.ac.kr/ 경영학과, https://web.archive.org/web/20121012195611/http://agri.knou.ac.kr/ 농학과, 초등교육과, https://web.archive.org/web/20121012195707/http://pa.knou.ac.kr/ 행정학과의 5개 학과가 설치되었다.
- 1977년 8월 12일 통신교육연구소(현 원격교육연구소)가 설립되었다.
- 1981년 2월 24일 초급대학과정에서 5년제 학사과정(KACU)으로 개편되었다.
- 1982년 2월 15일 서울대학교에서 분리되어 독립하였다. 학사과정에 https://web.archive.org/web/20121012195929/http://econ.knou.ac.kr/ 경제학과, https://web.archive.org/web/20121012195650/http://law.knou.ac.kr/ 법학과, 영어과의 3개 학과가 증설되었고, 전문대학과정에 유아교육과 1개 학과가 증설되었다.
- 1982년 6월 7일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가 등록되었다(등록번호 제1-491호).
- 1983년 2월 25일 한국방송통신대학 교재가 발행되었다.
- 1983년 9월 학생생활연구소가 설립되었다.
- 1983년 전자계산소가 설립되었다.
- 1985년 TV강의가 시작되었다.
2. 2. 1990년대
- 1991년 12월 31일, 5년제 학사과정에서 4년제 학사과정으로 개편되었다.
- 1992년 3월 6일, 대학개혁위원회가 1989년에 마련한 종합발전방안에 따라 대학 편제를 5개 학부(인문과학부, 자연과학부, 사회과학부, 교육과학부, 교양과정부)로 재편하였다.
- 1993년 3월 1일, '국립 한국방송통신대학'에서 '국립 한국방송통신대학교'로, '학장'에서 '총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1992년 3월 30일, 사단법인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설립이 문화체육부로부터 허가되었다.
- 1995년, 지역학습관을 초고속정보통신망으로 연결하여 원격영상 강의체제를 도입하였다.
- 1996년 9월 2일, 방송대학TV(OUN)가 개국하였다.
- 1996년, 지역튜터제가 도입되었다.
- 1997년 5월 20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교육원이 설립되었다.
- 1998년 1월 1일, 독학에 의한 학위취득업무가 우리 대학으로 이관되었다.
- 1998년, LOD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 1999년 3월 1일, 방송대학 위성 TV 채널 운영이 시작되었다.
2. 3. 2000년대
- 2000년 5월 9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종합교육연수원 설립
- 2001년 9월 1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개원(4개 학과), 가상교육지원센터 설립
- 2001년 지역학습관을 지역대학으로 명칭 변경
- 2002년 8월 31일 경남지역대학 울산학습관이 울산지역대학으로 승격
- 2002년 11월 10일 제16차 AAOU(Asian Association of Open Universities) 연례회의 주최
- 2003년 10월 1일 관광학과, 문화교양학과 신설
- 2003년 11월 15일 발전후원회 창립
- 2004년 5월 1일 산학협력단 설립
- 2004년 5월 15일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교양도서 브랜드 ‘지식의날개’ 론칭
- 2005년 학부를 단과대학으로 변경
- 2005년 튜터제도 보완(학과튜터제와 사이버튜터제 도입)
- 2006년 2월 22일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학술도서 브랜드 ‘에피스테메’ 론칭
- 2006년 9월 1일 평생대학원 3개 학과 증설 (실용영어학과, 이러닝 학과, 간호학과)
- 2007년 3월 2일 디지털미디어센터 설치(교육매체개발원과 이러닝센터 통합)
- 2007년 12월 10일 통합인문학연구소 설립
- 2007년 멘토링 제도 도입
- 2008년 2월 1일 독학학위검정원 외부 이관
- 2008년 6월 1일 대외협력과 신설
- 2008년 6월 18일 EBS FM을 통한 방송대학 강좌 송출 폐지
- 2008년 10월 1일 교육과 학과 분리(교육학과, 청소년교육과)
- 2009년 3월 1일 서울 제1지역 대학과 서울 제2지역 대학 통합(서울지역대학)
- 2009년 10월 교양교육원 설치
2. 4. 2010년대
- 2010년 8월 30일 '마산시학습관'을 '창원시학습관'으로 명칭 변경하고, 창원시 진해구 학습관을 폐지하여 창원시 학습관의 진해 별관으로 격하하였다.
- 2010년 9월 29일 평생대학원에 정원을 증원하고 8개 학과를 신설하였다. (증원: 실용영어학과, 경영학과, 가정학과, 이러닝 학과 / 신설: 실용중국어학과, 일본언어문화학과, 법학과, 문화콘텐츠학과, 농업생명과학과, 바이오정보학과, 환경보건시스템학과, 청소년교육학과)
- 2011년 8월 31일 평생대학원을 대학원으로 명칭 변경하였다.
- 2011년 10월 1일 인재개발원을 설치하였다.
- 2012년 3월 30일 교육과학기술부 국정사업인 '블렌디드 러닝 환경 구축' 사업 추진 주관기관으로 한국방송통신대학교가 지정됨에 따라 교육조직으로 동숭대학을 설치하였다.
- 2012년 5월 8일 대학원에 2개 학과를 신설하였다. (문예창작콘텐츠학과, 아프리카ㆍ불어권 언어문화학과)
- 2012년 8월 29일 대학원 경영학과를 폐지하고 경영대학원을 설립하였다. (HR컨설팅전공, GM전공, 테크노경영 전공, 마케팅전공, 재무금융전공, 회계세무전공, 경제정책전공, 국제무역전공)
- 2012년 8월 29일 동숭대학을 프라임 칼리지로 명칭 변경하였다.
- 2012년 9월 25일 부총장제를 신설하였다.
- 2013년 4월 2일 2학기 신입생ㆍ편입생 모집을 시작하였다.
- 2013년 5월 27일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를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으로 명칭을 확대 개편하였다.
- 2013년 10월 25일 프라임 칼리지에 2개 학과를 신설하였다. (금융ㆍ서비스학부, 첨단공학부)
- 2014년 9월 28일 제6대 조남철 총장이 퇴임하고 대한민국 교육부의 총장임용 거부로 부총장의 총장직무대리 체제가 시행되었다.
- 2016년 1월 18일 서울지역대학 서부학습센터가 서울 은평구 대조동의 극동메트로센터 8~9층에서 고양시 덕양구 원흥동 신축 단독청사로 이전하였다.[11][12]
- 2018년 2월 14일 제7대 총장으로 1985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신인 농학과 류수노 교수가 취임하였다.
2. 5. 2020년대
- 2021년 1월 12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정
- 2022년 3월 4일 제8대 총장으로 방송통신대 국어국문과 고성환 교수 취임.
3. 교육 조직
한국방송통신대학교는 4개의 단과대학과 여러 대학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위 섹션에서 4개의 단과대학에 대한 정보를 자세히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대학원에 대한 내용을 간략하게 언급한다.
본교 대학원은 사회인을 위한 평생 교육을 주로 하는 "특수대학원"(고등교육법 제29조 2항)으로, 석사 논문 제출 없이 석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2024년부터는 박사 과정도 개설될 예정이다.
3. 1. 학부
한국방송통신대학교는 다음과 같이 4개의 단과대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문대학 (College of Liberal Arts)
- 사회과학대학 (College of Social Science)
- 자연과학대학 (College of Natural Science)
- 교육대학 (College of Education)
2024학년도부터 해외에 거주하는 재외 한국인과 외국인도 입학이 가능하게 되었다. 해외 거주 학생은 모든 수업과 성적 평가를 모두 원격(해외)으로 받을 수 있다. 단, 수업은 한국어로만 진행되며, 실습 과목이 있는 일부 학과는 입학이 제한된다.
3. 2. 대학원
방송대나 사이버대는 특수대학원이라 대학원에 석사 과정만 존재하고, 일반대학원과 달리 논문 작성 없이 석사 학위를 취득하는 경우가 많다. 방송대에서 일반대학원 및 전문대학원 도입을 추진했고, 상담대학원 설치를 위해서 정책 연구를 진행한다.[16]2024년부터 방송대와 사이버대에서도 박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게 됐다. 2년제 전문학위 과정을 운영하는 사이버대에서도 전공심화 과정을 설치하여 학사 학위를 수여할 수 있게 됐다.[17]
해외 국립 원격대학 중 박사 과정을 개설한 곳은 OU (영국), UMUC (미국), AU (캐나다), UNED (스페인), UNISA (남아공), OUJ (일본) OUM (말레이시아), OUHK (홍콩), IGNOU (인도) 등이 있다. NOU (대만)의 경우 대학원 과정이 아예 없다.[18]
이 대학교에는 다음과 같은 17개의 대학원이 있다.
| 학과 |
|---|
| 영어교육과 |
| 중국어교육과 |
| 일본언어문화학과 |
| 프랑스언어문화학과 |
| 법학과 |
| 행정학과 |
| 경영학과 |
| 미디어예술·문화콘텐츠학과 |
| 농생명과학과 |
| 경제학과 |
| 컴퓨터과학과 |
| e러닝학과 |
| 생물정보학과 |
| 환경보건시스템학과 |
| 간호학과 |
| 평생교육학과 |
| 청소년교육과 |
| 유아교육과 |
| 평생대학원 |
일반 대학원과 달리, 본교는 사회인을 위한 평생 교육을 주로 하는 “특수대학원”(고등교육법 제29조 2항)으로 취급되며, 석사 논문 제출 없이 석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박사 과정 설치가 허용되지 않았으나, 고등교육법 개정에 따라 2024년부터 박사 과정도 개설할 수 있게 되었다.
3. 3. 프라임칼리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는 프라임칼리지(Prime College)가 존재하지 않으며, 4개의 단과대학(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교육대학)과 17개의 대학원이 있다.4. 캠퍼스
방송대는 4개의 단과 대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국 13개 특별시 및 광역시도에 지역대학을 두고 있다. 대전·충남(세종 포함), 광주·전남, 대구·경북을 제외한 지역에는 1시도 1지역대학을 두고 있으며, 지역대학 산하에 시군학습관(서울은 학습센터)을 운영한다. 단, 경기북부 지역 학습관은 서울지역대학, 부천시는 인천지역대학 소속이며, 경기지역대학은 경기남부에만 학습관이 있다.[13][14][15]
광역시 승격 시 해당 지역 학습관은 지역대학으로 승격되는 것이 관례이다. 가장 최근에는 2002년 경남지역대학 울산시 학습관이 울산지역대학으로 승격되었다.
| 지역 | 명칭 | 주소 |
|---|---|---|
| 서울 | 서울지역대학 | 서울특별시 성동구 아차산로 12 |
| 남부학습센터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도신로4길 20 | |
| 북부학습센터 |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 136 | |
| 서부학습센터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권율대로 696-1 | |
| 동두천시학습관 | 경기도 동두천시 중앙로 206 | |
| 남양주시학습관 | 경기도 남양주시 경춘로 386 | |
| 경기 | 경기지역대학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효행로 28 |
| 성남시학습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 150 | |
| 안산시학습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광덕서로 82 | |
| 안양시학습관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로 483 | |
| 인천 | 인천지역대학 | 인천광역시 남동구 미래로 31 |
| 부천시학습관 | 경기도 부천시 경인로60번길 40 | |
| 강원 | 강원지역대학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방송길 51 |
| 속초시학습관 |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청초호반로 201 | |
| 강릉시학습관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경강로 2478 | |
| 동해시학습관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송정2길 21 | |
| 태백시학습관 |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통리2길 10 | |
| 원주시학습관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오리현길 46 | |
| 충북 | 충북지역대학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모충로 32 |
| 제천시학습관 | 충청북도 제천시 대학로 175 | |
| 충주시학습관 | 충청북도 충주시 원달천1길 4 | |
| 대전·충남 | 대전·충남지역대학 | 대전광역시 유성구 오룡1길 112 |
| 천안시학습관 | 충청남도 천안시 두정고2길 52-10 | |
| 공주시학습관 | 충청남도 공주시 웅진로 120-3 | |
| 홍성군학습관 |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법원로 2 | |
| 서산시학습관 | 충청남도 서산시 문화로 47 | |
| 대구·경북 | 대구·경북지역대학 | 대구광역시 달서구 선원로 21 |
| 포항시학습관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동해대로1586번길 5 | |
| 경주시학습관 | 경상북도 경주시 동문로 40-2 | |
| 구미시학습관 | 경상북도 구미시 선기로 111 | |
| 상주시학습관 | 경상북도 상주시 동수로 36 | |
| 안동시학습관 | 경상북도 안동시 강남로 65-1 | |
| 부산·울산·경남 | 부산지역대학 | 부산광역시 북구 학사로17번길 14 |
| 울산지역대학 | 울산광역시 중구 함월로 90 | |
| 경남지역대학 |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대로 824 | |
| 창원시학습관 진해별관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동진로 44 | |
| 창원시학습관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드림베이대로 54 | |
| 거제시학습관 | 경상남도 거제시 거제중앙로 1821-4 | |
| 전북 | 전북지역대학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태평3길 63 |
| 남원시학습관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전령길 51 | |
| 정읍시학습관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평5길 76-12 | |
| 익산시학습관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무왕로 1107 | |
| 군산시학습관 |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경암로 56 | |
| 광주·전남 | 광주·전남지역대학 | 광주광역시 광산구 첨단내촌로 6 |
| 순천시학습관 | 전라남도 순천시 임천동길 23 | |
| 여수시학습관 | 전라남도 여수시 문수로 151-1 | |
| 해남군학습관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중앙1로 2 | |
| 목포시학습관 | 전라남도 목포시 백년대로412번길 14 | |
| 제주지역대학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정존7길 34 |
5. 학생회
방송대 학생회는 학칙에 근거하여 전국총학생회(1개), 단과대학총학생회(4개), 지역대학총학생회(13개), 학과학생회(22개 학과 * 13개 지역)로 구성되어 있다.[1] 학과학생회 별로 연합회장을 선출(추대)하고 각 단과대학의 연합회장 중 1인을 각 단과대학총학생회장으로 선출한다.[1]
전국총학생회는 총학생회장(직접선거 당선직), 인문과학대학총학생회장(선출), 사회과학대학총학생회장(선출), 자연과학대학총학생회장(선출), 교육과학대학총학생회장(선출), 수석부총학생회장(서울총학생회장 당연직에서 인준으로 변경), 지역부총학생회장(지역총학생회장 중 선출), 실무부총학생회장(임명직), 교무부총학생회장(임명직), 각 지역총학생회장(직접선거 당선직), 중앙상임위원회위원(서울총학생회 임명직) 및 국장으로 구성한다.[1]
| 인문과학대학 총학생회 | 사회과학대학 총학생회 | 자연과학대학 총학생회 | 교육과학대학 총학생회 |
|---|---|---|---|
| 서울지역대학 총학생회 | 대전충남지역대학 총학생회 | 부산지역대학 총학생회 |
|---|---|---|
6. 사건·사고 및 논란
2012년 1월 3일 국무회의에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총장직을 차관급에서 장관급 예우로 승격했다.[19] 2014년 9월 29일 교육부의 임용 제청 거부로 총장 공백 사태가 발생했으나, 문재인 정부에서 재심의를 거쳐 2018년 2월 14일 류수노 교수가 총장으로 취임하면서 해결되었다.[20]
6. 1. 총장 장관급(특1호봉) 승격
2012년 1월 3일 오전 국무회의에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총장을 기존의 차관급 예우인 특2호봉에서 장관급 예우인 특1호봉으로 승격하였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19]- 여타 국공립대보다 상대적으로 사회·교육계 영향력이 큰 방송대가 제대로 대접받아야 한다.
- 국내 대학 가운데 가장 많은 캠퍼스인 13개 지역대학을 갖춰 총장 활동영역이 여타 대학보다 넓다.
- 사회 각계각층에서 활약하는 50만 동문과 18만 방송대 재학생의 자긍심 고취와 국내외 이미지 제고는 물론 입학 정원 확보 측면에서 지위 변경이 반드시 필요하다.
한편, 특1호 대학 승격은 장시원 총장 재임 기간(2006~2010년) '5대 숙원 사업'의 하나로 본격 추진되었다.[19]
6. 2. 교육부의 총장 임용
2014년 9월 29일 교육부의 임용제청 거부로 총장 공백 사태가 발생했으나, 2017년 5월 문재인 정부에서 재심의가 이루어지면서 해결의 기미가 보였다. 교육부는 같은 해 11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총장 임용 1, 2순위 후보자 모두 적격하다고 판정했다. 이후 여론 수렴 과정에서 내홍을 겪었지만, 2018년 2월 14일 1315일 만에 류수노 농학과 교수가 총장에 취임하였다.[20]6. 3. 신규 개설 학과 설문조사
교육과학기술부가 정부 7개 중앙 부처 공무원을 대상으로 '방송대 학부·대학원 신설 희망 학과 설문'을 실시한 결과가 2011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공식 블로그에 올라왔다. 방통대 학부에 심리학과 개설을 원한 사람은 전체 응답자 2,400명 중 2,311명으로 96.29%였고, 방통대 대학원에 심리학과 개설을 원한 사람은 전체 2,220명 중 2,103명으로 94.73%였다.[21] 임상심리사와 상담심리사 자격증 취득에 대부분 석사 학위를 요구하기 때문에 심리학과 석사 학위 취득이 중요하다.7. 저명한 동문
8. 기타
일본의 일본방송대학에서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를 "한국국립공개대학"이라고 부르고 있다(영어 명칭을 직역한 것으로 보인다).
참조
[1]
웹사이트
Error Page
http://www.knou.ac.k[...]
2015-09-03
[2]
웹사이트
Error Page
http://www.knou.ac.k[...]
2015-09-03
[3]
웹사이트
Error Page
http://www.knou.ac.k[...]
2015-09-03
[4]
웹사이트
About KNOU
http://www.knou.ac.k[...]
2015-09-03
[5]
웹사이트
Error Page
http://www.knou.ac.k[...]
2015-09-03
[6]
웹사이트
About KNOU
http://www.knou.ac.k[...]
2015-09-03
[7]
웹사이트
2021 graduation statistics
https://www.knou.ac.[...]
2024-12-08
[8]
웹인용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공시
https://academyinfo.[...]
2023-00-00 #날짜 정보가 연도만 존재, 00-00으로 처리
[9]
웹인용
대학 색상
https://www.knou.ac.[...]
2020-08-28
[10]
웹인용
한국방송통신대학설치령(대통령령 제10727호)
https://www.law.go.k[...]
1972-03-09
[11]
뉴스
[OUN뉴스] 방송대 서부학습센터 신축 이전, 2016학년도 1학기 신·편입생 추가모집 안내 등
http://ep.knou.ac.kr[...]
2016-02-10
[12]
뉴스
서울서부학습센터, 새 교사로 이전
http://news.knou.ac.[...]
2016-02-10
[13]
일반
[14]
뉴스
[OUN뉴스] 방송대 서부학습센터 신축 이전, 2016학년도 1학기 신·편입생 추가모집 안내 등
http://ep.knou.ac.kr[...]
2016-02-10
[15]
일반
[16]
뉴스
방송대여서 더욱 특별한 '논문으로 졸업하기'
https://weekly.knou.[...]
KNOU위클리
2023-05-08
[17]
뉴스
방통대·사이버대도 박사학위 딸 수 있다…"이르면 2년 뒤"
https://www.newsis.c[...]
뉴시스
2022-09-27
[18]
뉴스
방송대에서 박사학위 받는다
https://weekly.knou.[...]
KNOU위클리
2022-09-30
[19]
뉴스
방송대 '특1호' 대학으로 승격
http://news.knou.ac.[...]
방송대 학보사
2012-01-06
[20]
뉴스
류수노 교수, 제7대 방송대 총장 취임
http://news.knou.ac.[...]
방송대신문
2018-02-14
[21]
블로그
공무원이 바라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신설 학과는?
https://knou1.tistor[...]
2011-0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